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돈 칼체프

Andon Kalchev
안돈 칼체프
네이티브 이름
Андон Калчев
태어난1910 (1910)
죽은1948년 8월 27일 (1948-08-27) (37-38세)
얼리전스 불가리아 왕국
모교라이프치히 대학교

안돈 칼체프(불가리아어: :адоооочччччччччч)))))))))))))))1910년 8월 27일 ~ 1948년 8월 27일)는 불가리아의 육군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그리스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인들의 준군사적 형성이었던 오라나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 점령지역 밖에서 경쟁 상대인 그리스 EAM-ELAS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저항단체와의 싸움에 그를 이용했던 이탈리아와 독일 당국의 관용 아래 활동했다. 협력주의 활동으로 그리스 군사재판소에서 사형을 선고받았고, 1948년 8월 27일 총살형에 처해졌다.

초년기

그는 1910년 현재 그리스 카스토리아 지역 유닛인 오스만 제국주젤티에서 태어났다. 1913년 발칸 전쟁 이후 그리스는 남부 마케도니아를 장악하고 다른 지방에서 남부 마케도니아로 그리스인들이 정착한 것은 물론 불가리아 민족의 언어문화적 헬레네이션도 포함하는 강제 동화 정책을 공식적으로 시작했다.[1][2] 그리스인들은 불가리아 엑사르시스트 교인들과 교사들을 추방하고 불가리아 학교와 교회를 폐쇄했다.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 방언 포함)는 금지되었고, 그 은밀한 사용은 적발될 때마다 조롱이나 처벌을 받았다.[3]

그리스 내에서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인들은 "슬라보폰 그리스인"[4]으로 지정되었다. 발칸 전쟁 이후,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에게 마케도니아에서 60만 명에 이르는 불가리아인들과 서부 트라스에서 40만 명에 이르는 불가리아인들이 피난민으로 불가리아로 피신했다. 이때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기구(IMRO)는 그리스 마케도니아와 트라이스에 무장투쟁단(체티)을 파견하여 관리들을 암살하고 억압받는 인구의 정신을 선동하기 시작했다. 칼체프는 제2차 발칸 전쟁 이후 그리스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의 발치크로 이주한 유명한 IMRO 불가리아 지방 가문 출신이다.[5][6] 칼체프는 소피아체육관에서, 그리고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졸업했다. 후에 그는 불가리아로 돌아가 소피아에 있는 군 장교 학교를 졸업했다.[citation needed]

불가리아 점령의 그리스 참여

이오아니스 메탁사스 장군의 지휘 아래 그리스 8월 4일(1936 1941)은 그리스 북부 슬라보폰의 친불가리아 파벌에 단호히 반대하였는데, 이들 중 일부는 주변국에 대한 적개심 옹호 때문에 정치적 박해를 받았다. 메탁사스 정권은 슬라브어 문화적 특수성의 표현뿐만 아니라 공공과 사적으로 모두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탄압을 계속했다. 그 결과 독일군의 그리스 침공(1941년 4월 6일) 이후 동마케도니아와 서부 트라스 일부의 불가리아 합병도 뒤따랐다.

불가리아는 제2차 세계대전에 축을 편들면서 자국의 '국가문제'를 해결하고, 특히 마케도니아(제2차 발칸전쟁에서 많은 영토가 상실된 곳)와 서부 트라스( 불가리아 주 국제 인정 영토) 지역에서 '그레이터 불가리아'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시도로 가담했다.일리. 불가리아는 1941년 3월 1일 축에 가입하여 영토 주장에 대해 독일의 지원을 명시적으로 요청했다.

