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의 인구학적 역사
Demographic history of Macedonia


마케도니아 지역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е 가장 초기의 역사적 거주자들
이 지역의 초기 역사적 거주자는 펠라시아인,[1] 브라이지인[1], 트라키아인이었습니다. 펠라시아인들은 에마티아를, 브라이게인들은 북부 에피루스와 마케도니아,[2] 주로 악시오스 강 서쪽과 미그도니아의 일부를 점령했습니다. 트라키아인들은 초기에 마케도니아의 동쪽 지역(미그도니아, 크레스토니아, 비살티아)을 주로 차지했습니다.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암흑기 이전부터 이 지역의 남쪽 끝인 오레스티아 고원에서 살았기 때문에 초기 역사 기록에서 누락되었습니다.[3][4] 마케도니아 부족들은 이후 오레스태족의 압력으로 할리아몬 상류의 오레스티스에서 내려왔습니다.[a]
고대 마케도니아인
마케도니아 지방의 이름(그리스어: μα κεδονία, 마케도니아)은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의 부족 이름(그리스어: μα κεδώνες, 마케도네스)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마케드노이(그리스어: Mα κεδνοί)는 도리아 그리스인들의 대규모 남하 이동 기간 동안 남아있던 도리아 부족이었습니다.마케노스(Makednos)는 그리스어로 길이를 뜻하는 άκος(Pu ήκος) μakos와 동음이의어입니다.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신체적으로 키가 컸기 때문에 또는 산에 정착했기 때문에 이 이름을 붙였습니다. 후자의 정의는 "마케도니아"를 "하이랜더"로 번역할 것입니다.

마케도니아인(그리스어: μα κεδόνες, 마케도네스)은 그리스 본토 북동부 할리아크몬 강과 악시오스 강 하류 주변의 충적 평야에 살았던 고대 부족입니다. 본래 고대 그리스인이었던 [7]그들은 그리스 세계의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할리아크몬 계곡을 따라 고향에서 점차 확장하여 주로 트라키아인과 일리리아인과 같은 비그리스 부족들을 흡수하거나 쫓아냈습니다.[8] 그들은 고대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했는데, 이 언어는 고대 그리스어와 형제 언어이거나 도리아 그리스 방언이었지만, 이 지역의 위신 언어는 처음에는 아티키어였고 그 다음에는 코인 그리스어였습니다.[9] 그들의 종교적 신념은 그리스 판테온의 주요 신들을 따르는 다른 그리스인들의 신앙을 반영했지만, 마케도니아인들은 기원전 6세기 이후 그리스의 다른 지역에서 중단된 고대 매장 관행을 계속했습니다. 군주제를 제외하고 마케도니아 사회의 핵심은 귀족이었습니다. 이웃한 테살리아의 귀족들과 비슷하게, 그들의 부는 말과 소를 목축하는 데 주로 쓰였습니다.
다양한 씨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원전 8세기경에 세워진 마케도니아 왕국은 대부분 아르헤아드 왕조와 그 이름을 딴 부족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왕조는 전설적인 아르고스의 테메누스의 후손인 페르디카스 1세에 의해 세워졌다고 알려져 있으며, 마케도니아 지역은 아마도 그리스 신화의 인물인 마케돈에서 이름을 따왔을 것입니다. 전통적으로 독립된 가족들이 지배했던 마케도니아인들은 알렉산더 1세 r.(기원전 498–454–) 시대에 아르헤아드 통치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필리포스 2세 r.(기원전 359–336–) 치하에서 마케도니아인들은 그들의 영토를 넓히고 트라키아에 이르는 다른 지역들에 대한 그들의 통제권을 늘린 수많은 군사적 혁신들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토의 통합은 알렉산더 대왕 r.(기원전 336–323–)의 업적, 아케메네스 제국의 정복, 디아도치 후계국의 설립, 서아시아, 그리스 및 더 넓은 지중해 세계에서 헬레니즘 시대의 출범을 허용했습니다. 마케도니아인들은 결국 로마 공화국에 의해 정복되었고, 로마 공화국은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기원전 171–168) 말에 마케도니아 군주제를 해체하고 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 (기원전 150–148) 후에 로마의 마케도니아 속주를 설립했습니다.
페르디카스 2세의 아버지인 알렉산더 1세의 통치 이전에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주로 오늘날의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의 남쪽 멀리에 있는 할리아크몬에 인접한 땅에서 살았습니다. 알렉산더는 마케도니아의 핵심 영토인 피에리아, 보티아, 미그도니아, 그리고 에오르다이아의 많은 땅을 마케도니아에 추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Thuc. 2.99). 안테무스, 크레스토니아, 그리고 비살티아도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추가된 것으로 보입니다(Thuc. 2.99). 이 땅의 대부분은 이전에 트라키아 부족이 거주했던 땅으로, 투키디데스는 마케도니아인들이 땅을 얻었을 때 트라키아인들이 어떻게 산으로 밀려났는지 기록하고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알렉산더 이후 몇 세대에 걸쳐 마케도니아의 필립 2세는 마케도니아에 새로운 땅을 추가하고, 그가 왕이 되었을 때 그를 공격했던 일리리아인과 페이오니아인과 같은 주변 강대국들을 반자치 민족으로 줄였습니다. 필립의 시대에 마케도니아인들은 새로운 인접 영토들 중 많은 곳에 확장하여 정착했고, 네스투스까지 트라키아는 마케도니아 정착민들에 의해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스트라보는 상부 마케도니아에 서식하는 인구의 대부분이 트라코-일리리아의 가축으로 남아 있었다고 증언합니다. 필립의 아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리스의 주요 도시 국가들에 마케도니아의 힘을 확장시켰고, 국내외에서의 그의 활동들은 마케도니아의 힘을 그리스에서 페르시아, 이집트 그리고 인도의 가장자리까지 최고로 만들 것입니다.
이 시기 이후 켈트족에 의한 발칸 반도의 야만적인 침략이 반복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로마 마케도니아

기원전 148년 안드리스쿠스가 패배한 후 마케도니아는 기원전 146년에 공식적으로 로마 공화국의 속주가 되었습니다. 그리스인이 아닌 사람들의 헬레니즘화가 기원전 146년에 아직 완성되지 않았고, 트라키아와 일리리아 부족의 많은 부족들이 그들의 언어를 보존했습니다. 고대 마케도니아어는 헬레니즘 시대의 일반적인 그리스어인 코인어와 함께 여전히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초기부터, 로마의 마케도니아 지방은 에피로스, 테살리아, 트라키아의 일부, 일리리아를 포함했고, 따라서 마케도니아 지역은 고대 국경과의 어떠한 연결도 영구적으로 상실하게 되었고, 지금은 더 많은 다양한 주민들의 고향이 되었습니다.[10]
비잔티움 마케도니아
그리스의 비잔티움 국가가 점차 로마 제국의 후계 국가로 부상하면서 마케도니아는 제국의 수도(콘스탄티노플)와 가깝고 두 번째로 큰 도시(테살로니키)를 포함하면서 가장 중요한 지방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어니스트 호니그만에 의해 기록된 비잔틴 지도에 따르면 서기 6세기까지 제국의 국경에[citation needed]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을 가진 두 개의 지방이 있었습니다.
- 마케도니아 프리마 ("최초의 마케도니아")
- 마케도니아 왕국의 대부분을 아우르며, 오늘날의 그리스 지역 대부분과 일치하며 테살로니카를 수도로 삼았습니다.
-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 ("Wholesome Macedonia"), 마케도니아 세쿤다 ("제2 마케도니아")
- 부분적으로 펠라고니아와 다르다니아를 모두 포함하며 페이오니아 전체를 포함합니다. 이 지방은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와 대부분 일치합니다. 크르나 레카 강과 바르다르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스토비 마을이 주도가 되었습니다.
마케도니아는 4세기와 5세기에 서고트족, 훈족, 반달족의 공격으로 여러 차례 파괴되었습니다. 이것들은 민족 구성을 거의 바꾸지 않았지만 (그 당시에는 거의 완전히 그리스인이나 헬레니즘화된 사람들에 의해 인구가 감소했습니다).
서기 800년경 비잔티움 제국의 새로운 속주인 마케도니아는 트라키아라는 주제에서 이레네 황후에 의해 조직되었습니다. 마케도니아의 역사적, 지리적 지역과는 관련이 없었지만, 트라키아를 중심으로 아드리아노플(주제의 수도)에서 동쪽으로 마르마라 해를 따라 에브로스 계곡까지 포함했습니다. 그것은 고대 마케도니아의 어떤 부분도 포함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비잔틴이 그것을 지배하는 한) 테살로니카의 주제에 포함되었습니다.
중세
이 섹션은 확인을 위해 추가 인용이 필요합니다. (2018년 1월) (본 및 |

