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애플빵
Pineapple bun![]() | |
대체 이름 | 보로바우 |
---|---|
유형 | 스위트 번 |
원산지 | 홍콩 |
주성분 | 설탕, 달걀, 밀가루, 라드 |
파인애플빵 | |||||||||||||||||
---|---|---|---|---|---|---|---|---|---|---|---|---|---|---|---|---|---|
중국어 번체 | 菠蘿包 | ||||||||||||||||
중국어 간체 | 菠萝包 | ||||||||||||||||
문자 그대로의 뜻 | 파인애플빵 | ||||||||||||||||
|
파인애플빵(중국어: 菠蘿包; Sidney Lau: bohlohbau141)은 홍콩에서[1] 주로 인기 있는 달콤한 빵의 일종으로, 전 세계 차이나타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2] 이름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으로 파인애플을 함유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그 이름은 특징적인 토핑의 모양(파인애플의 질감을 닮았다)을 가리킨다.
역사
![]() | 이 구간은 확장이 필요하다. 덧셈을 하면 도움이 된다. (2015년 6월) |
2014년 6월 홍콩 정부는 이 파인애플 번을 홍콩의 무형 문화 유산의 일부로 등재했다. 70년 넘게 파인애플빵을 만들어 온 영롱의 타이퉁 베이커리는 이 빵들을 만드는 기술을 480여 종의 생활유산 목록에 포함시킨 핵심 주창자였다.[3]
구성
파인애플빵의 윗부분(파인애플을 닮게 만든 부분)은 설탕과자를 만들 때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반죽으로 만들어지는데, 설탕, 달걀, 밀가루, 라드로 구성되어 있다. 바삭바삭하고 밑의 빵에 비하면 꽤 달다. 밑에 있는 빵 반죽은 홍콩식 빵에 쓰이는 것으로 유럽식 빵보다 부드럽고 달콤한 반죽이다. 아침식사나 오후차에서 인기가 있다.
비록 "피네애플빵"으로 알려져 있지만, 전통적인 버전에는 파인애플이 들어 있지 않다. 그 이름은 설탕이 든 상판 껍질이 황금갈색으로 익었다는 사실에서 유래되었으며, 체크무늬 상판이 파인애플의 서사시와 닮았기 때문이다.[4]
버터형 변종
차안텅이나 다이파이동 같은 많은 홍콩 음식점에서는 버터 한 조각을 안에 넣은 파인애플빵이라는 버터를 넣은 파인애플빵이라는 아이템을 내놓는다. 광둥어에서는 보로 야우( bo菠)로 알려져 있는데, 보로우는 "피네애플"을 의미하고, 야우(기름)는 버터를 가리킨다. 이것의 변형에는 버터 대신 커스터드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전형적으로 빵은 오븐에서 식당의 테이블로 뜨거운 상태로 가져와, 반으로 쪼개진 큰 버터와 함께 제공된다.
기타 일반적인 변형
파인애플빵은 미니어처 사이즈(迷你菠包包)로 나올 수도 있고, 점심용 고기(餐肉菠 meat meat meat)와 함께 샌드위치용 빵롤로 사용될 수도 있고, 칵테일빵에 넣은 것과 같이 팥장(팥죽), 커스터드 크림( custard菠 cream cream), 바비큐한 돼지고기( barbe pork pork), 또는 채 썬 코코넛( ( coconut)의 달콤한 속을 미리 채워 넣을 수도 있다. 실제로 파인애플을 채운 '파인애플 파인애플 번'을 주문할 수 있다.
일본 멜론팬과 한국식 소보로빵은[5] 위에 독일 스트류셀 같은 식감을 같은 재료를 사용하지만 파인애플과 유사하지 않은 변형이다.
대중문화에서
- 홍콩 만화영화 맥둘의 주인공인 왕자 드 라 번(Prince de la Bun)은 이 영화의 중국 이름이 菠油王子子(버터를 바른 파인애플 번 왕자)이기 때문에 종종 파인애플 번과 함께 볼 수 있다.[6]
- 2005년 '피네애플 번'이 태풍의 이름으로 지명됐으나 홍콩 천문대 국장이 태풍 관련 보도가 터무니없이 들릴 것이라고 밝혀 거절당했다.[7]
논란
2014년 9월 홍콩 경찰 압수수색 결과, 자신도 모르게 여러 납품업체(스타벅스, 세븐일레븐, 카페익스프레스 등)가 대만의 한 무허가 공장에서 '구터 오일'로 알려진 오염된 기름으로 만든 파인애플 번을 판매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 기름은 주방 쓰레기로부터 재활용되었고, 가죽 가공과 도축장의 부산물이 되었다.[8]
2020년 10월 일본의 한 제과점에서 '대만 파인애플빵'을 출시했는데, 제품을 소개한 제과점의 제품 소개로 홍콩에서 유래했다는 말이 정확하게 언급됐음에도 불구하고 대만에서 유래된 제품임을 시사해 비판을 받았다.[9]
참고 항목
참조
- ^ "Hong Kong food: 40 dishes we can't live without - 6. 'Pineapple' bun". CNN Travel. 13 July 2010. Retrieved 5 January 2014.
- ^ "What Is a Pineapple Bun". wisegeek. Conjecture Corporation. Retrieved 5 January 2014.
- ^ Tsang, Denise (8 September 2014). "The secrets behind serving up Hong Kong's 'hot cross buns'". No. 8 September 2014. South China Morning Post. Retrieved 23 November 2014.
- ^ "Where's The Pineapple?". My Kitchen: My Laboratory. Retrieved 29 June 2009.
- ^ "Korean Soboro Bread". Korean Slate. 28 October 2009. Retrieved 24 August 2011.
- ^ "麥兜菠蘿油王子 Mcdull, Prince de la Bun (Chinese)". Sina Hong Ko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14. Retrieved 14 January 2014.
- ^ "Ask Mr. Know-It-All: How do typhoons get their names?". hk-magazine.com. HK Magazine. Retrieved 11 February 2015.
- ^ 스타벅스와 세븐일레븐이 '굿터 오일' 파문에 휘말린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 ^ 子萱, 楊 (19 January 2021). "Japan wrongly called the inventor of Hong Kong pineapple buns". The China Post, Taiwan. Retrieved 3 October 2021.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파인애플 번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