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 흡연

Smoking in New Zealand
보건성 금연 포스터, 1958년 (출처: 뉴질랜드 아카이브)

뉴질랜드에서 흡연을 위한 담배 사용은 수십 년 동안 정부의 규제를 받아왔다.2004년 12월 10일, 뉴질랜드는 술집과 레스토랑을 포함한 모든 실내 작업장을 금연구역으로 만든 세 번째 국가가 되었습니다.

소비.

소비 가능한 담배의 수는 1977년 63억 개비로 정점을 찍은 이후 일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소비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24억 개비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지난 30년 동안 사용 가능한 담배의 수는 61.5% 감소했다.소비 가능한 담배의 양은 904톤으로,[1] 1985년의 최저치를 83.3% 웃돌았다.

법령

금연 정책을 시행한 세계 최초의 건물은 1876년 웰링턴에 있는정부 청사였다.[2]정책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목조건물이었기 때문에 화재의 위협을 우려하여 제정되었다.

담배 통제에 대한 최초의 시도는 1907년인데, 당시 정부는 담배가 미성년자의 성장을 방해할 것이라는 우려로 16세 미만에게 담배 판매를 금지했다.그러나 이 법은 1988년까지 시행되지 않았다.1997년에는 나이 제한이 18세로 늘어났다.비록 지금은 미성년자에게 담배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불법이지만, 미성년자는 여전히 벌금을 물지 않고 공개적으로 담배를 소비하고, 소유하고, 친구들에게 나눠줄 수 있다.

1990년 금연환경법은 직장이나 [3]학교 등의 장소에서의 흡연을 제한함으로써 간접흡연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통과되었다.

뉴질랜드는 2003년 12월 3일 모든 실내 공공 사업장과 접대 장소(술집, 술집, 나이트클럽, 전세 클럽 바, 레스토랑 및 카지노)를 포괄하는 금연 환경법 개정안(2004년 발효)을 통과시켰다.연구에 따르면 법률 준수 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실내 접대 장소의 공기 품질은 흡연이 [4]여전히 허용된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매우 좋다.

옥외 금연법은 모든 학교, 일부 의회 소유 공원(예: 사우스 타라나키 및 어퍼 헛), 일부 병원, 경기장 및 대부분의 대학 캠퍼스의 구내를 포괄한다.하지만, 이러한 법들은 경비원들과 부동산 소유주들의 정중한 요청 외에는 엄격히 시행되지 않는다.정부는 차내 흡연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금연 자동차와 집을 홍보하는 대중 매체 캠페인을 벌여왔다.

국내선 흡연은 1988년에 금지되었고 1996년 현재 모든 국제선 흡연은 금지되었다.

담배 광고는 1963년 TV와 라디오, 1971년 영화관과 광고판, 1990년 인쇄 매체에서 금지되었다.담배 협찬은 1995년에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담배 간판은 같은 해에 외부 상점에서 금지되었다.담배 진열 자체는 [5]2012년에 금지되었다.

1998년 초에 담배 한 개비 판매가 금지되었고 담배는 20개 이상 한 갑으로 판매되어야 한다.

뉴질랜드 네이피어에 있는 National Tabco Company Ltd 빌딩

뉴질랜드 정부의 National Drug Policy 2007-2012는 가용성을 제한하고, 담배 사용을 제한하며, 기존 담배 [6]사용으로 인한 피해를 줄임으로써 담배 사용의 영향을 줄이려고 한다.

2021년 12월 9일, 미국 보건부 장관 아이샤 베랄 박사는 제6차 노동당 정부가 스모크프리 2025 목표 하에서 14세 미만의 모든 사람이 평생 합법적으로 담배를 구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새로운 법안을 도입할 것이라고 확인했다.나이든 세대들은 니코틴 함량이 매우 낮은 담배 제품만 살 수 있는 반면 담배 제품을 파는 가게들은 줄어들 것이다.정부의 발표는 녹색당과 뉴질랜드의학협회 회장 알리스테어 험프리, 건강연합 아오테아로아 금연 전문가 자문단 회장 샐리 리긴스, 오클랜드대 태평양대학 부학장 콜린 투쿠이통가몇몇 보건 지도자들의 환영을 받았다.특히 마오리족과 파시피카족에서는요반면 ACT 보건 대변인 캐런 차워는 금지는 실행 불가능하며 담배제품 [7][8]암시장을 만들 것이라고 주장하며 제안된 법안을 비판했다.