유목민들이 남긴 황폐함을 이용해 서기[11] 6세기부터 슬라브족이 발칸 반도에 정착했습니다(참조: 남슬라브족). 아바르족과 튀르크계 불가르족의 도움으로 6세기 슬라브 부족들은 비잔티움 땅을 점진적으로 침범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마케도니아에 잠입하여 테살리아와 펠로폰네소스까지 남쪽으로 뻗어 비잔티움 제국이 슬라비니아스라고 부르는 고립된 지역에 정착하여 점차 평화로워졌습니다. 많은 슬라브족들이 비잔티움 군대에서 군인으로 복무하기 위해 왔고 비잔티움 제국의 다른 지역에 정착했습니다. 슬라브 정착민들은 로마화되고 헬레니즘화된 마케도니아의 파에오니아인, 일리리아인, 트라키아인들 중 많은[quantify] 사람들과 동화되었지만, 산으로 도망친 부족들의 주머니들은 독립적으로 남아있었습니다.[12][page needed]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오늘날 아로마니아인(블라크), 사라카타니 및 알바니아인이 이 산악 개체군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합니다. 로마화된 토착 민족과 로마화되지 않은 토착 민족과 슬라브족 사이의 상호 작용은 현대 불가리아어, 알바니아어, 루마니아어, 마케도니아어에 반영된 언어적 유사성을 낳았습니다. 슬라브족은 또한 테살로니키의 배후 지역을 점령하여 서기 584년, 586년, 609년, 620년, 622년에 연속적으로 도시를 공격했지만 결코 점령하지 못했습니다. 아바르족의 분견대는 슬라브족의 맹공격에 종종 가담했지만, 아바르족은 이 지역에 지속적인 정착지를 형성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쿠베르 칸이 이끄는 불가르족의 분파는 서기 680년경 마케도니아 서부와 알바니아 동부에 정착했고 슬라브족과 함께 비잔티움을 공격하기도 했습니다. 이 무렵 마케도니아 전역에는 여러 다른 민족이 거주했는데, 마케도니아[13][14] 북부 지역에서는 남슬라브족이 전체적으로 다수를 차지했고, 그리스인들은 마케도니아 서부의 고원, 중앙 평원, 해안선을 지배했습니다.
9세기 초에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 B와 마케도니아 A의 일부를 포함한 북비잔티즘 땅을 정복했습니다. 이 지역들은 1018년 비잔티움 황제 바실 2세("불가리아 노예"라는 별명)에 의해 불가리아가 멸망할 때까지 2세기 동안 불가리아의 통치하에 있었습니다. 11세기와 12세기에 마케도니아의 국경 바로 밖에 있는 두 민족, 즉 현대 알바니아의 아르바니아인과 테살리아와 핀두스의 블라흐족(아로마인)에 대한 역사적 언급이 처음으로 나타납니다. 현대 역사가들은 알바니아인들이 그 당시에 (다키아 또는 모에시아에서) 이 지역에 왔는지, 아니면 토착의 로마화되지 않은 트라키아인 또는 일리리아인 인구에서 유래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나뉩니다.
또한 11세기에 비잔티움은 바르다르 강 하류를 따라 바르다리오테스(Vardariotes)라고 불리는 소아시아에서 온 수만 명의 투르크 기독교인들을 정착시켰습니다. 우제스, 페트첸스, 쿠만스와 같은 다른 튀르크 부족의 식민지도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다양한 시기에 소개되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은 결국 헬레니즘화되거나 불가리아화되었습니다. 인도 북부에서 이주한 로마니는 14세기경 마케도니아를 포함한 발칸반도에 도달했으며, 그 중 일부는 그곳에 정착했습니다. 로마 이민의 연속적인 물결은 15세기와 16세기에도 일어났습니다. (참고: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로마)
13세기와 14세기에 비잔티움 제국, 에피로스 전제국, 테살리아 지배자, 불가리아 제국이 마케도니아 지역의 지배권을 놓고 경쟁했지만, 잦은 국경 이동으로 인해 큰 인구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citation needed] 1338년 세르비아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했지만, 1371년 마리차 전투 이후 마케도니아의 세르비아 영주들 대부분은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했습니다. 1392년 오스만 투르크가 스코페를 정복한 후 마케도니아 대부분은 공식적으로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무슬림과 기독교인
이 섹션은 확인을 위해 추가 인용이 필요합니다. (2018년 1월) (본 및 |


오스만 제국의 통치 초기에는 마케도니아의 평원과 강 계곡의 인구가 감소했습니다. 그곳의 기독교인들은 산으로 도망갔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주로 소아시아에서 가져와 그 지역의 일부에 정착했습니다. 정복 기간 동안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서 파괴된 마을들이 새로워졌고, 이번에는 이슬람교도들만 거주하게 되었습니다. 마케도니아의 오스만 제국 요소는 특히 17세기와 18세기에 여행자들이 인구의 대다수, 특히 도시 인구를 무슬림으로 규정하면서 강력했습니다. 그러나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오스만 제국이 주도한 끊임없는 전쟁, 낮은 출산율, 그리고 기독교인들보다 이슬람교도들 사이에 빈번한 페스트 전염병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기 때문에 오스만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1683–1699), 코소보에 있는 세르비아 인구의 상당 부분이 오스트리아로 비행하고 오스만 제국의 반격 기간 동안 보복과 약탈로 인해 알바니아 이슬람교도들이 코소보, 북부 및 북서부 마케도니아로 유입되었습니다. 알바니아계 무슬림들은 권력의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기독교 이웃들을 밀어내고 18세기와 19세기에 추가적인 영토를 정복했습니다. 1774년에 끝난 제1차 러시아-터키 전쟁 이후 중앙 정부의 압력과 오스만 그리스인들이 "제5의 기둥"으로 연루된 것은 마케도니아 서부에서 수천 명의 그리스어 사용자들의 표면적인 이슬람화로 이어졌습니다. 이 그리스 이슬람교도들은 그리스어와 정체성을 유지했고, 암호 기독교인으로 남아 있었고, 이후 그리스 정교회 신자들에 의해 바야하데스라고 불렸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배운 유일한 터키계 아랍인은 분명히 "와-라히" 또는 "알라에 의해"라고 말하는 방법이었기 때문입니다.[15] 18세기 후반에 기독교 아로마니아 도시인 모스코폴과 남부 알바니아(에피루스-마케도니아) 지역의 다른 중요한 아로마니아 정착지들이 파괴되고 버려지면서 수천 명의 아로마니아인들이 서마케도니아의 도시와 마을, 특히 비톨라로 대규모 이주를 일으켰습니다. 크루셰보와 주변 지역. 테살로니키는 또한 1492년 이후 스페인의 유대인 추방 이후 많은 유대인 인구의 본거지가 되었습니다. 유대인들은 나중에 마케도니아의 다른 도시들, 특히 비톨라와 세레스에 작은 식민지를 형성했습니다.
헬레닉 아이디어
이 섹션은 확인을 위해 추가 인용이 필요합니다. (2018년 1월) (본 및 |


18세기 유럽 민족주의의 부상은 마케도니아에서 헬레니즘 사상의 확장으로 이어졌습니다. 수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의 통치 기간 동안 주요 기둥은 역사적인 마케도니아의 그리스 원주민들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 학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영향으로 슬라브어와 알바니아 출신의 도시 기독교 인구가 점점 더 자신을 그리스인으로 간주하기 시작하면서 제국의 다른 정통 신민들 사이에서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리스어는 문명의 상징이자 비이슬람교도들 사이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이 되었습니다. 1767년 불가리아의 오흐리드 대주교령이 폐지된 후 헬레니즘화 과정이 추가로 강화되었습니다. 대주교는 그리스계 성직자가 다수임에도 불구하고 콘스탄티노플의 직접적인 명령에 굴복하지 않았고 많은 중요한 영역에서 자치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기독교 농민들의 가난과 마을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것은 마케도니아 시골의 언어적 다양성을 보존했습니다. 그리스 독립 전쟁(1821–1829) 동안 그리스 국가 지위 부활을 위한 투쟁의 일환으로 그리스 마케도니아 국민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던 그리스 독립 전쟁(1821–1829) 동안 헬레니즘 사상은 절정에 달했습니다. 로마의 Istituto Geografiko de Agostini에 따르면, 1903년 셀라니크와 모나스티르 그리스어의 빌라예트는 이 지역의 지배적인 교육 언어였습니다.[19]
언어 | 학교 | 동공 |
---|---|---|
그리스어 | 998 | 59,640 |
불가리아인 | 561 | 18,311 |
루마니아어 | 49 | 2,002 |
세르비아어 | 53 | 1,674 |
그러나 그리스 왕국의 독립은 마케도니아의 헬레니즘 사상에 거의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습니다. 1913년 발칸 전쟁 이후 역사적 마케도니아가 그리스에 편입될 때까지 마케도니아 지식인들이 그리스로 망명하고 오스만 당국이 그리스 학교들을 대량 폐쇄하면서 이 지역에서 그리스의 존재감은 한 세기 동안 약화되었습니다.
불가리아 사상



