웬디고
Wendigo그룹화 | 전설의 생물 |
---|---|
하위 그룹 | 알곤킨어 |
지역 | 캐나다 미국 |
웬디고(Wendigo)는 신화 속 동물 또는 악령이며, 평원과 오대호 원주민 및 일부 퍼스트 네이션의 민속에서 유래한다.캐나다의 동해안 숲, 미국의 오대평원 지역, 미국과 캐나다의 오대호 지역에 근거지를 두고 있으며, 현대 민족학에서 알곤킨어족 언어를 구사한다.웬디고는 종종 악령이라고 불리며, 때로는 인간을 소유하는 인간과 같은 특징을 가진 동물로 묘사되기도 한다.웬디고는 만족할 수 없는 탐욕/배고픔, 다른 인간을 잡아먹으려는 욕망, 그리고 그 [1]영향 아래에 있는 사람들에게 살인을 저지르는 경향을 유발한다고 한다.
어떤 표현에서는 웬디고는 얼음 심장을 가진 거대한 인형으로 묘사된다; 악취나 갑작스럽고 때아닌 추위가 다가오기 [2]전에 나타날 수 있다.아마도 유럽인들이 예를 들어 werewolves,[3]에 대해 자신만의 미신을 오랜 식별로 예수 회파 신도의 관계 아래에 명시된 때문에, 할리우드 영화 표현 자주 하지만 이런 동물이 특징으로 원래 원주민 이야기에는 나타나지 않human/beast 하이브리드는"wendigo"이름과 뿔, 뿔을 쓰입니다.[2]
현대 정신 의학에서 웬디고는 인육에 대한 강한 갈망과 식인종이 되는 [4][5]것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과 같은 증상들로 특징지어지는 "웬디고 정신병"으로 알려진 정신병 형태에 이름을 붙였습니다.웬디고 정신병은 문화에 얽매이는 증후군으로 묘사된다.일부 퍼스트 네이션 공동체에서는 탐욕과 환경 파괴와 같은 다른 증상들도 웬디고 정신병의 [4]증상이라고 생각됩니다.
어원학
이 단어는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로 나타나며 많은 대체 번역이 있다.영어 단어의 근원은 오지베어 windigoo입니다.[6]크리어로 wīhtikow,[7][8] wetiko로 번역됩니다.기타 번역본으로는[9] 윈디구,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윈디고,
복수형 windigoag는 windegoag, windigooag 또는 [9]windikouk라고도 한다.
알곤조어는 *wi·nteko·wa로 재구성되었으며, 이는 "부엉이"[10]를 의미했을 수 있다.
평행
웨추지는 북서 태평양 연안의 아사바스키족 전설에 등장하는 비슷한 존재이다.그것은 또한 식인종이었지만, 그것은 조상들의 [11]통찰력으로 계몽된 것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
민속학
묘사
웬디고는 오지베족, 사우토족, 크리족, 나스카피족, [12]이누족을 포함한 많은 알곤킨족들의 전통적인 믿음 체계 중 일부입니다.묘사는 다소 다를 수 있지만, 이 모든 문화에서 공통되는 것은 웬디고가 악의적이고 식인적이고 초자연적인 [13]존재라는 견해입니다.그들은 겨울, 북쪽, 추위, 기근, [14]기아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온타리오 출신의 오지브웨 교사이자 학자인 Basil H. Johnston은 웬디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웬디고는 수척할 정도로 수척했고, 마른 피부가 뼈 위로 팽팽하게 당겨졌다.뼈가 살갗에 밀리고, 안색이 죽음의 회색을 띠고, 눈이 안쪽으로 깊숙이 들어가면서, 웬디고는 최근 무덤에서 꺼낸 수척한 해골처럼 보였다.어떤 입술이 너덜너덜하고 피투성이였는지...불결하고 육체의 화농에 시달리던 웬디고는 부패와 부패, 죽음과 [15]부패의 이상하고 섬뜩한 냄새를 풍겼다.
오지브웨, 이스턴 크리, 웨스트메인 늪지 크리, 나스카피, 이누 전설에서 웬디고는 종종 인간보다 몇 배 더 큰 거인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다른 알곤킨 [16]문화에서는 신화에 없는 특징입니다.웬디고가 다른 사람을 잡아먹을 때마다 방금 먹은 식사에 비례하여 자라기 때문에 결코 배가 [17]부를 수 없었다.그래서 웬디고는 식탐이 많은 동시에 기아로 인해 극도로 마른 것으로 묘사된다.
