룬달력

Runic calendar
더 어린 털북숭이 달력.
에스토니아 섬 사레마아 섬에서 매달 별도의 목판에 달력.

Runic 달력(Rune 스태프 또는 Runic Almanac)은 영구 달력으로, 19세기까지 북유럽에서 사용되어 왔다. 전형적인 런닉 캘린더는 여러 개의 수평선 기호들로 구성되었고, 하나는 다른 것 위에 있었다. 해일, 분점, 기념일(기독교명절과 잔치 포함)과 같은 특별한 날에는 기호들이 추가적으로 표시되었다.

황달력은 양피지에 쓰이거나 나무, 뼈, 뿔로 만든 에 새겨졌다. 알려진 가장 오래된 것으로, 중세시대의 유일한 것으로, 13세기 것으로 추정되는 스웨덴 나이외핑의 직원이다. 생존하는 수 천명의 대부분은 16세기와 17세기에 만들어진 나무 달력이다. 18세기 동안, Runic 달력은 르네상스를 겪었고, 1800년경부터 만들어진 달력은 놋쇠 담배상자의 형태로 만들어졌다.

달력은 해와 달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19년의 메토닉 사이클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달력은 열대년길이나 윤년 발생에 대한 지식을 증명하지 못한다. 두 미닫이 반쪽은 동짓날 이후 첫 번째 신월 이후 첫 보름달을 관찰하여 매년 초순에 맞춰 정렬하고 설정한다. 첫 보름달은 또한 디스팅의 날짜, 이교도의 잔치, 그리고 모든 스웨덴 사람들의 Thing으로 알려진 공정한 날을 표시했다.

흔적들

한 줄에는 7일 중 52주가 젋은 후타크의 첫 7회 러닝의 52주 반복을 이용해 배치됐다. 평일에 해당하는 룬은 해마다 다양했다.

또 다른 선에서는, 메토닉 사이클의 해 동안, 많은 날들이 19개의 황금 숫자를 나타내는 19개의 기호 중 하나로 표시되었다. 초기 달력에서, 사이클의 19년 각각은 룬으로 표현되었다. 첫 16년은 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3년간은 룬으로 표현되었다. 그 주기의 그 해 동안 새 달이 그날에 떨어질 것이다. 예를 들어, 18주기에, 새로운 달은 18년도의 상징인 티비마두르가 표시된 모든 날짜에 떨어진다. 이후 달력은 1-19 값에 펜타디치 숫자를 사용했다.

아랍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골든 넘버

이 시스템은 영구적인 달력 주기의 19년 동안 19개의 황금 숫자를 나타내기 위해 19개의 이 필요했기 때문에, 어린 후타크는 16개의 문자만 가지고 있어 불충분했다. 고안된 해결책은 나머지 숫자를 나타내기 위해 3개의 특별 런(arlaug; Golden Number 17), (tvimadur 또는 tvimamaur; Golden Number 18), (beltor; Golden Number 19)을 추가하는 것이었다. 1636년 올레 웜은 그의 Runir seu Danica Litatura antigitisima(Runes: 가장 오래된 덴마크 문학)에 이 세 글자를 포함한 젊은 풋하크 숫자 체계를 기록하였다.[1]

1498년 브레비아리움 스카렌세의 일부로 평일에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황금 숫자에 대해서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는 버전이 인쇄되었다.[2]

프리마스타프

17세기 노르웨이의 국장 한링달에서 온 프리마브.

영장류는 고대 노르웨이의 달력봉이다. 이것들은 룬 대신 이미지로 새겨져 있었다. 그 이미지들은 움직이는 것이 아닌 다른 종교적인 휴일들을 묘사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영장류는 1457년부터이며 노르스크 민속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현대 용법

에스토니아 민족 종교(마우스크)의 신자들은 1978년부터 매년 루니크 달력(에스토니아어: 시빌라우아드)을 발간하고 있다. 소비에트 점령기에는 불법 사미즈다트 출판물이었다.[3]

참고 항목

참조

  1. ^ Worm, Ole (1636). "XVIII: Literarum Danicarum potestas ac valor in numeris" [The Numerical Power and Value of Danish Letters]. Runir seu Danica literatura antiquissima [Runes: The Oldest Danish Literature] (in Latin). Copenhagen (Hafniæ), Denmark: Typis Melchioris Martzan. pp. 102–103. Retrieved 24 November 2020.
  2. ^ Brinolf Gerlaksson, bishop of Skara (commissioned by) (1498). Breviarium Scarense. Nuremberg: Georg Stuchs. pp. 2–13. Retrieved 2010-06-20.
  3. ^ "Sirvilauad loevad aega".

추가 읽기

  • Becker, Alfred (2006). "A magic spell "powered by" a lunisolar calendar". Asterisk, A Quarterly Journal of Historical English Studies. 15.[전체 인용 필요]
  • Becker, Alfred (1973). Franks Casket. Zu den Bildern und Inschriften des Runenkästchens von Auzon. Regensburg.[전체 인용 필요]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