마케도니아의 인구 대부분은 16세기와 17세기 동안 호카 사데딘 에펜디, 무스타파 셀라니키, 하지 칼파, 에블리야 첼레비와 같은 오스만 역사가와 여행자들에 의해 불가리아인으로 묘사되었습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의 정치적 억압과 그리스 성직자들의 종교적, 문화적 억압을 고려할 때 그 이름은 거의 의미가 없었습니다. 불가리아어는 소수의 수도원에서만 문화적 매개체로 보존되었으며, 일반 불가리아인들에게 사회적 지위의 상승은 보통 헬레니즘화 과정을 겪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그러나 슬라브 전례는 1767년 폐지될 때까지 몇 세기 동안 불가리아의 오흐리드 대주교의 낮은 수준에서 보존되었습니다.
1640년 첫 작품 《불가리아 왕국에 대한 설명》에서 현대 불가리아 역사학의 창시자 페타르 보그단 박셰프는 "마케도니아의 가장 위대한 부분인 오흐리드까지, 알바니아와 그리스의 경계까지"를 포함한 불가리아와 불가리아 사람들의 지리적, 민족적 경계를 언급했습니다. 18세기 마케도니아 태생의 화가 히스토포르 제파로비치(Hristofor Zhefarovich)는 불가리아 민족 부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19세기 불가리아의 전령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것이 모든 세대의 불가리아 계몽주의자들과 혁명가들 사이에서 가장 영향력 있게 되었고 현대 불가리아 국가 상징에 대한 아이디어를 형성했을 때. 그의 증언에서 그는 자신의 친척들이 "불가리아 국적"이며 도즈란 출신이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했습니다. 현대 불가리아에서 최초의 문학 작품인 슬라브-불가리아의 역사는 일찍이 1762년에 마케도니아 태생의 불가리아 승려인 힐렌다르의 파이시우스에 의해 쓰여졌지만, 불가리아 사상이 이 지역에서 다시 우위를 차지하기까지 거의 한 세기가 걸렸습니다. 19세기 불가리아의 마케도니아 진출은 터키 인구 감소 이후 불가리아인들의 수적 우위와 경제적 지위 향상에 힘입었습니다. 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인들은 독립적인 불가리아 총대주교청과 불가리아 학교들을 위한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지식인들의 대표자들은 불가리아어라고 부르는 언어로 글을 썼고 마케도니아에서 사용되는 지역 불가리아 방언을 공식 불가리아어로 더 고르게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870년에 설립된 불가리아 자치령은 마케도니아 북서부를 포함했습니다. 오흐리드와 스코페 지역의 압도적인 투표 이후, 1874년에 오늘날의 바르다르와 피린 마케도니아 전체를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 민족이 부활하는 [20]이 과정은 슬라브족 외에 그리스와 아로마니아 인구가 적은 역사적인 마케도니아에서는 훨씬 덜 성공적이었습니다. 헬레니즘 사상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지역 불가리아인들 사이에서 초기 영향력의 상당 부분을 보존했으며 불가리아 사상의 도래로 이 지역은 총대주교청에 충성하는 사람들과 종종 가족과 친척을 나누는 분열선을 가진 출정자들 사이의 전쟁터로 변했습니다. 1876년 12월 - 1877년 1월 - 기간에 개최된 콘스탄티노플 회의에서 오스만 제국과 6개 유럽 강대국의 참여로 오스만 제국의 유럽 영토에 2개의 불가리아 자치 빌라예트 - 동서양 - 을 창설하기로 결정되었고, 그리고 수도 소피아가 있는 두 번째 곳에서는 1876년 봄의 4월 봉기가 불가리아 국가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케도니아 지역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습니다.[21]

[citation 필요]

베를린 회의까지 유럽의 민족지학자들과 언어학자들은 보통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의 언어를 불가리아어로 여겼습니다. 1840년에 아미 부에, 1861년에 기욤 르장, 1841년에 독일인 아우구스트 그리세바흐, 1858년과 1863년에 J. 한, 1869년에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페테르만, 1876년에 하인리히 키퍼트, 1842년에 슬로바키아인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 1868년에 체코인 카렐 야로미르 에르벤. 1869년 브로다스카, 1877년 영국인 제임스 와일드, 1863년 조지나 뮤어 매켄지와 아델린 파울리나 어비, 1848년 세르비아인 다비도비치, 1853년 콘스탄트 데자르댕, 1860년 스체판 베르코비치, 1848년 러시아인 빅토르 그리고로비치, 1867년 미하일 미르코비치, 1874년 비켄티즈 마쿠셰프와 미하일 미르코비치. 1878년 오스트리아의 칼 작스는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으로 정의한 민족지학이나 언어책, 또는 여행기를 출판했습니다. 오스트리아 의사 요제프 뮐러는 1844년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을 세르비아인으로 간주한 여행기를 출판했습니다. 이 지역은 프랑스 F에 의해 주로 그리스인으로 추가로 확인되었습니다. 1877년에 비앙코니, 1877년에 영국인 에드워드 스탠퍼드에 의해. 그는 마케도니아의 도시 인구가 전적으로 그리스인인 반면, 농민은 불가리아-그리스 혼혈이었고 그리스 의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아직 그리스어를 숙달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마케도니아 문제
이 섹션은 확인을 위해 추가 인용이 필요합니다. (2018년 1월) (본 및 |

유럽에서, 전형적인 비국가 국가들은 술탄에 의해 지배되는 오스만 제국과 같은 다민족 제국이었고, 인구는 많은 언어를 사용하는 많은 민족 집단에 속했습니다. 19세기 동안 민족 국가라는 개념은 민족과 인종의 기원에 대해 점점 더 강조되었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국민국가가 경제, 사회, 문화생활에서 국가를 국민통합의 도구로 활용하는 정도였습니다. 19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은 과학, 기술, 산업 분야에서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훨씬 뒤쳐졌습니다. 그 무렵 불가리아인들은 그리스 성직자들을 상대로 의도적인 투쟁을 시작했습니다. 불가리아의 종교 지도자들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최소한 어느 정도의 자치권을 얻지 못하면 오스만 제국에서 불가리아인들의 권리를 위한 더 이상의 투쟁은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1870년 술탄 압둔라지즈의 한 지도자가 마케도니아 대부분을 포함하는 불가리아 전권통치령의 설립은 1850년대와 1860년대 콘스탄티노플 그리스 총대주교청의 지배에 반대하는 불가리아 정교회의 투쟁의 직접적인 결과였습니다.
그 후 1876년 4월 봉기로 불가리아인들이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불가리아 국민 정서의 출현은 독립적인 불가리아 교회의 재창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국가 의식의 상승은 불가리아 민족 부흥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봉기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진압되었습니다. 그 결과 1876년 콘스탄티노플 회의에서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의 지배적인 불가리아인 특성이 그곳에 그려지면서 미래의 자치 불가리아의 국경에 반영되었습니다. 열강은 결국 변용에 동의했는데, 이 변용은 역사적인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를 제외하고 불가리아가 에게해에 접근하는 것을 거부했지만, 그렇지 않으면 불가리아인이 거주하는 오스만 제국의 다른 모든 지역을 포함시켰습니다. 그러나 마지막 순간에 오스만 제국은 영국의 비밀 지원을 받아 이 계획을 거부했습니다. 명성이 걸린 러시아로서는 1877년 4월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러시아의 팽창주의 정책이 원하는 최대치를 반영한 1878년의 산 스테파노 조약으로 불가리아는 테살로니키, 칼시디체 반도, 알리아크몬 계곡을 제외한 마케도니아 전역을 손에 넣었습니다.


같은 해 베를린 의회는 이전 조약이 불가리아 공국에 부여했던 대부분의 불가리아 영토를 오스만 제국에 다시 재분배했습니다. 여기에는 마케도니아 전체가 포함되었습니다. 그 결과 1878년 말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의 통치에 반대하는 불가리아의 반란인 크레스나-라즐로그 봉기가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베를린 회의에서 채택된 결정은 곧 마케도니아 문제를 세르비아, 그리스, 불가리아 사이의 끊임없는 불화의 사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마케도니아에서의 불가리아 민족 부흥은 누구의 반대도 받지 않았습니다. 그리스인들과 세르비아인들 역시 이 지역에서 국가적 야망을 가지고 있었고,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에 대한 문화적, 언어적 모욕 정책에 의해 이러한 야망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믿었고, 이 정책은 교육과 교회 선전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70년대까지 불가리아인들은 마케도니아에서 지배적인 국민당이었습니다.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은 불가리아 국가의 일부로 계속 발전할 것이며, 오스만 제국이 멸망할 경우 마케도니아는 불가리아 후계 국가로 편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이러한 예상이 거짓으로 판명된 것은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의 고유한 특성 때문이 아니라, 70년 동안 마케도니아 역사의 흐름을 추정되는 경향에서 벗어나 일련의 재앙적인 사건 때문이었습니다.[22]
세르비아 선전



19세기 세르비아 민족주의는 세르비아인들을 모든 남부 슬라브인들을 이끌고 하나의 국가인 유고슬라비아로 통합하기 위해 선택한 사람들로 간주했습니다.[citation needed] 세르비아 국가의 주변 지역들의 양심은 증가했고, 관리들과 광범위한 인구 집단은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을 "남부 세르비아인"으로, 모슬렘을 "이슬람화된 세르비아인"으로, 그리고 쇼토카비아인은 오늘날 크로아티아 인구의 일부를 "가톨릭 세르비아인"으로 간주했습니다.[citation needed] 그러나 세르비아 국가 정책의 기본 이익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코소보의 오스만 지역의 해방에 맞춰져 있었고, 마케도니아와 보이보디나는 "나중에 해방"되어야 했습니다.[citation needed]
1878년 베를린 회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점령과 행정권을 부여했고, 세르비아의 야망을 마케도니아로 돌려놓았고, 이 지역의 세르비아적 성격을 증명하기 위한 선전전이 국내외에서 시작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세르비아인의 대의에 큰 공헌을 한 사람은 트리에스테 출신의 천문학자이자 역사학자인 스피리돈 곱체비치(레오 브레너로도 알려져 있음)입니다.[25] 고프체비치는 1889년 민족지학적 연구인 마케도니아와 옛 세르비아를 출판했는데, 마케도니아 인구의 4분의 3 이상을 세르비아인으로 정의했습니다.[25] 코소보와 알바니아 북부의 인구는 세르비아계 또는 알바니아계(알바니아계 세르비아인, "아르노츠"로 불림)와 알리아크몬을 따라 그리스계는 세르비아계(헬레니아계 세르비아인)로 확인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곱체비치의 작품은 세르비아의 두 학자인 지리학자 요반 크비이치와 언어학자 알렉산다르 벨리치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습니다. 고프체비치보다 덜 극단적인 크비이치와 벨리치는 마케도니아 북부의 슬라브족만이 세르비아인이라고 주장한 반면, 마케도니아 남부의 슬라브족은 불가리아인도 세르비아인도 아닌 비결정적인 슬라브족 집단인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으로 확인되었습니다.[26]
그리스 선전

