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시간이 흐를 것이다

Time Will Crawl
"시간이 흐를 것"
A picture of David Bowie leaning back, holding a guitar, in a barren room.
싱글 바이 데이비드 보위
Never Let Me Down 앨범으로부터
B측"소녀들"
방출된1987년[1] 6월
녹음된1986년 가을
스튜디오마운틴 (스위스 몬트룩스)
길이4:18 (앨범 버전)
4:54(2008년 리믹스)
라벨EMI
작곡가데이비드 보위
프로듀서
데이비드 보위 싱글 연대기
"Day-In Day-In Day-In Day-Out"
(1987)
"시간이 흐를 것"
(1987)
"네버 렛미 다운"
(1987)
뮤직비디오
유튜브"시간이 흐를 것(싱글 버전)"

'타임 크롤'은 영국 가수 데이비드 보위가 녹음한 곡으로, 17집 앨범 'Never Let Me Down'(1987년)의 두 번째 싱글로 활동하고 있다.그것은 보위가 썼고 그와 데이비드 리차드가 제작했다.EMI가 1987년에 발표한 이 녹음은 공해와 산업에 의한 지구의 파괴를 다루고 있다; 체르노빌 참사는 가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동봉된 영상은 바위의 유리스파이더 투어(1987년)의 티저 역할을 했다.음악 평론가들은 "타임 윌 크롤"을 긍정적으로 평하면서, 가사와 제작에 대해 칭찬했고, 1980년대 중후반 보위가 가장 노력한 것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게다가, Bowie는 나중에 이 노래를 그의 경력에서 가장 좋아하는 노래 중 하나라고 불렀다.상업적으로 이 싱글은 영국 싱글 차트 33위, 빌보드 메인스트림트랙 차트 7위로 정점을 찍었다.

배경 및 릴리스

"타임 윌 크롤"은 보위가 스위스 몽트뢰에 있는 마운틴 스튜디오에서 86년 중후반에 쓰고 녹음했다.그는 데이비드 리차드와 함께 녹음을 제작했다.[2]처음에 이 곡은 "How We War"라는 제목이 붙었지만, 보위는 앨범 발매 전에 이름을 바꾸었다.[3]서정적으로, 이 노래는 산업별로 행성의 오염과 파괴를 다루고 있다.보위는 1986년 4월 체르노빌 참사 청취를 가사의 시초로 꼽았으며, 사고 당시 스위스에 있었다.그는 [...] 녹음을 마치고 잠시 쉬고 있었는데 아름다운 날이었고 우리는 알프스와 호수를 마주보고 있는 작은 잔디밭에 바깥에 있었다.라디오를 듣고 있던 우리 기술자가 스튜디오를 뛰쳐나가며 '러시아에 똥이 잔뜩 내려가고 있다'고 외쳤다.스위스의 뉴스는 노르웨이 라디오 방송국을 취재했는데, 이 라디오 방송국은 누구라도 들으실 분들에게 거대한 구름이 조국에서 넘어오고 있고 비구름도 아니라고 소리를 지르고 있었다.[1]보위는 또 다른 동시대의 인터뷰에서 이 곡이 "자신의 공동체 안에 있는 누군가가 세상을 날려버릴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4]고 말했다.당시 그는 이 곡이 자신이 앨범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이라고 밝히기도 했다.[4]

'타임 윌 크롤'은 EMI가 1987년 6월 개봉해 커버 버전 티나 터너의 '걸스'(1987년)를 B사이드로 내세웠다.[1]

2008년, 새롭게 리믹스된 곡의 버전(스튜디오 엔지니어 마리오 J. 맥널티가 제작한 "MM 리믹스")이 보위의 iSelect 컴파일 앨범에 수록되었는데, 이는 그의 역대 최고 인기곡이다.맥널티는 원래의 드럼 트랙을 없애고 드러머 스털링 캠벨의 새로운 드럼 오버듀를 추가했으며 현악 4중주를 포함한 새로운 악기를 추가했다.당시 보위는 러빙에일리언(1983~1988) 박스세트(2018)에서 네버 렛다운 2018이 출시되면서 보위 사망 후 결실을 맺은 프로젝트 '네버 렛 미 다운'의 나머지 곡에 대한 개선 욕구를 내비쳤다.[1][5][6]맥널티에 따르면 보위는 리믹스 곡에 대해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구체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며 이 곡에 대해 이처럼 과감한 변화를 주려는 의지를 '무공포'라고 말했다.맥널티는 리믹스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만난 자리에서 보위가 노트북을 들고 거실 바닥에 앉아 메모를 하고 있다가 그냥 놀다가 이렇게 말하고는 '이걸로 하고 싶어, 이걸 없애버리고 싶어, 드럼을 치고 싶어, 여기에 끈을 달고 싶어, 좋아... 언제 할 수 있을까?'[7]라고 말했다.

