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너루길
Wanneroo Road완너루길 | |
---|---|
![]() | |
남쪽을 바라보며, 투아르트 언덕의 퍼스를 향해 | |
![]() | |
일반 정보 | |
유형 | 고속도로 |
길이 | 43.6km(27mi) |
열린 | 1920년대 |
경로 번호 | ![]() |
주요 접점 | |
남쪽 끝 | ![]() |
노스엔드 | ![]() |
위치 | |
주요 교외 | 투아르트 언덕, 완네루, 옌쉐프 |
고속도로 시스템 | |
완네루 도로는 서호주 퍼스 북부 교외 44km(27mi)의 동맥고속도로로 남부의 조단나·요키네와 북부의 완네루·옌체프를 잇고 있다.국도 60호선의 일부로서 도심지의 찰스 스트리트에서 시작하여 동가라까지 인도양 드라이브로 변한다.
원래 각 방향마다 하나의 차선이 있는 좁고 자주 가는 시골길은 주기적으로 넓어져 왔고 (특히 완네루의 북쪽)은 곧게 펴져 왔다.카라부다 일대에는 도로가 재정비되었다.원래의 좁은 도로의 짧은 구간은 도로를 따라 부동산과 사업체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도로는 국도 81호선과 83호선과 함께 단기간 다중화된다.
경로 설명
완네루 도로는 퍼스의 북부 교외에 있는 미첼 프리웨이(2번 국도)의 대체 노선으로 60번 국도의 일부다.이 도로의 남쪽 종착역은 조단나에 있는 런던 스트리트(국도 61호선)로, 찰스 스트리트(Charles Street)로 남하하며, 북쪽 종착역은 옌체프(Yanchep)의 옌체프 비치 로드(Beach Road)로, 북쪽으로는 인도양 드라이브로 이어진다.서부 오스트레일리아 간선도로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이 도로는 대부분 4차선 이중도로(6차선인 발카타 내 제외), 즉 던스턴 로드의 남쪽과 트리안 로드와 버나드 로드 남부 사이의 카라부다의 짧은 구간이며, 나머지는 외곽 시골 북부 교외에서 2차선 단차선 도로다.
The speed limit is predominantly 70 km/h (43 mph); however, it is 60 km/h (37 mph) south of Royal Street in Tuart Hill and within the Wanneroo Town Centre, 80 km/h (50 mph) north of Neerabup Road in Neerabup, and then 90 km/h (56 mph) north of Hester Avenue until its terminus in Yanchep.
남쪽 종착지에서 비치 로드까지, 그 도로는 스털링 지방정부 지역(LGA) 내에 있고, 그 후 욘달업 시와 완네루 LGAs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도로는 휘트포드스 애비뉴까지 남아있다. 이 도로는 완네루 시의 나머지 기간 동안 전용이다.
완너루로 조단나
완네루 도로는 런던 가의 교통 신호등 Y-인터섹션에서 남쪽으로부터 찰스 가의 연장선으로 시작된다.스털링 시 내에서 시작하여, 준단나, 투아트힐, 요키네 교외를 가로지르며, 케이프와 왕립 거리의 교통신호가 통제되는 교차로를 마주하게 된다.주요 도로가 있는 첫 번째 교차로는 2.5km(1.6mi) 후방의 몰리 드라이브와 있다.
North of Morley Drive, it travels through the suburbs of Balcatta, Westminster, and Nollamara, during which it encounters traffic light controlled intersections at Nollamara Avenue, Amelia Street, Main Street, Balcatta Road, and Victoria Road/Halley Road, eventually reaching a diamond interchange with Reid Highway following a 3.5 km (2.2 mi) run al앞서 말한 교외를 ong다리드 하이웨이는 완네루 도로 아래를 쉬지 않고 달린다. 완네루 도로에서는 두 램프 모두 신호등에 의해 통제된다.
