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다냐

Sādhanā
불교 사대부 (일본)
슈겐도사다나(일본)

사다나(산스크리트어: साधना, 티베트어: སྒྲུབ་ཐབས་, THL: druptap; 중국어: 修行; pinyin: xiuxhing)은 자아를 초월하는 영적 수행입니다. 다양한 정신적 또는 의식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따르는 힌두교,[2] 불교[3]자인[4] 전통의 다양한 학문을 포함합니다.

사다나는 사두의 목표가 될 수 있는 세속적인 것들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행해집니다. 카르마요가, 박티요가, 즈나나요가 또한 사드하나로 묘사될 수 있습니다; 일상의 모든 흐름에서 최고의 완벽함을 달성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은 사드하나로 묘사될 수 있습니다.[5]

사르다냐는 탄트릭 전례서나 전례서, 즉 어떤 수행을 수행하라는 지시서를 지칭할 수도 있습니다.

정의들

역사학자 N. Bhattacharyya는 Sādhana의 이점에 대한 작업적 정의를 다음과 같이 제공합니다.

[R]세계의 과잉을 방지하고, 마음과 성향(bh라바)을 격정과 비 attach에 대한 지식을 발전시키는 형태로 형성하는 적격의 다나. Sādhana는 속박이 해방이 되는 수단입니다.[6]

B.K.S. 이옌가르(1993: p. 22)는 파탄잘리요가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해설하면서, 아브야사크리야와 관련하여 사르다냐(sādhanā)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석가모니는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수행되는 학문입니다. 아브야사는 관찰과 반성으로 수행하는 반복적인 연습입니다. 크리야, 즉 행동은 또한 공부와 조사로 완벽한 실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르다냐, 아비야사, 크리야는 모두 하나의 동일한 것을 의미합니다. 수행자는 정신적 목표를 위해 정신과 지성을 능숙하게 적용하는 사람입니다.[7]

경로

사다나(sādhana)라는 용어는 "원하는 지식이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적 훈련"을 의미합니다. 사다나는 또한 그 자체가 목표가 될 수 있는 세속적인 것들로부터의 분리를 위해 행해집니다.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은 산스크리트어로 사두(여성 사드비), 사다카(여성 사드하카) 또는 요기(티베트 파워; 여성 요기니 또는 다키니, 티베트 칸드로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르다나의 목표는 깨달음, 신에 대한 순수한 사랑(프리마), 탄생과 죽음의 순환으로부터 해방(사하라), 혹은 박티 전통에서와 같은 신의 축복과 같은 특정한 목표인 어느 정도의 [8]영적인 깨달음을 얻는 것입니다.

사르다냐는 명상, 때때로 기도 구슬의 도움으로 만트라를 외치며, 신에게 푸자를, 야즈냐를 외치며, 매우 드물게는 화장장에서 자신의 특정 사르다냐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육체의 분신 또는 탄트적인 행위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일부 전통에서는 특정한 사르다나의 길을 가기 위해 필요한 지시를 하는 구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일부 탄트리즘 전통에 의해 대표되는데, 구루에 의한 시작은 때때로 사르다나의 특정 단계로 확인됩니다.[9] 반면에, 개인회생들은 조직된 그룹에 참여하지 않고 자신의 영적 실천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10]

요가 속의 Sādhana

요가경에는 불자가 자아실현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사상과 지혜를 가진 196개의 경전이 있습니다. B.K.S. Iyengar(1993: 3쪽)는 다음과 같이 지적합니다.

크리야요가는 우리에게 영적인 높이를 측정하는 데 필요한 실용적인 학문을 제공합니다. 요가 수트라스의 네 파다는 각기 다른 실천 학문을 설명합니다. 각 사다카의 지성과 의식의 향상에 따라 그 자질이나 측면이 다릅니다.

요가경 II.1에서 파타냐리와 그의 해설자들은 크리야요가(행동 지향적인 요가 유형)는 마음이 아직 고정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고 썼습니다. 요가의 목표는 마음의 변화하는 상태의 고정 또는 정지(Yoga Sutras I.2)이며, 이를 위해서는 크리아요가가 석가를 위한 첫 단계로서 필요합니다.[11] 크리야요가의 세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11]

  1. 훈육 - 타파스는 자신의 감각적인 관여나 자신의 감각을 통제하고 그들이 소비하는 것이 만족스러운 마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사티빅화"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2. 연구 - 스바다야요가경전의 주 해설자인 뱌사가 만트라(일반적으로 자파라고 하는 행위)의 염불과 경전의 연구(나)를 언급하기 위해 취한 것입니다.
  3. 신에 대한 헌신 - ī ś바라-프라 ṇ이드하나, 자신의 모든 행동을 신에게 바치는 것을 의미하며(ī ś), 해설자들은 기타의 두 번째 장에서 설명된 박티 중심의 업보-요가를 함축적으로 언급합니다.

