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플라스마증

Anaplasmosis
아나플라스마증
Anaplasma-centrale.jpg
소의 적혈구를 감염시키는 아나플라스마 센트랄레:화살표는 전형적인 감염된 세포를 가리킵니다.
전문수의학

아나플라스마증반추동물, 개, [1]말에 영향을 미치는 진드기 매개 질환으로 아나플라스마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한다.과민증은 전염성이 있지만 전염성이 있는 질병은 아니다.아나플라스마증은 기계적 및 생물학적 벡터 과정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무지외반증은 또한 "노란색 가방" 또는 "황열"로 언급될 수 있는데, 이는 감염된 동물이 황달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다른 감염 징후로는 체중 감소, 설사, 피부 창백함, 공격적인 행동, 고열이 [2]있다.

아나플라스마를 일으킬 수 있는 박테리아를 옮길 수 있는 진드기 종류는 많지만, 두 가지 주요 종은 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아나플라스마 파고사이토필룸[3]포함한다.아나플라스마속 혈액 기생충을 운반해 아나플라스마증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그램 [4]음성으로 적혈구[5]감염시킨다.숙주가 아나플라스마증에 감염되면 면역체계는 감염된 적혈구를 물리치고 죽이려 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2]적혈구도 죽일 것이다.

USDA가 아나플라스마증에 대해 승인한 모든 A. 마진알레 균주에 유효한 현재 활백신 또는 불활성화 백신은 없지만, 다른 예방 방법이 있다.반추동물 무리들의 진드기와 비행 제어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노동 집약적입니다.[3]사용 후 수술 장비를 소독하는 등의 화학적 방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테트라사이클린 약물은 아나플라스마증의 가장 일반적인 치료제이며 동물에게 일정 [6]기간 동안 면역력을 제공할 수 있다.이 질병은 미국 남부와 서부 지역에서 더 흔하지만 테트라사이클린 [7]약물의 사용 이후 더 이상 큰 문제로 여겨지지 않는다.

전송

기계적, 생물학적 벡터 전달은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둘 다 적혈구 감염으로 이어진다.기계적 전염은 두 가지 방법으로 발생하는데, 하나는 적혈구에 주사바늘, 디호너, 귀표지, 거세칼, 문신 기구 등 수술 장비를 통해 혈액 기생충을 접종하는 것이다.또 다른 기계적 전염 모드는 혈액 [2]기생충인 아나플라스마 종을 옮기는 물고기의 입 부분을 통해서이다.

생물학적 벡터 전달은 과민증을 일으킬 수 있는 혈액 기생충을 옮기는 진드기를 통해 이루어진다.무지외반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진드기는 검은다리진드기 또는 사슴진드기로도 알려져 있는 견갑골진드기이다.[8][9]많은 다른 아나플라스마 종의 종을 포함하고 있는 진드기는 물림으로써 이 병을 전염시킬 수 있다.혈액 기생충은 살아남아 진드기에서 증식할 수 있으며 동물에게 전염되지 않고 몇 달 동안 휴면 상태로 있을 수 있다.혈액 기생충을 옮기는 진드기에 물렸을 때, 혈액 기생충은 새로운 숙주로 들어가 [2]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일단 아나플라스마 종에 감염되면, 그 기생충은 혈류에서 증식하여 적혈구에 붙는다.면역체계는 감염된 혈액세포를 죽이려 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감염되지 않은 적혈구도 죽이려 할 것이다.파괴되는 적혈구의 수는 새로 만들어지는 적혈구보다 많아지고 숙주가 빈혈이 되어 다른 많은 증상을 일으킨다.일단 아나플라스마증에 감염되면 소는 항상 전염병의 매개체가 될 것이고, 보균자로부터 태어난 송아지들도 그 [2]병을 옮길 것이다.

징후 및 증상

전형적인 아나플라스마증의 징후와 증상은 감염 [2]후 3~6주까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아나플라스마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 백혈구 수 감소, 혈류 속의 혈소판, 그리고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간 효소를 포함한다.만성 홍반성 홍반은 라임병 사례의 10%에서 공전되기 때문에 아나플라스마증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빈혈은 심할 수 있고 심박수 증가와 같은 심혈관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적혈구의 용해에 의해 소변에 피가 나올있습니다.일반적인 전신 증상으로는 설사, 거식증, 체중 감량이 있다.감염된 동물은 황달로 보일 수 있으며,[2] 그 후 소의 눈, 코, 입술, 젖꼭지 주변이 창백하게 변할 수 있다.

모든 소는 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에 감염되기 쉽지만 나이가 들수록 중증도가 악화된다.나이가 많은 소들은 가장 심각한 임상 증상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1-3세의 소들도 심각한 증상을 보일 수 있지만 쉽게 회복될 수 있다.[10]

원인들

반추동물에서 아나플라스마증을 일으키는 두 가지 주요 종은 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아나플라스마 파고시토필룸이다.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는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리피체뇌진드기에 의해 전염된다.Anaplasma phagocytophilum은 또한 전세계적으로 발견되며, 주로 Ixodes [11]진드기에 의해 전염된다.특정 종에서 아나플라스마를 일으키는 다른 종들은 다음과 같다.