"Time Will Crawl"은 Les Amants du Pont-Neuf 사운드트랙(1991),[8] Bowie The Video Collection(1993),[9] Bowie의 베스트 오브 Bowie(2002)에 추가되었다.[10]플래티넘 컬렉션(2006년),[11] 데이비드 보위의 베스트(2007년),[12] 2008년 리믹스 버전이 iSelect(2008)와 [13]Nothing Has Changed(2014년)[14]에 등장했다.2008년 "MM 리믹스"의 업데이트 버전과 오리지널 싱글의 리믹스 그리고 그것의 b측 "Girls"가 박스 세트인 Loving the Alien (1983-1988)에 등장한다.[3]

프로모션

함께 찍은 뮤직비디오는 팀 포프가 감독했고, 그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보위 비디오를 감독했지만, 이후 교황은 1997년 보위의 50번째 생일 축하 비디오를 감독했다.이 동영상은 보위의 유리스파이더 투어 리허설 중 연출되었으며, '외계인 사랑'(1985), '패션'(1980), '침묵의 시대'(1977) 등의 공연에서 사용하게 될 정교한 댄스 루틴 일부를 미리 살펴보았다.투어의 무용수들(멜리사 헐리, 콘스탄스 마리, 크레이그 앨런 로스웰, 빅토르 마누엘, 스티븐 니콜스)은 모두 투어의 기타리스트 피터 프램튼, 카를로스 알로마와 함께 비디오에 출연했다.보위의 오랜 친구인 토니 바질이 안무를 맡았다.[1]이 비디오는 나중에 Bowie The Video Collection (1993년), Bowie의 베스트 (2002년), David Bowie의 베스트 (1980–1987년)에 공개되었다. 이 한정판 12" 싱글은 표지에 비디오의 스틸을 포함했다.

'타임 윌 크롤'은 1987년 그의 글래스 스파이더 투어의 모든 날짜에 라이브로 공연되었고, 이후 글래스 스파이더(2007)의 디럭스 에디션으로 발매되었다.[15]같은 해 보위 역시 BBC의 '탑 오브팝스' 때 출연했지만, 당시 영국 싱글 차트 40위권 밖으로 이탈한 곡으로 인해 그의 연기는 결국 텔레비전에 방영되지 못했다.하지만, 그의 공연은 나중에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1]

임계수신호

일반적으로, 음악 평론가들은 이 노래가 1980년대 중반에서 후반까지 바위의 노력 중 가장 좋은 곡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1][16][17]보위 전기작가 니콜라스 페그는 "가사도 앨범의 최고 중 하나로, 다이아몬드 도그를 연상시키는 독강과 핵 황폐화, 유전적 돌연변이의 황량한 풍경을 그리는 비선형 접근법으로 기분 좋게 복귀했다"[1]고 트랙의 제작과 서정적 내용을 모두 칭찬했다.올뮤직 비평가 데이브 톰슨은 이 곡이 "생태적으로 기울어진 서정성과 엄청나게 부푼 보컬, 그리고 1980년대 후반에 보위가 정말 즐기는 것처럼 들리는 멋진 시드 맥기니스 기타 솔로곡"이라고 칭찬했는데, 이 곡은 보위에게는 "희귀하다"고 평했다.[16]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2016년 보위 사망 후 '시간이 흐를 것' 영상을 20대 보위 동영상 리스트에 포함시켰고, 보위의 활약에 대해 "...이 동영상에서 보위가 어떻게 움직이는지에만 주목하라"고 극찬했다.움직임의 낭비도 없고, 모든 머리카락이 뒤집히고 굴러떨어지는 회복은 진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지기 스타더스트알라딘 사네로 분장하지 않아도 여전히 그에게서 눈을 떼지 못했구나."[18]2016년 보위 싱글 순위에서 최악부터 최고까지 순위를 매긴 Ultimate Classic Rock은 "Time Will Crawl"을 74번으로 배치하며, "Never Let Me Down"의 가장 좋은 트랙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구할 만한 것은 많지 않다."[19]

