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뤼흐코프

Peter Rühmkorf
피터 뤼흐코프
Rühmkorf in Hamburg, 2004
함부르크의 Rühmkorf, 2004
태어난(1929-10-25) 1929년 10월 25일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도르트문트
죽은2008년 6월 8일 (2008-06-08) (78세)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로즈버그
필명레오 돌레츠키, 레슬리 마이어, 요하네스 폰타라, 링, 존 프리더, 한스 베르너 웨버, 해리 플라이더, 한스 힝스트
주목할 만한 상게오르크 뷔흐너상
하인리히 하이네 상
에리히 케스트너상
아르노 슈미트상

페터 뤼흐코프(Peter Rühmkorf, 1929년 10월 25일 ~ 2008년 6월 8일)는 전후 독일 문학에 큰 영향을 준 독일의 작가입니다.[1][2][3]

1952년 함부르크에서 시인이자 수필가인 베르너 리겔(Werner Riegel[de])과 그가 편집하고 주로 쓴 잡지 위셴덴 크리겐(Zwischen den Kriegen)에서 시작하여 1956년 리겔이 요절할 때까지 문학 경력을 쌓았습니다. 두 사람 모두 젊은 독일 지식인들과 학생들을 위한 영향력 있는 월간 슈투트렌쿠리에(Studentenkurier)의 창립자들의 것이었습니다.

뤼흐코프는 게오르크 뷔흐너 상, 하인리히 하이네 상, 에리히 케스트너 독일의 중요한 상을 모두 수상했습니다. 뤼흐코프는 아르노 슈미트 상을 수상한 네 명 중 한 명이기도 합니다. 그의 가명은 레오 돌레츠키, 레슬리 마이어, 요하네스 폰타라, 링, 존 프리더, 한스 베르너 웨버, 해리 플라이더, 한스 힝스트였습니다.

그의 목소리는 다음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Füher, als wir die gro ßen Strömeoch... (스피커와 앙상블에 적합) Dietmar Bonen과 Andreas Schilling. 무대와 음반에서 그는 재즈 음악가 마이클 나우라와 함께 피아노를 연주했고 볼프강 슐뤼터와 함께 바이브를 연주했습니다.