요가경에 대한 영향력 있는 해설가인 바차스파티 미쉬라(Vachaspati Mishra)는 마음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크리야요가의 이러한 세 가지 측면이 필요하며, 이는 랏자시적이거나 타마시적인 것보다 ā트비시적인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이러한 마음의 순수성은 마음의 고요함을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인 실천(abhyāsa)과 격정(abyāgya)을 함양할 수 있게 해줍니다.[11]

탄트리크 사르다냐

탄트릭 의식은 "사다냐"라고 불립니다. 잘 알려진 사다나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śāva sādhana (시신에 앉아 있는 모습을 시각화하면서 행해지는 sādhana).
  2. ś마 ś라나 사르다나(sādhana) (화장장이나 화장장에 있는 것을 시각화하면서 행해지는 사르다나).
  3. 파냐무 ṇḍ 사다나(sādhana) (5개의 두개골이 있는 자리에 앉아 있는 것을 시각화하면서 행해지는 사다나).

불교

바즈라야나 불교나란다 전통에는 15개의 주요 탄트리사다나(tantric sādhana)가 있습니다.

  1. Śūraṅgama/Sitātapatrā
  2. ī라카 ṇṭ하
  3. 타라
  4. 마하칼라
  5. 하야그르 ī바
  6. 아미타바
  7. Bhaiṣajyaguru/Akṣobhya
  8. Guhyasamāja
  9. Vajrayoginī/Vajravārāhī
  10. Heruka/Cakrasaṃvara
  11. 야만타카
  12. 칼라카크라
  13. 헤바즈라
  14. 쇤드
  15. 바즈라파 ṇ디
  16. 관음ś

이 목록에는 없지만 바즈라야나의 중심부 사르다냐는 바즈라사트바의 것입니다.

이 모든 것들은 티베트어 형태로 제공되며, 많은 것들은 중국어로 제공되며, 일부는 고대 산스크리트어 필사본에 여전히 존재합니다.[12]

크브 æ른(1975: p. 164)은 사하자에 대한 그의 확장된 논의에서 사하나와 만다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다루고 있습니다.

[E]외부 의식과 내부의 사다나는 구별할 수 없는 전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통일성은 가장 임신한 표현을 만다라의 형태로 발견합니다. 만다라는 지면에 그려진 동심원과 원으로 구성된 신성한 울타리이며, 불교를 열망하는 사람이 자신을 확립하고자 하는 존재의 신성한 평면을 나타냅니다. 탄트라 의식의 전개는 만다라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물질 만다라가 사용되지 않는 곳에서 숙련자는 명상 과정에서 정신적으로 하나를 구성하기 위해 진행합니다.[13]

참고 항목

메모들

  1. ^ 홍수야, 개빈. 힌두교 입문서.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캠브리지, 1996. 페이지 92, 156, 160, 167. ISBN0-521-43878-0.
  2. ^ NK Brahma, 힌두 사대부 철학, ISBN 978-8120333062, 6-x페이지
  3. ^ http://www.rigpawiki.org/index.php?title=S ādhanā[데드링크]
  4. ^ C.C. Shah, 인도의 문화 및 종교 유산: 자이나교, 미탈, ISBN 81-7099-9553, 301페이지
  5. ^ VS. S. 압테. 실용 산스크리트어 사전. 979쪽.
  6. ^ 바타차리야, N.N. 탄트리 종교의 역사. 제2차 개정판. (마노하르: 뉴델리, 1999) 174쪽. ISBN 81-7304-025-7
  7. ^ Iyengar, B.K.S. (1993, 2002). 파타냐할리의 요가 수트라에 불을 붙입니다. 해머스미스, 런던, 영국: Thorsons. ISBN 978-0-00-714516-4 p.22
  8. ^ "What is spiritual level?". Spiritual Science Research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20. Retrieved 20 September 2020.
  9. ^ 바타차리야, op. cit., 317쪽.
  10. ^ 홍수야, 개빈. 힌두교 입문서.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6. 92쪽. ISBN 0-521-43878-0.
  11. ^ a b c Patañjali (2009). The Yoga sūtras of Patañjali : a new edi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with insights from the traditional commentators. Edwin F. Bryant (1st ed.). New York. pp. 169–172. ISBN 978-0-86547-736-0. OCLC 24354464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5-08. Retrieved 2022-11-14.{{cite book}}: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12. ^ 디지털 산스크리트 불교 캐논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2010-06-12 고대 산스크리트어 필사본의 서부 기록 보관소
  13. ^ Kvaerne, Per (1975). "인도 불교 탄트리즘 문헌에 나타난 사하자의 개념에 대하여"(NB: Temenos XI(1975)에 처음 게재된 기사: pp.88-135). 인용: Williams, Jane (2005). 불교: 종교학에서의 비판적 개념, 제6권. 루틀리지. ISBN 0-415-33226-5, ISBN 978-0-415-33226-2. 출처: [1] (접속; 2010년 4월 16일 금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