웬디고는 식탐, 탐욕, 과잉의 화신으로 보여진다: 한 사람을 죽이고 소비한 후에는 결코 만족하지 못하며, 그들은 [18]끊임없이 새로운 희생자를 찾고 있다.
웬디고는 인간의 인지력이나 언어력을 잃을 필요가 없으며 어떤 묘사에서는 미래의 희생자들과 명확하게 소통하거나 심지어 그들을 위협하거나 조롱할 수도 있다.라마 퍼스트 네이션의 치페와스 민족지식가인 로티 치코그콰우 마르스덴에 의해 20세기 초에 수집된 민담의 표본으로, 웬디고는 도구 사용, 부분 분할, 그리고 자기 부검증을 보여준다[19].
옛날에 큰 윈디고가 인도 소년을 훔쳤지만, 소년은 너무 말랐기 때문에 윈디고가 그를 바로 잡아먹지는 않았지만, 그는 그가 뚱뚱해질 때까지 인도 소년과 함께 여행했다.윈디고는 칼을 가지고 있었고 그가 먹을 수 있을 만큼 뚱뚱한지 보기 위해 소년의 손을 베었지만, 소년은 살이 찌지 않았다.그들은 너무 많이 여행했다.어느 날 그들은 인도 마을에 왔고 윈디고는 소년이 먹을 것을 가지러 인도 마을로 보냈다.그는 그 소년에게 그곳에 갔다 올 수 있는 많은 시간을 주었다.소년은 인디언들에게 윈디고가 근처에 있다고 말했고, 그가 먹을 수 있을 만큼 뚱뚱한지 보기 위해 윈디고가 자른 곳을 그들에게 보여주었다.그들은 윈디고가 소년을 부르는 소리를 들었다.그는 소년에게 말했다, "빨리.그 인디언들에게 거짓말을 하지 마라.이 인디언들은 모두 윈디고가 있는 곳으로 가서 그의 다리를 잘랐다.그들은 그가 죽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시 돌아갔다.그는 죽지 않았다.그는 잘려나간 다리뼈 안쪽의 즙을 먹고 있었다.인디언들은 윈디고에게 몸에 지방이 있는지 물었다.그는 "나는 인디언들을 많이 먹어봤으니 그들이 뚱뚱한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그리고 인디언들은 그를 죽이고 토막냈다.이 거대한 윈디고의 끝.
인간의 식인 행위
몇몇 전통에서, 탐욕에 압도된 인간은 웬디고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신화는 협력과 절제를 장려하는 방법으로 작용했다.다른 소식통들은 웬디고가 인간이 살아남기 위해 식인 풍습에 의존하면서 생겨났다고 말한다.인간은 또한 그들과 너무 [20]오랫동안 접촉함으로써 웬디고가 될 수 있다.
금기 강화식
아시니보인, 크리족, 오지브족 중 기근시 풍자적인 의식춤이 행해져 웬디고 [clarification needed]금기의 심각성을 강화하기도 한다.윈디고오카안지모원으로 알려진 이 의식은 기근 때 행해졌으며,[21] 북을 중심으로 가면을 쓰고 뒤로 춤추는 것을 포함했다.미국에서 행해진 마지막 웬디고 의식은 미네소타 [when?][22][failed verification]북부 리치 호수 인디언 보호구역 내에 위치한 스타 아일랜드의 윈디고 호수에서 열렸다.