그리스 관리들이 모두 추방되는 대규모 '불가라이제이션' 캠페인이 시작됐다. 그리스 언어의 사용에 대한 금지가 내려졌고, 도시와 장소의 이름은 불가리아에서 전통적인 형태로 바뀌었다. 또한 불가리아 정부는 불가리아 정착민(마케도니아 등지에서 온 이전의 난민)에게 유리하게 그리스인들의 땅과 집을 수용하고, 강제 노동과 그리스인들을 강제 이주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리스인들의 경제적 제약을 도입함으로써 이 지역의 민족적 구성을 바꾸려고 노력했다. 1941년 9월 말 그리스 드라마 주변에서 일어난 자발적이고 형편없이 조직된 봉기는 불가리아 군대에 의해 격렬하게 진압되었다. 1941년 후반까지 10만 명 이상의 그리스인들이 불가리아 점령지에서 추방되었다.[7]

1941년 불가리아인들이 동부 마케도니아를 점령했을 때 그들은 또한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인들의 충성을 얻고 그들의 불가리아 민족 정서를 강화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다.[8] 이 사람들 중 일부는 특히 동부 마케도니아와 중부 마케도니아에서 해방자로써 불가리아인들을 맞이했지만, 이 캠페인은 독일이 점령한 서부 마케도니아에서 성공적이지 못했다.[9]

칼체프는 처음에는 불가리아 부속 영토로 장교로 복무했으나, 후에 독일로 보내져 테살로니키를 점령하고 그곳에서 불가리아 군사 클럽을 발견하였는데, 1941년 독일 고등 사령부가 이를 승인하였다. 불가리아인들은 지지를 얻기 위해 곧 중서부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 인구를 위한 식량과 식량 공급을 조직했다. 많은 불가리아 정치범들이 테살로니키에 있는 불가리아 클럽의 중재로 석방되었는데, 이 클럽은 독일 점령당국에 대변을 했다.[citation needed]

오하라나 건국 및 이탈리아 및 독일 점령군과의 협력

1942년 불가리아 클럽은 북부 그리스에 있는 불가리아 인구 중 무장 부대를 조직하는 데 독일 고등 사령부의 도움을 요청했다. 이를 위해 불가리아군은 발칸반도의 독일군의 승인 아래 이탈리아와 독일군이 점령한 구역에 소수의 장교를 파견하여 점령군에 '사찰 장교'로 붙이게 했다. 그 중 하나가 칼체프였다. 이 장교들은 무장한 불가리아 민병대를 형성하는 목적을 부여받았다. 불가리아는 이탈리아와 독일의 점령하에 이 구역들을 획득하는 데 관심이 있었고, 당시 그곳에 살고 있던 8만 불가로포네들의 충성을 흔들기를 바랐다.[citation needed]

1943년 3월 상반기에 불가리아 군경은 전쟁 전 불가리아 국경을 넘어 점령지에서 불가리아인이 아닌 유대인 1만341명의 대다수를 추방하여 독일 구금에 넘겨주었다. 불가리아 정부는 계획된 추방 전날, 추방 대상자들의 행선지에 대해 문의를 하고, 추방 비용을 변상해 줄 것을 요청했다. 독일 대표들은 추방자들이 농업과 군사 프로젝트에서 노동자로 사용될 것임을 시사했다.[citation needed] 독일 문서보관소에 기록된 바와 같이 나치 독일은 트레블링카 말살 캠프로 향하는 성인 3,545명과 어린이 592명의 추방을 위해 7,144.317 레바를 지불했다.[10]그리스 트라이스와 동마케도니아에서 온 유대인 4,500명이 폴란드로 추방되었고,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포모라블제에서는 7,144명이 트레블링카로 보내졌다. 살아남은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11] 1943년 3월 20일 독일군의 지원을 받은 불가리아 헌병대는 코모티니카발라에서 유대인을 여객선 카라게오르기에서 빼앗아 학살한 뒤 함정을 침몰시켰다.[12][13]

그 지역에서 그리스 파르티잔인들의 등장은 이탈리아인들을 설득하여 이 분리막의 형성을 허용하였다.[14] 불가리아의 계획은 결국 불가리아가 그곳의 행정부를 맡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들을 군사적으로 조직하는 것이었다. 서부 마케도니아에 그리스 파르티잔인들의 등장은 이탈리아와 독일 당국에 불가리아 장교들이 이끄는 슬라브 보안대대를 편성할 수 있도록 설득했다. 초기 분리대는 1943년 초 안돈 칼체프가 카스토리아 지방에서는 카스토리아 중위의 이탈리아 점령당국의 수장의 지원을 받아 결성되었는데,[15] 라발리 중위는 ELAS의 커져가는 저항 활동에 맞서기 위해 지역 마을을 무장시켰다.[citation needed]

