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알비스타미

Ali al-Bistami

알리비스타미 또는 무사니페크("작은 작가")로 더 잘 알려진 '[1][2]알라' 알-Dln 알-비스타미(1403-1470/71)는 오스만 제국을 섬긴 페르시아의 하나피 마투리디 학자, 다작 작가, 물라, 셰이크였다.[3]

무사니페크는 칼리프 우마르까지 거슬러 올라갔다.[3] 그는 티무리드 제국의 수도 헤라트에서 교육을 받았다. 1440년대 카라만드가 지배하는 아나톨리아로 이주하여 코냐에서 교편을 잡기 시작했다. 무사니페크는 오스만 제국의 그랜드 비지어인 마흐무드 파샤 안젤로비치의 초청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건너가 하루 80에이커의 수령을 받았다.[2] 괴팍한 학자 하산 체엘비 엘 페나리가 마흐무드 파샤의 집에서 알비스타미의 책 중 하나를 비판하자 알비스타미가 바로 옆에 있다는 경고를 받아 체르비에게 당혹감을 안겨주었고, 마흐무드 파샤는 알비스타미가 귀머거리라는 사실을 언급하며 위로했다.[3]

알비스타미는 오스만 통치자인 메흐메드 정복자를 따라 선거운동을 벌였다. 1462년 메흐메드가 제노스가 소유한 레스보스 섬을 정복하자 알 비스타미는 섬의 수도인 미틸렌을 담당하게 되었다. 안전을 약속받았음에도 불구하고 300명의 제노 죄수들이 반으로 잘려 있었다.[4] 이듬해 메흐메드가 보스니아 왕국을 향해 진군했을 때 알비스타미는 다시 레티누에 끼어 있었다. 보스니아는 5월에 진압되었고, 붙잡힌 스테판 토마셰비치 왕은 마흐무드 파샤로부터 안전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술탄은 그 약속을 지킬 생각이 전혀 없었고 알비스타미를 소환했다. 알비스타미는 마흐무드 파샤의 약속에 구속력이 없다고 선언하는 파트와를 전달하고 칼을 뽑아 마지막 보스니아의 왕을 참수했다.[5]

참조

  1. ^ 치시 2001, 페이지 171.
  2. ^ a b 2016년, 66페이지.
  3. ^ a b c 바빙거 1992, 페이지 490.
  4. ^ 1992년, 페이지 211.
  5. ^ 바빙거 1992 페이지 222.

참고 문헌 목록

  • Babinger, Franz (1992).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USA: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1078-1.
  • Atçıl, Abdurrahman (2016). Scholars and Sultans in the Early Modern Ottom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1107177162.
  • Cici, Recep (2001). Osmanlı dönemi İslâm hukuku çalışmaları: kuruluştan Fatih devrinin sonuna kadar (in Turkish). Arasta Yayınları. ISBN 9758484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