작동하다

  • (Werner Riegel과 함께) 하이 ß 라이릭, 라임, 비스바덴 1956 [시]
  • Irdisched Vergnügening. hamburg프치히 게디히테, 로울트, 함부르크 1959 [시]
  • 볼프강 보어트. 전기, 로울트, 함부르크 1961년 [전기]
  • 쿤스트튀케. hamburg프치히 게디히테 네브슈타이너 안레이퉁줌 위더스푸르흐, 로울트, 함부르크 1962 [시, 에세이]
  • 위베르 다스 폴크스베르뫼겐. 1967년 라인벡 로울트, 로울트, 덴 리터라리셴 운터그룬드의 엑쿠르세 [모노그래프]
  • ß티에 볼시니? 베베게트 스제너우스 클라셴 뷔르차프트슬레벤, 로울트, 라인벡 1969 [무대극]
  • 죽어 자레는 죽어 Ihr kennt. 에린네룽겐 밑의 안펠레, 로울트, 라인벡 로울트 1972 [자전]
  • Lombard gibt den Letzten. 아인 샤우슈필, 바겐바흐, 1972년 베를린 [무대극]
  • 다이 핸드워커 코멘. 아인 패밀리아 드라마, 바겐바흐, 베를린 1974 [무대극]
  • 발터 데어 보겔바이데, 클롭스톡 운디히, 로울트, 라인벡 1975 [논설]
  • 피닉스! 보란! 게디히테, 파벨팬, 드레이치 1977 [시]
  • Strömungslehre I. Poesie, Rowohlt, Reinbek 1978 [시, 에세이]
  • Haltbar bis End 1999, Rowohlt, Reinbek 1979 [시]
  • 케닐워스에 있는 오프 비더. 1980년 프랑크푸르트, 피셔, 드레젠 카피텔른의 아인 메르첸(Ein Märchen) [동화]
  • 임 파흐트윈드. 게디히트, 게쉬히테, 베르텔스만, 베를린 (외) 1980 [시, 산문]
  • 한천 배지 – 자우르자우림. 1981년 Rowohlt, Reinbek 1981년 Menschlichen Anklangsnerven 아래 Zur Naturgeschichte des Reims.
  • Kleine Fleckenkunde, Haffmans, Zürich 1982 [잉크블롯 연구]
  • 후테르 데 미스타우펜스(Der Hüter des Misshaufens). 1983년 라인벡 로울트, 오프게클래르테 메르헨 [동화]
  • Blaubarts letzte Reise. 아인 메르헨, 파벨팬, Dreieich 1983 [동화]
  • 블리버스취터바 언드 더 넓은 스탕. Aufsätze Reden Selbstgespräche, Rowohlt, Reinbek 1984 [논술, 주소, 산문]
  • 1986년 프랑크푸르트 피셔의 마인 레세부흐 [인류학]
  • 오 ß데르 리비히츠. Liebesgedichte Rowohlt, Reinbek 1986 [연애시]
  • Dintemann과 Schindemann. 라이프치히 1986년 레클람 오페게클래르테 메르헨 [동화]
  • selfstredend und selfstreimend. 게디히테 게단켄 리흐트블릭, 리클람, 슈투트가르트 1987 [시, 산문]
  • 베르너 리겔 „... 센둥을 비난합니다 슈투트가르트 1988년 리클람, 슈투트가르트 [전기 및 판]
  • 1989년 라인벡 로울트, 에인말리그위 위럴레
  • Dreizhn deutche Dichter, Rowohlt, Reinbek 1989 [논설]
  • Selbst III/88. Aus der Fassung, Haffmans, Zürich 1989 [autobiographica]
  • 콤마로스! 게ä게, 메르첸, 쿤스트튀케, 바겐바흐, 베를린 1992 [시, 노래, 동화, 산문]
  • 독일, 에인 뤼겐메르첸, 발슈타인, 괴팅겐 1993 [논술]
  • 덜렁덜렁! 메모스, 메르헨, 타부, 게디흐테, 셀브스트포트래트 미툰 오네 헛, 로울트, 라인벡 1993 [컬렉션]
  • 타부 I. 타게뷔처 1989-1991, Rowohlt, Reinbek 1995 [자전]
  • 게디히테, 로울트, 라인벡 1996 [시]
  • 나는 Lust, I weiten Feld... Betrachtungen einer abgeräumten Schachfigur, Wallstein, Götingen 1996 [논술]
  • 마지막으로 사망, 사망 러스턴드 사망 목록. 아우프게클래르테 메르헨, 로울트, 라인벡 1996 [동화]
  • Ein Buch der Freundschaft, Rommerskirchen, Remagen-Rolandseck 1996
  • 레밋 슈 ß. Gedichte, Suhrkamp, Frankfurt, 1998년 메인 [시]
  • wen – aberdann. 볼레츠테 게디히테, 로올, 라인벡 1999 [시]
  • Von mirzu Euchfüruns, Steidl, Götingen 1999 [시]
  • 우히 겔른하베, 월슈타인, 괴팅겐 1999 [자전서]
  • (Horst Jansen과 함께) Mein Liber Freund Kompanjung, Felix Jud, Hamburg 1999
  • (Robert Gernhardt와 함께) 인 게마인사머 사케. 게디히테 über Liebeund Tod, Naturund Kunst, Haffmans, Zürich 2000 [시]
  • Das Lied der Deutschen, Wallstein, Götingen 2001 (Hoffmann von Fallersleben)
  • Funken fliegen zwischen Hut and Schuh. 리치틀릭, 슈바이프스터네, 도너킬레, 에드. 슈테판 울리히 마이어, 도이치 베를라그산스탈트, 뮌헨 2003 [시]
  • 타부 2세. 타게뷔허 1971-1972 Rowohlt, 라인벡 2004 [자전]
  • Wennich mal richtig ICH sag... . Ein Lese-Bilderbuch, Steidl, Götingen 2004 [prose]
  • 오와첸과 비더핀덴. Gedichte, Insel, Frankfurt, 2007년 메인 [시]
  • 파라다이스보겔스키 ß. 게디히테, Rowohlt, Reinbek 2008 [마지막 시]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KuBus 25 – Portrait: Peter Rühmkorf". Goethe-Institut Magazine. 1999.
  2. ^ "Immer rein in die gute Stube". 13 June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11.
  3. ^ Reich-Ranicki, Marcel (10 June 2008). "Nie seriös, immer erns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