정신병
소급적으로 진단된 웬디고 정신병의 역사에서는 식인 외에 먹을 것이 필요했던 상황에서 인간은 웬디고 정신에 사로잡혔다고 보고되고 있다.1661년 예수회는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Ce Qui nous mit plus en peine, fut la nouvelle que nous aprism dés l'entrée du Lac, s sauir : que deputez par nostre Conducteur, qui deuient conuquer nations à à à à à à à à à à à à Mer du Mer du Mer du Mer 、 、 、 、 、 、 le du na Mer le dCes pauures furent saisis, à ce quon nous a dit, d'vn mal qui nous est intinnu, mais qui n'est parmy qui que nous churchones : il ny lunatique, ny prenetiques, ny prenetiques.개, et les rend si affamez de chair humaine, quils seiet seet ser les femes, sur les enfans, mesme sur les hommes, comme de vrais loups-gs-garous, et les deuorent ates dents et de belles dents, sa belles dents, sa belles, sa belles, spes, saules, saules, saules uelC'est la maladie dont ces députez furent attints; et comme la mortest l'vnique redemy ces bonnes gens, four est cours de leur manie.[23] | 우리를 더욱 걱정하게 만든 것은 호수에 들어갔을 때 우리를 만난 소식이었다. 즉, 우리의 지휘자가 북해에 있는 국가들을 소환하기 위해 파견한 사람들이 우리가 오기를 기다리던 만남의 장소를 지정하기 위해 지난 겨울 매우 이상한 방식으로 그들의 죽음을 맞이했다는 것이다.그 불쌍한 사람들은 우리가 알 수 없는 병에 걸렸지만, 우리가 찾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그다지 드물지 않았다.그들은 정신 이상, 심기증, 광란으로 고통받지 않는다; 그러나 그들의 상상력에 영향을 미치고 개 이상의 배고픔을 야기하는 이 모든 종류의 질병들의 조합을 가지고 있다.이로 인해 그들은 인육에 너무 굶주려 여자, 아이들, 심지어 남자들에게까지 달려들어 식욕을 달래거나 과식하지 못한 채 탐욕스럽게 먹어 치웁니다. 신선한 먹이를 찾다가 탐욕스럽게 먹을수록 더 많이 먹게 됩니다.이 병은 우리의 대리들을 공격했고, 그러한 살인 행위를 막는 것은 죽음만이 유일한 치료제이기 때문에, 그들은 그들의 [24]광기를 유지하기 위해 죽임을 당했습니다. |
비록 많은 기록된 웬디고 정신병의 경우 식인 풍습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개체는 죽임을 당했지만, 몇몇 크리족 민속들은 지방이 많은 동물 고기를 섭취하거나 동물의 기름기를 마셔서 치료를 할 것을 권장한다; 치료 과정의 [25]일부로서 때때로 얼음을 토할 수 있다.
보고된 가장 유명한 웬디고 정신병 환자 중 하나는 스위프트 [26][27]러너라는 앨버타 출신의 플레인 크리 사냥꾼이었다.1878년 겨울, 스위프트 러너와 그의 가족은 굶주렸고 그의 장남은 죽었다.허드슨 베이 컴퍼니의 한 초소에서 비상식량 공급으로부터 25마일 떨어진 곳에서 스위프트 러너는 그의 아내와 남은 [28]다섯 명의 아이들을 도살하고 먹었다.그가 식인 풍습에 너무 가까이 의존했고, 그가 그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들의 유해를 죽이고 소비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스위프트 러너의 경우는 굶주림을 피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 순수한 식인 풍습의 경우라기보다는 웬디고 정신병을 [28]앓고 있는 남자라는 것이 밝혀졌다.그는 결국 자백했고 서스캐처원 [29]요새에서 당국에 의해 처형되었다.
Wendigo 정신병과 관련된 또 다른 유명한 사례는 Oji-Cree의 치프이자 약사인 Jack Fiddler의 경우였다.어떤 경우에는, 이것은 웬디고 정신병을 가진 사람들을 죽이는 것을 수반했다.그 결과 1907년, 피들러와 그의 형 조셉은 캐나다 당국에 살인 혐의로 체포되었다.잭은 자살했지만, 조셉은 재판을 받고 종신형을 선고받았다.그는 결국 사면을 받았지만, 이 [30]사면의 소식을 듣기 전에 3일 후에 감옥에서 죽었다.
서구의 민족학자, 심리학자, 인류학자들 사이에서 웬디고 정신병에 대한 관심은 1980년대에 이 현상의 역사성에 대한 뜨거운 논쟁으로 이어졌다.일부 연구자들은 본질적으로 웬디고 정신병이란 조작이며, 순진한 인류학자들이 관찰 [31][32]없이 자신과 관련된 이야기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 결과라고 주장했다.다른 사람들은 알곤킨족과 다른 사람들에 의한 믿을 만한 목격자들의 진술을 웬디고 정신병이 사실적인 역사적 [33]현상이었다는 증거로 지적했다.
