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미
Tumi투미('칼'을 뜻하는 퀘추아, 변형: '토메', '투메')는 중앙 안데스 지역의 식민지 이전과 후기 시대에 사용된 많은 종류의 예리한 도구들을 포괄하는 총칭으로, 투미들은 부엌칼, 농기구, 전사 또는 2차 무기 사냥, 희생칼, 이발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NTS, 펜던트 또는 의료 도구.또한, 금속으로 된 투미 형태는 [1]동전의 한 종류로 사용되었다.콜럼버스 이전의 투미는 보통 금속이나 돌로 만들어졌다.
개요
아마도 북해안 페루 문화에 의해 만들어진 매우 화려한 도끼 모양의 의례적인 투미는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 청동, 구리, 금 합금, 은 합금 또는 나무로 만들어지고 종종 라피스 [2]라줄리와 같은 반원형의 돌로 상감된 반원형의 칼날을 특징으로 한다.제물 투미는 페루 북부 해안 지역의 잉카 이전 문화와 가장 자주 연관되어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잉카 문화 자체와도 관련이 있다.가장 인기 있는 장식용 종양은 페루의 치무족과 시칸족 문화와 관련이 있다.
잉카 신화에서 잉카인들은 태양의 신 인티의 후손으로 매년 인티 레이미라타("태양 축제"를 뜻하는 퀘추아")로 알려진 호화로운 축하행사와 함께 숭배되었는데, 이는 오늘날까지도 인티 레이미 [2]축제의 형태로 암시되고 있다.이 축제는 감자와 옥수수 수확이 끝날 때 태양에게 풍성한 농작물에 감사하거나 다음 계절 동안 더 나은 농작물을 얻기 위해 열렸다.이 중요한 종교 의식 동안, 대제사장은 완전히 검은색 또는 흰색의 라마를 제물로 바치곤 했다.그는 배를 이용하여 동물의 배를 열고 손으로 동물의 장을 꺼내어 그 요소들을 관찰함으로써 미래를 예언할 수 있었다.나중에, 그 동물과 그것의 부분들은 완전히 소각되었다.
고고학적 연구 덕분에 파라카스나 잉카 같은 안데스 문화권에서는 투미(tumis)를 두개골 삼각망상술의 신경학적 시술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 수술들 중 많은 것들이 조심스럽게 수행되었고, 이것은 수술이 부상과 관련된 것 이외의 신체 장애,[2] 아마도 유기적 또는 정신적인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이루어졌음을 암시한다.파라카스와 같은 페루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투미 칼은 람바예케와 치무의 매우 장식적인 투미와는 다른데, 이러한 문화권의 화려한 투미는 부드러운 [3]금속의 사용으로 인해 상징적인 의례적인 방식으로만 기능했기 때문이다.이러한 연질 금속들은 실제로 동물을 죽이거나 살을 [4]자르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을 것이다.
페루 북부 해안 지역에서는 상류층의 장례식에 사용되는 [5]등 상류층의 의식용으로 화려한 투미 칼이 생산되었다.2006년 11월 21일, 고고학자들은 잉카 이전의 유물을 포함한 22개의 무덤을 페루 북부에서 발굴했다고 발표했다.유물 중에는 고고학자들이 최초로 발견한 반원형 금속 투미 칼도 있었다.이전의 모든 사례들은 무덤을 약탈한 [6]사람들로부터 회수되었다.
1936년 페루 람바예케의 일리모 바탄 그란데 계곡에서 시칸 투미가 발견되었다.무게 992그램, 높이 41cm의 칼보다 도끼가 더 크다.이 투미는 많은 시칸 문화의 투미들이 이 상징적인 인물을 묘사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그 위에 나일람의 형상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나예람은 신화적인 영웅이자 람바예케 문화라고도 알려진 시칸 문화의 창시자였으며, 시칸 문화는 그의 이름인 냐일람프라는 토템적인 새에게서 파생되었다.전설에 따르면 람바예케 문화를 세운 뒤 냐일램프가 죽거나 사라졌을 때 날개를 키워 [7]하늘로 날아올랐다고 한다.람바예케의 이 영웅왕 창시자는 쵸트라는 이름의 사원을 지었는데, 그곳에 그가 렘파렉이라고 부르는 큰 돌을 놓았는데, 그것은 냐일램프의 조각상을 의미한다.이 절에서는 많은 의식과 의식이 두미를 사용하여 행해졌다.일리모의 칼 또는 투미는 새의 가면, 날개, 새 모양의 눈으로 표현된다.냐일램프라는 이름의 새와 람바예케의 영웅 전사 설립자에 대한 신화적인 이야기는 새잡이들에 의해 일리모의 칼이나 투미에 표현된다.시칸의 투미칼에는 [7]냐일램프를 상징하기 위해 새나 바람의 묘사가 종종 포함되어 있다.나일램프를 그린 "시칸 로드"는 시칸 후기(1100-1375)에 시칸 미술에서 갑자기 사라진다.시칸은 자연과의 전통적인 관계로 되돌아가는 종교의 활성화 단계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아이콘은 이전 시대에는 시칸 신과 시칸 로드 다음으로 중요했지만 이 지역의 이전 문화와도 관련이 있는 고양이, 고양이, 물고기, 새를 포함한다.
현대 페루에서, 벽에 투미를 거는 것은 행운을 의미합니다.투미는 페루의 국가 상징으로 페루의 관광 홍보에 사용되는 상징이 되었고 머그잔이나 [2]열쇠고리 같은 관광 선물에 묘사될 수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Montalvo, César Toro (1989). Antología de Lambayeque: desde sus orígenes a nuestros días (in Spanish). Ministerio de la Presidencia, Consejo Nacional de Ciencia y Tecnología. p. 357.
A esto hay que agregar que la forma tumi, en metal, fue empleada como una especie de moneda, en vastas regiones del área andina, como ha puesto de manifiesto Olaf Holm (1967).
- ^ a b c d "Tumi, the ceremonial knife Discover Peru". www.discover-peru.org. Retrieved 2016-10-14.
- ^ Douglas, John H. (September 2, 1978). "Golden Clues to the Mystery of the Andes". Science News. Society for Science & the Public. 114 (10): 171–173.
- ^ Dixon, Christine; Ford, Micheline; Fraresso, Carole; Fyfe, Andrew; Holmquist, Ulla; Maxwell, Simeran; Medina Castro, Maria Ysabel (2013). Gold and the Incas: Lost Worlds of Peru.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p. 205.
- ^ Birmingham Museum of Art (2010). Birmingham Museum of Art: Guide to the Collection. London, UK: GILES. p. 91. ISBN 978-1-904832-77-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9-10. Retrieved 2011-07-19.
- ^ "Peruvian archaeologists excavate first 'tumi' knives from pre-Inca tombs". Associated Press. 2006-11-21. Retrieved 2008-11-24.
- ^ a b Scott, John F. (1999). Latin American Art: Ancient to Modern. Gainesvill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p. 128.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