19세기 말까지 중앙 마케도니아와 남부 마케도니아(모나스티리와 테살로니키의 빌라) 인구의 대다수는 그리스계 민족이었고, 북부 지역(스코페의 빌라)은 슬라브계가 지배적이었습니다. 유대인과 오스만 제국의 공동체는 곳곳에 흩어져 있었습니다. 마케도니아의 그러한 다민족적 특성 때문에, 그리스가 그 지역 전체에 자신의 주장을 홍보하기 위해 사용했던 주장들은 대개 역사적이고 종교적인 성격을 띠었습니다. 그리스인들은 국적을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에 대한 충성과 일관되게 연결시켰습니다. "불가로폰", "알바노폰", "블라코폰" 그리스어는 슬라브어, 알바니아어, 블라흐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18세기부터는 아로마니아인들이 언어적으로 이합화되라는 압력도 있었습니다. 아메톨리아의 그리스 선교사 코스마스 (1714–1779)에 의해 파괴 노력이 고무되었을 때, 그는 아로마니아인들이 그리스어를 말해야 한다고 가르쳤고 "그것은 우리 교회의 언어이다"라고 말했고 그리스 북부와 서부에 100개 이상의 그리스 학교를 설립했습니다. 아로마니아어 사용에 대한 성직자들의 공세는 결코 종교적인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그리스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가치 없는" 관용구라고 생각하는 것을 버리고 우수한 그리스어 연설을 채택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였습니다. "우리는 메소비아 형제입니다. 이 비열하고 비열한 아로마니아 언어로 스스로를 속이는 자들과 함께... 그것을 언어라고 부른 것을 용서해 주십시오." "역겨운 딕션을 가진 혐오스러운 말."[27][28]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선전 활동과 마찬가지로 그리스의 선전 활동도 처음에는 교육에 집중했습니다. 20세기 말 마케도니아의 그리스 학교는 총 927개로 1,397명의 교사와 57,607명의 학생이 있었습니다. 1890년대부터 그리스는 무장 유격대를 마케도니아에 파견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의 분파와 싸웠던 파블로스 멜라스가 사망한 후에 더욱 그러했습니다.
그리스 원인은 그리스 원주민과 슬라브계와 아로마니아계 인구의 상당 부분에 의해 지지를 받았던 역사적인 마케도니아에서 우세했습니다. 그리스인에 대한 지지는 중앙 마케도니아에서 훨씬 덜 두드러졌으며, 지역의 아로마니아인과 슬라브인 중 일부에서만 이루어졌으며, 이 지역의 북부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불가리아 선전


불가리아의 선전은 1890년대에 교육과 무기 모두와 관련하여 부활했습니다. 20세기 말 마케도니아에는 1,250명의 교사와 39,892명의 학생이 있는 785개의 불가리아 학교가 있었습니다. 불가리아 제국은 7개 교구(스코프제, 데바르, 오흐리드, 비톨라, 네브로코프, 벨레스, 스트루미카), 즉 바르다르와 피린 마케도니아 전역과 마케도니아 남부 일부를 관할했습니다. 1893년 현지인들에 의해 설립된 유일한 게릴라 조직으로 설립된 불가리아 마케도니아-아드리아인 혁명 위원회(BMARC)는 마케도니아의 많은 지역에서 "국가 내 국가"로 변모하는 광범위한 위원회와 요원 네트워크를 빠르게 발전시켰습니다. 이 단체는 여러 차례 이름을 바꾸었고, 1920년 IMRO에 정착했습니다. IMRO는 오스만 당국뿐만 아니라 마케도니아에서 친세르비아 및 친그리스 정당에 맞서 싸워서 그들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했습니다.
1903년 일린덴-프레오브라제니 봉기의 실패는 불가리아의 대의가 두 번째로 약화되어 학교가 문을 닫고 불가리아로 새로운 이민 물결이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또한 IMRO는 약화되었고 마케도니아 내 세르비아계와 그리스계 게릴라 집단의 수가 상당히 증가했습니다. 1902년과 1910년에 각각 스코페 교구와 데바르 교구를 세르비아 총대주교청에 빼앗겼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리아의 명분은 마케도니아 중북부에서 우세한 위치를 유지했고 마케도니아 남부에서도 강했습니다.
1908년 불가리아의 독립은 한 세기 전 그리스가 그리스에서 그리스로 독립한 것과 같은 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 사상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 결과 학교가 문을 닫고 불가리아 총독부의 성직자들이 추방되었으며 마케도니아 지식인들의 대부분이 이주했습니다. 이 첫 번째 이민은 마케도니아 태생의 난민들과 불가리아로의 이민자들의 끊임없는 유입을 촉발시켰습니다. 1912년까지 그들의 숫자는 약 10만명이었습니다.
마케도니아 민족 선전
이 섹션은 확인을 위해 추가 인용이 필요합니다. (2018년 1월) (본 및 |


19세기 후반의 마케도니아 민족 이데올로기가 그 시작이었습니다. 최초로 보존된 기록 중 하나는 1871년 1월 18일 콘스탄티노플의 "마케도니아" 신문에 실린 페트코 슬레이브니코프의 마케도니아 문제라는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서 페트코 슬레이브이코프는 "우리는 마케도니아인들로부터 그들이 불가리아인이 아니라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의 후손이라는 것을 여러 번 들었습니다."라고 썼습니다.[29] 페트코 슬레이브이코프는 1874년 2월 불가리아 외무부에 보낸 편지에서 현 상황에 대한 불만이 "그들의 지역 방언과 더 나아가 그들 자신의 분리된 마케도니아 교회 지도력의 발전을 위해 독립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처참한 생각을 지역 애국자들 사이에서 낳았다"고 보고했습니다.[30]
1875년 그조르지야 풀레브스키는 베오그라드에서 3개 언어 사전(Rechnikod trijika)이라는 책을 출판했습니다. 레치니크의 텍스트에는 풀레프스키가 슬라브 마케도니아의 독립 국가와 언어를 주장하는 프로그램적 진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31] 마케도니아어가 별개의 언어라고 공개적으로 주장한 최초의 작품이었습니다.[32] 1880년 그는 마케도니아에 살았던 슬라브족의 언어를 문법화하기 위한 시도로 소피아에서 슬로그니카 레초브스카를 출판했습니다. 비록 그는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풀레브스키는 세 권의 사전과 마케도니아, 관습, 휴일의 노래 모음집을 포함하여 여러 권의 다른 책들을 출판했습니다.
마케도니아 민족 민족주의의 첫 번째 중요한 표현은 1903년에 크르스테 미시르코프가 소피아에서 출판한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한 책(Za Makedonskite Raboti)입니다. 미시르코프는 이 책에서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은 불가리아어와 불가리아어에서 분리된 길을 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미시르코프는 "마케도니아"라는 용어가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 사이의 기존의 구분을 없애면서 마케도니아의 슬라브 인구 전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별도의 "마케도니아 언어"의 채택은 세르비아, 불가리아 및 그리스 의식을 가진 마케도니아 민족의 통일 수단으로도 주장되었습니다. 마케도니아 문제에 대해서는 중앙 마케도니아(벨레스-프릴렙-비톨라-오흐리드)에서 사용되는 남슬라브어 방언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방언은 미시르코프가 미래 언어의 기초로 제안한 것으로, 미시르코프가 말한 것처럼, 다른 모든 이웃 언어들과 가장 다른 방언입니다(동부 방언은 불가리아어에, 북부 방언은 세르비아어에 너무 가까웠기 때문입니다). 미시르코프는 이 언어를 마케도니아어라고 부릅니다.
미시르코프는 마케도니아 의식과 마케도니아 언어에 대해 미래의 목표로 이야기했지만, 그는 20세기 초 마케도니아의 넓은 지역을 불가리아인, 그리스인, 세르비아인, 터키인, 알바니아인, 아로마니아인, 유대인이 거주했다고 묘사했습니다. 마케도니아 민족 자신들에 대해서, 미시르코프는 책이 출판되기 전까지 스스로를 불가리아인이라고 불렀고 세르비아인들의 견해도 인정받기 시작한 1878년까지 독립적인 관찰자들에 의해 항상 불가리아인이라고 불렸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한 그 이유에 대해 지역 슬라브족이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불가르족과 동맹을 맺었기 때문이며 비잔틴 그리스인들이 그들을 "불가리아인"으로 개명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그 용어는 미래에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지칭하는 것이 되었습니다. 미시르코프는 나중에 온 마케도니아 문제에서 이 아이디어를 거부하고 불가리아 대의의 강력한 옹호자로 변신했습니다. 그는 1920년대에 다시 마케도니아 민족 사상으로 돌아갔습니다.[33]
마케도니아 민족 부흥을 위한 또 다른 중요한 활동가는 디미트리야 추포브스키(Dimitrija Chupovski)였는데, 그는 1902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설립된 마케도니아 문학회의 창립자 중 한 명이자 회장이었습니다. 1913년에서 14년 사이에 추포프스키는 신문 마케돈스키 골로스(마케도니아의 목소리라는 뜻의 м акедонск олосъ)를 발행했는데, 이 신문에서 그와 페테르부르크 마케도니아 식민지의 동료들은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과는 다른 별개의 마케도니아 민족의 존재를 선전했습니다. 독립적인 마케도니아 국가에 대한 아이디어를 대중화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습니다.
1920년대와 30년대 동안 이 아이디어는 마케도니아 연방 조직과 나중에 IMRO(연합)의 좌파 구성원들과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의 일부 구성원들에 의해 촉진되었습니다. 1934년 IMRO(United)와 협력한 코민테른은 마케도니아 문제에 대한 결의안을 발표했는데, 권위 있는 국제기구가 처음으로 마케도니아 민족과 마케도니아 언어의 분리된 존재를 인정했습니다.[34]
미시르코프, 풀레브스키 및 다른 마케도니아인들의 아이디어는 1944년 마케도니아 민족 해방을 위한 반파시스트 의회를 설립하고 마케도니아 민족 국가를 선포한 마케도니아 파르티잔 운동에 의해 채택될 때까지 대부분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1945년 마케도니아를 마케도니아의 성역화에 더욱 영향을 미쳤습니다.[35][36] 이 나라는 나중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편입되었습니다.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의 역사학자들은 IMRO가 두 개의 파벌로 나뉘었다고 주장합니다. 첫 번째는 마케도니아 민족 국가를 목표로 했고, 두 번째는 마케도니아를 불가리아의 더 넓은 독립체의 일부로 믿었습니다. 마케도니아의 입장을 옹호한 IMRO의 "자치주의자들"에 대한 오늘날의 역사가들의 이러한 주장은 대부분 근거가 없습니다. IMRO는 오스만 당국, 그리스 게릴라 단체, 유럽의 현대 언론, 심지어 미시르코프에 의해서도 불가리아의 독점적인 조직으로 간주되었습니다.[37]
루마니아 선전
이 섹션은 확인을 위해 추가 인용이 필요합니다. (2018년 1월) (본 및 |
마케도니아의 아로마니아인과 메글레노-로마인 사이에서 루마니아의 영향력에 대한 시도는 19세기 초에 시작되었고 주로 언어적 기준과 루마니아인(다코-로마인)과 아로마니아인과 메글레노-로마인의 공통 트라코-로마 기원에 대한 주장에 기초했습니다.[citation needed] 마케도니아 최초의 루마니아 학교는 1864년에 세워졌습니다. 결국, 총 학교 수는 20세기 초에 93개로[38] 증가했습니다. 이 지역의 루마니아 영향력은 비톨라, 크루셰보, 그리고 비톨라와 오흐리드 지역의 아로마니아 마을에서 약간의 성공을 거두었습니다.[citation needed] 대부분의 아로마니아인들은 스스로를 별개의 민족으로 간주하고 간주하며, 루마니아인들은 그러한 국가들을 더 넓은 루마니아 민족의 하위 집단으로 간주합니다. 그러나 일부 아로마니아인들은 루마니아 국가의 일부라고 말합니다.[citation needed] 현재, 특히 그리스에서, 반 루마니아 단체들 사이에서, 이러한 행위들은 "루마니아 선전"이라고 불립니다.[39]
독립적인 관점



