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갈릿 란다우
Sigalit Landau시갈릿 에델 란도(Hebre: סיגלתתתת לנד;;; 1969년 출생)는 이스라엘의 조각가, 비디오, 설치 미술가다.
전기
시갈릿 에델 란도는 1969년 예루살렘에서 태어났다.[2] 그녀는 미국과 영국에서 몇 년을 보냈다. 1990년과 1995년 사이에 그녀는 예루살렘에 있는 베잘렐 미술 디자인 아카데미에서 예술을 공부했다.[3] 이 기간 동안, 그녀는 뉴욕시의 과학 예술 발전을 위한 쿠퍼 연합에서 교환 학생으로 한 학기 동안 보냈다. 그녀는 현재 이스라엘에서 살고 일한다.
예술 경력
랜도는 그림, 조각, 비디오, 공연 예술이 포함된 다학제 예술가로, 때로는 자립적이고 때로는 전체 환경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녀의 복잡한 작품들은 사회, 역사, 정치, 생태학적 문제를 다루며, 노숙, 추방, 피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관계, 부패와 성장 사이의 관계와 같은 주제를 포용한다. 그녀의 작품의 상당 부분이 인간의 상태와 관련이 있는 만큼, 신체(흔히 그녀 자신의 것)는 핵심적인 모티브가 되고 지침이 된다. 란다우는 소금, 설탕, 종이, 기성품을 이용해 현장 설치에서 대규모로 만들어 자신이 일하는 공간을 완전히 바꾼다.
란다우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솔트웍스(Salt Works)로, 금속 조각틀을 사해에 담가 만든 일련의 소금 조각품이다.[4][5][6]
전시회
1990년대
1994년 란다우는 그룹 전시회 '트란지트'를 통해 5층 유령의 공간에서, 텔아비브 중앙버스정류장에서, 수출잉여에서, 부그라쇼프 갤러리의 스트리트쇼에서 선보였다. 두 쇼 모두 아트포커스 1의 일부였으며, 초기 전시 모두 유목주의와 장소를 다루었으며, 이들 사이트의 본질을 해독하였다. 한 곳에서는 노숙자 쉼터에 거주했고, 다른 곳에서는 란다우가 부그라쇼프 해변 앞에 있는 물막이에서 캐스트어웨이 그룹쇼를 만들었다.
1995년 그녀는 예루살렘에 있는 이스라엘 박물관에서 가이 바 아모즈와 함께 하는 철문 텐트를 선보였다.[7]
1996년에 랜도는 'Witte de With'에 전시되었다. 란다우는 로테르담 체험에 이어 이듬해 헤르즐리야 박물관에서 '레지던트 에일리언 1세'를 제작해 선보였고, 그 후 다코다 X와 제47회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선보였다. 그녀는 열과 강렬한 망치로 화물 컨테이너의 금속 바닥을 언덕처럼 보이게 변형시켰다.
란도는 1997년과 2011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이스라엘을 대표했다.[8][9] 그녀는 1997년에 Documenta X에 전시되었다.
1999년 랜도는 런던의 치센할레 갤러리와 엑세터의 스페이스 엑스에서 그녀의 작품을 전시했다. 이듬해 그녀는 제1회 타임즈/ArtAngel 오픈 커미션을 수상했다: 콘크리트 믹서를 뮤직 박스로 바꾸기 위해, 그녀는 "영원히 그 안에서 살면서 거리에서 함께 하는 이야기를 가지고 여행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2000년대
시갈릿은 2001년 뉴욕시 전시회에서 스레드 왁싱 공간을 솜사탕 분화구로 만들어 자신과 관객 주위에 감미로운 섬유질을 돌리면서 '아랍눈'의 음악에 맞춰 만들었다.[10]
제2차 인티파다의 격발 때 이스라엘로 돌아온 그녀는 하레츠 신문 1면과 함께 매일 그것들을 과일 조각으로 변형시켰다. 그녀의 야외 건조 구역은 스튜디오의 지붕이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만신창이가 된 공들을 말렸다.[11][12] 이 공들은 텔아비브야포의 알론 세게브 갤러리에서 그녀의 "The Country" 설치(2002)의 주요 부분이었다.[13]
그녀는 2004년 텔아비브 박물관에서 "끝없는 해결책"을 열었다.[14]
베를린 쿤스트베르케 현대미술연구소(2007년)의 '더 다이닝 홀'에서 그녀는 민간, 공동, 공공음식을 다루는 설치물 체인(chain)을 만들어 먹이고 굶었다. 독일의 거리에서 터키의 도너 케밥 카버들을 위한 기념비적인 도너 케밥의 공공조형물에서 절정을 이루었다.[15]
2008년 그녀는 뉴욕의 현대 미술 박물관에 프로젝트 87을 전시했다.
2008년 그녀의 작품인 솔트 돛+슈가르 매듭은 파리의 갤러리 카멜 메누르에서 상영되었다.[16]
2010년대
2012년 그녀는 이스라엘 브엘세바에 있는 네게브 미술관에서 그녀의 작품 Caryatid를 보여주었다.[17] 2015년 바르셀로나 현대미술관은 그녀의 작품을 반반성적으로 전시했다. 2019년 그녀는 모더네 잘츠부르크 박물관에서 그녀의 작품을 선보였다.[18]
- 2012 – 토양. 누르싱, 카멜 메너, 파리
- 2013년 – 도쿄 긴자의 '더 램 인 더 뷔페' 메이슨 헤르메스 큐레이터: 세쓰다 레이코
- 2013 – 'ZB'IB EL-ARD의 Har-El Printers & Publishers, Jaffa. 큐레이터: 마티 해럴
영구 컬렉션
랜도의 작품은 다음 작품집에 수록되어 있다.
