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7 (베를린 U-반)

U7 (Berlin U-Bahn)
Berlin U7.svg
개요
로캘베를린
스테이션40
서비스
유형급행열차
시스템베를린 U-반
연산자베를리너 베르케르스베트리베
역사
열린1924년 4월 9일
라인완료1984년 10월 1일
기술
선 길이31.8km(19.8mi)
트랙 게이지
  • 1,435 mm (4ft 8+12 인치) 표준 게이지
  • 그로프로필
노선도

-0.6
스판다우 역행점
0.0
라타우스 스판다우
VBB Bahn-Regionalverkehr.svg Berlin S3.svg Berlin S9.svg
0.8
알트슈타트 스판다우
1.6
지타델레
2.7
하셀호르스트
3.6
폴스턴스트라제
4.7
로드람
5.4
지멘스담
6.3
할렘베그
6.8
야콥카이저플라츠
7.7
융페른하이드
8.3
미렌도르프플라츠
9.4
리처드 와그너 플라츠
10.0
비스마르크스트라제
Berlin U2.svg
10.5
윌머스도르퍼 스트라제
샬롯텐부르크
11.3
아데나워플라츠
11.9
콘스탄저 스트라제
12.5
페어벨리너 플라츠
Berlin U3.svg
13.2
블리세스트라제
13.8
베를리너 스트라제
Berlin U9.svg
14.5
바이에리셔 플라츠
Berlin U4.svg
15.1
아이젠허 스트라제
15.8
클라이스트파크
16.6
요르크스트라제
Berlin S1.svg Berlin S2.svg Berlin S25.svg Berlin S26.svg
17.8
뫼켄브뤼케
Berlin U1.svg Berlin U3.svg
18.6
메링담
Berlin U6.svg
로부터
19.3
그네세나우스트라제
20.2
수드스테른
21.3
헤르만플라츠
Berlin U8.svg
22.2
라타우스 노이콘
22.9
카를마르스트라제
23.8
노이쿤
24.5
그렌잘리
25.7
블래쉬코알리
26.5
파치머 알레
27.3
브리츠수드
28.4
요한니스탈러 차우스체
브리츠 디포
29.2
립스치츠탈리
30.0
우츠킬리
30.7
즈위카우어 담름
31.8
루도우
32.4
루도우 역행 포인트

U7베를린 U-Bahn의 철도 노선이다.40개 역을 통해 31.8km(19.8mi)의 길이 동안 완전히 지하로 운행하며, 스판다우노이쿤을 거쳐 그로피우스슈타트루도우까지 연결한다.이 노선은 원래 벨-알라이언스-스트레이트(Mehringdamm) 지점과 그렌잘리 지점 사이를 운행하던 노르드-슈드-반(U6)의 남동 지선이었으나, 1960년대에는 이 노선이 나머지 노선에서 분리되어 양끝에 연장되어 새로운 노선이 형성되었다.2007년 현재 U7은 절대길이와 총 이동시간 면에서 베를린에서 가장 긴 지하선이며, 유럽에서 가장 긴 (입주) 지하선 중 하나이다.

경로

루도우를 출발하여 그로스-지에테너 차우스제와 누켈너 스트라제가 만나는 지점에서 U7은 알트-루도우 도로 아래 북서쪽으로 달린 뒤 그로피우스슈타트 지역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잡는다.U7은 정착지와 지하 건설이 동시에 계획되었기 때문에 브릿츠-스위드 역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도로를 따라가지 않는다. 이 역은 프리츠-루터-알레 까지 운행되며 블라스코알레 역까지 운행한 뒤 부쉬크루갈리 노선에 합류하기 전이다.칼-마르크스-스트라제 휘하에서 도시 고속도로와 링반 강을 건너 북쪽으로 계속 가다 하센하이드, 수드스테른, 그네이스나우스트라제 아래 북서쪽으로 향하다가 아주 날카로운 오른쪽 커브를 지나 메링담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왼쪽 커브가 팽팽하면 U7이 템펠호퍼 우퍼(영어:템펠호프 수변)은 뫼켄르브뤼케 역까지 갔고, 또 다른 역은 옛 안할터 귄터반호프(영어:Anhalter 상품 스테이션).요르크스트라테, 윌만담, 그루네발트스트라테, 바이엘리스처 플라츠, 베를리너 스트라테 밑에서 서쪽으로 계속하다가 브란덴부르크시슈 스트라테를 따라 북쪽으로 아데나워플라츠 역으로 향한다.

