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손 대교
Quezon Bridge케손 대교 | |
---|---|
![]() 2020년 퀘존대교 | |
좌표 | 14°35′43.8″N 120°58′55.5″E / 14.595500°N 120.982083°E좌표: 14°35′43.8″N 120°58′55.5″E / 14.595500°N 120.982083°E |
들다 | 차선4길 ![]() |
십자가 | 파시그 강 |
로캘 | 필리핀 마닐라 |
공식명 | 마누엘 L. 케존 기념 다리[1] |
에 대해 명명됨 | 마누엘 L. 케존 |
유지 관리 대상 | 공공사업부 및 고속도로부 |
선행자 | 맥아더 대교 |
그 뒤를 이어 | 아얄라 다리 |
특성. | |
디자인 | 아치 / PSC 거더교 |
재료 | 강재 & "사전응력" 철근콘크리트 |
총길이 | 447m(1,467ft)[2] |
폭 | 22.50m(74ft)[2] |
통과 가능? | 네 |
No. 간격이 넓은 | 8[3] |
하중한계 | 5 t(5,000 kg) |
No. 차선의 | 4 (방향당 2개) |
역사 | |
구성자 | 페드로 시오치와 컴퍼니 |
공사종료 | 1939 |
리빌드 | 1946 |
대체하다 | 푸엔테 콜간테 |
위치 | |
![]() |
케손교는 필리핀 규아포의 케손 대로와 마닐라 에르미타의 파드레 부르고스 애비뉴 사이의 파시그 강을 가로지르는 아치형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다.
대체된 푸엔테 콜간테보다 훨씬 크고 무거운 20세기 교통량을 차지하기 위해 건설된 케존 다리는 1939년 엔지니어링 회사인 페드로 시오치와 컴퍼니의 감독으로 건설되었다. 이 다리는 아트 데코 스타일의 아치 브리지로 설계되었으며 시드니 하버 브리지의 설계에서 영감을 얻었다.[2][4] 건설 당시 필리핀 대통령 마누엘 루이스 케존을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파괴되었고, 그 후 1946년에 재건되었다. 2014년 화재로 인한 이용률과 연령, 한 때 화재로 인한 피해 증가 등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보수·보강·개보수가 빈번한 대상이다. 그것의 마지막 주요 재건축은 1996년에 이루어졌다.[5]
참조
- ^ "Manuel L. Quezon Memorial Bridge". Filipino Heritage Festival. 11 August 2015. Retrieved 2 October 2015.
- ^ a b c De Vera, Ricardo. "Terms of Reference for the Proposed Rehabilitation of Quezon Bridge and Approaches in Manila". Department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Retrieved 2 October 2015.
- ^ "Detailed Bridge Inventory". Department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Retrieved March 17, 2021.
- ^ Noche, Manolo (April 5, 2006). "Bridge Over Not So Troubled Waters: Spanning Communities and Building Relationships". ICOMOS Philippines. Retrieved September 11, 2014.
- ^ Layug, Benjie. "Quezon Bridge (Manila) – B.L.A.S.T. – Live Life to the Fullest ……… Don't Stay 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