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그리트의 쿠리아코스
Quriaqos of Tagrit타그리트의 쿠리아코스 | |
---|---|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시리아크 정교회 총대주교 | |
교회 | 시리아 정교회 |
참조 | 안티오키아 |
설치된. | 793 |
기간이 종료됨 | 817 |
전임자 | 조셉 |
후계자 | 디오니시오스 1세 텔마하로요 |
개인내역 | |
태어난 | 타그리트, 압바스드 칼리프하테 |
죽은 | 817년[1][2] 6월 16일 모술, 압바시드 칼리프하테 |
성자의 신분 | |
잔치날 | 8월 13일/16일 |
다음에서 존경됨 | 시리아 정교회 |
Quriaqos of Tagrit (Syriac: ܩܘܪܝܐܩܘܣ, Arabic: قرياقس بطريرك انطاكية)[3] was the Patriarch of Antioch, and head of the Syriac Orthodox Church, from 793 until his death in 817. 그는 랍반 슬리바의 순교학에서 시리아크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기념되고 있으며, 그의 잔치일은 8월 13일 또는 16일이다.[4]
전기
쿠리아코스는 8세기 타그리트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라카 근처 기둥의 수도원에서 승려가 되어 신학을 공부하였다.[1] 안티오크의 총대주교로 선출되어 793년 8월 17일 하란에서 서품되었다.[2] 쿠리아코스는 총대주교로 즉위한 직후 785년/786년 안디옥의 조지 1세 총대주교로부터 도시의 성직자와 최고 평신도들의 불평으로 퇴위한 전 에데사 주교 사차랴 문제를 해결해야 했고, 쿠리아코스의 전임자 요셉에게 그를 전자로 회복시켜 달라고 청원에 실패하였다.[5] 쿠리아코스는 자차랴와 함께 시내로 여행을 떠났는데, 자차랴가 사망하자 도시 주교로 복귀하는 조건으로 교구의 농촌 4곳을 받기로 합의하고, 에데사의 주교로 바질이라는 이름을 가진 첸네슈레의 수도사를 서품했다.[5] 793년 총대주교로 승진한 것과 같은 해에 쿠리아코스는 타그리트의 대주교와 성 마태오 수도원 스님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해 달라는 호소에 응하여 타그리트로 여행했다.[6] 총대주교는 타그리트의 대주교가 수도원 니네베와 모술의 일부 교회에 대주교를 서임할 권한이 있다고 선언했다.[6]
쿠리아코스는 조지 총대주교가 그리스도의 분열을 암시한다고 주장하면서 이단 선언을 한 성체를 축하하면서 '우리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천상의 빵을 깨뜨린다'는 구절을 끝맺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나, 성직자의 분열을 우려하여 그 사용이 금지되지는 않았다.구보 바로요와 카트민의 수도원에서.[7] 쿠리아코스에 의해 서품된 사제들은 이 문구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5] 이것은 그 구절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분노를 자아냈고, 794/795년 11월 벳바틴의 시노드에서 쿠리아코스의 분한 마음에 그 구절이 허용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2][5] 이 총대주교회의 반대자들은 칼케도니아계가 아닌 다른 종파인 율리우스파와의 화해를 시도하면서 그의 정책을 더욱 혼란스럽게 했다.[5] 쿠리아코스는 797년/798년 나와위스 수도원에서 시노드를 열었고, 9월 7일 쿠리아코스가 공동 집필한 신조와 율리우스파 총대주교 가브리엘이 받아들여지면서 율리우스파와의 연합이 합의되었다.[1][2] 쿠리아코스가 그를 선봉한다면 가브리엘이 안티오크의 다음 총대주교가 될 것이라고 규정되어 있었다.[2] 그러나 쿠리아코스의 반대파들이 노조를 받아들이지 않고, 그가 율리우스주의자가 됐다고 비난하면서 합의는 결실을 맺지 못했다.[2]