윌머스도르프 스트라베로 가는 곡선은 U7호를 비스마르크스트라데 역으로 북쪽으로 가져가는데, 거기서 이 도로와 북쪽 연속선인 윈터스티스트라예와 쇠머링스트라데를 따라 이동하면서 리처드-와그너-스트라테로 더 변한다.융페른하이드 역에서 U7은 두 번째로 링반을 가로지른 뒤 웨스파펜카날 밑으로 통과한다.그 트랙은 넓은 호를 통해 서쪽으로 돌아서 지멘스담과 논넨담리를 따라간다.암 줄리우스툼 도로 아래의 스판다우 시타델 남부를 지나 스판다우 구시가지 아래를 운행하며 라타우스 스판다우 역에서 종착한다.

U7은 베를린의 12개 구역을 통과한다.루도우, 그로피우스슈타트, 브릿츠, 노이콘, 크루즈베르크, 슈네베르크, 윌머스도르프, 샬롯텐부르크-노르드, 지멘스슈타트, 하셀호르스트, 스판다우.

역사

남북 지하의 건설: 1901-1930

1930년 옛 노르드수드 반의 지도

1901년경 베를린 시는 프리드리히스트라제 아래에 지하 철도 노선을 건설하여 북쪽과 남쪽을 연결할 계획을 세웠다.베르너 지멘스 또한 동시에 노벨스트라제 휘하의 남북 노선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었지만, 대중교통이 시 소유에 있어야 한다는 이유로 이에 대한 허가가 거절되었다.이에 따라 베를린은 웨딩템펠호프(2007년 기준, U6의 일부)를 노르트-수드-반(North-Süd-Bann)으로 연결하는 공사를 시작했다.

제1차 세계대전은 공사를 어렵게 만들었고, 마침내 완전히 중단시켰다.1919년에 다시 작업이 시작되었지만, 더 이상의 합병증이 없다면 그렇게 되지 않았다.초인플레이션 시기였던 1921년에는 금융 혼란이 극심해지면서 기존 터널을 메운 것으로 간주됐다.그러나 공사는 계속되었고, 1923년 1월 30일 할레스체 토르에서 스테티너 반호프(나투르쿤데무스움으로 개칭)에 이르는 첫 터널 구간이 개통되었다.

U7의 역사는 1924년 4월 9일, 할레스체 토르에서 그네이스나우스트라에 이르는 지점이 건설되면서부터 뉴켈른에 이르는 지점이 건설되면서 시작되었다.인플레이션이 여전히 타격을 받고 있는 가운데, 공사는 작은 단계에서만 진행되었다.인근 공원의 이름을 따서 하센하이데 역까지 연장(이후 슈트스테른으로 개명)한 것이 같은 해 12월 14일에 그 뒤를 이었다.독일과 베를린의 재정상황이 개선됨에 따라, 노이쿤으로 가는 지사를 포함한 지하 철도 건설도 함께 개선되었다.