이 섹션은 확인을 위해 추가 인용이 필요합니다. (2018년 1월) (본 및 |
1878년에서 1918년 사이에 유럽의 독립적인 자료들은 일반적으로 마케도니아의 슬라브 인구를 불가리아인과 마케도니아 슬라브인의 두 가지 방식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독일 학자 구스타프 바이간드(Gustav Weigand)는 마케도니아 민족지(Ethnography of Macedonia, 1924, 1919년 작성)와 부분적으로 아로마니아인(The Aromanians, 1905)으로 첫 번째 경향의 가장 중요한 대표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저자는 마케도니아에 사는 모든 민족을 묘사하면서 서부 불가리아 방언과 마케도니아 방언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경험적으로 보여주었고 후자를 불가리아어로 정의했습니다. 1913년 카네기 국제평화기금이 발칸 전쟁의 원인과 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구성한 국제위원회도 1914년 발간한 보고서에서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에 대해 불가리아인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위원회에는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러시아 및 미국의 8명의 위원이 있었습니다.



"마케도니아 슬라브인"이라는 용어는 학자들과 홍보가들에 의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민족주의를 불쾌하게 하지 않고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을 정의하는 정치적으로 편리한 용어입니다.
- 세르비아인과 불가리아인 모두와는 다른 슬라브족으로서, 불가리아인과 더 가깝고 불가리아인의 민족적, 정치적 우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세르비아인과 불가리아인과는 다른 슬라브족으로서 민족 의식이 발달하지 않았고, 빠른 민족적, 정치적 친화력도 없었다(Cvijic의 정의).
이 용어의 첫 번째 의미를 사용한 예는 예를 들어, 러시아 학자 자르장코가 1890년(1890년)에 발표한 슬라브 민족의 민족지도인데, 이 지도는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으로 식별했습니다. 세르비아의 공식 항의에 따라 이 지도는 나중에 "마케도니아 슬라브"라는 정치적으로 정확한 이름으로 그들의 신원을 확인하는 재인쇄되었습니다.
이 용어는 마케도니아의 영국 기자 헨리 브레일스포드(Henry Brailsford)와 인종 및 미래(1906)에 의해 완전히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책은 일린덴 봉기 진압 직후 마케도니아에서 5개월간 체류한 브레이포드의 소감을 담고 있으며 민족지학적 보고서를 대표합니다. 브레일포드(Brailford)는 마케도니아 방언을 세르비아어도 불가리아어도 아닌 두 번째 방언에 가깝다고 정의합니다. 어떤 슬라브 국가든 필요한 기술과 자원을 사용하려면 마케도니아를 "이기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견이 전해지지만, 불가리아 사람들은 이미 그렇게 했다고 합니다. 브레일스포드는 "마케도니아 슬라브족"과 "불가리아인", "슬라브어", "불가리아어"를 동의어로 사용합니다. 마케도니아 슬라브족/불가리아인에 관한 장은 "불가리아 운동"이라는 제목으로, IMRO 활동가들은 "불가리아인"이라고 불립니다.
이 용어의 세 번째 사용은 1915년 이후 연합국(무엇보다도 프랑스와 영국)의 학자들 사이에서 주목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Cvijic(위 참조)이 제시한 정의와 같습니다.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라는 이름 개발



