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랑기 강
Pulangi River풀랑기 강 풀랑기 강 | |
---|---|
![]() | |
네이티브 이름 | 수바사풀랑기 |
위치 | |
나라 | ![]() |
지역 | |
주 | |
물리적 특성 | |
출처 | 망가본 산맥 |
• 위치 | 브리지 칼라부가오, 임파수공, 부키드논 |
입 | 민다나오 강 |
길이 | 320km(199mi)[1] |
분지형상 | |
지류 | |
• 왼쪽 | |
• 권리 |
풀랑기 강(Cebuano 발음 IPA[pulalaii])은 풀랑기(Pulangi)라고도 하며 필리핀 민다나오(Mindanao)의 광범위한 하천 체계인 리오 그란데 드 민다나오(Rio Grande de Mindanao)의 주요 지류 중 하나이다. 길이 320km(199mi)로 부키드논에서 가장 길고 필리핀에서 5번째로 긴 강이다.[1] 그것은 부키드논의 임파수공 바랑게이 칼라부가오에 있는 그것의 원천으로부터 부키드논의 대부분의 도시와 자치체들을 횡단한다.
역사
어원
이 강의 이름은 민다나오 섬 내 강의 위치를 가리키는 '섬의 중심'이라는 뜻의 마노보 용어 '엠파물랑기'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유역 및 수력발전소
풀랑기에는 1개의 저수지형 발전소가 있는데 풀랑기 4호 수력발전소와 분수령이 있다.[2] 풀랑기 4호 수력발전소는 255메가와트의 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민다나오 전력 수요의 25%를 공급하고 있다. 국력공사(NAPOCOR)가 소유하고 운영한다. 이 저수지와 댐은 또한 부키드논 지방의 주요 상수원으로 식수용과 관개용수로 국립 관개청(NIA)을 경유한다.[3]
풀랑기 4 수력발전소 유역(일명 상부 풀랑기 유역)은 약 180만 헥타르의 면적을 차지하는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유역이다.[3] 10개의 유역이 있으며 임파수공, 카방라산, 산 페르난도, 란타판, 마라마크, 퀘존, 발렌시아 시, 말레이발레이 시의 시와 시군을 망라하고 있다.
저수지가 제대로 조성한 인공호수를 풀랑기호[4] 또는 마라막 분지라고 한다.[5] 약 1,985 헥타르의 표면적과 6700만 입방미터의 실제 저장고를 가지고 있다.
풀랑이는 또한 풀랑기 V 수력발전댐이 제안된 곳이다. 이 프로젝트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에 300메가와트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댐은 일부 면적이 3300헥타르로, 카멘 다리 경계 카바칸 카르멘(카바칸 카르멘) 북코타바토 북코타바토 등 부키드논의 키타오타오, 당카간, 다물로그 등 22개 바랑가의 강둑을 따라 대부분 경사진 땅이다. 전체 댐 면적 중 40%가 현재의 하천 그 자체로 침수된 지역은 강둑을 따라 경직된 경사지다. 약 1060가구가 피해를 볼 것으로 추산되며, 모두 이전해 사업비를 보상받게 된다.[6]
이 프로젝트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 프로젝트가 민다나오에 있는 마노보 원주민들의 존경받는 조상인 아포 마말루의 매장지를 잠글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7][8]
필리핀 국립박물관은 전문가팀에 의뢰해 이 주장을 조사했으나 2011년 2월 6일자로 시티오 미카실리, 바랑게이 탕쿨란, 다물로그를 국가유산으로 선포해 달라는 청원에 대해 인류학자가 이 주장을 연구할 것을 요청했다. 앞서 이 부지를 문화유산으로 선포해 달라는 청원을 지지했던 인류학자 안토니오 몬탈반 박사는 국립박물관에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심층적으로 검토한 결과 국립유산 등재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몬탈반은 "중요한 선언은 그 가정들이 만장일치가 부족하고 중요한 증거에 더 많이 결여되어 있을 때 내려질 수 없다"고 말했다. 이는 고대 마노보 민족의 에트노 문화의 중요성과 아름다운 전통에 대한 난독화로 이어질 뿐이다."[9]
지리
원천
바랑게이 칼라부가오, 임파수공, 부키드논,
기타 출처: 키탕라드 산맥의 둘랑둘랑 산, 칼라툰간 산, 만가본 미사미스 오리엔탈 산
지류
풀랑기 강의 주요 지류인 마누팔리 강은 부키드논의 란타판 산맥을 시작으로 칼라툰간과 키탄글라드 산맥에서 오는 길을 따라 지류를 취한다. 발렌시아 시와 란타판의 자연 경계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말레이발레이 시 쪽으로 동쪽으로 흐르며, 결국 발렌시아 시의 풀랑기 강과 합류한다.