U-Bahn 대성당 같은 것을 닮은 헤르만플라츠 역에서 베를린 최초의 지하 철도-철도 건널목이 개발되었고, GN-Bann (U8보다 더 늦은)로의 환승은 이 역에서 계획되었다.이 역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 최초의 베를린 지하역이기도 하다.하센하이데에서 베르그스트라데까지 구간은 1926년 4월 11일에 시행되었다.그렌잘리까지의 1.5km(0.9mi) 연장선인 당시 노이콘 지부의 마지막 무대는 1930년 12월 21일, U5 노선이 될 개통 당일, 가장 큰 지하 개항 기념행사 중 하나로 운영되었다.그리고 나서 지하 승객들은 세스트라제 (U6)에서 도심지를 거쳐 템펠호프나 그렌잘리 중 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전후 지하선들은 1901-1914년 이전 지하선들로부터 더 큰 터널과 열차로 구분되어 민간 운영의 베를리너 호흐반젤샤프트(영어:Berlin Highed Railway Company)와 더 큰 경쟁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되었다.더 넓었지만 동일한 표준궤도 선로를 사용한 새로운 열차와 터널은 그로프로필(영어: large profile)으로 설명되었다.

루도우 연결

루도우 종착역 승강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를린의 많은 거주지가 파괴되면서, 대규모의 새로운 주택 개발이 필요했다.서베를린의 남쪽에 세워진 브릿츠와 브릿츠-부코프-루도우(BBR; 후에 Gropiusstadt)는 서베를린 도심에 새로운 고속 철도 연결을 요구했고, 지하 철도의 건설은 1959년 11월 2일에 시작되었다.

그렌잘리에서 브리츠수드까지 이어지는 트랙은 1963년 9월 28일에 개통되었다.

건설은 1965년 1월 2일 브리츠수드에서 루도우까지 시작되었다.1970년 1월 2일 즈위카우어 담름으로의 여행이 가능하게 되었고, 1972년 7월 1일 루도우는 7호선과 연결되었다.

서쪽으로 확장

1924년에 개업한 지국역 벨-앨리언스-스트라제(후기명 메링담)는 3개의 트랙을 가지고 있었는데, 첫 번째 플랫폼에서 템펠호프까지 연결, 두 번째 플랫폼에서 노이쿤까지 연결, 세 번째부터는 도심까지 연결되었다.환승역 할레스체 토로의 과부하를 피하기 위해 누켈너 지선과 남북선 분리가 결정되었다.따라서 7호선은 벨-알라이언스-스트레이에서 서쪽으로 연장되었다.1962년 중반에 착공하여 뫼켄브뤼케 역과의 연계를 받아 1966년 2월 26일에 준공되었다.뫼케른브뤼케 역의 건설 외에도, 메링담 역의 변경은 필요하며, 메링담 역은 갈리지 않은 선 사이의 환승 지점이 될 것이다.

7호선의 추가 연장은 보조금 기금으로 이루어졌다.뫼켄브뤼케에서 페르벨리너 플라츠까지 이어지는 선로의 건설은 1962년 7월 1일에 시작되어 1971년 1월 29일에 끝났다.

알트슈타트 스판다우: 종착역 라타우스 스판다우 이전의 마지막 역

스판다우까지 3단계로: 1960-1984년

1960년대 말에 스판다우로 가는 지하 철도 노선에 대한 아이디어가 다시 생겨났다.지멘스스타트까지 대중교통을 개선하기 위해 7호선 연장 계획, 미렌도르프플라츠, 융페른하이드, 논넨달리 등이 선정되었다.이미 그 당시에는 스판다우로 가는 지하철을 건설하려는 계획이 있었다.오늘의 U2 라인이 루흘벤으로 연장되면서 첫 조치가 취해졌다.종착역인 루흘레벤은 스판다우와의 지역 경계선에 바로 위치해 있다.1967년까지 트램으로 대체된 급수 및 유통 교통은 지하철역 루흘레벤에서 스판다우의 개발을 위한 전용 버스 노선으로 제공되었다.