"마케도니아 슬라브"라는 이름은 1880년대 말과 1890년대 초에 출판물에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세르비아의 선전 노력의 성공이 마케도니아의 슬라브 인구가 불가리아인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는 세르비아인이라는 것을 증명했지만, 그들은 여전히 이 인구가 세르비아인이라는 것을 확신하는 데 실패했습니다. 19세기 말까지 '불가리아인'과 비교할 때 드물게 사용된 '마케도니아 슬라브인'이라는 용어는 마케도니아 인구의 민족적 성격을 정의하기보다는 은폐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했습니다. 학자들은 보통 세르비아의 압력 때문에 그것에 의존하거나 민족적 친분에 관계없이 마케도니아에 거주하는 슬라브족의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했습니다. 세르비아의 정치가 스토얀 노바코비치는 1887년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의 영향력에 대항하기 위해 마케도니아 사상을 사용하여 이 지역에 대한 세르비아의 이익을 증진시킬 것을 제안했습니다.[41]
그러나 20세기 초까지 세르비아의 지속적인 선전 노력과 특히 크비히의 작업은 유럽 여론에서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의 개념을 확고하게 굳혔고, 이름은 거의 '불가리아인'만큼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심지어 H와 같은 친 불가리아 연구자들도 있습니다. 헨리 브레일스포드 앤 앤. 포브스는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 불가리아인과 세르비아인 모두와 다르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로버트 윌리엄 세튼 왓슨(Robert William Seton-Watson)과 같은 강력한 친세르비아 학자들을 포함하여 1915년 이전의 거의 모든 학자들은 그들 대다수의 친화력이 불가리아인과 불가리아인에 있음을 인정하고 그들을 그렇게 분류했습니다. 1914년 카네기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은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을 정치적 목적을 위해 "슬라브-마케도니아인"이라는 별개의 집단으로 분류했으며 이 용어는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인의 존재를 감추기 위해 고안된 정치적 완곡어"입니다.[b]
불가리아가 중강국 편으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것은 유럽 여론이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을 바라보는 시각에 극적인 변화를 의미했습니다.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은 중앙 열강에게 불가리아인에 불과했던 반면, 연합군에게는 불가리아인이 아닌 다른 사람으로 변했습니다. 1918년 연합국의 궁극적인 승리는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 민족의식이 발달하지 않은 비정형 슬라브족 집단이라는 비전의 승리로 이어졌습니다.[citation needed]
1920년대에 코민테른은 발칸 반도를 위한 새로운 정책을 개발했습니다. 공산주의자들과 마케도니아 운동 사이의 협력, 통합 마케도니아 운동의 창설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소련은 이 잘 발달된 혁명 운동을 발칸반도의 혁명을 확산시키고 발칸 군주제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데 활용할 가능성을 보고 새로운 통일 기구에 대한 구상을 지지했습니다. 1924년 5월 6일 소위 5월 선언에서 처음으로 슬라브 마케도니아 해방 운동의 목표가 제시되었습니다: 분할된 마케도니아의 독립과 통일, 모든 이웃 발칸 군주제와 싸우고 발칸 공산주의 연방을 구성하고 소련과 협력.[citation needed]
후에 코민테른은 마케도니아 민족의 인정에 관한 결의안을 출판했습니다. 이 문서의 본문은 코민테른 발칸 사무국이 1933년 12월 20일부터 1934년 1월 7일까지 작성한 것입니다. 1934년 1월 11일 모스크바의 정치 사무국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코민테른 집행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결의안은 마케돈스코 델로 4월호에 '마케도니아의 상황과 IMRO(연합)의 과제'라는 제목으로 처음 게재됐습니다.
민족의식 부재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의 국적을 제대로 정의하기 어려운 이면에는 이 인구가 그것을 믿는 명백한 중요성이 있었습니다. 1940년대 이전의 마케도니아 민족 의식이 따로 존재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42][43] 이 혼란은 1935년 로버트 뉴먼이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c] 한 마을에서 두 형제를 발견한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한 형제는 자신을 세르비아인이라고 생각했고, 다른 형제는 자신을 불가리아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다른 마을에서 그는 "마케도니아 농민"이었던 한 남자를 만났는데, 그는 투르크, 세르비아, 불가리아인으로 다양하게 불렸습니다.[44] 그러나 이 시기의 지역 주민들 사이에는 반(反) 세르비아, 친(親) 불가리아 정서가 팽배했습니다.[45]
20세기 초 마케도니아의 국적은 정치적 신념과 경제적 이익의 문제였으며, 특정 시기에 정치적으로 옳다고 간주되는 것과 무장 게릴라 그룹이 피신청인의 집을 마지막으로 방문한 것입니다.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헬레니즘화 과정은 제한된 인구 계층에만 영향을 미쳤고, 19세기 중반 불가리아 부흥은 불가리아인들의 확고한 의식을 형성하기에는 너무 짧았고, 세르비아의 선전에 의해 주어진 재정적인 이익은 거절되기에는 너무 유혹적이었습니다. 마을 전체가 몇 년 안에 그리스에서 불가리아로, 그리고 나서 세르비아로 국적을 바꾸거나 불가리아 상업 대리인이 있는 곳에서 불가리아인이 되고 세르비아 영사가 있는 곳에서 세르비아인이 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습니다. 농민들은 불가리아인이냐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대답하고 세르비아인이냐는 질문에 다시 긍정적으로 대답한 것으로 여러 차례 보도되었습니다. 이것이 확실히 전체 국민에게 유효할 수는 없지만, 많은 러시아와 서방 외교관들과 여행객들은 마케도니아인들이 "적절한" 민족 의식이 부족하다고 정의했습니다.
통계자료
오스만 제국 통계
오스만 제국의 인구 조사의 기본은 조 제도였습니다. 사람들은 종교에 따라 민족적 범주에 할당되었습니다. 그래서 모든 수니파 이슬람교도들은 터키인으로 분류되었고, 그리스 정교회의 모든 구성원들은 그리스인으로 분류되었고, 나머지는 불가리아 정교회와 세르비아 정교회로 나뉘었습니다.[46] 모든 인구 조사에서 이 지방은 기독교인이 대다수이며, 그 중 불가리아인이 우세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47]
1882년 오스만 제국의 마케도니아 인구 조사:[47]
종교 | 인구. |
---|---|
1. 무슬림 | 1,083,130 |
2. 불가리아 정교회 | 704,574 |
3. 그리스 정교회 | 534,396 |
4. 천주교 신자 | 2,311 |
6. 유대인 등 | 99,997 |
총 | 2,476,141 |
1895년 인구조사:[47]
종교 | 인구. |
---|---|
1. 무슬림 | 1,137,315 |
2. 불가리아 정교회 | 692,742 |
3. 그리스 정교회 | 603,242 |
4. 천주교 신자 | 3,315 |
6. 유대인 등 | 68,432 |
총 | 2,505,503 |
1904년 셀라니크, 마나스티르, 코소보의[47] 세 마케도니아 빌라예트에 대한 힐미 파샤의 특별 조사(648,000명의 에큐메니칼 총대주교청 추종자들과 557,000명의 불가리아 총대주교청 신자들, 그러나 추가적으로 25만명의 이들이 불가리아어 사용자들이라고 밝혀졌습니다.[48][49][50][51][52] 이 조사는 또한 마케도니아 지역에 속하지 않는 세 개의 빌라예트의 일부, 즉 산 ž악, 코소보, 알바니아 동부 및 에피루스에도 적용됩니다.
종교 | 인구. |
---|---|
1. 무슬림 | 1,508,507 |
2. 불가리아인 | 896,497 |
3. 그리스인 | 307,000 |
4. 브라크스 | 99,000 |
5. 세르비아인 | 100,717 |
6. 유대인 등 | 99,997 |
총 | 2,911,700 |
1906년 인구조사:[47]
무슬림 | 1,145,849 |
불가리아 정교회 | 626,715 |
그리스 정교회 | 623,197 |
다른이들 | 59,564 |
총 | 2,445,325 |
경쟁통계자료
이름. | 국적. | 그리스인 | 불가리아인 | 세르비아인 | 언급 |
---|---|---|---|---|---|
1. 스피리돈 곱체비치 | 세르비아 | 201,140 | 57,600 | 2,048,320 | 마케도니아와 구세르비아(코소보와 산작)를 가리킨다. |
2. 크린테스 니콜라이데스 | 그리스 | 454,700 | 656,300 | 576,600 | --- |
3. 바실 칸트초프 | 불가리아 | 225,152 | 1,184,036 | 700 | --- |
4. M. 브랑코프 | 불가리아 | 190,047 | 1,172,136 | --- | ---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æ
1911년판 æ 디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마케도니아의 인구에 대해 다음과 같은 통계적 추정치를 제공했습니다.
- 슬라브족(백과사전에 "슬라브족의 대부분은 불가리아인으로 간주되는 인구"로 기술됨): 약 1,150,000명, 그중 1,000,000명의 정교회 신자와 150,000명의 이슬람교도(포마크족이라고 함)
- 터키인: ca. 50만명 (무슬림)
- 그리스인: ca. 25만명, ca. 정교회 24만명, 이슬람교도 14,000명
- 알바니아인: 약 120,000명, 정교회 신자 10,000명, 이슬람교도 11,000명
- Vlachs: 약 90,000명의 정교회 신자와 3,000명의 이슬람교도
- 유대인: 약 75,000명
- 로마: 약 5만명, 정교회 35,000명, 이슬람교도 15,000명이 사는 곳
총 1,300,000명의 기독교인(거의 독점적인 정교회), 80만 명의 이슬람교도, 75,000명의 유대인, 총 인구는 약 220만 명입니다. 마케도니아 전체.
마케도니아 남부에서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일부가 민족적으로 그리스인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대부분 마케도니아 북부에서 세르비아인으로 간주하는 비율이 낮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알바니아인을 제외한 모든 이슬람교도들은 모국어에 관계없이 스스로를 보는 경향이 있었고 터키인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중립 출처의 표본 통계 데이터
다음 데이터는 세르비아인과 불가리아인(에이지인, 바르다르인, 피린인)에 의해 정의되었기 때문에 마케도니아의 넓은 지역의 인구를 반영하며, 대략 그리스인에게 알려진 전통적인 지역보다 훨씬 더 큰 오스만 마케도니아의 마나스티르 빌라예트, 살로니카 빌라예트, 코소보 빌라예트에 해당합니다.
아니요. | 이름. | 국적. | 연도 | 총 | 불가리아인 | 그리스인 | 튀르크족 | 알바니아인 | 범위 |
---|---|---|---|---|---|---|---|---|---|
1. | 체르카스키 왕자 | 러시아어 | 1877 | 1,771,220 (100%) | 872,700 (49.3%) | 124,250 (7.0%) | 516,220 (29.1%) | --- | 모든 이슬람교도들, 터키계 알바니아인을 포함하여 |
2. | 마케도니아 민족(터키 공식 통계), 필리포폴리 | 터키어 | 1881 | 754,353 (100%) | 500,554 (66.4%) | 22,892 (3.0%) | 185,535 (24.6%) | --- | 모든 이슬람교도들, 터키계 알바니아인을 포함하여 |
3. | 스테판 베르코비치 | 크로아티아어 | 1889 | 1,949,043 (100%) | 1,317,131 (67.6%) | 222,740 (11.4%) | 240,264 (12.3%) | 78,790 (4.0%) | --- |
4. | G. 위글랜드 교수 – 라이프치히 발칸볼케르의 디 네셔널렌 베스트레분겐데르 발칸볼케르 | 독일의 | 1898 | 2,275,000 (100%) | 1,200,000 (52.7%) | 220,000 (9.7%) | 695,000 (30.5%) | --- | 모든 이슬람교도들, 터키계 알바니아인을 포함하여 |
5. | 콜마르 폰 데어 골츠 – 발칸 반도의 원주민 | 독일의 | 1904 | 1,576,000 (100%) | 266,000 (16.8%) | 580,000 (36.8%) | 730,000 (46.3%) | --- | 모든 이슬람교도들, 터키계 알바니아인을 포함하여 |
6. | 저널 르 템스, 파리 | 프랑스어 | 1905 | 2,782,000 (100%) | 1,200,000 (43.1%) | 270,000 (9.7%) | 410,000 (14.7%) | 600,000 (21.6%) | 마케도니아와 구세르비아(코소보와 산작)를 가리킨다. |
