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뮤얼 랭글리
Samuel Langley새뮤얼 랭글리 | |
---|---|
![]() 새뮤얼 피에르폰트 랭글리 | |
스미스소니언 협회 제3장관 | |
재직중 1887–1906 | |
선행자 | 스펜서 풀러턴 베어드 |
성공자 | 찰스 두리틀 월콧 |
개인내역 | |
태어난 | 매사추세츠 주 록스베리 | 1834년 8월 22일
죽은 | 1906년 2월 27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아이켄 | (71)
국적 | 미국인의 |
로 알려져 있다. | 태양물리학 |
사무엘 피에르폰트 랭글리(Samuel Pierpont Langley, 1834년 8월 22일 ~ 1906년 2월 27일)는 미국의 천문학자, 물리학자, 고도계 발명가, 항공 개척자였다. 스미스소니언 연구소의 제3서기가 된 것 외에, 알레게니 천문대 소장이었던 피츠버그 대학의 천문학 교수도 지냈다.
인생
랭글리는 1834년 8월 23일 보스턴 록스베리에서 태어났다.[3]
랭글리는 보스턴 라틴 학교에 다녔고 보스턴의 잉글리시 고등학교를 졸업했고, 그 후 하버드 대학 천문대에서 조교가 되었다. 그 후 그는 표면적으로는 수학 교수로 미국 해군 사관학교의 직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하지만, 그는 실제로 아카데미의 작은 전망대를 복원하기 위해 그곳에 보내졌다. 1867년 알레게니 천문대 원장과 피츠버그대(당시 펜실베이니아 서부대) 천문학 교수가 되었으며, 1887년 스미스소니언 연구소의 제3대 서기관이 되는 동안에도 1891년까지 유지한 직책이다. 랭글리는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 관측소의 설립자였다. 1875년 미국철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1888년 랭글리는 미국 Antiquarian Society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 1898년 프랑스 천문사회인 소시에테 천문학자 드 프랑스 최고상인 프릭스 쥘 얀센을 받았다.
알레게니 천문대
랭글리는 앨러게니 천문대의 첫 감독이 되기 위해 1867년 피츠버그에 도착했는데, 그 기관은 어려운 시기에 빠져 펜실베니아 서부 대학에 주어졌다. 그 때쯤, 그 부서는 혼란스러웠다. 장비가 고장 났고, 도서관이 없었고, 그 건물에는 수리가 필요했다. 피츠버그의 산업 지도자인 윌리엄 해빙 시니어의 우정과 도움을 통해 랭글리는 전망대 장비를 개선하고 유령을 추가로 세울 수 있었다. 새로운 기구들 중 하나는 별들이 천자경을 통과할 때 별들의 위치를 관측하는 데 사용되는 작은 통과 망원경이었다.[6]
그는 도시와 철도에 표준 시간을 분배하여 그 부서를 위해 상당 부분 돈을 모았다. 그 때까지, 정확한 시간은 때때로 미국 관측소에서 공공 사용을 위해 보내졌을 뿐이었다. 그 당시에는 시계가 수동으로 감겨져 있었고 시간은 정확하지 않은 경향이 있었다. 정확한 시간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았다. 정오에 태양이 머리 바로 위에 있다는 것을 알기에 충분했다. 그것은 철도의 도착과 함께 바뀌었고, 그것은 표준 시간의 부족을 위험하게 만들었다. 기차는 공개된 일정대로 운행되었지만, 스케줄은 혼란스러웠다. 엔지니어와 스위치 운영자의 시계가 1~2분이라도 차이가 날 경우 열차는 같은 선로에 동시에 올라 충돌할 수 있다.
