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투메안 국적법
São Toméan nationality law상투메안 국적법 | |
---|---|
상투메프린시페 국회 | |
| |
제정자 | 상투메프린시페 정부 |
상태: 현행 법령 |
상투메안 국적법은 개정된 상투메 프린시페 헌법, 국적법 및 그 개정, 그리고 국가가 [1]서명국인 다양한 국제 협정에 의해 규제된다.이들 법률은 누가 상투메 프린시페의 [2]국민인지 또는 자격이 있는지를 결정합니다.국적을 취득하는 법적 수단, 즉 국가의 정식 법적 회원권은 시민권으로 알려진 국가와 국가 간의 권리와 의무의 국내 관계와 다르다.국적은 국제법상 개인과 국가의 관계를 기술하는 반면, 시민권은 [3][4]국가 내 개인의 국내 관계이다.상투메안 국적은 일반적으로 주스 솔리(jus soli)의 원칙에 따라 취득되거나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출생하거나 상투메안 [5]국적을 가진 부모에게 해외에서 취득된다.국적을 가진 자 또는 [6]귀화를 통해 일정 기간 국내에 거주한 영주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
상투메안 국적 취득
국적은 출생시 또는 나중에 [2]귀화를 통해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취득할 수 있다.
출생별
일반적으로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출생 시 국적은 jus soli에 [7]의해 결정된다.대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모가 거주자이고 외교적 [8][Notes 1]면책특권이 없는 한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태어난 사람
- 부모의[10] 국적이나 신원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없는 설립자 또는 고아
-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태어나 국적이 없는 사람들.[10]
귀화에 의해
귀화는 포르투갈어나 다른 지역의 사투리를 이해하고 상투메와 프린시페에 충분한 기간 거주한 사람이 그 [6]나라의 관습과 전통을 이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허가할 수 있다.일반 조항은 신청자가 법적 능력이 있고, 국가에 대한 범죄나 중형을 선고하는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으며,[11] 경제적 수단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신청자는 다른 국적을 포기해야 하며 최소 5년 이상 거주해야 한다.기준을 [6]충족하는 외국인 외에 귀화를 신청할 수 있는 자는 다음과 같다.
- 상투메안이 취득한 부모에게서 외국에서 태어난 사람은 출생신고가 [7][12]영사당국에 등록된 경우 성년이 되면 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
- 상투메안 [13]국적의 배우자
- 요청에 [6]따라 귀화한 상투메안의 자녀
- 상투메안 국적의 입양아는 합법적 입양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국적을 취득한다[14].
- 국가에 봉사한 사람들은 [15]요건을 충족하지 않고도 귀화할 수 있다.
국적 상실
상투메인은 [16][17]무국적자가 되지 않는 한 국적을 포기할 수 있다.국적법은 마치 다른 나라의 국민인 것처럼 투표와 같은 행동을 하거나 다른 나라의 [18][19]군을 포함한 정부를 위해 봉사하는 원주민 시민들에 대해 국격화를 요구한다.귀화자도 같은 이유로 국적을 박탈당할 수 있으며 국가나 국가 안보에 반하는 범죄나 국가에 [18]대한 불성실 등의 이유로 국적을 박탈당할 수 있다.이전에 상투메안 국적을 상실한 사람은 최소 2년 [20]이상 국내에 거주하는 한 본국으로 송환할 수 있다.
이중 국적
상투메와 프린시페는 [21][22]2003년부터 대부분의 경우 출생 시부터 이중 국적을 허용해 왔다.이중국적에 대한 주요 제한은 대통령과 총리가 상투메안 [21]국적을 보유해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
포르투갈 식민지(1470년-1975년)
포르투갈인들이 [23][24]상투메와 프린시페 섬을 처음 접했을 때 사람이 살았는지에 대한 역사적 설명은 다르다.포르투갈 탐험가 주앙 데 산타렘과 페로 에스코바르가 발견한 날짜는 상투메의 경우 1470년 12월 21일, 산토 안탕의 경우 1471년 1월 17일 이후 프린시페로 이름이 바뀌었다.그들은 각각 세인트 토마스와 세인트 앤서니의 [23]축제일을 기념하기 위해 이름이 붙여졌다.포르투갈인들이 도착한 직후인 1472년부터 칼라바르와 베냉, 콩고, 로앙고 왕국에서 온 아프리카인들이 [24]섬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1485년 드 파이바가 사탕수수를 재배하기 위해 섬에 정착하기 전까지 포르투갈인들의 식민지화는 시도되지 않았다 그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고 1493년 알바로 카미냐가 상투메에 [23]정착지를 설립할 때까지 식민지화는 다시 시도되지 않았다.카미냐는 섬의 민사 및 사법 권한과 관리 임명 권한을 부여받았다.1500년 안토니오 카르네이로는 프린시페의 선장으로 임명되었고, 이 지역은 1753년까지 그의 가족에 의해 유지되었고, 그 후 영토가 [25]왕좌로 돌아갔습니다.1502년,[23] 산토 안탕은 포르투갈의 왕자 아폰소를 기리기 위해 일하 도 프린시페로 개명되었다.상투메는 1522년에 [25]왕위에 복귀했다.