완네루 도로는 해머슬리 교외를 따라 도로 서쪽을, 발가는 동쪽을 따라 이동하며, 이후 1.9km(1.2mi)의 해변 도로와 교통 신호등 제어 교차로에 도달한다.이 교차로에 이어 준달업시와 완네루 LGA의 경계를 이룬다.그 후 완네루 도로는 왕가라 공업 교외에 접근하여 4.8km(3mi)의 거리를 지나, 워릭 로드, 마랑가루 드라이브, 헵번 애비뉴(킹스웨이 시티 쇼핑센터 근처), 킹스웨이, 그낭가라 로드, 휘트포드 애비뉴의 신호등과 교차한다.워릭 로드와 마랑가루 드라이브의 T준딩이 서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완너루 로드도 그 두 도로 사이에 국도 81호선이 있다.그낭가라 로드와 휘트포드스 애비뉴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존재하지만, 두 교차로 사이의 짧은 구간은 주 83번 국도를 통과한다.
휘트포드스 에비뉴 이후 이 도로는 완네루 시 내에 독점적으로 있으며, 산업 교외인 왕가라와 서쪽의 우드베일을 따라 동쪽으로 약 2km(1.2mi) 정도 이동하며, 이 도로는 새로운 주택 개발의 증거가 있다.왕가라 내에서는 프리디빌 드라이브와의 신호등 제어 T-정차로를 마주한 뒤 완네루 도로와 경사가 구분된 교차로인 오션리프 로드에 닿아 오션리프 로드는 오션리프 로드의 신호등 교차로 위를 자유롭게 흐른다.
오션리프 로드 북쪽, 완네루 도로는 피어솔과 호킹의 주택가 교외를 따라 약 2.5km(1.6mi) 정도 이동한 뒤 완네루 도심에 진입한다.시내 중심부 내에서 1.7km(1.1mi)를 달리면 콘란 애비뉴/헤이스팅스 스트리트(완너루 센트럴 쇼핑센터 접근성 제공)와 던데바 로드가 교차한다.이어 시나그라, 애쉬비, 탭핑 등의 주거 교외를 4.1km(2.5mi) 동안 이동하며, 이 도로는 신호등 T준결승에서 핀자르 도로와 왈라와 거리와 교차하며, 결국 욘달업 드라이브(Jondalup Drive에 이른다.이곳은 오션리프 로드와 마찬가지로 경사가 구분된 인터체인지지만, 우회 교차로 구성으로 완너루 로터리 위로 조달업 드라이브가 자유롭게 흐른다.
완네루 북부
준달업 드라이브 이후 개발이 점점 더 뜸해지고, 교외에서 전원 풍경으로 전환되기 시작한다.완네루 도로는 주로 네라업(그리고 카라마르의 일부 주택지 개발)의 부쉬랜드를 거쳐 플린 드라이브 및 네라업 도로 3.5km(2.2mi)와 함께 신호등 제어 교차로에 도달한다.이 도로는 3.1km(1.9mi) 동안 네라밥을 계속 지나다가 완너루 도로의 최북단 신호교차로인 헤스터 애비뉴와 교통신호제어 T-준교차로에 도달하고, 미첼 프리웨이와 동료 동맥도로 마미온 애비뉴로 연결되는 최북단 링크에 도달한다.그 연장선 내에, 도로와 나란히 현재 그 길을 따라 사업체들과 부동산들을 위한 진입로가 된 원래의 좁은 도로의 일부가 있다.이제 노우거읍 교외에서 이 도로는 이 교차로에서 북쪽으로 2.6km(1.6mi) 떨어진 곳에 있는 2차선 단일 차선 도로를 축소하고, 4차선 단일 차선 도로가 다시 나타나고 버나드 로드 사우스까지 3km(1.9mi) 동안 계속되어 다시 한 번 단일 차선으로 축소된다.완네루 도로는 약 4km(2.5mi)가 지난 후 옌쉐프 해변도로와 T 분기점에서 종착하고, 인도양도로(및 주 60호선)가 북진하여 랜슬린, 세르반테스, 주리엔베이 등 퍼스 대도시 북방한계(위트벨트 지역)를 넘어 해안 지방으로 향하는 인도양 드라이브로 이어진다.인도양 드라이브(Indian Ocean Drive)는 결국 제럴드턴 북쪽으로 향하는 주요 노선으로 브랜드 하이웨이에 도달하게 된다.