20세기에는 볼레알 알곤킨족이 유럽의 이데올로기와 더 많이 접촉하면서 웬디고 정신병의 [5]빈도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2004년 미국 및 캐나다의 행동 건강 산업의 장애와 치료에 관한 그의 논문 '바람의 역습'에서 원주민들에게 독특한 제임스 B. 왈드람은 이렇게 말했다.[34]
바람둥이 정신병의 실제 사례는 연구된 적이 없으며 1985년 루 마라노의 통렬한 비평은 정신 의학 기록에서 식인 괴물을 죽였을 것입니다.그러나 바람둥이는 정신과 의사처럼 의심하지 않는 행인들을 주기적으로 속여 오늘날 자신의 진료에서 바람둥이의 정신 질환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아마도 이 장애로 고통받는 환자를 만날 수 있다고 믿게 함으로써 이러한 학문적인 처형에 대한 복수를 계속 찾고 있다.윈디고 정신병은 학계 직업에 의한 원주민 정신 장애의 가장 완벽한 사례일 수 있으며, 그 지속성은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처럼 원주민의 구조가 어떻게 그들 자신의 삶을 앗아갔는지를 극적으로 강조한다.
ICD(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제10차 개정판에서는 "윈디고"를 문화 고유의 장애로 분류하며 "희귀한, 식인종적 강박관념의 역사적 기록...증상으로는 우울증, 살인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 그리고 인육을 먹고 싶은 망상적이고 강박적인 욕구가 있었다.논란이 되고 있는 일부 새로운 연구들은 이 신드롬의 합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사건들이 실제로는 피해자의 배척이나 [35]처형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적대적 비난의 산물이라고 주장합니다."
개념 또는 은유로서
전통적인 민속에서 식인 괴물을 가리키는 것 외에도, 일부 미국 원주민들은 웬디고를 개념적으로 이해한다.개념으로서, 웬디고는 자기 자랑 욕심과 과도한 소비를 향한 부식적인 욕구에 의해 감염된 사람, 생각, 또는 운동에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내버려두면 부조화와 파괴를 야기하는 특성들.오지브의 학자 Brady De Santi는 웬디고는 "그것은...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한 사람...내적, 내적, 그리고 그들 주변의 더 [36]큰 인간과 영적 존재의 공동체를 향해 불균형한 모습을 보였다.균형에서 벗어나 공동체에 의해 소외된 채, 웬디고 정신으로 고통받는다고 생각되는 개인들은 그들 주변의 생태적 균형을 풀고 파괴한다.치페와 작가 루이스 에드리히의 소설 라운드 하우스는 전미도서상 수상자로, 한 사람 한 사람이 웬디고가 되는 상황을 그리고 있다.이 소설은 폭력범죄가 성지를 모독하는 강간범을 보호구역의 안전을 위협하기 때문에 죽여야 하는 웬디고로 묘사하고 있다.
파괴적인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을 특징짓는 것 외에도, 웬디고는 움직임과 사건들을 비슷하게 부정적인 효과로 묘사할 수 있다.Chris Schedler 교수에 따르면, 웬디고의 모습은 집단이 다른 [37]집단을 지배하는 "소비하는 배제와 동화의 형태"를 나타낸다.이 응용 프로그램은 식민주의의 과정이 그들의 땅에서 원주민들을 내쫓고 자연계를 균형을 잃게 한 이후 미국 원주민들이 식민주의와 그 대리인들을 웬디고라고 묘사할 수 있게 해준다.De Santi는 1999년 공포 영화 Ravenous를 "식인 괴물"을 "미국의 식민주의와 명백한 운명"과 동일시하는 이 주장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한다.이 영화는 팽창이 대체와 파괴를 부작용으로 가져온다는 점을 강조하는 캐릭터를 등장시키며, "가장 작은 운명"과 "서구의 팽창"이 "수천 명의 금을 갈망하는 미국인들"을 불러올 것이라고 설명한다.산 너머로 새로운 생명을 찾아...이 나라는 온전한...팔을 쭉 뻗고...모든 것을 소비하고 있습니다.우리는 그저 따를 뿐이다.[38]
개념으로서 웬디고는 아메리카 원주민과 유럽 원주민의 관계 이외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그것은 집단이 지배하고 지배하거나 폭력적으로 파괴하고 대체하는 지배의 패턴을 설명하는 은유 역할을 할 수 있다.애리조나 주립 대학의 영어 교수인 조 록하드는 웬디고인들은 "주나 국경이 없다"는 것을 아는 "사회적 식인 행위"의 대리인이라고 주장한다. 모든 인간 문화는 형태를 바꾸는 웬디고들이 방문해왔다.그들의 방문은 인간 경험의 불가분의 관계를 말해준다...국가 정체성은 국경 없는 공포와 무관합니다.[39]록하드의 사상은 웬디고는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의 표현이라고 설명한다: 자기 증대를 추구하면서 탐욕, 소비, 다른 삶에 대한 무시.
