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둥 시
Wedung웨둥 시 | |
---|---|
![]() 1939년 이전의 발리 스타일 웨둥. | |
유형 | 프로페셔널 나이프, 마체테 |
원산지 | 인도네시아 |
서비스 이력 | |
사용자 | 발리인족, 자바인족 |
사양 | |
길이 | 약 30~35cm |
블레이드 타입 | 볼록한 가장자리가 있는 직선 후면 블레이드 |
힐트형 | 나무, 버팔로 뿔 |
스캐버드/피복 | 목재, 버팔로 뿔 피팅 |
웨둥(또는 웨둥, 웨둥)은 인도네시아에서 유래한 자바족과 발리족의 전통적인 큰 칼이다.
설명
웨둥(Wedung)은 짧고 넓은 마체(Bendho[1])이다. 그것의 칼날은 등이 곧고 가장자리가 S자형이다. 그것은 부드러운 철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파모르 단조 작업도 일어난다. 뒷면은 때때로 그 지점으로부터 길이의 1/3을 따라 날카롭게 갈린다. 칼날 밑부분이 곧고 뒤쪽으로 90도 각도로 서 있다. 이 베이스는 보통 접힌 자국이 있거나 작은 이빨(그르넨)로 장식되어 있다. 동그란 '눈'이나 구멍(kmembm kacang)이 발견되기도 한다. 게다가, 기단에는 상감 작품과 신화적인 용(나가), 잎과 꽃무늬를 표현하여 장식할 수도 있다. 탱(peksi)은 칼날의 두꺼운 등 테두리로 만들어진다. 스파이크와 블레이드 사이에는 오각형 부분(메톡 또는 일체형 받침)이 단조된다. 자바의 오각형인 짧은 자루는 그대로 메타옥의 연장선상에 있다. 자루는 보통 나무로 만들어지지만 동물 치아와 같은 다른 물질도 발견된다. 그것의 매끄러운 윗부분은 납작해졌다. 발리의 웨둥은 모양이 좁고 대개 더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베이스 근처의 후면에는 장식이 추가되기도 한다. 발리네즈 웨둥의 자루와 메톡은 오각형 대신, 대개 단면이 둥글다. 그것은 때때로 끌로 그려진다. 나무 딱지는 보통 칼날의 모양을 따르지만, 직사각형의 아랫부분이 있을 수 있다. 그것의 입의 테두리는 사방이 넓다. 뒷면에는 신발 경적을 닮은 커다란 뿔고리(상클레탄)가 달려 있으며, 이 고리에는 웨둥을 허리띠에 매어 놓을 수 있다. 이 갈고리는 뿔, 라탄 또는 금속 조각으로 딱지에 부착된다. 값비싼 예에서 딱지에는 둥근 모양이나 쉼표 모양의 금색이나 은색 마개가 있는 경우가 있다.[2]
문화
웨둥은 헬리콥터 모양의 독특한 무기로, 모든 족장들이 주권자가 있을 때 국가의 행사 때 착용한다.[3] 관목 베기 등의 일을 수행하거나 풀 베기 등 가장 보잘것없는 일까지 수행했다는 이유로 술탄에게 봉사의 상징으로 궁전(크라톤)에 실려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더 이상 진짜 무기가 아니라 오히려 왼쪽 엉덩이에 짊어지고 개인적인 장식으로 쓰이는 작업용 도구다.[2] 남성만을 위한 케리스와 달리 웨동은 남녀 모두 크라톤에서 입을 수 있다.[4]
참고 항목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웨둥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조
- ^ Amir Mertosedono (1987). Mengenal Senjata Tradisional Kita. Dahara Prize. ASIN B0000D7JZJ.
- ^ a b Albert G Van Zonneveld (2002). Traditional Weapon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Koninklyk Instituut Voor Taal Land. ISBN 90-5450-004-2.
- ^ Thomas Stamford Raffles (1830). The History of Java. John Murray. ASIN B005ZI21FY.
- ^ Heru Basuki (2007). Dakwah Dinasti Mataram Dalam Perang Diponegoro, Kyai Mojo & Perang Sabil Sentot Ali Basah. Samodra Ilmu. ISBN 978-602-8014-01-4.
추가 읽기
- George Cameron Stone, Donald J. LaRocca (January 1999), A Glossary of the Construction, Decoration and Use of Arms and Armor: in All Countries and in All Times, Courier Dover Publications (published 1999), p. 665 & 666, ISBN 978-0-486-407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