랭글리는 새로운 망원경에서 얻은 천문학적 관측을 이용하여 알레게니 시간계로 알려진 시간대를 포함한 정확한 시간 기준을 고안했다. 처음에 그는 알레게니 시 사업체와 펜실베니아 철도 회사에 시간 신호를 분배했다. 결국, 알레게니 시간 신호는 미국과 캐나다의 모든 철도에 4,713마일의 전신선을 통해 정확한 시간을 주었다. 랭글리는 철도의 돈을 천문대의 재원으로 사용했다. 알레게니 타임의 약 1868년 수입에서 1883년 미국 해군 천문대가 납세자 기금을 통해 신호를 제공할 때까지 천문대에 계속 자금을 지원했다.
일단 자금이 확보되자 랭글리는 처음에 태양을 연구하는 데 천문대에서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첫 직장에서부터 그의 초안 제작 기술을 이용해 수백 개의 태양 현상 그림을 그렸는데, 그 중 많은 것이 세계 최초로 목격된 것이었다. 천문대의 13인치 피츠-클라크 굴절기를 사용하면서 관찰된 그의 1873년 일광점 그림은 고전적이 되었다. 그의 저서 《신천문》 21페이지에 실려 있으며, 아메리카와 유럽에서도 널리 전재되었다.
1886년 랭글리는 태양물리학에 기여한 공로로 국립과학원으로부터 첫 번째 헨리 드레이퍼 메달을 받았다.[7] 그가 1890년 피츠버그의 알레게니 천문대에서 프랭크 워싱턴 아주와 함께 적외선 관측의 1890년 출판한 것은 그가 발명한 볼로미터에서 수집한 자료와 함께 스반테 아르헤니우스가 온실 효과에 대한 최초의 계산을 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 1898년 랭글리는 프랑스(프랑스 천문사회)의 소시에테 천문학의 최고상인 프릭스 쥘 얀센을 받았다.
항공업무
랭글리는 일하는 조종사들을 공중보다 무거운 비행기로 만들려고 시도했다. 그의 모델들은 날았지만, 조종사 비행에 대한 그의 두 번의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랭글리는 1887년 고무밴드 동력 모델과 글라이더로 실험을 시작했다.(한 책에 따르면 알퐁스 페노의 시간을 고무력으로 높이 올라가서는 재현할 수 없었지만 어쨌든 지속했다고 한다.) 그는 회전하는 팔을 만들었고 소형 증기 엔진으로 움직이는 더 큰 비행 모델을 만들었다. 랭글리는 스프링에 의해 회전하는 팔에서 매달린 1파운드 황동판이 1온스 이하의 스프링 장력에 의해 높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지속적인 동력 비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랭글리는 항공기가 전진 속도로부터의 항력을 극복하기 위해 추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했고, 가로 세로 비율이 높은 평판은 더 높은 리프트와 더 낮은 항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관찰했으며, 1902년에 "고정 크기와 중량의 평면은 비행 속도가 빠를수록 덜 추진력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8]
그는 이 무렵 작가 루드야드 키플링을 만났는데, 그는 자신의 자서전에서 랭글리의 실험 중 하나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나는 루즈벨트를 통해 스미스소니언의 랭글리 교수를 만났는데, 그 노인은 가솔린을 위한 모형 비행기를 아직 도착하지 않은 미니어처 플래시-보일러 엔진으로 정교한 장인 정신의 경이로운 기적을 만들었다. 그것은 200야드가 넘는 시험 비행을 했고, 포토맥의 물에 빠져 죽었는데, 이것은 그의 조국의 언론에 큰 흥과 유머를 야기했다. 랭글리는 충분히 냉정하게 받아들여서 그때까지 결코 살지 않겠지만, 나는 비행기가 세워지는 것을 봐야 한다고 내게 말했다.[9]
그의 첫 번째 성공은 1896년 5월 6일 그의 25파운드(11kg)의 5번 무시범 모델이 포토맥 강에서 보트에서 급발진 후 2300피트(700m)와 3300피트(1000m)의 두 번의 비행을 하면서 이루어졌다.[10][11] 그 거리는 공기보다 무거운 비행기로 이전의 어떤 실험보다 10배 더 길어서,[12] 그러한 비행에서 안정성과 충분한 양력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해 11월 11일 그의 6번 모델은 5,000피트(1,500m) 이상 날았다. 1898년, 그의 모델의 성공을 바탕으로 랭글리는 스미스소니언으로부터 5만 달러와 2만 달러의 전쟁부 보조금을 받아 조종사 비행기를 개발했는데, 그는 이것을 '에어로드롬'(Aerodrome에서 대략 "air runner"로 번역된 그리스 말로 코칭)이라고 불렀다. 랭글리는 엔지니어 겸 테스트 파일럿으로 찰스 M. 맨리(1876–1927)를 고용했다. 랭글리는 1902년 글라이더로 라이트 형제의 성공에 대해 친구 옥타브 차누트로부터 소식을 듣고, 라이트 형제를 만나려 했으나, 그들은 정중하게 그의 요청을 피했다.
