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시우스 로마누스

Theodosius Romanus
테오도시우스 로마누스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시리아크 정교회 총대주교
교회시리아 정교회
참조안티오키아
설치된.887
기간이 종료됨896
전임자이그나티우스 2세
후계자디오니시오스 2세
개인내역
태어난티크리트, 압바스드 칼리프하테
죽은896년 6월 1일

Theodosius Romanus (Syriac: ܦܛܪܝܪܟܐ ܬܐܘܕܘܣܝܘܣ, Arabic: البطريرك ثاودوسيوس)[1] was the Patriarch of Antioch and head of the Syriac Orthodox Church from 887 until his death in 896.

전기

로마누스는 9세기 티크리트에서 태어나 투르 압딘카르트민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었다.[2]그는 의학 교육을 받았고 능숙한 의사로 알려지게 되었다.[2]그의 별명인 "로마누스"(로마누스)는 그리스어에 대한 그의 지식에서 유래되었다.[3]이때 가부장관은 883년 이그나티우스 2세가 죽은 뒤 교회 주교들의 이견으로 4년간 공석이었다.[4]그들 회중의 요구에 따라 주교들은 아미다에 모여 열두 명의 이름을 내걸고 제비뽑기로 선거를 치렀다.[4]

따라서 로마누스는 안티오키우스 2세의 뒤를 이어 이그나티우스 2세의 뒤를 이을 사람으로 선택되었고, 1887년(AG 1198) 2월 5일 사모사타의 대주교 티모시에 의해 아미다에서 성직되었고, 거기서 테오도시우스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5]테오도시우스가 가트민 수도원에 터 압딘의 주교 에스겔과 함께 건축한 건물 몇 채를 가지고 있었다는 [6]것 외에는 테오도시우스가 총대주교로 재임했다는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7]그는 896년(AG 1207) 6월 1일 그가 묻힌 카르트민 수도원에서 죽을 때까지 안티오크의 총대주교로 일했다.[4]총대주교로서 테오도시우스는 시리아크로니클 미카엘에 따라 32명의 주교들을 서임시켰고, 바 헤브라에우스는 그의 교회 역사에서 테오도시우스를 33명의 주교로 추대했다.[5]

작동하다

테오도시우스는 키루스의 주교 레자로스의 요청에 따라 히에로테오스의 책을 번역하고 논평했다.[2][8]그의 해설은 3편의 서적에 5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 중 첫 두 권은 아미다에서, 세 번째 서적은 사모사타에서 완성되었다.[2][6]비록 이 책이 이단적이고 타그리트의 쿠리아코스 총대주교에게 시노드의 성명에 의한 스테판 바르 수다이일의 저작으로 거부당하였지만, 테오도시우스는 그 진위를 받아들이고 스티븐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는 것 같다.[9][6]이 책에 대한 테오도시우스의 긍정적인 견해는 카르트민 수도원에 만연한 신비주의의 전통을 반영하는 것으로 주목되어 왔다.[8]테오도시우스의 해설은 이후 바르 헤브라에우스가 이 책에 대한 자신의 논평에서 사용했으며,[6] 1290년 바르텔라의 아부 나스르에 의해서도 '하나님의 집의 숨겨진 미스터리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원고에 재집필되었지만, 해설의 절반만 수록되어 있었다(자파란 MS.213).[2]

그 밖에 살아남은 작품으로는 바르 헤브라에우스가 지적한 테오도시우스에게 귀속된 의학 싱타그마(시리아크: 쿤나시, "컴펜듐")가 있는데, 이 중 단편만 살아남는다(바티칸 MS. 192).[2]또, 알렉산드리아의 교황 마이클 3세에게 보내는 동의어 서간과 사순절에 대한 설교어, 둘 다 아랍어로 되어 있는 설교어(영국)가 보존되어 있다.Mus. MS. 7206).[2]그는 또한과 100와 12명의 격언들은 그는 대부분이 그리스어에서 시리아어에 번역을 했던 피타 기원의(시리아어:melle remzonoyoto d-ḥakime,"현명한 이들의 상징적인 명언들")[6]설명했다;이 논문의 시리아어와 아랍어 반에 한부 여전히(파리를 해 놓고 157) 살아남는 이유에서 그는 컴파일되는 집사였던 조지에게 논문을 썼다.[2]의 통조림도 나중에 테오도시우스 탓으로 돌렸다.[6]

성공회 계승

총대주교로서 테오도시우스는 다음과 같은 주교들을 임명했다.[5]

  1. 티크리트 대주교 아타나시우스
  2. 헤라트의 대주교 욥
  3. 디오니시오스 아파메아 대주교
  4. 시릴, 아나자르부스의 대주교
  5. 디오니시오스 텔라 주교
  6. 이즈키엘, 멜리테네 주교
  7. 다마스쿠스의 대주교 다니엘
  8. 칼리수라 주교 덴하
  9. 조지, 서세슘 주교
  10. 티베리아스의 대주교 가브리엘
  11. 마브보그 대주교 마이클
  12. 사모사타 대주교 야곱
  13. 아프라 대주교 이그나티우스
  14. 이즈키엘, 투르 압딘 주교
  15. 실바누스 아르젠 주교
  16. 아르메니아의 주교 바질
  17. 이레노폴리스의 주교 존
  18. 아나자르부스의 대주교 하빕
  19. 텔베스메의 주교 시메온
  20. 하빕, 레사파 대주교
  21. 사룩의 주교 존
  22. 타르수스의 대주교 레자로스
  23. 엘리아스 기스라 주교
  24. 카이숨 주교 하빕
  25. 제우그마 주교 바질
  26. 텔라 주교 매튜
  27. 서세슘의 주교 토마스
  28. 토마스 이레노폴리스 주교
  29. 세베루스 다라의 주교
  30. 야곱, 나즈란 족의 주교
  31. 이레노폴리스의 주교 하빕
  32. 세르기우스, refreshzayna의 주교

참조

  1. ^ James E. Walters (17 August 2016). "Theodosius, the patriarch". A Guide to Syriac Authors. Retrieved 31 December 2020.
  2. ^ a b c d e f g h Barsoum(2003), 페이지 395–396.
  3. ^ 파머(1990), 페이지 189.
  4. ^ a b c 마졸라(2018), 페이지 267–268.
  5. ^ a b c 샤봇(1905), 페이지 460-461.
  6. ^ a b c d e f 반롬페이(2011), 페이지 406–407.
  7. ^ 파머(1990), 페이지 188, 217.
  8. ^ a b 파머(1990), 페이지 179.
  9. ^ 파머(1990), 179쪽, 184쪽.

참고 문헌 목록

선행자 안티오키아 정교회 총대주교
887–896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