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m to Live
Room to LiveRoom to Live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82년 9월 27일 | |||
녹음된 | 1982년 6월-7월 | |||
스튜디오 | 영국 로치데일의 카고 스튜디오 | |||
장르. | ||||
길이 | 36:46 | |||
라벨 | 카메라 | |||
프로듀서 |
| |||
가을 연대기 | ||||
| ||||
싱글에서 라이브로 | ||||
|
Room to Live, Undilable Sinchern Truth!라는 부제가 붙은 이 앨범은 영국의 포스트 펑크 밴드 The Fall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1982년 9월 27일 음반사 카메라를 통해 발매되었다.
배경
Room to Live는 같은 해 3월에 발매된 Hex Enduation Hour의 빠른 후속작으로 기록되었다.이 앨범은 마크 라일리와 함께한 마지막 앨범이 될 예정이었다.
이 그룹은 원래 싱글을 녹음하기 위해 스튜디오에 들어갔지만, Mark E. Smith가 그들에게 더 많은 곡을 녹음하도록 설득했는데, 이 곡들은 모두 밴드가 처음이고 이전에 리허설을 하거나 라이브 공연을 한 적이 없었다.[1]이 실험적인 접근법에 따라, 구성원은 의도적으로 특정 트랙에서 제외되었다.[1][2]스미스 역시 "그 중 일부는 나뿐이고 칼은 더블 트랙"[3]이라고 곡에 대해 언급했다.이러한 발언들은 팬들 사이에 상당한 추측을 낳았지만, 각 트랙에 대한 정확한 라인업은 제대로 확인된 적이 없다.1984년 4월 시티 라이프지에 보낸 편지에서 스미스는 라일리가 Room to Live의 두 트랙에서만 플레이했다고 언급했고, 2008년 라일리는 BBC6 라디오 쇼를 통해 그가 모든 트랙에 출연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4]In his book "The Big Midweek", Steve Hanley states that "Marquis Cha-Cha" was recorded by a trio of himself, Burns and Smith and also confirms the role of Arthur Kadmon (from Ludus and credited as "Cadman") in the recording of "Hard Life in Country" at a session to which neither Craig Scanlon nor Marc Riley were invited.[5]하지만, 헨리의 버전은 그의 책 "더 폴" (Mark E Smith와 공동 저술한)에서 믹 미들즈가 중계한 것처럼, 이 많은 소문난 이야기를 반박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캐드몬이 약 16초의 기타를 녹음했고, 그리고 나서 해고되었다는 것을 암시한다.[6]드러머 폴 핸리는 앨범 녹음을 "지옥같은 악몽"이라고 표현했다.나타나서는 스미스가 밴드의 반밖에 초대하지 않았거나,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다른 뮤지션들을 불러들였단 걸 알게 될 거야.[7]
이 앨범은 1982년 7월과 8월 그룹의 호주와 뉴질랜드 순방에 앞서 2주 동안 록데일의 카고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것으로, 이 음반에 수록된 곡들은 라이브 앨범인 Fall in a Hole에 많이 수록되어 있다.[8]
Room to Live는 그 밴드의 가장 명백하게 시사적인 앨범으로 묘사되어 왔다.[1]스미스는 "나는 접선을 타고 간다"고 표현했다. 대부분의 노래들은 내가 보기엔 더 넓은 규모에서 볼 때 외국에 많이 가본 영국을 다룬 것이다.[1] "파팔 방문"은 450년 만에 교황이 영국을 방문한 이야기였다. '안티 포프'라고 묘사한 곡이다.[1]"마키스 차"는 포클랜드 전쟁에 관한 것으로, "영국 태생의 나치 전파자 호크 경과 동등한 포클랜드 향의 인물"[1]로 묘사된다.