쿠리아코스는 사모사타의 세베루스가 이슬람 당국에 호소한 후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는 점에서 그의 반대자들과 맞서는데 어느 정도 성공했다.[8] 쿠리아코스가 시러스의 박카스 주교를 증정함에 따라 그의 성공은 단명했다.[8] 박카스는 여러 번의 경고 끝에 퇴위했지만, 그는 총대주교를 거역하고, 앞서 언급한 '천한 빵' 구절을 교구의 성직자들 사이에서 사용하도록 권장했으며, 시러스의 모든 미래의 주교들이 그가 거주하던 구보 바로요의 수도원에서 먼저 승려가 되어 줄 것을 요구했다.[8] 쿠리아코스는 박카스의 요구를 무시하고 키루스의 야곱 수도원 승려 솔로몬을 주교로 추대했으나 이것이 그의 반대자들을 격분시켰고, 쿠리아코스는 키루스의 교구 교구에서 제거되었다.[8] 807년 구보 바로요 수도원 출신의 승려들이 칼리프 하룬 알 라시드를 만나 쿠리아코스를 동로마 동조자 및 간첩으로 고발하고, 동로마제국과의 국경지대에 교회를 건설하여 칼리파이트와의 분쟁에 더욱 힘을 보태고자 하는 등 분쟁이 고조되었다.[8][9] 그리하여 국경의 모든 교회는 안티오키아와 예루살렘의 교회뿐만 아니라 칼리프의 명령으로 파괴되었다.[9] 쿠리아코스와 친분이 있고 친분이 있는 하룬의 비서 이스마일 이븐 살리(Isma'il ibn Salih)가 고발 사건을 처리하고 승려들을 추방함으로써 총대주교는 그 사건에서 무사히 살아남았다.[10]
쿠리아코스는 교회에 대한 자신의 권위를 재확인하기 위해 807년/808년 키르후스 근처의 벳가브린의 시노드를 소환했고, 그의 반대자들을 파문하고 퇴위시켰다.[1][2] 시노드 이후, 구보 바로요의 승려인 동생 시메온의 사면을 거절한 쿠리아코스에게 분개한 카르트민의 승려 아브라함이 교단에 가담했고, 이후 구보 바로요의 승려들에 의해 총대주교로 선포되었다.[8] 아브라함은 자신의 주교들을 거룩하게 하고 쿠리아코스를 율리우스파라고 비난하며 '천한 빵' 구절을 홍보했는데, 그 구절은 족장이 자신과 그의 지지자들을 추방하는 것으로 응답했다.[8] 아브라함은 알렉산드리아의 콥트교황 마크 2세에게 인정을 호소하지 못했으나 교황이 쿠리아코스의 편지를 받은 후 파문을 당했다.[2] 아브라함과 그의 지지자들과의 분열은 쿠리아코스의 남은 통치 기간 동안 해결되지 않았다.[2]
그는 812/813년에 하란에서 또 다른 시노드를 소환했다.[2] c. 816년, 아쇼트 미사커 왕자가 샬케도니아인 테오도어 아부 쿠라(Chalcedonian Teorodo Abu Curra)에 대해 토론하도록 초청한 것에 대해 큐리아코스는 니시비스의 노누스를 샬케도니안을 대표하기 위해 보냈다.[11] 817년 타그리트의 바실 1세 대주교와 성 마태오 수도원 사이의 분쟁이 일어나면서 바질은 수도사들이 특정 다니엘을 대주교로 선출하는 것에 반대했고, 상황이 악화되자 쿠리아코스는 개입할 수밖에 없었다.[6] 쿠리아코스는 대주교가 옛 사산 제국의 다른 모든 주교들보다 우선했기 때문에 바실 1세를 지지했고, 승려들을 파문시켰다.[2][8] 총대주교는 모술에 시노드를 소집해 이 문제를 해결했으며, 다니엘이 타그리트의 대주교에 대한 종속성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성 마태오 수도원의 대주교로 인정하였다.[6] 비록 타그리트 대주교의 선례가 시노드에서 성립되었지만,그의 권력은 제한되었고, 이에 따라 주교의 동의 없이 질식교 교구에서 활동해서는 안 되며, 성 마태오 수도원 대주교의 승인 없이 주교를 서품해서는 안 된다고 선언되어 분쟁이 해결되었다.[6] 쿠리아코스는 817년 6월이나 8월 모술에서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고 [2]타그리트에 묻혔다.[1] 총대주교로 86명의 주교들을 거룩하게 했다.[1]
작동하다
쿠리아코스는 794년/795년 베스 바틴의 시노드에서 46개의 카논을 발행했는데,[2] 그 중 하나는 성직자와 평신도들에게 네스토리아인, 찰케도니아인, 줄리안파의 교회에 들어가지 말고, 그들의 예배에는 참여하지 말라고 명령했다.[12] 카논들은 또한 앞서 언급한 교회의 신자들의 세례를 금하고,[13] 점괘에 관계된 성직자들을 규탄했다.[14] 뿐만 아니라, 812/813년 하란 교회에서 26개의 운하를 제정하였다.[2]
총대주교는 또 티르미나즈 집사 예슈의 질문에 답하여 안티오크의 세베루스 총대주교 전기와 아나포라, 열 통의 편지를 썼다.[1][2] 또한 그는 신학 교수에 관한 책을 저술한 공로를 인정받아 3권 98책으로 나뉜다.[1]