무장 민병대에 붙여진 이름은 오라나(불가리아어: 쾨르바사 - 불가리아어로 "보호")이다. 무기를 소지한 현지인들의 이유는 다양했다. IMRO의 일부는 남자 모두 전쟁 전의 멤버고, 따라서 깊은 불가리아 신념, 몇가지의 그리스 attacks,[16] 다른 사람들기 때문에 정서에 일부의 정당 방위로 다른 그리스 저항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repressions 그들에 그리스 당국에 의한 메탁 사스 독재 시절 동안 입힌 그리고 많은 다른 복수하는 데도 도움을 줄 품고.anc이탈리아, 불가리아, 독일군과 협력한 것으로 본 e운동. 1944년 여름, 오라나는 약 1만 2천 명의 지역 전투원과 지역 주민 보호 임무를 맡은 불가리아 출신 자원봉사자들을 구성했다.[citation needed][17]

1944년 동안 그리스 불가로폰(현재의 슬라보폰) 마을들이 부르는 통째로 점령당국에 의해 무장되어 저항세력, 특히 그리스 인민해방군(ELAS)의 신흥 세력 균형을 맞췄다. 1944년 4월 5일 반군 단체 EAM-ELAS는 25명의 군인을 죽인 독일 트럭을 공격했다. 독일인들은 오후 늦게 마을의 남녀노소들을 모아 233명에서 300명사이에 처형했다.[18][19][20]

전쟁 후 칼체프는 독일 민병대의 불가리아인 남성들과 함께 클라이수라 대학살로 알려진 클라이수라 마을에서 만행에 가담한 혐의를 받았다.[21]

오하라나 해산 및 임시 군법회의 사형선고

그러나 1944년 붉은 군대의 불가리아 진출, 10월 독일군의 그리스 철수는 불가리아군이 그리스 마케도니아와 트라스에서 철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해 그리스는 점령 후 재건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칼체프는 저항군과 싸우고 현지 징집된 인력의 활용에 있어서 이탈리아 및 독일군과 적극적으로 협력한 결과, 종전 후 이 친불가리아 슬라보폰 일부에게는 매우 불쾌한 상황이 발생하여 마지막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불가리아와 유고슬라비아로의 이민이 새로운 물결로 이어졌다.) 그리스의 불가리아 소수민족의 구성원. 불가리아인과 독일인이 철수하자 그는 1945년 4월까지 마을에 숨었다.[22]

칼체프는 유고슬라비아 빨치산들에 의해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다. 나중에 그들은 그를 그리스로 보냈다. 불가리아 공산당 총재인 트레이초 코스토프(Traycho Kostov)가 두 차례 칼체프 송환을 공식 요구했지만 소용이 없었다.[23] 그리스인들은 협력 혐의로 그를 기소했고 1946년에 두 차례 종신형/징역형을 선고했으며, 1948년에 다시 한번 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사형을 선고했다. 그는 1948년 8월 27일 테살로니키 예디 쾰레 감옥에서 처형되었다. 조직된 공개 과정 동안 그는 "수세기 동안 불가리아인만 살고 있기 때문에 내가 태어난 저 너머에서"라고 말한다. 총살대 앞에서 그가 마지막으로 한 말은 "마케도니아 만세!"[24]였다.