Fehrbelliner Platz-Richard-Wagner-Platz 구간의 공사는 1969년 H-West-II에 시작되었다.1970년까지 베를린 지하철 5호선은 당시 가장 짧고 덜 자주 이용하는 도이치 오퍼레이터리차드 바그너 플라츠 사이에서 진동했다.그들의 옛 노선은 여객 수송을 위해 폐쇄되었고, 옛 노선보다 수 미터 아래에 새로운 역이 건설되었다.나머지 터널은 운행 구간으로 전환될 수 있어 알렉산더플라츠 역의 와이센투넬에 이어 두 번째 소형과 대형 종단 간 교환선이 될 수 있었다.이 노선은 브란덴부르크시 스트라제 아래에서 계속되며 기차역도 건설된 아데나워플라츠에서 쿠르퓌르스텐덤을 가로지른다.이 역은 현재의 Uhlandstraze에서 아데나워플라츠까지 U-Bahn 선 U1을 연장할 계획이었던 그대로(그리고 아직 공식적으로) 건널 역으로 만들어졌다.아데나워플라츠에 이어 윌머스도르퍼 스트라제 밑에서 선로가 흔들리며 스타드반 밑으로 지나간다.

윌머스도르퍼 스트라지는 샬롯텐부르크 S반 역으로 가는 보행자 통로로 건설되었다.비스마르크스트라제에는 기존에 있던 1호선(지하철 U2로 개칭) 터널의 상태가 좋지 않아 대대적인 보수공사가 필요했기 때문에 새로운 지하 철도역을 건설해야 했다.비스마르크스트라제 이후 23채의 주택이 밑받침이 되어야 했으므로 실드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이 구역을 조정하였다.페어벨리너 플라츠에서 리처드 와그너 플라츠에 이르는 무대가 1978년 4월 28일에 가동되었다.

지멘스스타트에 위치한 샤를로텐부르크-노르드에서 1967년 7월 3일 토공사와 일부 고속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1973년부터 Rohrdamm까지 이 구간에 대한 공사가 시작되었다.스판다우를 향한 다음 구간의 공사는 1973년에 시작되었다.이 노선은 리차드-와그너-플라츠 역의 북쪽을 향해 쇠메링스트라테 강 아래로 더 나아가게 된다.Mierendorff플라츠 중간쯤에, Strew케이슨 시공법을 사용하여 언더패스된다.몇 미터 후 역은 미렌도르프플라츠를 따라간다.역 북쪽으로는 기존 S반 역인 융페른하이데까지 가는 노선이 넓은 정박지를 이룬다.이곳에는 슐로스트라데 역과 비슷하게 승강장이 두 층으로 지어졌다.다른 선로는 오늘까지 U5가 연장될 수 있도록 보관되어 있는데, 이는 레테르에서 터름스트라제, 융페른하이드를 거쳐 테겔 공항으로 연결될 예정이다.그러나 예산 사정으로 인해 테겔 공항의 폐쇄 계획으로 융페르네히드 역의 북쪽 연장 기간이 길어지면서 계획은 취소되었다.트램스가 U-Bahn 연장을 대체할 것이다.완성된 증축은 현재 소방훈련에 사용되고 있으며 더 이상 어떤 향후 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없다.1980년 10월 1일에 이어 1980년 10월 1일에 스판다우 구에 첫 지하 연결을 제공했다.

스판다우 시 중심부로의 확장 비용은 예상치 못한 수준으로 상승했는데, 하벨 강과 주변 지역의 늪지대를 축소해야 하는 결과로 6억 8천만 독일 마크를 소비했다.건설은 1977년 7월 4일에 시작되었다.여러 변종이 조사되었다.한 가지 계획은 하젤호스터 마을 회관을 통해 지하철을 유도하는 것인데, 하벨 호가 가장 넓은 지점 중 하나에서 언더컷을 받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또 다른 변형으로는 지하철이 기존의 스판다우 교외 철도인 에스반(S-Bahn)을 횡단하고 남쪽에서 스판다우 시청으로 지하철이 인도된다는 것이었다.이 계획은 매우 늦게 결정되었는데, 200킬로 미터(120 mi)의 계획이 포켄세르 플라츠를 넘어 팔카겐세르 펠드로 U7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이로 인해 스판다우 구시가 연장의 주요 목표였던 연장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생겼다.마침내 그들은 스판다우 시타델을 지나 남쪽인 논넨담말리(Nonnendammallee) 길이나 암 줄리우스툼(Am Juliusturm) 거리를 따라 루흘벤의 U2 선 U2의 소형 프로필 노선 연장에 의해 팔케하겐더 펠드의 개발이 이어지게 되었다.1984년 10월 1일, 당시 독일 연방총리였던 헬무트 콜이 참석한 가운데 로담에서 라타우스 스판다우까지 U7의 마지막 구간이 개통되었다.