애리조나 주립 대학의 교수이기도 한 낭만학자이자 문서학자 에밀리 자르카는 알곤킨어족 화자의 토착 문화 중 두 가지 공통점은 그들이 혹독한 겨울이 잦고 굶주림을 동반할 수 있는 기후 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것이라고 관찰했다.그녀는 웬디고가 상징적으로 겨울의 화신, 배고픔의 화신, 이기심의 [2]화신이라는 세 가지 주요 개념을 나타낸다고 말한다.
대중문화에서

전통적인 설화에서 나타나는 방식과는 다르지만, 비 원주민 문학에서 웬디고에서 영감을 얻거나 이름을 딴 인물의 첫 등장 중 하나는 알제논 블랙우드의 1910년 소설 웬디고이다.[40][41]조 나자레는 블랙우드의 "잠재적으로 데모네이션적인 수사학은 웬디고를 원주민 신화에서 인도 야만인을 묘사하는 템플릿으로 변화시킨다"고 썼다."[42]
블랙 우드의 작품 주류 공포 fiction,[42][43]에 스티븐 킹의 소설 애완 동물 Sematary,[42]악의가 의인화, Y와 못생긴 활짝 웃고 물체를 문자의 영감을 주었다. 8월 Derleth의"는 바람에 걸어 나오는 괴물"과"Ithaqua"(1933년과 1941년)[41] 같은 후속 묘사의 많은 영향을 주었다ellow-grey 눈,귀는 숫양의 뿔, 콧구멍에서 나오는 하얀 증기, 뾰족하고 썩어가는 노란 [43]혀로 대체되었다.이 작품들은 때때로 아메리카 원주민의 [42]전설을 대체하면서 대중문화에서 나중에 묘사할 수 있는 본보기가 되었다.토마스 핀촌의 초기 단편 소설 "빈의 죽음과 자비"에서 줄거리는 웬디고 신드롬이 발병하고 살인을 저지르는 한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웬디고에서 영감을 받은 캐릭터가 마블 코믹스가 출판한 미국 만화책에 등장한다.작가 스티브 엥글하트와 예술가 허브 트림프가 만든 이 괴물은 식인 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괴롭히는 저주의 결과물이다.그것은 인크레더블 헐크 #162 (1973년 4월)[44]에 처음 등장했고 1974년 10월호에 다시 등장했습니다.
치카소의 작가이자 시인인 린다 K의 1995년 소설 '태양 폭풍'이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호건은 웬디고의 신화를 탐험했고 독립성, 영성, 정치, 가족과의 관계, 그리고 식인 [45]풍습의 한 형태로 보여지는 기업의 탐욕, 착취, 권력에 대한 은유로 그 생물들을 사용했다.
이 전설에 바탕을 두고 있거나, 이 전설의 이름을 딴 다른 생물들은 Dark Was the Night와 Ravenous를 [46]포함한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쇼에 출연한다.텔레비전 시리즈에는 틴 울프, 슈퍼 [47]내추럴, 블러드 타이즈,[48] [49]차밍, 그림,[50] 그리고 한니발이 포함되는데, FBI 프로파일러는 명목상의 식인 [51]연쇄 살인범을 상징하는 웬디고의 꿈이나 환영을 반복한다.마이 리틀 포니: 우정은 마법의 '헤스의 따뜻해지는 이브'에는 '윈디고'라는 말장난 제목으로, 덕테일즈 크리스마스 스페셜 '라스트 크리스마스!'에는 '가난한 영혼들이 집착과 [52]절망으로 괴물로 변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웬디고는 또한 2020년 공포 영화 The [53][54][55]Retract에도 등장한다.