본격적인 비행장이 설계되고 건설되는 동안, 내연 기관은 제조업체인 스테판 M. 발저(1864–1940)와 계약되었다. 전력과 중량 사양에 맞는 엔진을 제작하지 못하자 맨리는 설계를 끝냈다. 이 엔진은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기의 엔진인 12마력에 비해 50마력보다 훨씬 더 많은 동력을 가지고 있었다. 주로 랭글리 이외의 남성들의 기술적인 작업인 엔진은 아마도 이 프로젝트의 항공에 대한 주요한 공헌이었을 것이다.[13] 조종사 기계에는 철사로 된 탠덤 날개가 달려 있었다. 그것은 피치와 요 컨트롤을 위한 페노우드 꼬리를 가지고 있었지만, 모델들이 그랬던 것처럼, 날개의 편도 각도에 의존하여, 롤 컨트롤은 하지 않았다.
라이트 형제가 강한 역풍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날고 단단한 지상에 착륙할 수 있는 조종 가능한 비행기를 설계한 것과 대조적으로 랭글리는 포토맥 강 상공에서 차분한 공기 속에서 연습하며 안전을 도모했다. 이것은 발사하기 위한 포획물을 필요로 했다. 이 우주선은 착륙장비가 없었고, 만약 성공한다면 전체는 아니더라도 부분적인 기계 재조립이 수반되는 비행을 시범한 후 물속으로 하강할 계획이다. 랭글리는 1903년 10월 7일과 12월 8일 이륙 중 두 번의 충돌 후 이 프로젝트를 포기했다.
한 기자에 따르면 랭글리는 첫 번째 시도에서 날개가 포탄울트의 일부를 절단해 강물에 "한 줌의 박격포처럼" 떨어지게 했다고 한다. 두 번째 시도에서 이 우주선은 포획선을 떠나면서 헤어졌다. (Hallion, 2003; Nalty, 2003).[14] 맨리는 두 번 다치지 않고 강에서 회복되었다. 신문들은 그 실패를 크게 조롱했고, 일부 의회 의원들은 그 계획을 강하게 비난했다.
비행장은 라이트 형제의 특허와 싸우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1914년 글렌 커티스에 의해 개조되어 수백 피트 상공으로 비행했으며, 랑글리의 항공적 명성을 구하기 위한 스미소니언의 노력의 일환으로 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원은 그 특허를 유지했다. 하지만, 커티스 항공편은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이 "세계 역사상 최초로 인간이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는 비행기"로 에어로드롬을 전시하도록 용기를 주었다. 논란을 광범위하게 문서화한 프레드 하워드는 다음과 같이 썼다: "그것은 순수하고 단순한 거짓말이었지만, 그것은 존경받는 스미스소니언의 불손함을 지녔고, 세월이 흐르면서 그 사실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의 짜증스러움으로 잡지, 역사책, 백과사전을 찾아낼 것이다." (하워드, 1987) 스미스소니언의 행동은 생존해 있는 라이트 형 오빌과의 수십 년간의 불화를 촉발시켰는데, 오빌은 이 협회의 에어로드롬의 영장 청구에 반대했다.
