피터 고완
Peter Gowan피터 고완 | |
---|---|
태어난 | 글래스고, 영국 | 15 1946년 1월
죽은 | 2009년 6월 12일 | (63세)
학력 | |
모교 | 사우샘프턴 대학교 |
학술사업 | |
기관 |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
주된 관심사 | 국제 관계 |
피터 고완(Peter Gowan, 1946년 1월 15일, Glasgow – 2009년 6월 12일)은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국제 관계 교수, 활동가, 출판 작가, 대중 연설가였다. 그는 뉴 레프트 리뷰의[1] 편집위원으로 동유럽 노동 포커스의 창립자 중 한 사람이었다.[2]
그는 1946년 4월 누나와 어머니와 함께 벨파스트로 이사하여 9살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그는 아버지를 전혀 알지 못했다.
그는 벨파스트에 있는 프린세스 가든에서 7살 때까지 학교에 다녔고 그 후 브래켄버그 하우스로 갔다. 그가 9살이었을 때 그의 어머니는 일하기 위해 런던으로 이사를 갔고 그는 오웰 파크 서퍽에 있는 예비 학교에 다녔고, 결국 남학생이 되었다. 그는 1959년 13살 때 허트포드샤이어에 있는 헤일리베리와 임페리얼 서비스 대학에 가기 위해 그곳을 떠났고, 거기서부터 사우샘프턴 대학에서 정치와 역사를 읽기 시작했다.
Gowan 세계 금융 위기[3]의 시작은 겨우 2주일 정도 후에 그의 치명적인 병으로 그의 컨디션은 터미널과 그의 건강 fast-deteriorating을 아는 것에도 불구하고 진단 받았다, 그가 좋은 유머로,지만 용감하게 그의 능력의 한계까지 몇달 후:에서 그의 논문"위기 한때 서방을 건너 일하러 계속 나타나 있다.그뉴 레프트 리뷰 2009년 1~2월호 '아트랜드'는 그가 금융위기의 기원을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간결하게 보여준다.
피터 고완은 2009년 6월 12일 석면 관련 질병인 복막중피종 때문에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작동하다
책들
- 권력의 미적분 : 21세기 대전략 (Verso 2010)
- 질서찾기: 대 전략의 위기에 대한 역사적 고찰 (Verso 2008)
- 코소보로 가는 꼬인 길; 소개 (매니페스트, 스톡홀름, 2000)
- Globalglobal Global Gamble: 워싱턴의 파우스티안 세계 지배 시도 (Verso, 1999)
- 위기 동·서: 글로벌 바바리즘인가? (스페인어 북스 1997)
- 유럽의 질문 – Peter Gowan & Perry Anderson (eds) (Verso 1997)
- 비세그라드 주를 향한 유럽연합 정책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1996)
기사들
-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와 2011년 2월 4일 콘트레템스 신대륙 건설
- 뉴 레프트 리뷰 55, 2009년 1~2월 '크리스 인 더 하트랜드'
- 뉴 레프트 리뷰 52, 7월-2008년 8월
- '새로운 세계질서를 위한 경연대회에서의 전쟁'(미공개 논문 2007)
- 뉴 레프트 리뷰 41, 2006년 9~10월 '급진적 현실주의자'
- 비판적 아시아학 제37권 제3호(2005)의 '미국, 자본주의, 주간체제'
- 비엔나 펜산트 유럽에 대한 급진적 철학에서의 유익한 충격, 2005년 9월/10월 133
- 뉴 레프트 리뷰 34, 7월-2005년 8월
- '자본주의 핵심 내 경제와 정치와 신제국주의 논쟁'(2005년 미발표)
- 2004년 여름 세계 시스템 연구 저널의 '피터 고완과 자본주의 세계 제국'(Peter Gowan의 텍스트와 다른 4명의 기여자의 추가 논평 추가)에 수록된 '세계 시스템 연구 저널' 제10권 제2호, 페이지 471–539호(2004년 여름).
- 2004년 11월-12월 뉴 레프트 리뷰의 '아메리칸 레벤스라움'
- 노동당의 '유럽과 새로운 제국주의' 동유럽에 초점을 맞춘 75번 '76번, 페이지 113–141, (여름-가을 2004)
- '국제 재난을 향한 트럼핑: 미국 대 전략의 난국' 36권 제1호(2004)
- 테마스, 컬투라, 이데올로기아, 소시에다드, 누메로 34, 2004년 (쿠바, 2004)의 '오늘날 엠파이어의 개념'
- 2004년 6월, 35, 2, 6월, 안보 대화에서 '제국의 상부구조'로서의 (국제평화연구소 오슬로, 2004)
- 2003년 11월 24일 New Left Review의 'US:UN'
- 7월 월간 리뷰 '오늘 미국의 패권주의'2003년 8월
- '냉전 이후 대서양횡단관계에서의 협력과 갈등' 2003년 제5권 제2호 식민지 후기국제학술지 '간섭'에 실려 있다.
