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포뮬러 원 벨기에 그랑프리
1997 Belgian Grand Prix1997년 포뮬러 원 벨기에 그랑프리 | |||
---|---|---|---|
1997년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에서 17번 중 12번 레이스 | |||
![]() | |||
레이스 디테일 | |||
날짜 | 1997년 8월 24일 | ||
공식명 | LV 벨기에 그랑프리 | ||
위치 | 벨기에 스파의 Spa-Francorchamps 서킷 | ||
코스 | 영구경마시설 | ||
코스 길이 | 6.968km(4.168mi) | ||
거리 | 44바퀴, 306.592km(약 507mi) | ||
날씨 | 젖은 후 최대 28°C(82°F)[1]에 이르는 온도로 건조함 | ||
폴 포지션 | |||
드라이버 | 윌리엄스레노 | ||
시간 | 1:49.450 | ||
가장 빠른 랩 | |||
드라이버 | ![]() | 윌리엄스레노 | |
시간 | 43번 랩에서 1:52.692 | ||
단상 | |||
먼저 | 페라리. | ||
둘째 | 요르단 푸조 | ||
세 번째 | 윌리엄스레노 | ||
랩 리더스 |
1997년 벨기에 그랑프리(대표적으로 LV 벨기에 그랑프리)는 1997년 8월 24일 스파-프랑코르샹에서 열린 포뮬러 원 모터 레이스였다. 1997년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의 12번째 레이스였다.
44바퀴 경주에서 마이클 슈마허가 페라리를 몰고 우승했다. 지안카를로 피시첼라는 미카 헤키넨의 맥라렌-메르세데스가 연료 불규칙함으로 실격된 후 윌리엄스-레노트에서 하인즈-하랄드 프렌첸이 3위로 요르단-푸조 경기에서 2위를 차지했다. 슈마허의 드라이버스 챔피언십 라이벌인 자크 빌레뉴브(Jacques Vileneuve)는 폴 포지션에서 출발한 윌리엄스-레노(Williams-Renault)에서 5위를 차지했다.
슈마허는 이번 승리로 드라이버스 챔피언십에서 빌레뉴브에 대한 리드를 5개 레이스를 남겨둔 채 11점으로 늘렸다.
보고하다
많은 사람들은 이 경주를 슈마허의 가장 큰 추진력 중 하나로 여긴다. 그는 세계선수권대회 경쟁자인 자크 빌레뉴브에 의해 예선전이 지배된 후 3위로 출발했다. 덥고 건조한 날씨에 진행된 아침 워밍업에서 슈마허는 15위에 그쳤다. 그러나 모두가 놀랍게도 예정된 경주 시작 30분 전쯤부터 폭우가 내리기 시작해 약 20분간 계속되면서 조건이 완전히 바뀌어 안전차 뒤에서 필드가 시작되는 등 포뮬러 원 역사상 처음으로 이런 일이 벌어졌다.[2]
그 흥분 속에서, 6번째 자격을 얻은 슈마허의 동생 랄프는 그의 조던을 스타벨로트에서 격파했다. 그는 어쩔 수 없이 여분의 차를 타고 구덩이 차선에서 출발했다. 그는 나중에 ITV에 이 사건을 설명하면서 "나는 잃을 것이 없었고 잃어버렸다"고 말했다. 또한 자동차들이 그리드에 조립되는 기간 동안 마이클 슈마허는 경주용 자동차와 스페어 페라리 둘 다에서 탐사용 바퀴를 만들어 트랙 상황을 평가하고 중간 기상 조건에 맞춰 설치된 스페어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3]
선두 주자 중 윌리엄스와 베넷턴의 장 알레시는 앞줄에 있는 빌레뉴브와 함께 완전히 젖은 타이어에서 출발했고 다른 선수들은 중간 타이어에서 출발했다. 이 안전차는 처음 3바퀴를 돌았고, 첫 번째 적당한 레이싱 랩인 4바퀴의 끝에서 빌레뉴브는 알레시와 슈마허로부터 계속 선두를 달렸다. 하지만 이곳이 바로 독일 운전자가 레이스를 장악하기 시작한 지점이었다. 그는 5바퀴를 시작할 때 라소스 머리핀으로 알레시 안쪽에서 용감한 패스를 한 뒤 같은 바퀴에 있는 리바게 루프에서 빌레뉴베를 추월했다. 무릎이 끝날 무렵 그는 이미 5.8초 앞섰고, 다음 바퀴에서는 16.9초 앞섰고, 요르단 역시 중간 계투에 나섰던 지안카를로 피시첼라가 예상외로 비네우브가 패한 후 2위로 올라섰다.[4]