3축 조정기를 발명한 라이트 형제와 달리 랭글리는 조종사의 체중에 의해 조종될 정도로 큰 비행기를 조종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만약 모형들이 그랬던 것처럼 항공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했다면 맨리는 조종이 되지 않은 채 착륙을 위해 기계가 하강할 때, 특히 강에서 멀리 떨어져 단단한 땅 위를 헤매고 있었을 때 상당한 위험에 처했을 것이다.
볼로미터
1880년에 랭글리는 원적외선 방사선을 측정하는 데 처음 사용되는 기구인 볼로미터를 발명했다.[15] 이 측정기는 과학자들이 섭씨 1/100,000도 이하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해 주었다.[16] 그것은 지구상의 태양 에너지 양을 측정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그는 그것에 관한 1881년 논문 "볼로미터와 복사 에너지"[17]를 발표했다. 그는 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 중 하나를 하였고, 지구 대기의 이산화탄소에 의한 적외선 방사선의 간섭에 대한 그의 측정은 1896년 스반테 아르헤니우스가 기후가 향후 이산화탄소 수치의 두 배가 되는 것에서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한 최초의 계산을 하기 위해 사용했다.[18]
상용시간서비스
랭글리는 1860년대 후반 피츠버그 지역의 알레게니 천문대에서 재임한 것을 시작으로 19세기 후반까지 미국에서 천문학적으로 파생되고 규제된 시간 분배 서비스 개발의 주역이었다. 이 지역의 철도 관련 그의 업무는 표준 시간대 제도 구축의 중심지로 자주 언급된다. 펜실베니아 철도에 대한 그의 매우 성공적이고 수익성 있는 시간 판매는 지역 철도 및 그들이 근무했던 도시에 대한 시간 서비스 판매로 그들의 연구를 크게 보조하고 있는 많은 비정부 단체 관측소들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이 분야에서 미국 해군 천문대의 점증하는 지배력은 이 지역 관측소들의 생계를 위협했고 랭글리는 그들의 상업 프로그램의 생존 가능성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의 리더가 되었다.
죽음
랭글리는 스미스소니언 회계사 윌리엄 카르가 이 협회에서 횡령하고 있다는 1905년 6월 발견 이후 자금 손실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물었다. 랭글리는 그 여파로 월급을 거절했다. 11월에 그는 뇌졸중을 겪었다. 1906년 2월 그는 요양을 위해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아이켄으로 이사했으나 또 한 번 뇌졸중을 일으켜 2월 27일 사망했다. 그는 보스턴의 포레스트 힐즈 묘지에 묻혔다.[19]
레거시
랑글리의 영예에는 다음과 같은 항공 및 해상선박, 시설, 일사량 단위 및 상이 수여되었다.
- 스미스소니언 협회의[20] 랭글리 금메달
- 버지니아[21] 주 햄튼 NASA 랭글리 연구 센터
- 랭글리 공군 기지
- 피츠버그 대학교 랭글리 홀
- 피츠버그의 랭글리 고등학교
- 랭글리 기념 항공 연구소
- 랑글리 단위 태양 복사
- 시에라 네바다 주의 랭글리 산
- USS 랭글리 (CV-1)
- USS 랭글리(DE-131)는 1942년 7월 10일을 정박하고 1942년 8월 1일에 함만으로 개명했다.
- USS 랭글리 (CVL-27)
- 대서양 항로 체인의 하나로 계획된 시드롬 랭글리는 대공황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 SS 사무엘 P. 랭글리, 미국 자유선
- 버지니아 주 햄튼에 있는 새뮤얼 P. 랭리 초등학교
미디어
1978년 영화 키티호크의 바람에서 그는 배우 존 호이트에 의해 연기되었다.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 ^ (France), Académie des Sciences (1894). "Tableaux des prix décernés".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117. p. 1006. (프랑스 아카데미는 1893년 12월 18일에 1893년 상을 수여했다.)
- ^ "Science Prizes". American Naturalist. 28. U. of Chicago Press. 1894. p. 290.
- ^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PD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July 2006. ISBN 0-902-198-84-X.
