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스웨스트 서비스

SouthWest Service
사우스웨스트 서비스
Metra SouthWest Service 827.jpg
사우스웨스트 서비스 #827은 2011년 유니온 역을 출발한다.
개요
소유자노퍽 남부 철도(메트라에 임대)
터미유니언 역
맨해튼
스테이션13
서비스
유형통근 철도
시스템메트라
연산자메트라, 노퍽 남부 철도
데일리 라이더십9,600(평균). 2014년 평일)[1]
라이더십574,815 (2020)
기술
트랙 길이40.6마일
트랙 게이지4ft 8+12 인치(1,435 mm)
노선도

디스트[2]
0 mi
유니언 역 Amtrak
Chicago Transit Authority Logo.svg
파랑
디어본 역
폐쇄적인
Chicago Transit Authority Logo.svg
IC 웨스트에서 애디슨으로
HC to Joliet
Chicago Transit Authority Logo.svg
동일로47번길
폐쇄적인
엥글우드
폐쇄적인
Chicago Transit Authority Logo.svg
녹색
할스테드
폐쇄적인
레이신
폐쇄적인
애슐랜드
폐쇄적인
9.6 mi
15.4km
웨스턴 애버뉴
폐쇄적인
11.5 mi
18.5km
라이트우드
12.2 mi
19.6km
애쉬번
14.7 mi
23.7km
오크잔디
스토니 크리크
16.6 mi
26.7km
시카고 리지
17.8 mi
28.6km
보람
18.6 mi
29.9km
팔로스 하이츠
19.8 mi
31.9km
팔로스 파크
사우스모어
폐쇄적인
23.0 mi
37km
동일로143번길
오랜드 파크
25.2 mi
40.6km
동일로153번길
오랜드 파크
28.7 mi
46.2km
동일로179번길
오랜드 파크
히코리 크릭
RI
33.6 mi
54.1km
스틸
폐쇄적인
잭슨 크릭
(잭슨 브랜치)
34.6 mi
55.7km
브리즈번
폐쇄적인
35.4 mi
57km
라러웨이 로드
잭슨 크릭
40.3 mi
64.9km
맨해튼

사우스웨스트 서비스(SWS)는 일리노이 시카고 시내의 유니언 역에서 일리노이 맨해튼까지 남서쪽으로 운행하는 메트라 통근 철도 노선이다. 메트라는 색상으로 노선을 언급하지 않지만, 남서쪽 서비스 노선의 시간표는 와바시 철도배너 블루 여객 열차의 "배너 블루"이다.[3] 선로는 루미스 대로에 있는 시카고 벨트 철도와의 분기점 북쪽의 메트라가 소유하고 있으며, 그 분기점 남쪽의 노퍽 남방 철도에서 임대된다(NS는 메트라의 부분에 대한 선로권을 가지고 있다).[4]

역사

75번가와 정렬된 구간의 동쪽 끝 커브 남쪽 선은 와바시, 세인트루이스, 태평양 철도에 의해 건설되었고, 1880년에 시카고로 개통되었다. 그 곡선은 시카고와 서부 인디애나 철도와의 분기점이었는데, 그 중 와바쉬가 5분의 1을 소유하고 있었고, 시카고 시내의 디어본 역에 도달하곤 했다.[citation needed] 시카고로부터의 통근 서비스는 1893년경부터 시작되었고, 기차는 오르랜드 파크까지 남쪽으로 운행되었고,[5] 1909년경에는 맨해튼 남쪽까지 운행하는 여러 열차가 운행되어 운행 기간이 연장되었다.[6] 1930년대에 서비스 수준이 악화되었는데, 통근 운행은 효과적으로 각 방향에서 하나의 열차로 감소하여 시카고에서 디케이터로 가는 지역 정류장이 되었다. 1964년까지 한때 매일 운행하던 시카고-디케이터 열차는 올랜드 파크까지 운행되었다.[5]

몇 차례의 개편 후 와바시 철도는 1964년 10월 16일 노포크와 서부 철도에 의해 임대되었다.[7]: 145 단 한 번의 왕복 여행은 새로운 소유권 하에 계속되었는데, 그는 그 기차를 '올란드 파크 캐넌볼'이라고 이름 붙였다.[8] 1971년 5월 1일, 암트랙은 미국의 대부분의 시외 여객 열차를 통제하게 되었다. 이 날짜에 시카고를 드나드는 모든 시외 서비스가 유니언 역에 연결되거나 중단되었고, 오랜드 파크 캐넌볼은 디어본 역을 여전히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열차로 남게 되었다. 디어본 역은 폐쇄되었지만 통근 열차는 1976년 알튼 분기점에서 새로운 연결을 통해 유니언 역으로 이전할 때까지 작은 승강장과 선로를 계속 이용했다.[9]: 71