미래계획

베를린 시 정부는 2014년 '베를린 U-Bahn 2014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에 따라 U7 북방 확장 공사가 2021년 착공돼 2025년 완공될 것으로 보인다.[citation needed]루도우에서 노이호퍼 스트라제, 리젤로테-베르거 스트라제, 쇤펠트거쳐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까지 남쪽 연장은 이미 그러한 확장을 정당화할 만큼 기대했던 후원금이 높지 않아 보류되었다.그러나, 브랜덴부르크 신공항 개항 이후 테겔 공항을 계속 열기 위한 투표 조치에 비추어, 집권당 시장인 마이클 뮐러는 슈네펠트 및/또는 신공항을 향한 U7의 연장을 제안했고, 슈네펠트와 누켈른의 베를린 지역 정치인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1][2][3]

라인 색상 및 이름

1966년에, 분기된 C 라인은 보라색 지도 색깔을 가졌다.나머지 선에서 분리되어 선명이 글자에서 숫자로 바뀐 후, 이 노선을 리니 7(영어: 7호선)이라고 불렀고, 회색으로 표현되었다.그러나 1978년 이후에는 지도에서 더 쉽게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밝은 파란색으로 바뀌었다.1984년 이후 모든 지하철 노선이 U 접두사를 받아 'U7'로 불렸다.역 간판들은 세계적으로 지하철에서 널리 쓰이는 헬베티카 폰트를 사용한다.[4]

대중문화에서

2009년 3월 TML-Studio는 Windows를 위해 'World of Traffics Vol. 2: U7 - Berlin'[5]을 발표하여 플레이어들에게 U7 라인에서 F90 또는 H01 롤링 스톡으로 열차를 운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참조

  1. ^ "Senat prüft U-Bahn-Ausbau zum BER und ins Märkische Viertel". Der Tagesspiegel (in German). 1 July 2017.
  2. ^ "Wird die U7 jetzt doch bis zum BER verlängert?". BZ (in German). 30 June 2017.
  3. ^ "Bürgermeister fordern U7-Verlängerung nach Schönefeld" (in German). 19 February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18.
  4. ^ Oltermann, Philip (11 March 2015). "From grotesque to quirky: a history of Berlin told through U-Bahn typography". The Guardian.
  5. ^ "Volume 2: U7 - Berlin". World of Subway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October 2017.

추가 읽기

  • Meyer-Kronthaler, Jürgen; Kurpjuweit, Klaus (2001). Berliner U-Bahn – In Fahrt seit Hundert Jahren (in German). Berlin: be.bra Verlag. ISBN 3-930863-99-5.
  • Domke, Petra; Hoeft, Markus (1998). Tunnel, Gräben, Viadukte. 100 Jahre Baugeschichte der Berliner U-Bahn (in German). Berlin: Kulturbild-Verlag. ISBN 3-933300-00-2.
  • Lemke, Ulrich; Poppel, Uwe (1992). Berliner U-Bahn (in German). Düsseldorf: 3. Aufl. Alba Verlag. ISBN 3-87094-346-7.
  • Gottwald, Alfred (1994). Das Berliner U- und S-Bahnnetz. Eine Geschichte in Streckenplänen (in German). Berlin: Argon. ISBN 3-87024-2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