7. | 리처드 폰 마하 – 투르케이에 있는 드 마흐트베이히 데 불가리셴 출정관들, 라이프치히 - 뇌샤텔 | 독일의 | 1906 | 1,334,827 (100%) | 1,166,070 (87.4%) | 95,005 (7.1%) | --- | 6,036 (0.5%) | 오직 기독교인만 |
8. | Amadore Virgilli – 반달가슴곰자리 | 이탈리아의 | 1907 | 1,629,000 (100%) | 341,000 (20.9%) | 642,000 (39.4%) | 646,000 (39.6%) | --- | 모든 무슬림이 포함됩니다. 튀르크 치하의 알바니아인; 테살로니키(살로니카)와 모나스티르(비톨라)의 빌라예트만을 가리킨다. |
9. | 로버트 펠티어 – 라베리테 술라 불가리, 파리 | 프랑스어 | 1913 | 1,437,000 (100%) | 1,172,000 (81.5%) | 190,000 (13.2%) | --- | 3,036 (0.2%) | 오직 기독교인만 |
10. | 레온 도미니안 – 유럽의 언어와 국적의 경계, 뉴욕 | 미국의 | 1917 | 1,438,084 (100%) | 1,172,136 (81.5%) | 190,047 (13.2%) | --- | --- | 오직 기독교인만 |
1920년대 대규모 인구 교류 이후 38만 명의 터키인들이 그리스를 떠났고 53만 8253명의 그리스인들이 소아시아에서 마케도니아로 왔습니다. 1919년 노이리쉬르센 조약이 체결된 후 그리스와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에 남아있는 불가리아 소수 민족에 대한 인구 교환에 합의했습니다. 같은 해 약 66,000명의 불가리아인들과 다른 슬라보폰들이 불가리아와 세르비아로 떠났고, 58,709명의 그리스인들이 불가리아에서 그리스로 들어왔습니다.
그리스 마케도니아 통계 자료
1912년 국제 연맹 보고서에 따르면 1913년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국가 구성은 그리스 42.6%(513,000명), 이슬람 39.4%(475,000명; 바야하데스 포함), 불가리아 9.9%(119,000명), 기타 8.1%(98,000명)였습니다.[53][54] 1912년 발칸 전쟁 전야의 민족 분포를 나타내는 남마케도니아의 민족지도를 바탕으로 한 카네기 조사에 따르면, 1913년 소피아 대학의 강사인 J. 이바노프가 출판했습니다.[55] 같은 지역의 그리스인에게 양도된 부분보다 조금 더 큰 영토에서 다양한 국적에 속하는 총 숫자는 1,042,029명의 주민이었고, 그 중 불가리아인 329,371명, 터키인 314,854명, 그리스인 236,755명, 유대인 68,206명, 왈라키아인 44,414명, 집시 25,302명, 알바니아인 15,108명, 기타 8,019명이었습니다.[55]
나중의 국제 연맹 보고서에 따르면 1928년 인구 조사에서 인구는 그리스인 1,341,000명(88.8%), 불가리아인 77,000명(5%), 터키인 2,000명(2,000명), 기타 91,000명으로 [56][57]구성되었지만 그리스 기록 보관 자료에 따르면 슬라브어 사용자의 총 수는 200,000명이었을 수 있습니다.[58]
20세기와 21세기
발칸 전쟁 (1912–1913)과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은 마케도니아 지역을 그리스, 세르비아, 불가리아, 알바니아로 분할하고 민족 구성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 지역 영토의 51%는 그리스, 38%는 세르비아, 10%는 불가리아에 돌아갔습니다. 발칸 전쟁 이후 모든 "해방자"들이 가능한 한 많은 주민들을 동화시키고 각자의 나라에서 온 정착민들과 식민지화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적어도 수십만 명은 그들의 집을 떠났고,[59] 나머지들도 동화의 대상이 되었습니다.[57] 그리스인들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인구가 됩니다. 이전의 주도적인 무슬림과 불가리아 공동체는 추방(인구 교환을 통한) 또는 신분 변경에 의해 감소되었습니다.
그리스
슬라브족은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그리스인으로 간주되어 그리스어로 재교육을 받을 준비를 했습니다. 그리스의 불가리아와 슬라브 마케도니아의 흔적은 발칸 전쟁에서 제거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60] 그리스인들은 불가리아인들(마케도니아의 노예)을 인간보다 덜 "곰"으로 간주하고 체계적이고 비인간적인 몰살과 동화 방법을 실행했습니다.[60] 불가리아어의 사용은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경찰에 의한 박해는 최고조에 달했고, 메타사스 정권 동안 강력한 동화 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58] 민간인들은 "만약 여러분이 자유롭고 싶다면, 그리스인이 되라" "우리는 여러분에게 그리스어를 말하기 위해 여러분의 혀를 자를 것이다"라는 구호와 함께 불가리아인이라고 밝힌 것만으로 박해를 받아왔습니다. "다시 그리스인이 되는 것, 그것이 평화로운 삶의 조건입니다."당신들은 기독교인입니까, 불가리아인입니까?" "알렉산더 대왕의 목소리가 무덤에서 당신들을 부르는데, 당신들은 그것을 듣지 못합니까? 당신은 잠을 자고 계속해서 불가리아 사람이라고 부릅니다!" "소피아에서 태어났습니까? 마케도니아에는 불가리아 사람이 없습니다. 전 국민이 그리스 사람입니다." 시위에 대한 대답은 "불가리아에 살 사람은 불가리아 사람입니다. 그리스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인은 더 이상 없습니다."[59][61] 무력으로 위협받은 나머지 불가리아인들은 그리스인이 되어 고대부터 그리스인이었다는 선언문에 서명하도록 하였으나, 코미타지의 영향으로 불과 15년 전에 불가리아인이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의식의 변화는 없었습니다.[59][61] 많은 마을에서 사람들은 감옥에 갇혔다가 그리스인이라고 선언한 후 풀려났습니다.[62] 슬라브 방언은 천 단어의 어휘만을 "구성"한다는 가정 하에 가장 낮은 지능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습니다.[63] 불가리아 국적을 주장하는 아이들도 그리스 국적을 주장하지 않아 살해됐다는 공식 기록이 있습니다.[61]
부쿠레슈티 조약 이후 마케도니아로 알려진 현대 지역의 약 51%가 그리스 국가( 에게 해 또는 그리스 마케도니아라고도 함)에 의해 승리했습니다. 이곳은 그리스가 직접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마케도니아의 유일한 지역이었습니다. 그리스인들은 이 땅이 지리적으로 고대 마케도니아에 해당하고 민족적으로 그리스 인구의 대다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마케도니아의 유일한 진정한 지역으로 여겼습니다. 제1차 발칸 전쟁과 동시에 불가리아에서 그리스인들을 추방하기 위해 마케도니아 남부에 있는 불가리아인들과 다른 비그리스인 학교들은 문을 닫았고 불가리아인 교사들과 성직자들은 추방되었습니다. 마케도니아 남동부의 슬라브 인구 대부분은 제2차 발칸 전쟁 중 불가리아로 도망쳤거나 1920년대 인구 교환 협정으로 인해 그곳에 정착했습니다. 그리스 당국은 "슬라보마케도니아인", "슬라보폰 그리스인", "불가리산트인"으로 부르던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슬라브계 소수민족들을 그리스인 대다수가 점진적으로 동화시키는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그들의 수는 그리스 내전 (1944-1949) 이후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북미와 동유럽과 유고슬라비아로 대규모 이민으로 인해 감소했습니다. 같은 시기에 모나스티리(오늘날의 비톨라) 출신의 많은 마케도니아 그리스인들이 그리스로 들어왔습니다.
1923년 그리스와 튀르키예 간의 강제 인구 교환은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민족 구성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약 380,000명의 터키인들과 다른 이슬람교도들이 이 지역을 떠났고, 아나톨리아 북동부의 폰트 그리스인들과 남캅카스 지역의 코카서스 그리스인들을 포함한 소아시아와 동부 트라키아의 538,253명의 그리스인들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리스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가 이끄는 추축국의 공격과 점령을 받았습니다. 1941년 초까지 그리스 전역은 독일, 이탈리아, 불가리아 3개국의 점령하에 있었습니다. 불가리아인들은 트라키아 서부와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일부 지역을 점령하는 것이 허용되었고, 그곳에서 그리스인들을 박해하고 학살과 다른 잔혹한 행위들을 저질렀습니다. 한때 번성했던 테살로니키의 유대인 공동체는 나치에 의해 훼손되었고, 나치는 이 도시의 유대인 6만 명을 독일과 독일이 점령한 폴란드의 독일인 죽음의 수용소로 추방했습니다. 불가리아 점령 지역의 많은 유대인 인구는 불가리아 군대에 의해 추방되었고 독일 점령 지역과 동등한 사망률을 보였습니다.
불가리아군은 동마케도니아와 서트라키아 전역을 점령했고, 그곳에서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일부 사람들이 해방자로 맞이했습니다.[64] 독일이나 이탈리아와 달리 불가리아는 오랫동안 불가리아의 비거주주의의 표적이었던 점령지를 공식적으로 합병했습니다.[65] 대대적인 "불가리아화" 운동이 시작되었고, 모든 그리스 관리들은 추방당했습니다. 이 캠페인은 특히 1943년 불가리아인들이 이 지역에 들어갔을 때 동부와 그 후 중앙 마케도니아에서 성공적이었습니다. 그곳의 모든 슬라브어 사용자들은 불가리아 사람들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독일이 점령한 서마케도니아에서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았습니다. 그리스어 사용이 금지되었고, 마을과 장소의 이름이 불가리아어로 전통적인 형태로 바뀌었습니다.
게다가 불가리아 정부는 불가리아 정착민들을 위해 그리스인들로부터 토지와 집을 수용함으로써 이 지역의 민족적 구성을 바꾸려고 했습니다. 같은 해 독일 고등사령부는 테살로니키에 불가리아 군 클럽의 설립을 승인했습니다. 불가리아인들은 독일과 이탈리아 점령 지역에 있던 지역 인구를 얻기 위해 중앙 마케도니아와 서부 마케도니아의 슬라브 인구를 위한 식량과 식량 공급을 조직했습니다. 불가리아 클럽들은 곧 인구의 일부에서 지지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공산주의 정치범들이 테살로니키의 불가리아 클럽의 중재로 석방되었고, 이 클럽은 독일 점령 당국에 진술했습니다. 그들은 모두 불가리아 민족을 선언했습니다.[citation needed][66] 1942년 불가리아 클럽은 북부 그리스에서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군대를 조직하는 데 고등 사령부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이를 위해 발칸 반도의 독일군의 승인 아래 불가리아군은 이탈리아군과 독일군이 점령한 지역에 소수의 장교를 파견하여 독일 점령군에 "연락 장교"로 부착했습니다. 복무하게 된 불가리아 장교들은 모두 그리스에서 불가리아로 이주한 9만 명의 불가리아인들을 목격한 노이리 조약의 일환으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가족들과 함께 불가리아로 이주한 현지 태생의 마케도니아인들이었습니다.
불가리아 장교들의 도움으로 1943년 점령된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카스토리아, 플로리나, 에데사 지역에서 몇몇 친 불가리아 및 반 그리스 무장 분리대(오흐라나)가 조직되었습니다. 이들은 원래 그리스 마케도니아 출신의 불가리아 장교; 안돈 칼체프와 게오르기 딤체프가 이끌었습니다.[67] 오흐라나(방위라는 뜻)는 대불가리아와의 통일을 위해 투쟁하던 자율주의적 친불가리아 단체였습니다. 우흐라나는 IMRO 지도자 이반 미하일로프의 지지를 받기도 했습니다. 미하일로프는 독일의 지배하에 마케도니아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더 넓은 계획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분명했습니다. 또한 IMRO 자원봉사자들이 플로리나, 카스토리아, 에데사 지역에서 행정과 교육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독립 마케도니아 군대의 핵심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1944년 여름, 오흐라나는 불가리아 출신의 12,000여명의 전투원과 자원봉사자들을 조직하여 현지 주민들을 보호했습니다. 1944년 동안 슬라보어 마을 전체가 점령 당국에 의해 무장했고 그리스 인민해방군(ELAS)의 가장 강력한 적으로 발전했습니다. 1944년 말 독일과 불가리아가 그리스에서 철수하고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빨치산 운동이 팽창의 의도를 거의 숨기지 않자 오흐라나는 해산되었습니다.[68] 제2차 세계대전 후, 많은 "오라니스트"들이 협력자로서 군사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불가리아가 공산주의로 전환한 이후, 그리스에서 스스로를 "불가리아인"이라고 부르던 일부 슬라브어 사용자들이 점점 더 "마케도니아인"이라고 밝히기 시작한 것은 이 시기부터입니다.[69]