로비

2007년 9월 5일, 흡연 및 건강에 관한 행동(ASH)은 [9]2017년까지 담배 판매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2012년에는 [10]상점에서의 담배 전시가 금지되었다.윈스턴 피터스 자신도 흡연자인데, 흡연자의 권리를 위해 오랫동안 로비 활동을 해왔다.2016년 뉴질랜드 예산에서 ACT 뉴질랜드는 흡연자들을 위해 로비를 벌였는데, 담배에 대한 세금이 지난 5년 동안 두 배로 늘었지만 흡연율은 1.3%[11]밖에 떨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오물 처리

전국 쓰레기 감사 2019 - 1,000m당2 항목별 상위 12개 항목

담배꽁초를 버리는 것은 뉴질랜드에서 [12]만연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2019년 실시된 국가쓰레기감사에서 담배꽁초가 가장 많이 발견됐다.[13]

2011년 웰링턴 시내에서 실시된 한 연구에 따르면 흡연자들이 쓰레기통이 근처에 있을 때에도 담배꽁초를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담배꽁초 쓰레기는 흡연자의 85.8%가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 관찰된 저녁에 더 흔했고, 68.1%가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 관찰되었다.흡연자의 73.5%가 엉덩이를 [14]끄지 않았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lcohol and Tobacco Available for Consumption: Year ended December 2007" (PDF). Statistics New Zealand. 22 Februar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9 November 2008. Retrieved 17 September 2008.
  2. ^ 보존부
  3. ^ "Smoke-free Environments Act 1990 No 108 (as at 04 April 2016), Public Act Contents – New Zealand Legislation". legislation.govt.nz.
  4. ^ "Smokefree law". moh.govt.nz.
  5. ^ "Plain packets to follow tobacco display ban". 3 News NZ. 23 July 2012.
  6. ^ Ministerial Committee on Drug Policy (March 2007). National Drug Policy 2007-2012. Wellington: Ministry of Health. ISBN 978-0-478-30751-1. {{cite book}}: last=범용명(도움말)이 있습니다.
  7. ^ Witton, Bridie (9 December 2021). "Government to ban tobacco sales to young people for their lifetime in first-ever 'smokefree generation'". Stuf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December 2021. Retrieved 9 December 2021.
  8. ^ Bruno, Gus (9 December 2021). "New Zealand's government announces bold new Smokefree 2025 Action Plan to BAN young people smoking across the country". Seven News. Seven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December 2021. Retrieved 9 December 2021.
  9. ^ "ASH - Action on Smoking and Health New Zealand". ash.org.n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09.
  10. ^ "ASH backing tobacco display ban". 3 News NZ. 23 July 2012.
  11. ^ "ACT on side of working class over fags tax rise". The Press. 31 May 2016. p. A2.
  12. ^ Herald, NZ (5 October 2017). "Wellington councillors divided over fines for dropping cigarette butts". NZ Herald. Retrieved 16 December 2021.
  13. ^ Morton, Jamie (3 September 2019). "Clean, green NZ? Litterbugs and loads of rubbish tarnish image". New Zealand Herald. Retrieved 23 December 2021.
  14. ^ Patel, Vimal; Thomson, George W (January 2013). "Cigarette butt littering in city streets: a new methodology for studying and results". Tobacco Control. BMJ. 22 (1): 60. doi:10.1136/tobaccocontrol-2012-050529. JSTOR 43289299. PMID 22821749. S2CID 28270886 – via JSTOR.

추가 정보

  • Thomson, George; Wellington School of Medicine (2002). The tobacco industry in New Zealand: a case study of the behaviour of multinational companies. Public health monograph series. Wellington, N.Z: Dept. of Public Health, Wellington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ISBN 047308415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