슈마허는 계속해서 더 멀리 차를 세우고 12바퀴를 돌 때 그의 리드는 1분 전으로 갔고, 빌레뉴브는 두 번째 피트 스톱에 이어 16위로 떨어졌다.[4] 지금쯤 트랙은 건조해졌고 운전자들은 매끄러운 타이어를 찾고 있었다. 슈마허는 14바퀴를 돌다가 순항했고 결국 26초 차이로 이겼다. 피시첼라는 미카 헤키넨의 맥라렌을 2위로 연기해 당시 F1에서 자신의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6위에는 하인츠-하랄드 프렌첸의 두 번째 윌리엄스, 조니 허버트와 빌레누베의 사우버가 레이스의 후반부에 다시 충전하고 가장 빠른 랩을 세팅했다.
경기 후, 헤키넨은 연료 불규칙성으로 실격 처리되어, 렌첸을 3위로, 허버트를 4위로, 빌레뉴베를 5위로, 게르하르트 베르거의 2번째 베넷톤을 6위로 승격시켰다. 그럼에도 슈마허는 드라이버스 챔피언십에서 빌레뉴브에 11점 차로 앞서고, 페라리는 컨스터스 챔피언십에서 윌리엄스를 6점 차로 앞섰다.
분류
자격 부여
포스 | 아니요. | 드라이버 | 생성자 | 시간 | 갭 |
---|---|---|---|---|---|
1 | 3 | ![]() | 윌리엄스레노 | 1:49.450 | |
2 | 7 | ![]() | 베넷턴레노 | 1:49.759 | +0.309 |
3 | 5 | ![]() | 페라리. | 1:50.293 | +0.843 |
4 | 12 | ![]() | 요르단 푸조 | 1:50.470 | +1.020 |
5 | 9 | ![]() | 맥라렌메르세데스 | 1:50.503 | +1.053 |
6* | 11 | ![]() | 요르단 푸조 | 1:50.520 | +1.070 |
7 | 4 | ![]() | 윌리엄스레노 | 1:50.656 | +1.206 |
8 | 2 | ![]() | 화살야마하 | 1:50.853 | +1.403 |
9 | 1 | ![]() | 화살야마하 | 1:50.970 | +1.520 |
10 | 10 | ![]() | 맥라렌메르세데스 | 1:51.410 | +1.960 |
11 | 16 | ![]() | 사우버페트로나스 | 1:51.725 | +2.275 |
12 | 22 | ![]() | 스튜어트퍼드 | 1:51.916 | +2.466 |
13 | 17 | ![]() | 사우버페트로나스 | 1:52.094 | +2.644 |
14* | 14 | ![]() | 프로스트무겐혼다 | 1:52.274 | +2.824 |
15 | 8 | ![]() | 베넷턴레노 | 1:52.391 | +2.941 |
16 | 15 | ![]() | 프로스트무겐혼다 | 1:52.749 | +3.299 |
17 | 6 | ![]() | 페라리. | 1:52.793 | +3.343 |
18 | 23 | ![]() | 스튜어트퍼드 | 1:52.886 | +3.436 |
19 | 19 | ![]() | 티렐-포드 | 1:52.897 | +3.447 |
20 | 20 | ![]() | 미나르디하트 | 1:53.544 | +4.094 |
21 | 18 | ![]() | 티렐-포드 | 1:53.725 | +4.275 |
22 | 21 | ![]() | 미나르디하트 | 1:54.505 | +5.055 |
107% 시간: 1분57초190 | |||||
출처:[5] |
- * 랄프 슈마허와 트룰리는 피트레인에서 출발할 것이다.