지역 교통 당국은 1978년에 이 서비스에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10] N&W는 1982년 남부 철도와 합병하여 노퍽 남부 철도를 형성했으며, 이후 10년 동안 노퍽 남부 철도(NS)로 알려졌다. RTA는 12개의 다른 경미한 사용 역의 폐쇄와 시스템 전체의 추가 17개 역에서 티켓 대리점을 제거하는 비용 절감 계획의 일환으로 1984년 5월 15일 웨스턴 애비뉴 역을 폐쇄했다.[11] 1993년 6월 1일 메트라는 작전을 인수하여 남서 서비스(SouthWest Service)로 개칭하였다.[4]

신규 선로 11마일(18km)과 최소 2개의 추가 기차역이 포함된 철도 노선 확장 사업은 2006년 1월(라어웨이 로드 역 제외) 완료됐다. 하루 열차 운행 횟수는 16회에서 30회로, 각 방향마다 15회로 늘어났다. 수년 동안, 페이스는 835번 국도를 운영했고, 그 버스 서비스는 남서쪽 서비스 회랑의 제한된 열차 서비스를 강화했다. 철도 서비스 확대로 인해 835번 국도의 여객선 운행이 매우 열악해져 2007년 8월 17일 페이스가 이를 없앴다.[citation needed]

메트라는 2009년 3월 21일 유니온 역과 맨해튼을 잇는 6대의 열차로 토요일 운행을 시작했다.[12]

사우스웨스트 서비스 열차는 시카고 지역 환경교통 효율 프로그램(CREATE)의 후원으로 75번가 회랑의 재구성과 함께 유니언 역에서 라살레 스트리트 역까지 이동하게 된다.[13] 이는 완공 예정인 2025년 이전에 일어날 것이다.[14] 교통량 증가를 처리하기 위해 라살레 세인트 역과 74번지 사이에 추가로 간선 선로도 건설된다. 라살레 세인트 역도 증설된다.[15] 이렇게 되면 유니온 역의 혼잡도가 해소되고 남서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각 방향으로 더 많은 열차가 운행될 수 있게 될 것이다.[13]

서비스 빈도

2018년 2월 5일 현재 서남 서비스는 평일 하루 15회, 토요일은 3회 왕복 3회 운행하고 있다. 일요일/휴일 서비스는 없었다. 토요일의 모든 기차는 맨해튼까지 운행했다. 평일 열차 중 1대는 올랜드파크 153번가에서, 2대는 맨해튼에서, 나머지는 올랜드파크 179번가에서 종착했다.[16]

2006년부터 2018년 초까지 맨해튼에서 세 번째 평일 열차(낮 12시 1분)가 종착했다. 이 열차는 운행 중단은 물론 승차권 부족으로 2018년 봄부터 오르랜드파크 179번가까지 단전이 됐다.

라러웨이 로드와 맨해튼 역은 매일 60명 미만의 승객을 동반하여 메트라 시스템에서 가장 이용이 적은 역 중 두 곳이 된다.

2021년 4월 현재 사우스웨스트 서비스는 오전에는 시카고를 지나 오후에는 맨해튼 방향으로 향하는 피크 방향의 평일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된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열차 운행이 없다. 피크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3개의 메트라 노선 중 하나이다(헤리티지 회랑, 노스 중앙 서비스와 함께).

메트라는 2021년 7월 12일 현재 평일 남서서비스선에 6대의 인바운드 열차와 6대의 아웃바운드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이 중 맨해튼에서 출발하는 2대의 인바운드 열차와 179번가 오랜드 파크에서 출발하는 4대의 열차가 있다. 아웃바운드 열차 4대가 오랜드 파크 179번가에서, 2대는 맨해튼에서, 1대는 라러웨이 로드 및/또는 맨해튼으로 계속 운행하여 차장에게 통보한 승객을 배출할 수 있다.

서남선 토요 운행이 현재 중단되어 있다. 일요일이나 공휴일에는 서비스가 없다.

라이더십

2014년 이후 연간 탑승객은 265만9040명에서 235만6767명으로 전체 11.4%[17][18] 감소했다.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2020년에는 탑승객 수가 574,815명으로 감소했다.[19]

500,000
1,000,000
1,500,000
2,000,000
2,500,000
3,000,000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스테이션