  • 소:
  • 양과 염소:
    • Anaplasma [12]ovis - 전 세계에서 발견됩니다.양은 82.9%, 염소는 74.9%의 유병률을 보인다. 종은 양과 염소의 아나플라스마 식세포질륨도 이 병을 일으킬 수 있지만, 양과 염소의 아나플라스마증을 일으키는 데 가장 흔하다.Anapasma phagocytophilium은 양에서 11.9%, [13]염소에서 15.2%의 유병률을 보인다.

형태학

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에는 다양한 형태, 항원 특성, 단백질 배열, 진드기에 의해 전염되는 능력을 가진 많은 변종들이 있다.주요 표면 단백질(MSP)은 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에 의한 감염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이 종에서 발견된 6개의 MSP 중에서, MSP1a, MSP4, MSP5를 포함한 3개의 주요 표면 단백질은 모든 변종 간에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MSP1a를 코드하는 msp1a 유전자는 소와 진드기의 리케치아 증식에 보존되고 소 적혈구와 진드기 [3]세포와의 유착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 식별을 위한 지표로 사용된다.

Anaplasma phagocytophilum은 리포다당류나 펩티도글리칸이 없는 그램 음성 세균이다.외막은 캡슐이 없고 불규칙한 주경막으로 거칠다.이 종은 원래 Ehrlichia(Ehrlichia phagocytophilium)속에 포함되었지만, 현재는 Anaplasma(Anaplasma phagocytophilium)[11]에 포함된다.

예방

현재 USDA는 모든 A. 마진알레 균주에 대해 효과가 있는 생백신 또는 불활성화 백신을 승인하지 않았다.적혈구 유래 항원원에 의존하는 일부 백신은 면역력을 제공하거나 임상 질환을 예방하지만, 소가 A. 마진알레감염되는 것을 막지는 못한다.다른 예방 수단으로는 무리 내 모든 반추동물을 검사하고 아나플라스마증 양성반응을 보이는 개체들을 제거함으로써 아나플라스마증이 없는 무리로 이끄는 것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벡터 제어 측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진드기 방제는 아프리카를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이 예방 방법이 노동 집약적이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반대로, 파리를 통제하는 것은 효과적이고 많은 방법들이 있다.화학 약품, 위생 방법(정기 노점/펜 청소, 거름 관리, 사료 보호 등) 및 천적 파리(벌, 진드기, 기생충 포함)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원성 전염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바늘의 재사용을 피하고 사용 간 의료 장비를 소독하는 것이 포함된다.항균 치료법도 사용할 수 있지만, 감염이 활발한 경우 더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여기에는 테트라사이클린이미도카브가 포함되며 활성 [3]감염의 임상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건강한 반추동물에 사용됩니다.

치료

치료의 가장 일반적인 원천은 테트라사이클린 약물(테트라사이클린,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로리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포함)과 이미도카르브의 사용이다.테트라사이클린 약물의 주입은 반추동물이 적어도 8개월 동안 아나플라스마 종에 면역력을 갖게 할 수 있다.이미도카브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확인되었으며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승인되지 않았다.남아프리카, 호주, 이스라엘, 남미 등에서는 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 감염을 막기 위해 감염성 아나플라스마 센트랄레가 함유된 생백신을 사용하고 있다.미국에서는 생백신이 금지되어 있으며, 감염된 소 적혈구로부터 추출된 무생물의 아나플라스마 마진알레로 구성된 백신이 생산되고 있다.이 백신은 일부 면역을 제공할 수 있지만 소는 다른 종류의 아나플라스마 [6]마진알레에 감염되기 쉽다.혈액제제나 수액과 같은 지원요법이 [14]필요할 수 있습니다.

역학

미국에서는 진드기 숙주 Ixodes spp.가 발견되는 남부 및 서부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아나플라스마증이 나타난다.그것은 [4]또한 유럽에서 인간에게서 증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항체이다.백신은 개발되었지만, 현재 미국에서는 구할 수 있는 것이 없다.20세기 초, 이 질병은 미국 서부에서 주요한 경제적 결과 중 하나로 여겨졌다.1980년대와 1990년대에, 새로운 진드기를 억제하고 항생제, 특히 테트라사이클린을 사용한 실용적인 치료를 통해 진드기를 통제함으로써, 이 질병은 더 이상 큰 문제로 여겨지지 않게 되었다.이 질병은 면역글로불린 G에 영향을 미치므로 G 특이 항체 수치를 사용하여 질병을 [7]진단할 수 있습니다.