인종
포스 | 아니요. | 드라이버 | 생성자 | 타이어 | 랩스 | 시간/만기 | 격자무늬 | 포인트 |
---|---|---|---|---|---|---|---|---|
1 | 5 | ![]() | 페라리. | G | 44 | 1:33:46.717 | 3 | 10 |
2 | 12 | ![]() | 요르단 푸조 | G | 44 | + 26.753 | 4 | 6 |
3 | 4 | ![]() | 윌리엄스레노 | G | 44 | + 32.147 | 7 | 4 |
4 | 16 | ![]() | 사우버페트로나스 | G | 44 | + 39.025 | 11 | 3 |
5 | 3 | ![]() | 윌리엄스레노 | G | 44 | + 42.103 | 1 | 2 |
6 | 8 | ![]() | 베넷턴레노 | G | 44 | + 1:03.741 | 15 | 1 |
7 | 2 | ![]() | 화살야마하 | B | 44 | + 1:25.931 | 8 | |
8 | 7 | ![]() | 베넷턴레노 | G | 44 | + 1:42.008 | 2 | |
9 | 17 | ![]() | 사우버페트로나스 | G | 44 | + 1:42.582 | 13 | |
10 | 6 | ![]() | 페라리. | G | 43 | 충돌 | 17 | |
11 | 19 | ![]() | 티렐-포드 | G | 43 | + 1바퀴 | 19 | |
12 | 23 | ![]() | 스튜어트퍼드 | B | 43 | + 1바퀴 | 18 | |
13 | 1 | ![]() | 화살야마하 | B | 42 | 휠 너트 | 9 | |
14 | 20 | ![]() | 미나르디하트 | B | 42 | 엔진 | 20 | |
15 | 14 | ![]() | 프로스트무겐혼다 | B | 42 | + 2바퀴 | 14 | |
DSQ | 9 | ![]() | 맥라렌메르세데스 | G | 44 | 연료 불규칙성(+ 30.856) | 5 | |
리트 | 18 | ![]() | 티렐-포드 | G | 25 | 스펀 오프 | 21 | |
리트 | 11 | ![]() | 요르단 푸조 | G | 21 | 스펀 오프 | 6 | |
리트 | 10 | ![]() | 맥라렌메르세데스 | G | 19 | 스펀 오프 | 10 | |
리트 | 21 | ![]() | 미나르디하트 | B | 18 | 스펀 오프 | 22 | |
리트 | 22 | ![]() | 스튜어트퍼드 | B | 8 | 조향 | 12 | |
리트 | 15 | ![]() | 프로스트무겐혼다 | B | 5 | 전기적 | 16 | |
경기 후 우승 순위
|
|
- 참고: 두 가지 순위 세트에 모두 상위 5개 위치만 포함된다.
참조
- ^ 1997년 웨더 언더그라운드에서 열린 벨기에 그랑프리 날씨 정보
- ^ Collantine, Keith (24 August 2017). "Schumacher capitalises as Williams get it wrong in the rain again". F1 Fanatic. Retrieved 26 October 2017.
- ^ Collantine, Keith (24 August 2017). "Schumacher capitalises as Williams get it wrong in the rain again". F1 Fanatic. Retrieved 26 October 2017.
- ^ a b "Grand Prix Results: Belgian GP, 1997". Grandprix.com. Retrieved 23 May 2016.
- ^ "Belgium 1997 - Qualifications". StatsF1. Retrieved 27 March 2016.
- ^ "1997 Belgian Grand Prix". formula1.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14. Retrieved 24 December 2015.
- ^ "1997 Belgian Grand Prix - Race Results & History - GP Archive". GPArchive.com. Retrieved 23 October 2021.
- ^ a b "Belgium 1997 - Championship • STATS F1". www.statsf1.com. Retrieved 13 March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