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과테말라인

Russian Guatemalan
러시아 과테말라인
루소-오세테코
모집단이 유의한 지역
과테말라시티, 자카파, 앤티가과테말라
언어들
스페인어, 러시아어
종교
러시아 정교회, 기타 기독교, 이슬람교[citation needed], 유대교
관련 민족
러시아인, 과테말라 인구

러시아 과테말라인과테말라 국민으로서 러시아인의 조상이 전부 또는 일부인 민족이다.

역사

최초의 러시아 이민자들은 1890년대 후반 과테말라에 도착했다. 몇몇 러시아인들은 이미 멕시코에 정착했다. 그러나 일부 이민자들은 포르피리오 디아즈가 멕시코의 대통령이었기 때문에 과테말라니카라과로 가는 것을 선호했다. 또한, 몇몇 이민자들은 1898년 과테말라 대통령이 된 마누엘 에스트라다 카브레라와 좋은 관계를 가진 사회주의 정치인들이었다. 그러나 이 때의 러시아 이민은 보잘것없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러시아, 그리스, 폴란드 출신 난민들이 많이 왔다.[1]

과테말라 주재 러시아 정교회 선교단

19세기 후반, 레반트에서 온 몇몇 정교회 기독교 이민자들이 과테말라로 왔다. 20세기 초, 독일 이민자들의 물결과 작지만 현존하는 러시아인과 그리스인의 물결이 과테말라에 도착했다. 이들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과테말라에 가족과 함께 정착해 정교회 신앙과 전통을 보존했다.[2]

공산주의의 영향

Partido Guatemalteco del Trabajo (logo).svg

자코보 아르벤츠 정부 시절 과테말라공산주의 세력이 있었다. 이는 과테말라에 공산주의 핵심을 만들기 위해 온 소련 요원들의 도착을 통해 일부 진행되었는데, 이는 다른 중남미 국가에서도 발생한 현상이다. 에르네스토 게바라와 같은 공산주의 혁명가들의 등장은 이 시기에 과테말라의 공산주의자들의 영향력도 증가시켰다. 러시아와 관계를 맺고 있는 일부 과테말라 정치인들에게 공산주의는 매력적이었다. 그러나 공산주의의 가장 큰 영향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있었다. 공산주의가 사유재산을 없애고 연합 과일회사로부터[relevant?] 토지를 빼앗기 위한 의도였기 때문이다.[3]

CIA는 두 번이나 자코보 아르벤츠를 권력에서 타도하려 했다. 첫 번째 시도는 실패였지만, 두 번째 시도는 카를로스 카스티요 아르마스를 성공적으로 지휘하게 했다. 아르마스는 과테말라 토지 소유지와 연합 과일 회사에 땅을 반환했다. 아르벤츠 타도를 통해 러시아와 과테말라의 관계는 냉전 중에 부활할 것으로 보이나 거의 해체되었다. 1990년대에 많은[quantify] 퇴역 군인들이 과테말라로 가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위해 러시아를 떠났다.[4]

과테말라의 예술과 문화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

과테말라의 국립발레단은 1948년 거장 키릴 피키에리스(Kiril Pikieris)를 필두로 벨기에인 마르셀레 봉게 데보(Marcelle Bonge de Devaux)와 남편 장 데보(Jean Devaux)가 주축이 되어 생겨났는데, 이들은 모두 제2차 세계대전의 피난민이었다. 1949년부터 1954년 사이에 과테말라 발레단은 러시아 거장 카추로프스키 레오니데가 그의 아내 마리 체르노바와 함께 지휘했고, 그는 또한 국립 무용학교를 담당했다. 미국자코보 아르벤츠 정부를 전복시키자, 과테말라 발레단은 러시아 감독들을 공산주의자로 비난했기 때문에 폐지되었다.[5]

1955년 3월 19일 카를로스 카스티요 아르마스 대통령은 클레어 데니스 캐리와 주프 반 앨런이 연출한 과테말라에서 발레를 재개할 목적으로 무용대학에 자문한 미술문화확장부 자문위원회를 만들었다.[6]

냉전이 끝나자 독일인과 러시아인 그룹이 호두까기 인형 공연의 러시아 전통을 소개했다. 이 작품은 매년 12월 센트로 문화 미겔 앙겔 아스투리아스에서 선보인다.[7]

참고 항목

참조

  1. ^ "과테말라, un futuro proximo." 판 : IEPALA. 마드리드, 에스파냐 ISBN978-848543610-1. 연도: 1980. P: 61, 66.
  2. ^ 2015-09-10년 웨이백 기계보관과테말라 정교회와 수도원의 역사
  3. ^ 제9차 중남미 공산침략의회 중남미소위 전 중간보고, 제83차 의회 제2차 회의. 워싱턴 DC: 정부 인쇄소, 1954. 114-117, 122.
  4. ^ 냉전 - 1954년 과테말라 냉전 박물관.
  5. ^ 우니베르시다드 데 산 카를로스 과테말라 데레브치온 데 인스탐사시온, 프로파마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컬투라, 펜사미엔토 에 아이덴티다드 드 라 소시에다드: 30뇨스 역사 단자 티아트랄; 과테말라에 문화원(1948-1978) 머틴스 루나 이 아나 리제트 2009 [1]
  6. ^ 콘티우시온 폴리티카 데 라 레푸블리카과테말라 1945년
  7. ^ El Cascanucees llega al Teatro Nacional Fransa Lib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