참조
- ^ a b c d e f g h Barsoum(2003), 페이지 376–37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위타코프스키(2011년).
- ^ Jeanne-Nicole Mellon Saint-Laurent (17 August 2016). "Cyriacus, patriarch of Antioch". Qadishe: A Guide to the Syriac Saints. Retrieved 22 May 2020.
- ^ 피이(2004년), 페이지 62.
- ^ a b c d e 파머(1990), 페이지 179–180.
- ^ a b c d e 이그나티우스 제이콥 3세(2008), 페이지 70–71.
- ^ 파머(1990), 페이지 177, 179–180.
- ^ a b c d e f g h 파머(1990), 페이지 180–181.
- ^ a b 모론(2005년), 페이지 19-20.
- ^ 모론(2005년), 페이지 28.
- ^ 키팅(2003년), 페이지 39.
- ^ 탄누스(2020), 페이지 94.
- ^ 탄누스(2020), 페이지 103.
- ^ 탄누스(2020), 페이지 231.
참고 문헌 목록
- Barsoum, Ephrem (2003). The Scattered Pearls: A History of Syriac Literature and Sciences. Translated by Matti Moosa (2nd ed.). Gorgias Press.
- Ignatius Jacob III (2008). History of the Monastery of Saint Matthew in Mosul. Translated by Matti Moosa. Gorgias Press.
- Fiey, Jean Maurice (2004). Lawrence Conrad (ed.). Saints Syriaques (in French). The Darwin Press.
- Keating, Sandra Toenies (2003). ""Ḥabīb ibn Khidma Abū Rā'iṭa al-Takrītī's 'The Refutation of the Melkites Concerning the Union [of the Divinity and Humanity in Christ] (III)". In David Thomas (ed.). Christians at the Heart of Islamic Rule: Church Life and Scholarship in ʻAbbasid Iraq. Brill. pp. 39–55.
- Morony, Michael G. (2005). "History and Identity in the Syrian Churches". In Jan Jacob van Ginkel; Hendrika Lena Murre-Van Den Berg; Theo Maarten van Lint (eds.). Redefining Christian Identity: Cultural Interaction in the Middle East Since the Rise of Islam. Peeters Publishers. pp. 1–35.
- Palmer, Andrew (1990). Monk and Mason on the Tigris Frontier: The Early History of Tur Abd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annous, Jack (2020). The Making of the Medieval Middle East: Religion, Society, and Simple Believe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 Witakowski, Witold (2011). "Quryaqos". In Sebastian P. Brock; Aaron M. Butts; George A. Kiraz; Lucas Van Rompay (eds.). Gorgias Encyclopedic Dictionary of the Syriac Heritage: Electronic Edition. Retrieved 22 May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