'마키스 차'는 원래 1982년 9월 싱글 발매 예정이었으나, 보류되어 1983년 11월에야 개봉되었다.[9]
임계수신호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대중음악 백과사전 | ![]() ![]() ![]() ![]() ![]() |
NME | 불리한[12] |
소리. | ![]() ![]() ![]() ![]() ![]() |
비록 그 작가 데이브 톰슨 씨(누가"이 밴드의 가장 자연스러운, 스미스의 그의 대부분에서 나는 소리 이제 시작 단계인에서 나는 소리"이라고 묘사했다)의 의도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 앨범은"조잡한"은 HexEnduction Hour,[14]에 비해"함께 섣부른 일침"로, 스미스는 자신"내가 하고 싶다고 말했다 기술되었다. 일부즉흥적인 것..."우리의 머리 위에서 곧바로 노래를 녹음하는 가을의 옛 방식으로 돌아가기 위해서"[1]
사운드 리뷰어인 데이브 맥컬로는 "바운스와 잽이 부족하다" "음악적으로 가을은 정말 엉망이다"라고 말하면서 두 개의 별을 주었다.[13]NMEs Amrik Rai는 그것을 "끔찍한 스케치"라고 불렀고, "마치 그들이 쓰고, 기록하고, 누르고, 여전히 마지막 주문에 맞춰 돌아온 것 같다"고 말하면서, 그것을 "올바른 쓰레기"[12]로 요약했다.
뉴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는 "스포츠가 크게 자극받은 가사는 부르주아 브리튼을 정면으로 겨냥했고, 더 얇고 덜 설득력 있는 음악, 그리고 흥미 없는 소리로 들리는 스미스를 겨냥했다"[15]고 밝혔다.전임자보다 더 방종한 전달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16]Trouser 프레스"HexEnduction 시간보다 sparser, 덜 리듬 소리"에,"스미스 최고의 서정적인 형태에서, 영국의 삶의 신랄하고, 풍자적인 견해:'Marquis차차의 제공들은 포클랜드 전쟁에 대한 논평. 물어뜯고 있다."[17]올 뮤직의 딘 맥팔레인 아마도 가장 재미 있다는 듯 연재하고 정치적 컬렉션"이라고 묘사했다 이렇게 계속 이어 가 말했다.의이 맨체스터의 전설적인 인물은 이 그룹의 창의적인 전성기"와 "이 그룹이 기록한 가장 위대한 포스트 펑크 천재 작품 중 하나"라는 기록으로 쏟아져 나왔다.[10]로버트 햄은 스테레오굼을 위해 쓴 글에서 "우리는 '탐지 본능'과 '스튜디오의 유혹자'의 지저분한 베이스와 스크래칭 기타 미니멀리즘을 위해서가 아니라, 이것은 완전히 버려지는 것일 것이다"[8]라고 말하며 덜 열정적이었다.
Room to Live는 영국 인디펜던트 앨범 차트에서 4위를 정점으로 [18]총 10주 동안 차트에 올랐다.
트랙리스트
No. | 제목 | 작성자 | 길이 |
---|---|---|---|
1. | "조커 히스테리 페이스" | 마크 E. 스미스, 스티브 핸리, 마크 라일리 | 4:51 |
2. | "마키스 차차" | 스미스, 칼 번즈 | 4:34 |
3. | "하드 라이프 인 컨트리" | 스미스, 아서 캐드먼 | 6:16 |
4. | "Room to Live" | 스미스, 크레이그 스캔론 | 4:16 |
No. | 제목 | 작성자 | 길이 |
---|---|---|---|
1. | "탐지 본능" | 스미스, S. 핸리, 번즈 | 5:45 |
2. | "스튜디오의 정책가" | 스미스, 번즈, 스캔론 | 5:24 |
3. | "파팔 방문" | 스미스 | 5:40 |
No. | 제목 | 작성자 | 길이 |
---|---|---|---|
8. | "조커 히스테릭한 얼굴" (1982년 4월 27일 더비 홀, 베리, 더비 홀에 산다) | 스미스, 라일리, S. 핸리 | 4:47 |
9. | "메들리:"크레이피/스튜디오의 사무소" (1982년 3월 25일 런던 해머스미스 팔레에 거주) | 스미스, 스캔론, 번즈 | 6:30 |
10. | "Hard Life in Country" (1982년 8월 19일 뉴질랜드 웰링턴 빅토리아 대학교 유니언 홀에서 생활) | 스미스, 캐드먼 | 8:32 |
11. | "탐지 본능" (1982년 12월 22일 맨체스터 리슨 프리 트레이딩 홀에 산다) | 스미스, S. 핸리, 번즈 | 7:12 |
12. | "Room to Live" (네덜란드 로테르담의 아레나에 살고, 1983년 2월 12일) | 스미스, 스캔론 | 4:32 |
13. | "기대하는 말들" (1983년 4월 21일 캐나다 토론토 래리의 은신처에 산다) | 스미스, 스캔론, S. 핸리 | 9:13 |
- 메모들
1983년 독일어 압박으로 1981년 싱글 "Lie Dream of a Casino Soul"과 B-side "Fantastic Life"가 B측 끝에 추가되었다.[1]이러한 포함은 1998년에 코그 시니스터를 통해 발매된 앨범의 첫 번째 영국 CD 판에서 반복되었다(특히 시끄러운 독일 비닐 카메라 비닐에서 분리됨). 그러나 2005년 리마스터(상위적인 카메라 비닐에서 삭제되었는데, 이후 슬레이츠 재발급에 두 곡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그 대신 다른 동시대 상여금 자료가 추가되었다.이 앨범은 2016년 Superior Viador 레이블에 원래 트랙 리스트와 함께 비닐로 재발매되었다.
