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독급 철갑병
Admiral-class ironclad![]() HMS 앤슨(HMS Anson, 1897년경 | |
클래스 개요 | |
---|---|
이름 | 제독반 |
연산자 | ![]() |
선행자 | 콜로서스급 |
성공자 | 빅토리아급 |
사용중 | 1887–1910 |
완료된 | 6 |
폐기된 | 6 |
명시된[1]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 특성 Anson 및 Camperdown | |
유형 | 철갑상어 전함 |
변위 | 1만600t(1만800t) |
길이 | 330피트(101m) |
빔 | 68피트 6인치(21m) |
드라우트 | 27피트 10인치(8m) |
추진 | |
속도 | |
보완 | 530 |
무장을 |
|
갑옷 |
1880년대 영국 왕실 해군의 철통같은 제독급 전함들은 상부구조물의 앞뒤 중앙선에 주무장을 하는 데 있어서 황폐화 계급의 패턴을 따랐다. 이 패턴은 1906년 HMS 드레드노우트까지 대부분 영국의 디자인을 따랐다. 그들은 한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모두 조지 앤슨 제독과 같은 영국 해군 제독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기 때문에 제독 계급으로 알려져 있었다.
배
배 | 빌더 | 눕다 | 시작됨 | 커미셔닝됨 | 운명 |
---|---|---|---|---|---|
콜링우드 | 펨브로크 선착장 | 1880년 7월 12일 | 1882년 11월 22일 | 1887년 7월 1일 | 1909년 던스턴에서 헤어짐 |
앤슨 | 1883년 4월 24일 | 1886년 2월 17일 | 1889년 5월 28일 | 1909년 Upnor에서 헤어짐 | |
캠퍼다운 | HM 조선소, 포츠머스 | 1882년 12월 18일 | 1885년 11월 24일 | 1889년 7월 18일 | 1911년 스완지에서 헤어짐 |
하우 | 펨브로크 선착장 | 1882년 6월 2일 | 1885년 4월 28일 | 1889년 7월 18일 | 1912년 브리튼 페리에서 헤어짐 |
로드니 | HM 선착장, 채텀 | 1882년 2월 6일 | 1884년 10월 8일 | 1888년 6월 20일 | 1909년 해체 |
벤보우 | 런던 템즈 철공소 | 1882년 11월 1일 | 1885년 6월 15일 | 1888년 6월 14일 | 1909년 해체 |
콜링우드
콜링우드는 1887년 7월 1일 포츠머스(Portsmouth)에서 빅토리아 여왕의 골든 쥬빌리 군사평론(Golden Jubiley Meritary Review)으로 임관했으며, 8월에 예비역으로 유급되었다. 그녀는 1889년 11월부터 1897년 3월까지 지중해에 파견되었다. 그녀는 반트리호에서 1897년 3월부터 1903년 6월까지 해안경비대 소속으로 있었는데, 그 때 그녀는 그곳에서 팔릴 때까지 머물렀다.
로드니
로드니는 1888년 6월 20일 내무반으로 임관되었다. 그녀는 1889년 7월까지 예비역으로 억류되어 있었고, 9월까지 마노에브르에 참가한 후 1894년 5월까지 채널 플리트에서 복무했다. 그 후 그녀는 지중해에 파견되어 1897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그 후 그녀는 1901년 2월까지 퀸즈페리의 해안 경비선이었다. 그녀는 1909년에 팔릴 때까지 보류되어 있었다.
하우
하우는 1885년 11월 15일 포츠머스(Portsmouth)에서 본무장을 제외한 채 인도되었다. 그녀는 1889년 7월에 함대 조종사에 참여하기 위해 임관되었다. 마침내 완전무장을 한 그녀는 1890년 5월에 채널 함대에 파견되었고, 그 후 지중해에 파견되었다. 1892년 11월 2일, 그녀는 페롤[4] 록에 기반을 두고 있다가, 1893년 3월 30일 마침내 풀려나 큰 어려움으로 인양되었다. 그녀는 차텀에서 보수와 정비를 위해 돈을 지불했고, 1896년까지 지중해에서 복무했고, 그 때 퀸스타운 항만 경비선이 되었다. 1901년, 그녀는 1910년에 팔릴 때까지 남아있던 보호구역으로 밀려났다.