2005년,[15] A. 오비스는 몽골의 순록 개체수에서 발견되었다.이 병원체와 관련 증후군(무력증, 발열, 창백한 점막으로 특징지어짐)은 이전에 이 지역의 야생 양과 염소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순록에서 A. ovis가 처음으로 관찰되었습니다.

호주에서는 A. 마진알레에 의해 발생하는 소 아나플라스마증은 소 진드기가 존재하는 호주 북부와 동부 지역에서만 발견된다.그것은 아마도 1829년에 소 진드기 부오필러스 마이크로플러스(Boophilus microplus)[16]에 감염된 인도네시아 소에 의해 도입되었을 것이다.

루이지애나 뉴 이베리아에 사는 수의사 조지 P. 브루사드는 아나플라스마증과 [17]브루셀라증에 대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레퍼런스

  1. ^ "Anaplasmosis". Pennsylvania Game Commission. Retrieved 2021-11-29.
  2. ^ a b c d e f g F., Whittier, W. Dee Currin, Nancy Currin, John (2005-09-01). Anaplasmosis in Beef Cattle. Virginia Cooperative Extension. OCLC 1200163698.
  3. ^ a b c d Aubry, P.; Geale, D. W. (2011). "A Review of Bovine Anaplasmosis". Transboundary and Emerging Diseases. 58 (1): 1–30. doi:10.1111/j.1865-1682.2010.01173.x. ISSN 1865-1682.
  4. ^ a b Hartelt, Kathrin; Oehme, Rainer; Frank, Henning; Brockmann, Stefan O.; Hassler, Dieter; Kimmig, Peter (2004-04-01). "Pathogens and symbionts in ticks: prevalence of Anaplasma phagocytophilum (Ehrlichia sp.), Wolbachia sp., Rickettsia sp., and Babesia sp. in Southern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Supplements. Proceedings of the VII International Potsdam Symposium on Tick-Borne Diseases. 293, Supplement 37: 86–92. doi:10.1016/S1433-1128(04)80013-5.
  5. ^ Capucille, DJ (2011). "Anaplasmosis". In Haskell, SRR (ed.). Blackwell's Five-Minute Veterinary Consult Ruminant. Hoboken: John Wiley & Sons. pp. 50–51. ISBN 9780470961186.
  6. ^ a b "Anaplasmosis - Circulatory System". Merck Veterinary Manual. Retrieved 2021-11-14.
  7. ^ a b Srivastava, Siddhartha; Evans, Gerald; Guan, T. Hugh; Edginton, Stefan (2018-03-26). "Human granulocytic anaplasmosis acquired from a blacklegged tick in Ontario". CMAJ. 190 (12): E363–E366. doi:10.1503/cmaj.171243. ISSN 0820-3946. PMC 5871440. PMID 29581163.
  8. ^ "Transmission Anaplasmosis CDC". www.cdc.gov. 2019-01-11. Retrieved 2019-04-02.
  9. ^ "Anaplasmosis ALDF". www.aldf.com. Retrieved 2019-04-02.
  10. ^ "Keep a watchful eye out for anaplasmosis in cattle herds — Division of Agricultural Sciences and Natural Resources". www.dasnr.okstate.edu. Retrieved 2021-11-16.
  11. ^ a b Atif, Farhan Ahmad (2015-11-01). "Anaplasma marginale and Anaplasma phagocytophilum: Rickettsiales pathogens of veterinary and public health significance". Parasitology Research. 114 (11): 3941–3957. doi:10.1007/s00436-015-4698-2. ISSN 1432-1955.
  12. ^ a b Boes, KM; Durham, AC (2017). "Anaplasmosis, Ehrlichiosis, Heartwater and Tick-Borne Fever". In Zachary, JF (ed.). Pathologic Basis of Veterinary Disease (6th ed.). Elsevier Health Sciences. pp. 749–50. ISBN 9780323357975.
  13. ^ Alessandra, Torina; Santo, Caracappa (2012-08-01). "Tick-borne diseases in sheep and goats: Clinical and diagnostic aspects". Small Ruminant Research. Supplement: SIPAOC Congress 2010. 106: S6–S11. doi:10.1016/j.smallrumres.2012.04.026. ISSN 0921-4488.
  14. ^ Anaplasmosis는 2011년 10월 10일에 WikiVet에 의해 검토 및 발행되었습니다.
  15. ^ Haigh, Jerry C.; Gerwing, Victoria; Erdenebaatar, Janchivdorj; Hill, Janet E. (July 2008). "A novel clinical syndrome and detection of A. ovis in Mongolian reindeer (Rangifer tarandus)".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44 (3): 569–577. doi:10.7589/0090-3558-44.3.569. PMID 18689641.open access
  16. ^ "Bovine anaplasmosis". Tick fever. Department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restry, Queensland Government. Retrieved 14 June 2012.
  17. ^ "조지 패터 브루사드", 루이지애나 전기 사전, 제1권(1988), 루이지애나 역사 협회 출판물, 페이지 11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