정착 초기 혼인은 섬의 안전을 위해 장려되었지만, 16세기에 이르러서는 혼인을 금지하려고 [25]하였다.상투메와 프린시페의 사회는 백인 유럽인을 중심으로 고도로 계층화되었고, 크레올로, 포로스(노예, 후에 식민지 개척자들과 함께 도착한 자유민), 자유 흑인, [26][27]노예들에 대한 내림권이 이어졌다.1499년부터 상투메에서 마누미온이 시작되었고 1515년 왕실 칙령에 의해 아프리카 부인과 백인 정착민들의 혼혈 자녀들에게 집단적 자유가 주어졌다.1517년, 포로스 가문은 집단으로 마누마이트되었다.1520년, 섬의 왕실 헌장은 포로스 가문이 재산을 소유하고 [27]결혼했다면 정치적 권리를 부여했다.마누엘 1세 조례(포르투갈어:포르투갈이 1521년에 편찬한 Ordenassés Manuelinas(오데나스 마누엘리나스)는 고등법원이 [28]설립되지 않은 지역의 관습과 관습에 대한 해석의 자유를 부여받았다.국적은 포르투갈 영토에서 태어난 사람들로 정의되었고, 군주의 허락 없이 그 영토를 떠나는 것은 국적을 [29]박탈하는 근거가 되었다.상투메에서는 1540년에 제정된 칙령에 의해 백인에게 평등한 지위를 부여하고 [27]흑인을 해방시켰다.1603년 필립 1세의 조례[ (포르투갈어:Ordenasses Philippinas)는 포르투갈 국민이 이베리아 반도 또는 브라질 인근 섬에서 태어난 아이이거나, 아프리카 또는 아시아의 포르투갈 영토에서 왕관을 섬기는 관리이며, 그의 아버지는 포르투갈 출신이고, 그의 어머니는 포르투갈 출신이며, 그의 아버지는 에스타를 가진 외국인이라는 것을 확립했다.포르투갈에 최소 10년간 거주한 적이 있다.식민지(브라질 제외)에서 왕관을 섬기지 않은 사람들은 포르투갈인으로 [30]간주되지 않았다.아이는 [31]사생아가 아니면 어머니로부터 직접 국적을 물려받을 수 없었다.
1822년에 초안된 포르투갈의 첫 번째 헌법은 포르투갈 왕실의 신하를 왕국의 [32]영토 중 어느 한 곳에서나 토박이인 남성의 자녀로 규정했다.1603년에 제시된 국적 제도는 포르투갈인 아버지의 합법적인 자녀나 외국에서 태어난 포르투갈인 어머니의 사생아는 포르투갈에 거주하면 국적이 될 수 있고 포르투갈인 어머니와 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는 포르투갈인 나티만을 얻을 수 있다는 몇 가지 설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변경되지 않았다.성년에 도달하고 요청하면 단일성이 높아집니다.포르투갈 땅에서 발견된 소굴은 자유인과 마찬가지로 국적으로 간주된다는 두 가지 새로운 조항이 있었다.귀화는 포르투갈 여성과 결혼한 외국인 남성에게만 가능했고, 그들이 그 나라에 투자하거나 왕실에 봉사할 경우에만 가능했다.탈국적화는 외국 정부에 봉사하거나 외국 정부로부터 혜택을 받거나 다른 국적을 취득하는 데서 비롯되었다.포르투갈 땅에서 태어난 누구에게나 국적을 부여하는 새로운 헌법이 1826년에 채택되었다.아버지가 포르투갈에 살았거나 군주를 위해 해외에 있는 한, 혈통으로 태어난 것은 국적을 확립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조항은 사생아만이 어머니로부터 국적을 취득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으며, 국적법은 [33]귀화 규정을 규정하였다.