- 2003년 5월 6월 21일 뉴 레프트 리뷰의 '제국의 기구'
- 76번 대변인(2002년)의 '신미국 세기?'
- '9월 11일, 미국의 대전략과 세계정치' 66호, (2002)
- 남유럽과 발칸 반도의 저널에 실린 '코소보 이후: 응답하지 않은 질문들' 2002년 겨울 날씨
- 뉴 레프트 리뷰 7월 16일자 '힘의 미적분'2002년 8월
- 2002년 6월 2일자 미국 정치학 리뷰의 '도서 리뷰 - 세계 정치 경제 및 포스트 1989년 변화'
- 2002년 1월~2월 13일 뉴 레프트 리뷰에서 '미국 이후?'
- Current Marx, 2002년에 'American Global Government: Will It Work?' (프랑스어 버전)
- 2001년 9~10월 11일 뉴 레프트 리뷰의 '신자유주의 코스모폴리탄주의'
- 2001년 3, 4월 8일 신좌평론에서의 '대서양 자유주의의 기원'
- '미국 붐 설명: 2001년 신정치경제에서 세계화와 미국의 글로벌 파워'의 역할
- '새로운 자유주의 코스모폴리탄주의' IWM 워킹페이퍼, 제2/2000호: 빈
- New Left Review, 2000년 11월 6일~12월 'A Spanish Singleton'
- 1999년 11월 남유럽 저널과 발칸 반도의 제1권 제2호에 실린 '세르비아를 문맥에 배치'
- 1999년 6월 카운터펀치의 '유럽 프로젝트의 황혼'
- 1999년 3월~4월 뉴 레프트 리뷰의 '나토 강국과 발칸 비극'
- 1998년 5월 월간 리뷰의 '전공산주의자와 노동자'
- 1998년 동유럽 노동 포커스 'EU Eastwards 확대: 불확실성 여전'
- 1997년 동유럽에 초점을 맞춘 노동자의 '유럽 확장의 역학'
- 1996년 3~4월 뉴 레프트 리뷰 I/216의 '동유럽, 서구권, 신자유주의'
- 1995년 9~10월 뉴 레프트 리뷰 I/213에서 '동유럽을 위한 신자유주의 이론과 실천'
- Debatte의 '칼 슈미트의 귀환': 현대 중앙 및 동유럽 저널, 제2권 제1, 1994호
- '오래된 약, 새 병: World Policy Journal, 제9권, 제1호, Winter, 1991/1992년 세계 정책 저널에 실린 '동중유럽을 향한 서구의 정책'
- 뉴 레프트 리뷰 I/187, 5월 ~ 1991년 6월에서 '걸프 전쟁, 이라크, 서구 자유주의'
- '서방경제외교와 신동유럽' 신좌파 리뷰 I/182, 7월1990년 8월
- 1987년 3월~4월 뉴 레프트 리뷰의 '행정 엘리트들의 기원'
- 1983년 5월~6월 뉴 레프트 리뷰 I/139의 '폴란드 소용돌이: 연대와 사회주의'(올리버 맥도날드 작사)
- 1977년 1월~4월 뉴 레프트 리뷰 I/101-102의 '제3라운드 폴란드' (Peter Green으로 표기)
책의 장
- 알렉산더 아니에바스(ed) 마르크스주의와 세계정치의 '현대자본주의의 산업발전과 국제정치 갈등': 세계 자본주의 경쟁 (2010년 노선)
- 마르틴 코닝스 (ed) The Great Credit Crash (Verso 2010)의 'Crisis in the Heartland'
- 김남국(edd) 유럽과 아시아에서의 세계화와 지역통합에 있어서의 '미국 프라이머시와 유럽주의자의 대응' (Ashgate Publishing Limited 2009)
- 마이클 콕스의 '글로벌 이코노미', 더그 스톡스(eds) 미국 외교정책, (Oxford University Press, First Edition, USA 2008)
- 국제회의 카피탈리스무스 리로디드(edd) 카피탈리스무스 리로디드(edd) 국제회의의 '세계시장, 국가체제 및 세계질서 질문': 제국주의, 제국주의, 패권주의 논란 (VSA 2007)
- 바실리스 K의 '세르비아를 컨텍스트에 배치' 푸스카스 (edd) 갈등의 정치 : 조사 (2007년 노선)
- 크리스토퍼 체이스-던, 살바토어 J. 바본스(eds) 글로벌 사회변화의 '비례적인 인트라코어 관계와 세계 시스템 이론': 역사 및 비교 관점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 알레한드로 콜라스와 리처드 솔(eds)의 '부시 턴과 프라이머시를 위한 추진' 냉전 후 테러와의 전쟁과 미국의 '엠파이어'(2006년)
- 파루크 타박(ed) 연합군의 라이벌로 대서양 횡단 분쟁: 변화하는 세계 시스템의 미국, 유럽, 일본 (Paradigm Publishers 2005)
- Bellamy Foster, J., Mcchesney R.W. (eds) Pox Americana: American Empire 노출 (매월 리뷰 프레스, 2004)