뮬레타 강은 판간투칸, 돈 카를로스, 기타오타오, 당카간, 키바위, 카딩일란, 다물로그의 자치구를 아우르는 지방 남부에서 발견된다. 풀랑기 강의 또 다른 중요한 지류로 남쪽으로 흐른다. 부키드논 지방과 코타바토 지방의 경계에 있는 풀랑기 강과 합류할 것이다.
카방라산 시에서 발견된 보보나완 강은 풀랑기 강의 또 다른 지류다. 풀랑기 강 쪽으로 남쪽으로 흐르는 시가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른 지류로는 산 페르난도의 티그와 강, 부키드논, 마라두가오 강이다. 말레이발레이 시 부키드논 사와가 강 임파수궁의 칼라부가오 강. 말레이발레이 시 마나옥의 아부한 강과 발롱코트 강. 코타바토의 카바칸 강, 임파수궁의 감밀라산 강, 발렌시아의 마파그 강, 발렌시아의 랄리건 강, 코타바토의 말리투보그 강.
문화적 다양성
풀랑이의 수심 주변에 정착한 토착 히가온 커뮤니티는 자신을 풀랑기옌이라고 부른다.[10][11] 그들의 토착 지식 시스템에는 환경과 생물 다양성 보존이 포함된다.[11] 풀랑기 유역은 히가오논과 부키드논 원주민 공동체의 조상 영역까지 뻗어 있다.[11][12] 이 유역은 하그파와 칼라부가오 바랑게이의 논과 농경지에 물을 공급한다.[13]
참조
- ^ a b Kenneth Kimutai too (24 July 2018). "Longest Rivers In The Philippines". worldatlas.com. WorldAtlas. Retrieved 9 September 2019.
- ^ 풀랑기 4 수력발전소
- ^ a b 2010-07-04년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풀라니 유역 지역 팀
- ^ 위키마피아: 풀랑기호
- ^ 부키드논
- ^ BenCyrus G. Ellorin (April 16, 2011). "More hydro plants to lower Mindanao power rates – FIBECO". MindaNews. Retrieved April 17, 2011.
- ^ Butch Enerio (February 6, 2011). "Manobo chieftains OK hydro plant in Bukidnon". Business Mirror. Retrieved April 17, 2011.
- ^ BenCyrus G. Ellorin (February 7, 2011). "Controversy over dam project heats up". UCA News. Retrieved April 17, 2011.
- ^ Bong D. Fabe (February 15, 2011). "Anthropologist opposes making Manobo burial site as national treasure". Business Mirror. Retrieved April 17, 2011.
- ^ Linantad, Lucy; Sagula, Rufino; Bruno, Eric; Walpole, Pedro (2010-04-26). "Assisting Forests: The Pulangiyen Approach in Bendum (2010)". Apu Palamguwan Cultural Education Center. Retrieved 2021-06-25.
- ^ a b c "PHI: Integrated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Project: Higaonon Ancestral Domain" (PDF). July 2019. Retrieved June 25, 2021.
- ^ "Foundation for the Philippine Environment". Foundation for the Philippine Environment. February 6, 2015. Retrieved 2021-06-25.
- ^ "The ICCA Registry". The ICCA Registry. Retrieved 2021-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