새로운 국적 코드는 1836년 10월 22일 법령으로 공포되었다.이 법령은 귀화의 근거가 다수에 달하고, 충분한 자급자족 수단을 보여주며, 포르투갈 [33]혈통을 가진 사람이라면 포기될 수 있는 최소 2년의 거주권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1867년 민법은 포르투갈인 남편과 결혼하면 자동으로 포르투갈 [34]국적을 취득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전에 시행되었던 것과 유사한 국적 요건을 반복했다.그것은 또한 외국인과 결혼한 포르투갈 여성들은 국적을 상실하고, 그들이 무국적자가 되지 않는 한,[35] 포르투갈에서 결혼이 종료되고 그녀가 살지 않는 한 포르투갈 신분을 다시 취득할 수 없다고 규정했다.1836년 귀화령 조항은 유지하되 거주기간을 3년으로 늘렸고 지원자는 출신국에 대한 병역을 마쳤어야 하며 [36]전과가 없다고 규정했다.1899년의 원주민 법전(포르투갈어: cödigo indigenato)은 원주민에게 비시민적 국가 지위를 확립했으며, 카보베르데, 상투메,[37] 프린시페를 제외한 모든 포르투갈 식민지에 적용되었다.국적 요건은 안정적이었고 1959년 새로운 국적법(Lei n. tom 2098)[35]이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에게 포르투갈 국적을 허가할 때까지 다시 크게 바뀌지 않았다.기혼여성은 포르투갈인이 되고 싶지 않다고 구체적으로 선언하면 출신국적을 유지할 수 있고 출신국이 [38]결혼 후에도 국적유지를 허용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계속 남편으로부터 국적을 취득했다.
1974년 포르투갈의 에스타도 노보 독재 정권이 붕괴되고 식민지 독립을 위한 오랜 투쟁 끝에 포르투갈은 탈식민지화 [39]과정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1974년 4월 25일 포루투갈 의회는 아프리카 국가 앙골라, 카보베르데, 기니비사우, 모잠비크, 상토메에프린시페를 [40]창설했다.1974년 11월, 포르투갈은 독립을 위한 조건에 동의했고 과도 정부가 [41]조직되었다.포르투갈은 새로운 국가의 국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75년 [42]6월 24일 법령 308/75를 공포했다.이 법안에 따르면, 상투메인과 식민지에서 태어난 다른 사람들이 포르투갈 [42]국적을 유지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국가의 국적이 될 것이라고 가정했다.독립 시 포르투갈 국적을 잃지 않는 사람은 포르투갈에서 태어났지만 외국에서 거주한 사람과 외국에서 태어났지만 포르투갈에서 [42]거주함으로써 포르투갈 문화와 장기적인 관계를 맺은 사람만 포함된다고 선언하였다.다른 포르투갈 국민들에게는 그들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선택권이 주어지지 않았고, 자동적인 국적 상실은 많은 전 식민지 국민들을 [40]무국적자로 만들었다.
독립 후(1975년~현재)
상투메 프린시페는 1975년 7월 12일 독립하였고,[43][44] 12월 1일 국적에 관한 첫 법률(레이 다 나시오날리다데)을 채택하였다.포르투갈어 모델에 따라 과도 국적이 부여되었다. 즉, 독립 당시 상투메인은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태어난 부모에게서, 영토에서 태어난 자녀는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여전히 거주하며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태어난 외국인의 다수를 차지하며,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태어난 외국인의 국적자로 선택되었다.토메와 프린시페 그리고 상토메아인들의 [45]아내들에게요이중 국적은 상투메와 프린시페에서 [22]다른 국적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경고와 함께 허용되었다.1990년, 국적법(레이 6/90)이 개정되어 부인과 어머니가 남성과 같은 국적을 물려받을 수 있고 입양아에게 부모의 [46]국적을 부여하게 되었다.새로운 법은 또한 귀화한 사람들은 다른 국적을 포기해야 하고, 해외에서 국적을 취득한 상투메인들은 이민 때문에 국적을 취득하지 않는 한 자동적으로 국적을 박탈해야 한다고 규정했다.2003년에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었는데, 이 헌법은 상투메인 출신을 국유화할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헌법이 채택되면서 이중국적을 [22]금지하는 헌법과 국적법 사이에 법적 충돌이 빚어졌다.
메모들
레퍼런스
인용문
- ^ 맨비 2016, 페이지 37, 135
- ^ a b 맨비 2016, 페이지 6-7
- ^ Fransman 2011, 페이지 4
- ^ 로사스 1994, 페이지 34
- ^ 맨비 2016, 페이지 51, 55
- ^ a b c d 맨비 2016, 93페이지
- ^ a b 맨비 2016, 페이지 55
- ^ a b 맨비 2019, 페이지 20-21
- ^ 맨비 2016, 페이지 47
- ^ a b 맨비 2016, 페이지 51
- ^ 맨비 2019, 페이지 26
- ^ 맨비 2019, 페이지 22
- ^ 맨비 2016, 67페이지
- ^ 맨비 2016, 57페이지
- ^ 맨비 2019, 93페이지
- ^ 맨비 2016, 페이지 115
- ^ 맨비 2019, 페이지 30
- ^ a b 맨비 2016, 110페이지
- ^ 맨비 2019, 페이지 29
- ^ 맨비 2016, 페이지 114
- ^ a b 맨비 2016, 페이지 79
- ^ a b c 맨비 2019, 페이지 28
- ^ a b c d 프란시스코 & 아고스티뉴 2011, 페이지 24
- ^ a b Eyzaguirre 1989, 671페이지
- ^ a b c 시버트 2013, 페이지 58
- ^ Eyzaguirre 1989, 672페이지
- ^ a b c 시버트 2013, 59페이지
- ^ Passinhas 2019, 페이지 43
- ^ 코츠 2001, 페이지 23
- ^ Jeronimo 2017, 페이지 4
- ^ 길 & 피사라 2020, 페이지 2
- ^ Jeronimo 2017, 페이지 4-5.