구역 위치 연결 및 참고 사항
A 시카고 유니언 역 Amtrak암트랙(장거리):캘리포니아 제피르, 캐피톨 리미티드, 추기경, 뉴올리언스, 엠파이어 빌더, 쇼어 리미티드, 사우스웨스트 치프, 텍사스 이글
Amtrak 암트랙(도시 간):블루워터, 히아와타, 일리노이, 살루키, 일리노이 제피르와 칼 샌드버그, 링컨 서비스, 페레 마르켓, 울버린
Metra메트라::BNSF, 밀워키 노스, 밀워키웨스트, ■노스 중앙 서비스, 헤리티지 코리더
Chicago Transit Authority Logo.svg시카고 "L":블루(클린턴), 브라운오렌지핑크퍼플(퀸시)
Bus interchangeCTA 버스: 1, 7, J14, 19, 28, 56, 60, 120, 121, 124, 125, 126, 128, 128, 130, 151, 151, 156, 157, 157, 192
Bus interchange페이스: 755 플레인필드-IMD-West 루프 익스프레스
Bus interchange암트랙 스루웨이 모터코치: 시카고-매디슨 및 시카고-록포드(밴 갤더), 시카고-루이스빌(그레이하운드)
디어본 역 1976년 폐쇄, 유니온 역으로 전환
동일로47번길 1976년부터 1984년 사이에 폐쇄됨
B 엥글우드 1976년부터 1984년 사이에 폐쇄됨
할스테드 1976년부터 1984년 사이에 폐쇄됨
레이신 1976년부터 1984년 사이에 폐쇄됨
애슐랜드 1976년부터 1984년 사이에 폐쇄됨
웨스턴 애버뉴 1984년 5월 폐쇄
C 라이트우드 Bus interchange CTA 버스: 52A 사우스 케지, 79번째
애쉬번
D 오크잔디 오크잔디 Bus interchange 페이스: 381 95번가, 395 95번가/댄 라이언-UPS 호지킨스 리미티드, 769 팔로스 하이츠/오크 잔디밭-솔디에 필드 익스프레스
시카고 리지 시카고 리지 Bus interchange 속도: 384 Narragansett/Lageland
보람 보람 Bus interchange 속도: 385 87/111/127위, 386 사우스 할렘
팔로스 하이츠 팔로스 하이츠 Bus interchange 속도: 769 팔로스 하이츠/오크 잔디밭-솔디에 필드 익스프레스
E 팔로스 파크 팔로스 파크
오랜드 파크
사우스모어 1976년부터 1984년 사이에 폐쇄됨
오랜드공원로143번길 Bus interchange 페이스: 미드웨이-오랜드 파크 379번지
오랜드공원로153번길
F 오랜드공원로179번길
G 뉴 레녹스 스틸 1962년 폐쇄
브리즈번 1962년 폐쇄
H 라러웨이 로드 러시 아워만 해당
I 맨해튼 맨해튼 러시 아워만 해당

참조

  1.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1-02. Retrieved 2010-01-02.{{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2. ^ Metra 레일팬 팁 - 헤리티지 코리더
  3. ^ "Did you know?" (PDF). On the Bi-Level: 3. June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0-01-02.
  4. ^ a b Metra (2013). "SouthWest Service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7-14. Retrieved June 7, 2014.
  5. ^ a b Burgess, Paul (Spring 2013). "Follow the Flag: Chicago's Metra "Wabash Extension"". First & Fastest. Vol. 29, no. 1. Lake Forest, Illinois: Shore Line Interurban Historical Society. p. 12.
  6. ^ Burgess, Paul (Spring 2013). "Follow the Flag: Chicago's Metra "Wabash Extension"". First & Fastest. Vol. 29, no. 1. Lake Forest, Illinois: Shore Line Interurban Historical Society. p. 11.
  7. ^ Schafer, Mike (2000). More Classic American Railroads. Osceola, WI: MBI Publishing Co. ISBN 978-0-7603-0758-8. OCLC 44089438.
  8. ^ Norfolk and Western Railway (July 3, 1972). "Suburban Passenger Service".
  9. ^ Holland, Kevin J. (2001). Classic American Railroad Terminals. Osceola, WI: MBI. ISBN 9780760308325. OCLC 45908903.
  10. ^ Burgess, Paul (Spring 2013). "Follow the Flag: Chicago's Metra "Wabash Extension"". First & Fastest. Vol. 29, no. 1. Lake Forest, Illinois: Shore Line Interurban Historical Society. p. 14.
  11. ^ "RTA closing 13 rail stations". Chicago Tribune. March 9, 1984. p. 51. Retrieved January 20, 2019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12. ^ Hood, Joel (March 2, 2009). "Metra adding Saturday service to SouthWest line in March". Chicago Met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3-25. Retrieved 2009-02-03.
  13. ^ a b "P2, P3, EW2, GS19 75th Street Corridor Improvement Project" (PDF). CREATE. November 2015. Retrieved January 10, 2018.
  14. ^ "Preckwinkle, Partners Mark 75th Street Rail Corridor Improvement Project". The Chicago Crusader. October 1, 2018. Retrieved December 12, 2018.
  15. ^ "Metra Moving". Railway Track & Structures. 12 September 2009. Retrieved 21 April 2012.[영구적 데드링크]
  16. ^ Metra (October 16, 2011). "Southwest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7-14. Retrieved June 7, 2014.
  17. ^ "RIDERSHIP TRENDS ANNUAL REPORT 2018" (PDF). Metra. p. 4. Retrieved 12 May 2019.
  18. ^ "RIDERSHIP TRENDS ANNUAL REPORT 2019" (PDF). Metra. Retrieved 27 February 2021.
  19. ^ "RIDERSHIP TRENDS ANNUAL REPORT 2020" (PDF). Retrieved 2021-04-04.{{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외부 링크

경로 지도:

KML은 위키다타에서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