슈퍼매시브 게임즈의 2015년 호러 서바이벌 비디오 게임 '언데이 던'은 웬디고들을 주요 [56]대항마로 내세운다.캐나다 공포 소설 작가 네이선 니건 누딘 애들러의 2016년 데뷔 소설인 손목은 웬디고의 [57]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Taran Matharu의 2015년 시리즈 소환사는 Wendigo로 [58]알려진 악마의 한 종류를 특징으로 한다.
Bethesda Game Studios의 2018년 롤플레잉 게임 Fallout 76에서 웬디고는 애팔래치아 지역에서 발견된 불가사의한 적들 중 하나로 등장하며,[59] 고립된 인육을 섭취한 사람들로부터 돌연변이를 당한다.
2018년 1인칭 슈팅 게임 더스크에서는 웬디고가 피해를 [60]입기 전까지 플레이어에게 보이지 않는 강적으로 등장한다.이 생물들 중 몇 개는 게임의 표지에도 [61]등장한다.
2021년 스콧 쿠퍼의 영화 앤틀러스에서 루카의 아버지 프랭크는 끝없는 배고픔으로 사람 사이를 오가는 빛나는 심장을 가진 사슴 같은 생물로 그려진다.영화 제작자인 길레르모 델 토로는 웬디고를 많이 먹을수록 배가 고파지고 배가 고프면 약해진다는 [62][63]점에 착안해 개발했다.
레퍼런스
인용문
- ^ Brightman(1988:337, 339, 343, 364)
- ^ a b c Zarka, Emily (2019-10-17). "Windigo: The Flesh-Eating Monster of Native American Legend". Monstrum. Season 1. Episode 13. PBS Digital Studio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12. Retrieved 2021-03-20.
- ^ Ransom, Amy J. (2015). "The Changing Shape of a Shape-Shifter: The French-Canadian 'Loup-garou'". Journal of the Fantastic in the Arts. Armonk, New York: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Fantastic in the Arts. 26 (2): 251−275. ISSN 0897-0521. JSTOR 26321112. OCLC 7973889300.
- ^ a b Horn, Kahntineta (March 14, 2013). "Boogie Men". mohawknationnews.com. Kahnawake: Mohawk Nation News. Retrieved August 24, 2018.
- ^ a b Brightman(1988:337-8, 374)
- ^ Brightman(1988:344)
- ^ Wolvegrey, Arok (2001). Cree: Words. Regina, Saskatchewan: University of Regina Press. ISBN 978-0889771277.
- ^ Marie Merasty (1974). The World of Wetiko: Tales from the Woodland Cree. Saskatchewan Indian Cultural College.
- ^ a b "Windigo, the Ice Cannibal (Wendigo, Wiindigoo, Windgo, Windego)". native-languages.org. Minneapolis, Minnesota: Native Languages of the Americas. 2015. Retrieved 2018-08-22.
- ^ 고다드(1969), Brightman(1988:340)에서 인용
- ^ Ridington, Robin (1967). "Wechuge and Windigo: A Comparison of Cannibal Belief Among Boreal Forest Athapaskans and Algonkians". Anthropologica. Toronto, Ontario,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8 (2): 107–129. doi:10.2307/25604963. JSTOR 25604963.
- ^ Brightman(1988:359, 362); Parker(1960:603)
- ^ Brightman(1988:337, 339)
- ^ Brightman(1988:362)
- ^ 존스턴(2001:221)
- ^ Graham, John Russell; John Coates; Barbara Swartzentruber; Brian Ouellet; "The Windigo" in Spirituality and Social Work: Canadian Readings; Canadian Scholars Press, 2007 페이지 260.
- ^ Johnston(2001:222, 226); Johnston(1990:166); Schwarz(1969:11) :
- ^ Goldman, Marlene (2005). Rewriting Apocalypse in Canadian Fiction. Montreal, Quebec, Canada: McGill-Queen's Press. p. 89. ISBN 978-0773572942.
- ^ Marsden, Lottie Chicogquaw; Laidlaw, George Edward (1918). Orr, Roland B. (ed.). "Ojibwa Myths and Tales". Archӕological Report of the Canadian Institute. Archӕological Report Being Part of Appendix to the Report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Ontario. Toronto: A.T. Wilgress. 30: 104−105. hdl:2027/njp.32101072319583. OCLC 270884230. Story № 104.