역사
1871년 도로법 제정 후, 퍼스 로드 보드는 입법회의에게 8개의 공공의 철저한 경계선을 자국 영토로 선포할 것을 요청하였고,[1] 1872년 6월 4일 퍼스에서 완네루를 거쳐 챔피언 베이(현 제럴드톤)로 가는 노선으로 의도된 3번 도로가 관보에 게재되었다.[2]그러나 도로 선전행위는 그 발전과 연연하지 않았고, 선로 표면화에 대한 진전은 느린 속도로 일어났다.
1940년 11월 도로 이름을 '양체프 고속도로'로 바꾸자는 제안이 나왔다.[3]퍼스 로드 보드(현 스털링 시)는 완너루 로드 보드(현 완너루 시)의 명칭을 변경하기 위해 이 제안에 찬성했으나,[3] 완너루 로드 보드는 퍼스 시의회 지역에 찰스 스트리트까지 포함하면 명칭 변경을 지지할 것임을 시사했다.[4]어떠한 합의에도 이르지 못했어요.
이 도로는 1994년과 1996년 사이에 리드 하이웨이 동부 구간의 서부 종착역을 나타냈는데, 그 때 리드 하이웨이의 연결고리가 없어져 결국 1996년에 계속되었다.
2008년에는 오션리프로드(SR84)와의 교차로가 업그레이드되었다.북쪽 완너루에서 서쪽으로 향하는 오션리프도로 진입하는 운전자를 위한 두 번째 좌회전 차선, 서쪽 방향의 오션리프도로 진입하는 두 번째 우회전 차선, 서쪽 방향의 오션리프도로에 두 번째 좌·우회전 차선이 추가됐다.
2010년 동안 완네루 로드는 월와 가에서 준달업 드라이브로 복제되었다.2013년 헤스터 에비뉴에 신호등이 설치됐는데, 이후 미첼 고속도로 연장 공사 일환으로 2017년 중복됐다.
2016~2019년 준달업 드라이브 북쪽 도로의 상당 부분이 중복되었는데, 2016~2017년 미첼 고속도로 확장공사의 일환으로 플린 드라이브와 홀 로드 북쪽 구간이, 2018~2019년 준달업 드라이브와 플린 드라이브/네어럽 로드 교차로 구간이 중복되었다.기존 신호등 교차로인 오션리프로드와 준달업드라이브를 등급분리형 교차로로 전환하기 위한 작업도 2018년부터 시작됐으며, 두 작업은 모두 2020년까지 완료됐다.
결합체
LGA | 위치 | km | mi | 목적지 | 메모들 |
---|---|---|---|---|---|
스털링 | 조단나-요키네 경계 | 0.0 | 0.0 | ![]() ![]() | 완네루 도로 종점; 찰스 스트리트 남쪽에 길이 이어져; 신호등이 y-정차를 통제한다. |
투아르트 힐-요키네 경계 | 1.0 | 0.62 | 케이프 스트리트 – 요키네, 투아트 힐, 오스본 파크 | 신호등 제어식 교차로 | |
1.6 | 0.99 | 로열 스트리트 – 요키네, 투아트 힐, 오스본 파크 | 신호등 제어식 교차로 | ||
투아르트 힐-요키네발카타놀라마라 쿼드리포인트 | 2.5 | 1.6 | ![]() | 신호등 제어식 교차로 | |
발카타-놀라마라 경계 | 3.2 | 2.0 | Nollamara Avenue – Nollamara, Mirrabooka | 신호등 제어 t-정차 | |
발카타-놀라마라-웨스트민스터 삼각지점 | 4.3 | 2.7 | 아멜리아 거리 – 발카타, 웨스트민스터, 미르라부카 | 신호등 제어식 교차로 | |
발카타-웨스트민스터 경계 | 4.9 | 3.0 | 메인 스트리트 – 발카타, 오스본 파크 | 신호등 제어기 t-정렬 | |
5.5 | 3.4 | ![]() | 신호등 제어 t-정차 | ||
5.7 | 3.5 | 핼리 로드 – 발카타 웨스트 / 빅토리아 로드 – 웨스트민스터 동부 | 신호등 제어식 교차로 | ||
발카타-웨스트민스터-해머슬리-발가 쿼드리포인트 | 6.0 | 3.7 | ![]() | 다이아몬드 인터체 | |
스털링-전달업-완네루 삼각지점 | 하머슬리-발가-워릭-기라웨인 쿼드리포인트 | 7.9 | 4.9 | 비치 로드– Carine, Malaga, Dayton | 신호등 제어식 교차로 |