- ^ a b 길 & 피사라 2020, 페이지 3
- ^ 길 & 피사라 2020, 페이지 4
- ^ a b 길 & 피사라 2020, 5페이지
- ^ Gil & Pizara 2020, 페이지 4-5.
- ^ 맨비 2016, 페이지 41
- ^ 길 & 피사라 2020, 페이지 6
- ^ 맨비 2019, 페이지 16
- ^ a b Jeronimo 2019, 페이지 5
- ^ 프란시스코 & 아고스티뉴 2011, 페이지 26
- ^ a b c 길 & 피사라 2020, 8페이지
- ^ 샤발 2002, 페이지 295
- ^ 맨비 2019, 페이지 18
- ^ 맨비 2019, 페이지 18, 20
- ^ 맨비 2019, 페이지 24
참고 문헌
- Chabal, Patrick (2002). A History of Postcolonial Lusophone Africa. London: C. Hurst & Co. ISBN 1-85065-594-4.
- Coates, Timothy J. (2001). Convicts and Orphans: Forced and State-sponsored Colonizers in the Portuguese Empire, 1550–1755.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3359-5.
- Eyzaguirre, Pablo B. (December 1989). "The Independence of São Tomé e Príncipe and Agrarian Reform". Journal of Modern African Studies. Cambridge, Cambridgesh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4): 671–678. ISSN 0022-278X. OCLC 8271315673. Retrieved 13 December 2021.
- Francisco, Albertino; Agostinho, Nujoma (2011). Exorcising Devils from the Throne: São Tomé and Príncipe in the Chaos of Democratization (Second ed.). New York, New York: Algora Publishing. ISBN 978-0-87586-846-2.
- Fransman, Laurie (2011). Fransman's British Nationality Law (3rd ed.). Haywards Heath, West Sussex: Bloomsbury Professional. ISBN 978-1-84592-095-1.
- Gil, Ana Rita; Piçarra, Nuno (February 2020). "Report on Citizenship Law: Portugal" (PDF). cadmus.eui.eu. Badia Fiesolana: European University Institut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6 June 2021. Retrieved 4 July 2021.
- Jerónimo, Patrícia (April 2019). "Report on Citizenship Law: Angola" (PDF). cadmus.eui.eu. Badia Fiesolana: European University Institut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21. Retrieved 2 July 2021.
- Jerónimo, Patrícia (March 2017). "Report on Citizenship Law: East Timor (Timor-Leste)" (PDF). cadmus.eui.eu. Badia Fiesolana: European University Institut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4 April 2018. Retrieved 26 April 2021.
- Manby, Bronwen (2016). Citizenship Law in Africa (PDF) (3rd ed.). Cape Town, South Africa: African Minds. ISBN 978-1-928331-08-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6 June 2021.
- Manby, Bronwen (2019). "The Nationality Laws of the Lusophone States in Africa" (PDF). Electronic British Library Journal. London: British Library. 2 (3): 14–34. ISSN 2616-9649.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6 February 2021. Retrieved 23 July 2021.
- Passinhas, Sandra (2019). Property and Trust Law in Portugal (2nd ed.). Alphen aan den Rijn, Netherlands: Wolters Kluwer. ISBN 978-94-035-1791-9.
- Rosas, Allan (1994). "Nationality and Citizenship in a Changing European and World Order". In Suksi, Markku (ed.). Law Under Exogenous Influences. Turku, Finland: Turku Law School. pp. 30–60. ISBN 978-951-29-0284-2.
- Seibert, Gerhard (2013). "2. São Tomé and Príncipe: The First Plantation Economy in the Tropics". In Law, Robin; Schwarz, Suzanne; Strickrodt, Silke (eds.). Commercial Agriculture, the Slave Trade & Slavery in Atlantic Africa. Woodbridge, Suffolk, UK: Boydell & Brewer. ISBN 978-1-78204-178-8. – Cambridge Core 경유 (서브스크립션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