- ^ 존스턴(2001:222–225), 존스턴(1990:167)
- ^ "The Myth of the Wendigo". Sites.psu.edu.
- ^ Warren, William W. (1984). History of the Ojibway People (2 ed.). St. Paul, Minnesota: Borealis Books. ISBN 978-0873516433.
- ^ "Relations des Jésuites contenant ce qui s'est passé de plus remarquable dans les missions des Pères de la Compagnie de Jésus dans la Nouvelle-France". Québec : Augustin Coté. July 13, 1858 – via Internet Archive.
- ^ Thwaites, Reuben Gold, ed. (1899). "The Jesuit Relations: Travels and Expectations of the Jesuit Missionaries in New France, 1610—1791". Vol. XLVI. Translated by Tomasz Mentrak. Cleveland, Ohio: The Burrows Brothers Company.
- ^ Rohrl, Vivian J. (February 1970). "A Nutritional Factor in Windigo Psychosis". Brief Communications. American Anthropologist. New Series.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72 (1): 97−101. doi:10.1525/aa.1970.72.1.02a00120. ISSN 0002-7294. JSTOR 670759. OCLC 4636246728.
- ^ Brightman(1988:352–3)
- ^ Hanon, Andrew (2008-07-20). "Evil spirit made man eat family". C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7-09. Retrieved 2008-08-16.
- ^ a b Brightman(1988:353, 373)
- ^ Brightman(1988:352)
- ^ Fiddler, Thomas; Stevens, James R. (1985). Killing the Shamen. Manotick, Ontario: Penumbra Press. ISBN 978-0920806814.
- ^ Marano, Lou (1982). "Windigo Psychosis: The Anatomy of an Emic-Etic Confusion". Current Anthropology. Chicago, Illino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385–412. doi:10.1086/202868. S2CID 147398948.
- ^ Brightman(1988:355)
- ^ Brightman(1988:361)
- ^ Waldram, James Burgess (2004). Revenge of the Windigo: The Construction of the Mind and Mental Health of North American Aboriginal Peopl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 200. doi:10.3138/9781442683815. ISBN 0802086004. LCCN 2004301995. OCLC 53396855.
- ^ ICD-10: Diagnostic criteria for research (PDF).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pp. 213–225. Retrieved 2020-07-22.
- ^ DeSanti, Brady (2015). "The Cannibal Talking Head: Portrayals of the Wendigo 'Monster' in Popular Culture and Ojibwe Traditions". Journal of Religion and Popular Culture. 27 (3): 197. doi:10.3138/jrpc.27.3.2938. S2CID 148238264.
- ^ Schleder, Christoper (2011). "Wiindigoo Sovereignty and Native Transmotion in Gerald Vizenor's Bearheart". Studies in American Indian Literatures. 23 (3): 32.
- ^ DeSanti, Brady (2015). "The Cannibal Talking Head: Portrayals of the Wendigo 'Monster' in Popular Culture and Ojibwe Traditions". Journal of Religion and Popular Culture. 27 (3): 195. doi:10.3138/jrpc.27.3.2938. S2CID 148238264.
- ^ Lockhard, Joe (2008). Vizenor, Gerald (ed.). Facing the Windigoo: Gerald Vizenor and Primo Levi. Lincoln, Nebrask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pp. 209–219.
- ^ Blackwood, Algernon (2014). Kellermeyer, M. Grant (ed.). The Willows, The Wendigo, & Other Horrors. Oldstyle Tales Press. pp. 215–263. ISBN 9781507564011.
- ^ a b 스몰맨 (2014:68)
- ^ a b c d Nazare, Joe (2000). "The Horror! The Horror? The Appropriation, and Reclamation, of Native American Mythology". Journal of the Fantastic in the Arts. Armonk, New York: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Fantastic in the Arts. 11 (1 (41)): 24–51. ISSN 0897-0521. JSTOR 43308417. OCLC 7786132167.
- ^ a b Heller, Terry. "Love, and Death in Stephen King's 'Pet Sematary'". Retrieved 29 March 2009.