준달업-완네루 경계 | 워릭-기라힘-그린우드-마랑가루 쿼드리포인트 | 8.9 | 5.5 | ![]() | State Route 81 남쪽 동시 접속 종단; 신호등 제어 t-정렬 |
그린우드-마랑가루 경계 | 9.2 | 5.7 | ![]() | 주정부로81번길 | |
그린우드-마랑가루-킹슬리-메이들리 쿼드리포인트 | 10.4 | 6.5 | ![]() | 신호등 제어식 교차로 | |
킹슬리-메이들리 경계 | 11.2 | 7.0 | 우드레이크 후퇴 서쪽 / 킹스웨이 – 다치, 랜드데일 동쪽 | 신호등 제어식 교차로 | |
12.3 | 7.6 | ![]() | 주정부로83번길 | ||
킹슬리-매들리-우드발레-왕가라 쿼드리포인트 | 12.7 | 7.9 | ![]() | 주정부로83번길 | |
완네루 | 우드발레-왕가라 경계 | 13.7 | 8.5 | 프린디빌 퍼레이드 – 왕가라 | 신호등 제어식 교차로 |
우드발레-왕가라-완네루-페르살 쿼드리포인트 | 14.7 | 9.1 | ![]() | 파클로 인터체인지 | |
완네루 | 18.4 | 11.4 | 헤이스팅스 가 | 완네루 센트럴 진입로, 신호등 제어 교차로 | |
18.5 | 11.5 | 던데바 로드 – 완네루 | 신호등 제어 t-정차 | ||
완네루-시나그라-아쉬비 삼각지점 | 19.8 | 12.3 | 핀자루길– 애쉬비, 태핑, 뱅시아 그로브 | 신호등 제어 t-정차 | |
완너루-애쉬비 경계 | 20.3 | 12.6 | 월와 거리 | 신호등 제어 t-정차 | |
완네루-타핑-네라부프-카라마르 쿼드리포인트 | 22.9 | 14.2 | ![]() | 회전교차 | |
네라부프 | 26.4 | 16.4 | Neerabup Road – Clarkson, Mindarie West / Flinn Drive – Neerabup, Banksia Grove | 신호등 제어 t-정차 | |
네라부프-노우거업 경계 | 29.5 | 18.3 | 헤스터 애비뉴– 리지우드, 메리와, 퀸스 록스 | 신호등 제어 t-정차 | |
옌체프 | 43.6 | 27.1 | 옌쉐프 비치 로드 – 옌쉐프, 서쪽 두 바위 /![]() | 완너루 도로의 북쪽 종착역; 인도양 드라이브로 북쪽을 이어가는 도로 | |
갤러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완너루 로드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워릭 로드에서 남쪽으로 향하는 보기
참고 항목
참조
- ^ Cooper, W.S.; G. McDonald (1999). Diversity's Challenge: A History of the City of Stirling. City of Stirling. p. 82.
- ^ "Major Roads". Western Australia Government Gazette. 4 June 1872. p. 1872:126.
- ^ a b ""YANCHEP-HIGHWAY."". The West Australian. Perth: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1 November 1940. p. 4. Retrieved 27 November 2012.
- ^ "PROPOSED YANCHEP HIGHWAY". The West Australian. Perth: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4 February 1941. p. 4. Retrieved 27 November 2012.
경로 지도:
KML 파일(편집 • 도움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