- ^ "APS Member History". search.amphilsoc.org. Retrieved 2021-05-05.
- ^ 미국 Antiquarian Society 회원 디렉토리
- ^ 피츠버그 대학교 역사
- ^ "Henry Draper Medal".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trieved 19 February 2011.
- ^ Bjorn Fehrm (Nov 3, 2017). "Bjorn's Corner: Aircraft drag reduction, Part 3". Leeham.
- ^ Rudyard Kipling, Something of Myself: 알려져 있고 알려지지 않은 내 친구들을 위해, 런던: MacMillan and Co., 1951 (최초 1937년 출판). 페이지 123
- ^ 랭글리 비행장 번호 5번 스미스소니언 국립항공우주박물관. 2018년 1월 8일 회수
- ^ Gierke, C. David (1998). "Langley's Steam-powered Flying Machines". Aviation History. 8 (6): 50.
- ^ 스미스소니언 사무엘 P. 랭글리 컬렉션역사 노트
- ^ 에어로스토리우스
- ^ Gibbs-Smith, Charles H. (3 Apr 1959). "Hops and Flights: A roll call of early powered take-offs". Flight. 75 (2619): 469. Retrieved 24 Aug 2013.
- ^ Langley, S. P. (1880). "The bolometer".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etrological Society. 2: 184–190.
- ^ 새뮤얼 피에르폰트 랭글리(earthobservatory.nasa.gov)는 "...10만분의 1도 섭씨(0.00001C)의 온도 차이에 민감하다. 얇은 금속 조각 두 개, 휘트스톤 브릿지, 배터리, 아연도계로 구성되어 2018년 10월 31일에 접속했다.
- ^ Langley, S. P. (1881). "The Bolometer and Radiant Energy".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6: 342–358. doi:10.2307/25138616. JSTOR 25138616.
- ^ 아처, 데이비드. 롱 해빙(2009년), 페이지 19.
- ^ "Samuel P. Langley Collection". Smithsonian Online Virtual Archives (SOVA). Retrieved 13 February 2019.
- ^ "Awards and Medals". Smithsonian Institu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5, 2017. Retrieved March 14, 2012.
- ^ Tennant, Diane (September 5, 2011). "What's in a name? NASA Langley Research Center". The Virginian-Pilot. Retrieved September 5, 2011.
참고 문헌 목록
- 날개의 꿈: 미국인과 비행기, 1875-1905년, 박사의 꿈 Tom D. Crouch, W. W. Norton, 1981년
- 비행 중: 고대에서 제1차 세계대전을 거쳐 리처드 P 박사에 의해 공중시대를 발명했다.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3년 한리온
- 윌버와 오빌: 1987년 프레드 하워드 도버의 라이트 형제의 전기
- 리처드 C가 쓴 날개의 유산, 해군 항공의 삽화 역사. Nott, Maryland, Annapolis, Naval Institute Press, 1997.
- 윙드 실드, 윙드 검: 1907-1950: 버나드 C가 쓴 미국 공군의 역사. 네티, 2003년 퍼시픽 대학 출판부
- 1990년 런던 스튜디오 에디션, Ben Mcworth-Praed에 의해 편집된 The Pional Years
- To Concer The Air—The Wright Brothers and the Great Race for Flight, James Tobin, Free Pressor, 2003년 사이먼 & 슈스터 사의 사단법인 라이트 형제와 비행을 위한 위대한 경주
- 주세페 시암파글리아의 "비타 에드 오페르 델라스트로노모 e 코스트루토레 항공 사무엘 피에르폰트 랭리" Rivista Storica; Gennaio 1996.
- 진정한 시간 판매: 19세기 미국 시간 기록,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의 이언 R. 바트키, 2000년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사무엘 피에르폰트 랭글리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Wikisource는 다음과 같은 원작을 가지고 있다. 새뮤얼 피에르폰트 랭글리 |
![]() | 위키소스는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기사 "랑글리, 사무엘 피에르폰트"의 원문을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