트랙리스트

"타임 윌 크롤"은 오로지 보위가 썼다.B-side 'Girls'는 가사와 프로듀싱으로 가수 에르달 크즐싸이가 맡았다.일부 지역에서는 소매가 양면 포스터로 접힌 7인치짜리 싱글이 발행되었다.'확장 댄스 믹스'는 공동 프로듀서 리차드가 리믹스했고, '댄스 크루 믹스'는 크리스 로드 알지가 리믹스했다.일본판 소녀(보위가 일본어로 노래함)의 경우, 언어 코치로는 기리 테시가하라가, 가사는 히로 호즈미가 번역했다.[2][20][21]모든 트랙은 2007년에 디지털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되었다.[1]

학점 및 인원

Never Let Me Down의 라이너 노트에서 각색된 크레딧.[22]

차트실적

차트 피크
포지션
네덜란드(싱글100)[23] 71
영국 싱글(OCC)[24] 33
미국 메인스트림 록(빌보드)[25] 7
서독(독일 공식 차트)[26] 57

참조

  1. ^ a b c d e f g h i Pegg, Nicholas (October 2016). The Complete David Bowie New Edition: Expanded and Updated. Titan Books.
  2. ^ a b c Time Will Crawl (Liner notes). EMI (Barcode: 5099920189273). 1987.
  3. ^ a b Loving the Alien (1983-1988) (Media notes). Parlophone. 2018.
  4. ^ a b David Bowie – The Interview (vinyl). EMI America. 1987.
  5. ^ Neyland, Nick. "David Bowie chooses his own favorite songs". Prefixmag. Retrieved 22 April 2013.
  6. ^ Askenase, Julia (11 July 2008). "David Bowie looks back on his favorite David Bowie". Paste. Retrieved 28 October 2013.
  7. ^ Slate, Jeff (12 October 2018). "Inside the David Bowie 'Loving the Alien (1983-1988)' Box Set with Reeves Gabrels and Mario McNulty". RockCellarMagazine.com. Retrieved 21 October 2018.
  8. ^ Les Amants du Pont-Neu' (Liner notes). 1991.
  9. ^ Bowie – The Video Collection (Liner notes). 1993.
  10. ^ Best of Bowie (Liner notes). 1991.
  11. ^ The Platinum Collection (Liner notes). 2006.
  12. ^ The Best of David Bowie 1980–1987 (Liner notes). 2007.
  13. ^ iSelect (Liner notes). 2008.
  14. ^ Nothing Has Changed (Liner notes). 2014.
  15. ^ Glass Spider (Liner notes). EMI (Barcode: 00946-3-91265-2-1). 2007.
  16. ^ a b Thompson, Dave. "David Bowie "Time Will Crawl" Review". Allmusic.com. Retrieved 28 October 2013.
  17. ^ Buckley, David (24 April 2012). Strange Fascination: David Bowie: The Definitive Story. Virgin Books. p. 547. ISBN 9781448132478. Retrieved 28 October 2013.
  18. ^ Anderson, Kyle (11 January 2016). "David Bowie's 20 best music videos".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18 July 2017.
  19. ^ "Every David Bowie Single Ranked". Ultimate Classic Rock. 14 Januar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ly 2021. Retrieved 19 September 2021.
  20. ^ a b Time Will Crawl (Liner notes). EMI (Barcode: 5099920188368). 1987.
  21. ^ a b Time Will Crawl (Liner notes). EMI (Barcode: 5099920194567). 1987.
  22. ^ Never Let Me Down (Liner notes/ CD booklet). EMI. 1987.
  23. ^ "데이비드 보위 타임크롤"(네덜란드어)싱글100.2017년 1월 8일 회수.
  24. ^ "공식 싱글 차트 상위 100위"공식 차트 회사.2017년 1월 8일 회수.
  25. ^ "데이비드 보위 차트 히스토리 (메인스트 록)"빌보드.2017년 1월 8일 회수.
  26. ^ "Offiziellecharts.de David Bowie Time Will Crawl".GfK 엔터테인먼트 차트.2017년 1월 8일 회수.

참고 문헌 목록

  • Pegg, Nicholas, The Complete David Bowie New Edition. 확장 업데이트, 타이탄 북스, 2016, ISBN 9781785653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