캠퍼다운
캠퍼다운은 1889년 7월 18일 포츠머스에서 임관되어 처음에는 예비역에 들어갔다. 1889년 12월 그녀는 지중해 함대에 기함으로 배치되었고, 그녀는 1890년 5월 채널 함대의 기함으로 게시될 때까지 남아 있었다. 그녀는 1892년 5월에 함대 예비역으로, 1892년 7월에 지중해 함대로 다시 파견되었다. 1893년 6월 22일, 그녀는 조지 트라이온 경(자세한 내용은 HMS 빅토리아 (1887년) 참조) 등 358명의 사망자를 내며 전함 빅토리아호와 충돌해 침몰했다. 1897년 초, 그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 프랑스 해군, 독일 제국 해군, 이탈리아 왕립 해군(레기아 마리나), 러시아 제국 해군, 그리고 크레타에서 오스만 제국 지배에 대항한 그리스 기독교 봉기에 개입한 영국 해군의 배들로 구성된 다국적군인 국제 함대의 일원이 되었다.섬 포격 중에 처음으로 화가 난 [5][6]총들 1899년 9월에 그녀는 범주 B 예비역에 들어갔고, 1900년 5월에는 항구 예비역에 들어갔다. 1900년 7월 그녀는 1903년 5월까지 Lough Swilly에서 해안 경비선으로 임관했다. 그녀는 1908년까지 채텀에서 예비역이었으며, 1911년에 팔리기 전까지 하리치에서 잠수함의 지뢰선으로 고용되었다.
앤슨
앤슨은 1887년 3월 펨브로크에 있는 건설업자 마당에서 포츠머스에 도착하여 2년간 닻을 내리고 그녀의 총기가 제조되기를 기다리며 천천히 바다를 향해 마무리했다. 그녀는 마침내 1889년 5월 28일 후방-아드미랄, 채널 플릿의 기함으로 임관했다. 1891년 3월 17일 승객용 기선 SS 유토피아는 지브롤터 만에서 우연히 정지해 있는 안손과 충돌했다. 이 사고로 유토피아의 승객과 승무원 562명과 HMS 임페스토니테의 구조대원 2명이 사망했다.[7] 앤슨은 어떠한 부상이나 피해도 보고하지 않았다.
1893년 9월 안슨은 지중해로 전근되어 1900년 1월까지 복무했으며, 1896년 몰타에서 재입국하였다. 그녀는 집으로 돌아와 1901년 1월 데본포트에서 결실을 맺었고, 같은 해 3월 새로 창설된 홈플리트에서 재임용되었다. 1904년 5월, 앤슨은 마침내 예비비로 갚았고, 그곳에서 1909년 7월 13일에 팔릴 때까지 남아 있었다.
벤보우
벤보는 1888년 6월 14일 지중해 함대에 임관되어 1891년 10월까지 복무했다. 그 후 그녀는 1894년 3월까지 예비군에 억류되어 있었고, 두 번의 짧은 임무로 마노예브에 참가하게 되었다. 1904년 4월까지 그린록에서 경비함정을 지냈고, 그 후 1909년 매각될 때까지 예비역에 남아 있었다.
참조
- ^ 체스노 & 콜레스니크 1979, 페이지 29.
- ^ a b 체스노 & 콜레스니크 1979, 페이지 29~30.
- ^ 체스노 & 콜레스니크 1979, 페이지 30.
- ^ 1892년 11월 5일 페이지 8: 맨체스터 가디언 <<로이터>의 소속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우는 아직 함락되지 않았다. 그녀를 돌에 고정시키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배를 구하기 위한 기구들은 즉시 영국 해군에 의해 급송될 것이다. ... 페롤 항구 입구에서... 총사령관은 포병과 대형 무기고 몇 척을 보내 하우의 탄약과 소형 포병, 상점을 올렸다. 그 후 대형포병들을 좌현으로 이동시켜 배를 바다 쪽으로 기울게 했다... 임시 수리를 하고 배를 띄우고 도킹하는 것이 가능할지도 모른다.>> (영어)
- ^ 클로우즈, 페이지 446, 페이지 448.
- ^ 맥티어넌, 페이지 26, 35, 42
- ^ 유토피아의 죽음 뉴욕 타임즈 1891년 3월 20일
참고 문헌 목록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제독 계급 전함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Chesneau, Roger; Kolesnik, Eugene M. (1979).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860–1905. London: Conway Maritime Press. ISBN 0-85177-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