- ^ 헐크 #181
- ^ Hans, Birgit (Summer 2003). "Water and Ice: Restoring Balance to the World in Linda Hogan's Solar Storms". North Dakota Quarterly. Grand Forks, North Dakota: University of North Dakota. 70 (3): 93–104. hdl:2027/mdp.39015057941141. ISSN 0029-277X. OCLC 109179839.
- ^ DiMarco, Danette (2011). "Going Wendigo: The Emergence of the Iconic Monster in Margaret Atwood's Oryx and Crake and Antonia Bird's Ravenous". College Literature. 38 (4): 134–155. doi:10.1353/lit.2011.0038.
- ^ "Supernatural - Season 1, Episode 2: Wendigo". TV.com. 2005-09-20. Retrieved 2016-09-20.
- ^ "Blood Ties: Heart of Ice (2007)". TV.com. Retrieved 2007-04-19.
- ^ "Charmed: The Wendigo". TV.com.
- ^ "Grimm: To Protect and Serve Man". TV.com.
- ^ "The Wendigo in Hannibal". Fullerverse.
- ^ "Last Christmas!". DuckTales. Season 2. Episode 28. 2018-01-12.
- ^ Mack, Andrew (October 15, 2020). "The Retreat Trailer: The Wendigo Torments A Lone Hiker in Bruce Wemple's New Horror". Screen Anarchy. Retrieved December 5, 2020.
- ^ Gingold, Michael (October 16, 2020). "There's No "Retreat" from the Wendigo; Trailer & Poster". Rue Morgue. Retrieved December 5, 2020.
- ^ Dahl, Dakota (November 30, 2020). "Movie Review: Don't Run Away from "The Retreat"". Rue Morgue. Retrieved December 5, 2020.
- ^ "Supermassive Games Until Dawn". Super Massive Games.
- ^ 그레이스 오코넬, "나단 니건 누딘 애들러와의 인물 인터뷰"오픈북 2016년 8월 9일
- ^ "Demons/Gallery Fantasy creatures mythology, Mythical monsters, Mythical creatures art". Pinterest. Retrieved 2022-01-09.
- ^ "Fallout 76 Creatures: Bethesda Tells Tales of the Wendigo". www.vgr.com/. 4 November 2018.
- ^ "The Scariest Enemies In Dusk". www.thegamer.com. October 30, 2021.
- ^ "DUSK (2018)". How Long to Beat. December 10, 2018.
- ^ Song, Katie (28 October 2021). "'Antlers' Director Scott Cooper on the Wendigo Within: 'You Can't Escape It'". Variety. Retrieved 1 November 2021.
- ^ Pagan, Beatrice. "ANTLERS: GUILLERMO DEL TORO E SCOTT COOPER SVELANO IL SIGNIFICATO DEL WENDIGO". movieplayer.it. Retrieved 1 November 2021.
일반 및 인용된 출처
- Brightman, Robert A. (1988). "The Windigo in the Material World" (PDF). Ethnohistory. 35 (4): 337–379. doi:10.2307/482140. JSTOR 48214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9-04-08.
- 콜롬보, J.R. ed.웬디고웨스턴 프로듀서 프레리 북스, Saskatoon: 1982.
- Goddard, Ives (1969). "Owls and Cannibals: Two Algonquian Etymologies". Paper Presented at the Second Algonquian Conference, St. John's, Newfoundland.
- Johnston, Basil (1990) [1976]. Ojibway Heritage.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Johnston, Basil (2001) [1995]. The Manitous. St. Paul: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 Marano, Lou (1982). "Windigo Psychosis: The Anatomy of an Emic-Etic Confusion". Current Anthropology. 23: 385–412. doi:10.1086/202868. S2CID 147398948.
- Parker, Seymour (1960). "The Wiitiko Psychosis in the Context of Ojibwa Personality and Culture". American Anthropologist. 62 (4): 603–623. doi:10.1525/aa.1960.62.4.02a00050.
- Smallman, Shawn (2014). Dangerous Spirits: The Windigo in Myth and History. Victoria, BC: Heritage House Publishing Company. ISBN 9781772030334.
- 타이허, 모튼 1세(1961년).Windigo 정신병:캐나다 북동부 인디언들 사이의 믿음과 행동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1960년 미국민족학회 춘계연차총회 의사록, ed.베른 P. 레이시애틀:워싱턴 대학 출판부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