- 타리크 파룩의 '대서양 횡단 난국' (ed) 트라이아디치 분쟁의 새로운 시대 (조지타운 대학, 2004)
- 다니엘레 아르키부기의 '새로운 자유주의 코스모폴리탄주의' (ed) 토론 코스모폴리틱스 (Verso, 2003)
- Leo Panitch & Colin Leys (eds) 사회주의 등록부 2003: 정체성과의 싸움 (Merlin, 2002)의 '세계 주권을 위한 미국 캠페인'
- 'EU와 동양: 통일 없는 다양성?' M. 뉴먼, S. 펠라, M. Farrell (eds) 유럽 통합, 통합 및 다양성 (Sage, 2002)
- A의 '세계 시스템 이론과 현대 내 핵심관계'에 관한 것이다. Fisun과 T. Zhurjenko (eds) 세계 시스템 이론 및 현대 글로벌 전환 (Kharkiv University Press, 2002)
- 에드워드 S 필립 해먼드의 '전쟁과 그 여파' 헤르만(eds) 기능 저하: 언론과 코소보 사태 (플루토 프레스 2000)
- Leo Panitch & Colin Leys (eds) 사회주의 등기 2000의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의 전쟁에 대한 감각 만들기' (Merlin, 1999)
- 타리크 알리(ed) 우주의 마스터스에서 '나토 유고슬라비아 공격의 유로 대서양 기원': 나토의 발칸 십자군 (베르소 2000)
- 레오 파니치 & 콜린 레이스 (eds) 사회주의 등기 1998년 '러시아와 동유럽의 좌익': 공산당 선언서 Now (Merlin, 1998년)
- P의 '영국의 유로-솔립스주의' 고완, P. 앤더슨 (eds) 유럽의 질문 (Verso, 1997)
- D의 '동유럽과 중유럽의 포스트 공산주의 사회주의자들' 사순 (edd) 좌회전: 냉전 후 유럽 사회주의 (I.b. Tauris, 1997)
- 게르트 논네만(ed) 정치경제자유화의 '폴란드의 국가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전환': 비교 관점에서 본 역학관계와 연계성 (Lynne Rienner Publishers, 1996년)
인터뷰 및 토론
- 피터 고완 - Mike Newman 및 Marko Bojcun과의 인터뷰, New Left Review 59, 2009년 9~10월
- 피터 고완, 미국 금융위기 인터뷰 '이것이 지옥이다!' (3.00.15시 시작) 2009년
- 피터 고완, 1945년 이후 미국 외교정책 관련 인터뷰, 2009년
- 2007년 10월, 제국 달러 제도의 난기류
- 우니베르시다드 노마다 2007년 회의, 피터 고완 회담 [1] [2][3]
- 2006년 2월 미네르바와의 유로파 납치 인터뷰
- 2002년 4월 국제관점에서의 미국의 글로벌 갬블 인터뷰
- 국가, 세계화 및 신제국주의: 원탁토론, 2001년 7월
- 러시아와 체첸, 지금 민주주의 인터뷰, 2000년 1월
- 구소련에서는 어떤 계급의 규칙이 있는가? 1989년 8월 (올리버 맥도날드로) 소비에트 연방의 성격에 대한 논쟁
참조
- ^ "Peter Gowan, The Ways of the World, NLR 59, September–October 2009". New Left Review. Retrieved 28 May 2021.
- ^ Guzek, Martin (June 2020). "Supporting the Democratic Opposition in Eastern Europe". Labour Briefing. Translated by Holland, David. Labour Representation Committee. p. 30.
- ^ 가디언 부고
- ^ 혁명사 부고
외부 링크
- 피터 고완 오비투리, 가디언
-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부고
- 초국가적 연구소 - 피터 고완: 인 암기엄
- 피터 고완 부고 데바트 저널
- 동지의 죽음 – Peter Gowan: 1946–2009
- 마르크스 사이트 - 감사
- 부고 - 피터 고완(1946~2009)
- '글로벌 갬블 오비투리'의 저자 피터 고완
- 피터 고완에 관한 발칸 및 근동학 논설
- 스타티스 쿠벨라키스의 피터 고완, 마르크스주의와 지정학
- 피터 고완의 미국 패권의 형태와 모순 이론화 : 비판적 평가
- 국제정치경제 분야에 대한 피터 고완의 공헌에 대한 감사
- 하트랜드의 위기 - 아담 토제의 피터 고완에게 경의를 표하다
- 피터 고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