- 뉴욕 [19]현대 미술관
- 센트럴 퐁피두,[20]
- 마가신 3세, 스톡홀름
- 뉴욕 유대인 박물관
- 바르셀로나 [21]현대 미술관
- 이스라엘 박물관,[22]
- 허쉬혼 박물관과 [23]조각 정원
- 포메라니즈 컬렉션,[24]
- 티로치 [25]데레온 컬렉션
- 텔아비브 미술관.
수상 및 인정
- 1993년 유대인 국가 기금 조각상
- 1994년 미국-이스라엘 문화 기금
- 1994년 예루살렘 베잘렐 예술 디자인 아카데미 메리 피셔상
- 1996년 이네보르 바흐만 장학금
- 1998년 독일 베를린 호프만 컬렉션 거주 화가
- 1999년 ArtAngel과 런던 신문 "The Times"의 영국 경쟁 부문 1등상
- 2001년 Tel Aviv 미술관 Tel Aviv 수상
- 2001년 이스라엘 과학 문화 체육부 젊은 예술가상
- 2003년 미국-이스라엘 문화재단 자넷과 조지 자핀 장학금상
- 2003년 거주, IASPIS – 스톡홀름의 국제 아티스트 스튜디오 프로그램
- 2004년 Nathan Gottesdiener 재단, 이스라엘 예술상, 텔아비브 미술관, 텔아비브 미술관
- 2004년 베아트리스 S. 콜리너 상, 이스라엘 박물관, 예루살렘
- 2007년 Tel Aviv Museum of Artum의 Dan Sandle and the Sandel Family Foundation 조각상 수상
- 2012년 'Artis' Grant 수취인
- 2016년 이스라엘 미술상, 이스라엘 박물관, 예루살렘
- 2017년 브엘세바 네게브 벤구리온대 명예박사학위
갤러리
국가(설치 보기), 2002년
텔아비브야포 알론 세게프 갤러리낮과 과일의 리코더, 2002
텔아비브야포 알론 세게브 갤러리 "더 컨트리" 출신크라이 보이, 크라이, 2004
텔아비브 미술관2005년 시지푸스와 제이콥
텔아비브 미술관식당(설치 보기), 2007
베를린 KW현대미술연구소
참고 항목
참조
- ^ "Not much lives in the Dead Sea -- but this artist's work comes out of it". PBS NewsHour. 28 December 2018.
- ^ "Biograph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March 2016.
- ^ "Sigalit Landau".
- ^ "Israeli Artist Breathes Life Into the Dead Sea by Sculpting With Its Salt". 5 September 2018 – via Haaretz.
- ^ "Israelische Künstlerin in Salzburg - Salt Years". Deutschlandfunk.
- ^ Judah, Hettie (27 July 2016). "An Artist's Salt Crystal Gown, Created Deep Under the Dead Sea" – via NYTimes.com.
- ^ Cohen, Richard I. (20 December 2012). Visualizing and Exhibiting Jewish Space and History. OUP USA. ISBN 9780199934249 – via Google Books.
- ^ Lagnado, Caroline. "Sigalit Landau's Bridges at the Venice Biennale". The Forward.
- ^ Jaffe-Schagen, Judy (1 April 2016). Having and Belonging: Homes and Museums in Israel. Berghahn Books. ISBN 9781785331350 – via Google Books.
- ^ "Frieze Magazine, review: Sigalit Land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4.
- ^ "Material Girl". 29 August 2002 – via Haaretz.
- ^ "The Arts : Making Circles". Hadassah Magazine. 2 June 2008.
- ^ "Looking for a Different Wow". 27 May 2011 – via Haaretz.
- ^ "Tel Aviv Museum of Art". www.tamuseum.org.il.
- ^ Harris, Jonathan (31 March 2011). Globalization and Contemporary Art. John Wiley & Sons. ISBN 9781444396997 – via Google Books.
- ^ "Sigalit Landau, Souvenirs amers de la Mer Morte". Photographie Contemporaine.
- ^ Halperin, Renana (11 October 2012). "The Lowdown on the Season's High Art Shows" – via Haaretz.
- ^ Nachrichten, Salzburger. "Museum der Moderne: Aus dem Toten Meer taucht Erinnerung auf". www.sn.at.
- ^ "Sigalit Landau MoMA". The Museum of Modern Art.
- ^ "Barbed Hula Centre Pompidou". www.centrepompidou.fr.
- ^ "Nir". www.macba.cat.
- ^ "Sigalit Landau". Magasin III.
- ^ "Sigalit Landau, "DeadSee," 2005".
- ^ "SIGALIT LANDAU POMERANZ COLLECTION". pomeranz-collection.com.
- ^ "Tiroche DeLeon Collection - Landau, Sigalit b.1969 / Phoenician Sand Dance". www.tirochedeleon.com.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 *Podcast/Sigalit Landau와의 인터뷰, 2015년
- 이스라엘 박물관의 시갈릿 랜도 소장품. 2012년 1월 22일 회수
- "Sigalit Landau". Information Center for Israeli Art. Israel Museum. Retrieved 22 January 2012.
- 유러피언아의 시갈릿 란다우 예술. 2012년 1월 22일 검색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