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터터블
The Unutterable언터터블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2000년 11월 6일 | |||
녹음된 | 2000년 중반 | |||
스튜디오 | ||||
장르. | 얼터너티브 록 | |||
길이 | 55:42 | |||
라벨 | 독수리 | |||
프로듀서 |
| |||
가을 연대기 | ||||
|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가디언 | ![]() ![]() ![]() ![]() ![]() |
모조 | 호감이[3] 가는 |
NME | ![]() ![]() ![]() ![]() ![]() ![]() ![]() ![]() ![]() ![]() |
타임 아웃 | 호감이[5] 가는 |
언컷 | ![]() ![]() ![]() ![]() ![]() |
Unutterable은 2000년에 발매된 영국 록 밴드 The Fall의 21번째 앨범이다.이 곡은 그룹의 이전 앨범인 1999년의 The Marshall Suite(영국에 기반을 둔 일본 밴드 Frank Chicks의 가수인 Hohki 가즈코(Kazuko Hohki)가 한 곡에 추가 보컬을 제공하긴 하지만)에 나온 것과 거의 동일한 라인업으로 녹음되었다.하지만, 이전 앨범이 만들어지면서 이 밴드의 버전이 여전히 함께 만들어지고 있는 동안, 현재 앨범이 만들어질 무렵, 그들은 하나의 유닛으로 1년이라는 시간을 가졌다.따라서 두 사람의 소리에는 어느 정도 유사성이 있지만, <언터러블>은 제작과 작사에 있어서 훨씬 일관성이 있었다.가디언의[7] 데이브 심슨에 의해 "경력의 절정"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NME의 피어스 마틴이 "...이것은 상당한 시간 동안 더 폴이 울린 것만큼 중요하고 관련성이 있다"고 제안하는 등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8]"
서정적으로, 이 앨범은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닥터 벅스 레터'에서 리드 싱어 마크 E. 스미스는 영국 DJ 피트 통을 비스듬히 언급한 '통 본질의 영역에 있었다'고 말하면서 피상적인 물질주의 현대성을 비하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이 곡에서 스미스는 통이 집을 떠날 수 없는 선글라스, 음악, 팜파일럿, 휴대전화,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카드 등 다섯 가지를 나열했다.앨범의 다른 곳에서는 스미스의 가사가 "케타민 선"에 대한 마약과 재즈에 영향을 받은 "펌프킨 수프와 으깬 감자"에 대한 그의 좋아하는 식사와 같은 문제들을 논의한다.
언터터블은 그룹 벤드 시니스터 포워드의 다른 모든 스튜디오 앨범과 달리 커버곡을 어떤 형식으로든 피처링하지 않은 점이 눈에 띈다. 하지만 '케타민 선'이 루 리드의 'Kill Your Sons'의 커버로 활동을 시작했다고는 하지만 두 트랙 사이에 음악적 유사성은 거의 없다.
이는 해당 비닐 버전 없이 CD로만 발매된 가을 '공식' 스튜디오 발매 최초이자 유일한 것이었다.더블LP 세트는 결국 2014년 같은 트랙리스트로 '비닐을 먹자'를 통해 발급됐다.
트랙리스트
모든 트랙은 마크 E. 스미스, 줄리아 나글, 톰 헤드, 애덤 헬랄, 네빌 와일딩에 의해 쓰여진다.
No. | 제목 | 작성자 | 길이 |
---|---|---|---|
1. | "사이버 인섹트" | 3:19 | |
2. | "두 명의 천칭자" | 3:57 | |
3. | "W.B" | 3:30 | |
4. | "순스 오브 템퍼런스" | 3:47 | |
5. | "닥터 벅스의 편지" | 5:19 | |
6. | "핫 룬" | 2:18 | |
7. | "웨이 라운드" | 스미스, 나글, 헤드, 헬랄 | 3:21 |
8. | "옥토 왕국/케타민 선" | 스미스, 나글, 그랜트 쿠넬리프, 헬랄, 헤드 | 5:36 |
9. | "세럼" | 4:56 | |
10. | "불변함" | 1:05 | |
11. | "펌프킨 수프와 으깬 감자" | 스미스, 나글, 쿤리프, 헬랄 | 2:54 |
12. | "핸즈 업 빌리" | 와일드링 | 2:47 |
13. | "미드워치 1953" | 5:32 | |
14. | "Devolute" | 4:36 | |
15. | "다스 케이트러" | 스미스, 나글, 사이먼 월스텐크로프트 | 2:42 |
총 길이: | 55:42 |
2008년 스페셜 디럭스 에디션
- 디스크 1 - 변경 불가
- 오리지널 시디와 같이
- 디스크 2 - Testa Rossa 모니터 혼합물
No. | 제목 | 길이 |
---|---|---|
1. | "세럼" | 4:53 |
2. | "두 명의 천칭자" | 3:39 |
3. | "핸즈 업 빌리" | 2:46 |
4. | "사이버 인섹트" | 3:25 |
5. | "벅 박사의 편지" | 5:16 |
6. | "미드워치 1953" | 5:47 |
7. | "순스 오브 템퍼런스" | 3:43 |
8. | "W.B" | 2:07 |
9. | 옥토 왕국 / 케타민 선 | 2:30 |
10. | "Devolute" | 3:31 |
11. | "핫 룬" | 1:53 |
12. | "인스트럼 원" | 2:05 |
13. | "인스트럼 투 아카 투" | 3:31 |
총 길이: | 45:15 |
- 메모들
- Testa Rossa 모니터 믹스는 대부분의 앨범 트랙의 초기, 대략적인 버전이며, 마지막 앨범에는 사용되지 않은 두 개의 악기들이 있다.재발급에 대해서는 「박사의 편지」에서 「박사의 편지」[9]로 아포스트로피의 입장이 바뀌었다.
인원
- 인간의 타락
- Mark E. Smith – 보컬, 사운드 효과
- Julia Nagle – 키보드, 기타, 백 보컬, 프로그래밍
- 네빌 와일딩 – 기타, 백 보컬, "핸즈 업 빌리"의 리드 보컬
- Adam Helal – 베이스 기타, 프로 도구, 백 보컬
- Tom Head – 드럼, 타악기, 백 보컬
- 추가인원
- 호키 가즈코 – "사이버 인섹트"의 보컬
- Steve Evets - "Midwatch 1953"의 보컬
- 벤 프리처드 - "Dr. Bucks' Letter" 및 "Midwatch 1953"의 기타
- 그랜트 쇼비즈 - 백 보컬; "펌프킨 수프 및 으깬 감자"에 대한 편곡
- Rob Ayling - 제작자, "Octo Reality"(미인증)의 목소리
- 기술
- 그랜트 쇼비즈 - 프로덕션
- Mark E. Smith – 프로덕션
- Adam Helal – 엔지니어링, 프로그래밍(음파 수술)
- Andy Drelincourt – 엔지니어링, 프로그래밍(Testa Rossa)
- Mike Body – 엔지니어링, 프로그래밍(Street Level 2)
- Pascal Le Gras - 커버 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