인원
- 인간의 타락
- Mark E. Smith – 보컬, 바이올린, 기타, 테이프, "파팔 방문" 제작
- Steve Hanley – 베이스 기타
- Craig Scanlon – 기타
- Karl Burns – 드럼, 기타, 베이스 기타, 타악기, 지더
- 폴 핸리 – 드럼
- Marc Riley – 기타, 키보드
- 추가인원
- Arthur Kadmon("캐드맨"으로 잘못 표기) – "Hard Life in Country"의 기타
- Adrian Niman – "Room to Live"의 색소폰
- 기술
- 케이 오설리반(케이 캐럴) – 생산(바 트랙 4 및 7)
- John Brierley – "Room to Live
참조
- ^ a b c d e f g h Thompson, Dave(2003) Helter Skelter 출판사의 가을 사용자 가이드 ISBN1-900924-57-9, 페이지 63–64
- ^ "[Masterbug article]". Masterbug. 198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11. Retrieved 16 March 2013.
- ^ Easlea, Daryl (2005). Room to Live (CD sleeve notes).
- ^ "BBC – 6 Music Messageboard – Marc Riley – What's Going to Be in It?". bbc.co.uk. 28 April 2008. Retrieved 16 March 2013.
- ^ Hanley, Steve; Piekarski, Olivia (2014). The Big Midweek (First ed.). Route. p. 109. ISBN 978-1-901927-58-0.
- ^ Middles, Mick (2008). The Fall (second ed.). Omnibus Press. pp. 184–187. ISBN 978-1-84772-416-8.
- ^ 2016년 12월 3일 "인터뷰! 가을날 드러머 폴 핸리와 심층 인터뷰".2018년 3월 11일 검색됨
- ^ a b 함, 로버트 (2015) "룸 투 리브 (Room to Live)", stereogum.com, 2015년 2월 12일.2018년 3월 11일 검색됨
- ^ "Discography: singles/EPs - Marquis Cha-Cha". The Fall online. Retrieved 8 September 2021.
- ^ a b McFarlane, Dean. "Room to Live: Undilutable Slang Truth! – The Fall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 AllMusic". Allmusic. Retrieved 16 March 2013.
- ^ 라킨, 콜린 (2007) 대중음악 백과사전 5부작, 비시 바쉬 북스, ISBN 978-1846098567
- ^ a b 라이, 암릭(1983) "화이트 랩인가, 라이트 헛소리인가?:The Fall - Room to Live]," NME, 1982년 10월 2일
- ^ a b 맥컬러, 데이브(1982) "가을 '살 방'" 소리
- ^ 기마르크, 조지(2005) 펑크 다이어리, 백비트 북스, ISBN 0-87930-848-6, 페이지 659
- ^ 브래킷, 네이선 & 호더, 크리스찬 (Eds.) (2004) 뉴 롤링스톤 앨범 가이드, 사이먼 & 슈스터 주식회사, ISBN 978-0743201698, 페이지 294
- ^ Strong, Martin C. (2003) The Great Indie Discography, Canongate, ISBN 1-84195-335-0, 페이지 63–64
- ^ 아제라드, 마이클; 월크, 더글러스; 패틴, 제이 "폴", 트루어 프레스.2018년 3월 11일 검색됨
- ^ 라젤, 배리(1997) 인디 히트 1980-1989, 체리 레드 북스, ISBN 0-9517206-9-4, 페이지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