참고 항목

참조

  1. ^ Hupchick, Dennis (2002).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Springer. ISBN 978-0-312-29913-2.
  2. ^ Human Rights Watch (1994). Denying Ethnic Identity: The Macedonians of Greece (PDF). New York: Human Rights Watch/Helsinki. ISBN 1-56432-132-0. LCCN 94-75891.
  3. ^ 이보 바낙, 「유고슬라비아의 국가 문제」의 「마케도인」. 오리진스, 역사, 정치" 307-28쪽 코넬 대학 출판부 (1984); 2007년 9월 8일 회보.
  4. ^ 발칸 반도의 국적. F에 의한 마케도니아인의 경우. A. K. 야사메. 발칸어: 이스탄불의 거울: EREN, 1995; 페이지 121-32.
  5. ^ 마케도니아 비밀군: IMRO 민병대 및 자원봉사 대대, 1943-44, 빅토리아 니콜스, 유로파 북스 주식회사, 2000; ISBN 1-891227-21-1, 페이지 17.
  6. ^ 볼가라이트 대 에게스카 마케도니아: mit ili realnost: istorik-demografsko izsledvane, 1900-1990, 게오르기 다스칼로프, 마케돈스키 나우첸 Institutt, 1996; ISBN 954-8187-27-27-2, 페이지 273.
  7. ^ 찰스 R. 슈라이더, 시든 덩굴: 1945-1949, 1999년 그리스의 물류와 공산 반군, 그린우드 출판 그룹, 페이지 19; ISBN 0-275-96544-9
  8. ^ 크리스토퍼 몬태규 우드하우스, 1941-1949, C. 허스트 앤 코퍼레이션 출판사, 2002; ISBN 1-85065-492-1, 페이지 67.
  9. ^ 로링 M. 댄포스 마케도니아 분쟁: 초국가적 세계의 민족주의, 프린스턴, NJ: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1995; ISBN 978-0-691-04357-9. 페이지 73.
  10. ^ "MINA Breaking News - German Archives show Bulgarians rounded up and transported Macedonian Jews". MacedoniaOnline.eu. 4 Febr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6. Retrieved 29 December 2016.
  11. ^ (eds.), Bruno De Wever ... (2006). Local government in occupied Europe: (1939–1945). Gent: Academia Press. p. 206. ISBN 978-90-382-0892-3. {{cite book}}: last= 일반 이름 포함(도움말)
  12. ^ 불가리아, 웨이백 머신 헬싱키 그룹에서 2016-01-05년 보관된 과거 기록과 마주함
  13. ^ "The Virtual Jewish History Tour Bulgaria". Jewish Virtual Library. Retrieved 2006-11-26. "Encyclopedia Judaica: Cuomotini, Greece". Jewish Virtual Library. Retrieved October 1, 2015.
  14. ^ Miller, Marshall Lee (1975). Bulgar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Stanford University Press. p. 129. ISBN 0-8047-0870-3. In Greece the Bulgarians reacquired their former territory, extending along the Aegean coast from the Struma (Strymon) River east of Salonika to Dedeagach (Alexandroupolis) on the Turkish border. Bulgaria looked longingly toward Salonika and western Macedonia, which were under German and Italian control, and established propaganda centres to secure the allegiance of the approximately 80,000 Bulgarophones in these regions
  15. ^ Егеjски бури — Револуционерното движење во Воденско и НОФ во Егеjска Македоница. (Вангел Аjановски Оче), Скопје, 1975. ср. 122-23 (그리스어)
  16. ^ Добрин Мичев. Българското национално дело в Югозападна Македония (1941—44 г.)
  17. ^ 이반 알렉산드로프, 마케도니아와 불가리아 민족 니힐리즘, 마케도니아 애국 기구, "TA" 호주 주식회사, ISBN 0646140795, 1993. 페이지 30.[unreliable source?]
  18. ^ Георги Даскалов, Участта на българите в Егейска Македония 1936-1946г. поаааааа,, ,,,,,, со 1999 1999г, ср.830, б. 384 (불가리아어)
  19.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11. Retrieved 11 September 2011.{{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클리소라 카스토리아: 사건의 간략한 역사: E. Kalfoglou (08/04/1944년)의 서술적 자원 봉사 적십자사 (그리스어)
  20. ^ 니콜라오스 시오키스, 프톨레마이다 TV (2011/05/04)
  21. ^ Δορδανάς,Στράτος (2002, Αριστοτέλειο Πανεπιστήμιο Θεσσαλονίκης (ΑΠΘ)), Αντίποινα των γερμανικών αρχών κατοχής στη Μακεδονία (1941-1944) pages 562-3
  22. ^ 제인 K. 코완, 마케도니아: 정체성과 차이정치, 명왕성 프레스, 2000; ISBN 0-7453-1589-5, 페이지 72.
  23. ^ Георги Даскалов, Участта на българите в Егейска Македония 1936-1946 г. Политическа и военна история, София 1999г., стр. 683
  24. ^ Във и извън Македония - спомени на Пандо Младенов, Македонска Трибуна, makedonskatribuna.com; accessed 10 December 2016 (in Macedonian Cyril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