추축국의 패배와 나치 점령군의 철수 이후, 많은 오흐라나 구성원들은 여전히 분리의 목표를 추구할 수 있는 SNOF에 가입했습니다. 1944년 9월 붉은 군대가 불가리아로 진격하고, 10월 그리스에서 독일군이 철수하는 것은 불가리아 군대가 그리스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에서 철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불가리아인과 슬라브어 사용자의 대부분이 그곳으로 이주했습니다. 1944년 그리스 당국은 월별 수익을 기준으로 독일이 점령한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불가리아 국적 선언이 16,000건에 달했다고 추정했지만 [71]영국 소식통에 따르면 서마케도니아 전역에서 불가리아 국적 선언이 23,000건에 달했습니다.[72]
1945년까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그리스는 공공연한 내전에 들어갔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4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그리스에서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로 도망친 것으로 추정됩니다. 농민과 독일, 이탈리아, 불가리아 또는 그리스 인민해방군(ELAS)의 협력은 어느 정도 각 마을의 지정학적 위치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 농민들은 자신들의 마을이 그리스 공산 게릴라의 공격에 취약한지 점령군의 공격에 취약한지에 따라 자신들이 가장 취약한 쪽을 지원하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두 경우 모두 예전에 박해받았던 슬라브 소수민족에게 '자유'(자율성 또는 독립성)를 약속하는 것이 지지를 얻기 위한 수단이었습니다.[73]
민족해방전선(NOF)은 1945년부터 1949년까지 활동한 그리스의 슬라브계 소수민족의 정치·군사 단체들에 의해 조직되었습니다. 종간은 그들 중 일부가 마케도니아인이라는 결론에 도달한 시기였습니다. 슬라브계 소수민족에 대한 그리스의 적대감은 분리주의로 치닫는 긴장감을 낳았습니다. 1934년 마케도니아 민족의 코민테른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이후, 그리스 공산주의자들도 마케도니아 민족의 정체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최초의 "자유 영토"가 만들어진 직후 마케도니아 민족 학교가 DSE의 통제를 받는 지역에 개교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12] 마케도니아 민족의 극장과 문화 단체가 운영되는 동안 마케도니아 민족 언어로 쓰여진 책들이 출판되었습니다. NOF 내에서도 여성단체인 여성반파시스트전선(AFZH)과 청년단체인 청년민족해방전선(ONOM)이 결성됐습니다.[13]
그리스 민주군(DSE)이 보유한 영토, NOF가 발행한 신문과 책, 대중 연설, 학교가 문을 연 것은 마케도니아 민족의 양심과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1948년 8월 파스칼 미트로프스키가 NOF 섬에서 발표한 정보에 따르면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 사용 인구의 약 85%가 마케도니아 민족의 자아 정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생각했던 언어는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용어였습니다. 약 2만명의 젊은 마케도니아 민족들이 그 언어를 사용하여 읽고 쓰는 것을 배웠고, 그들만의 역사를 배웠습니다.
1946년부터 1949년 남북전쟁이 끝날 때까지 NOF는 그리스에 충성했고 그리스 공화국 국경 내에서 최소한의 인권을 위해 싸우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1949년 1월 31일 KKE 중앙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DSE가 그리스에서 정권을 잡았을 때, 마케도니아의 독립 국가가 있을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14] KKE의 이 새로운 노선은 마케도니아 민족의 동원율에 영향을 미쳤지만(이전에도 상당히 높았지만), 궁극적으로 전쟁의 진로를 바꾸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정부군은 가던 마을을 모두 파괴하고 민간인들을 추방했습니다.[citation needed] 무력의 결과로 혹은 (압박과 보복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 떠난 5만 명의 사람들이 퇴각하는 DSE 세력과 함께 그리스를 떠났습니다. 모두 동구권 국가로 보내졌습니다.[15][16] 1970년대가 되어서야 그들 중 일부가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 오는 것이 허용되었습니다. 1980년대에 그리스 의회는 "그리스 출신" DSE 의원들이 토지를 제공받은 그리스로 송환할 수 있도록 국가 화해법을 채택했습니다. 마케도니아 민족 DSE는 이 법안의 조건에서 제외된 것으로 기억합니다.[17]
2003년 8월 20일, 레인보우 파티는 그리스 내전 기간 동안 집을 떠난 마케도니아 민족 어린이들인 "어린이 난민"들을 위한 리셉션을 개최했고, 이들은 최대 20일 동안 그리스에 입국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노인이 된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약 55년 만에 생가와 가족을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리셉션에는 그리스에 거주하고 있으며 레인보우 파티의 회원인 난민들의 친척들이 포함되었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여권이 그들의 출생지의 이전 이름들을 열거했기 때문에 그리스 국경 당국에 의해 입국을 거절당했습니다.
현재 그리스에 있는 "슬라보폰"의 숫자는 다양한 숫자로 많은 추측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스는 자기결정권과 모국어를 기준으로 한 인구조사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공식적인 자료가 없습니다. 그러나 그리스의 공식 마케도니아 슬라브 정당은 평균 1000표에 불과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 지역과 이 지역의 인구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 사용자들을 참조하세요.
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
발칸 전쟁 (1912-1913) 이후,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은 남부 세르비아인으로 간주되었고,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남부 세르비아어 방언이었습니다. 세르비아의 통치는 모든 마케도니아 민족의 상징성과 정체성이 이후로 금지되도록 보장했고, 마케도니아 지역 주민들은 오직 표준 세르비아어만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또한 세르비아는 남부 땅을 마케도니아라고 부르지 않았으며, 이는 일부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예: 세르비아 급진당) 사이에서 오늘날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유산입니다. 강제 동화를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세르비아 식민지 주민은 1942년까지 10만 명에 불과했기 때문에 그리스 마케도니아처럼 식민지화와 추방은 없었습니다.[57] 세르비아에서는 인종 청소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불가리아 사람들은 예로부터 세르비아인이라는 이유로 서명을 받았고, 서명을 거부한 사람들은 공포를 통한 동화에 직면한 반면, 이슬람교도들은 비슷한 차별에 직면했습니다.[59] 그러나 1913년 티크베시, 트네기노, 카바다르치, 바르타쉬, 오흐리드, 데바르, 스트루가에서 불가리아 반란이 일어났고 260개 이상의 마을이 불에 탔습니다.[57] 세르비아 관리들은 당시 페체보에서 불가리아 민간인 3명을 생매장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74] 불가리아인들은 "스스로 세르비아인임을 선언하든지 죽든지"라는 탄원서에 서명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60] 세르비아화의 저항을 진압하기 위해 9만 명의 세르비아군이 마케도니아에 배치되었고, 세르비아 식민지 주민들은 "세르비아인들의 이익을 위해"라는 구호를 외치며 이민을 권유받았지만, 알바니아인과 터키인들은 이주하지 못했습니다.[63] 그 후 몇 세기 동안, 독립된 마케도니아 국가에 대한 감각은 부분적으로 IMRO의 저항의 결과로 나타났습니다.[63] 1918년 세르비아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의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63]
불가리아, 그리스, 루마니아 학교는 문을 닫았고 불가리아 사제들과 세르비아인이 아닌 모든 교사들은 추방되었습니다. 불가리아 성씨 어미 '-ov/-ev'는 일반적으로 세르비아어 어미 '-ich'로 대체되었고, 불가리아 사람들은 자신을 불가리아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심하게 박해를 받았습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세르비아화 정책은 불가리아에서 침투한 IMRO 분리주의로 촉발된 대중적인 친 불가리아 정서와 충돌한 반면, 지역 공산주의자들은 1924년 5월 선언에서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이 제시한 자결의 길을 선호했습니다.

1925년, 스코페의 영국 부영사 D. J. 풋먼은 외무부를 위해 긴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그는 "남세르비아 주민의 대다수는 정통 기독교 마케도니아인으로, 민족학적으로 세르비아인보다는 불가리아인에 더 가깝습니다."라고 썼습니다. 그는 투르크 시대에 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 교육 시스템이 광범위하고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그리고 당시 마케도니아인들이 불가리아 문화와 위신을 이웃 국가들보다 더 높게 인식했기 때문에 마케도니아인들이 불가리아에 더 잘 적응했다고 인정했습니다. 게다가, 불가리아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많은 마케도니아인들은 1913년의 분열 이전과 이후에 불가리아로 피난처를 구했습니다. "따라서 이제 불가리아에는 모든 정부 부처에 계속해서 대표되고 군대와 공무원의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마케도니아의 큰 요소가 있습니다..." 그는 이 요소를 "세르보포베, 대부분 불가리아에서 마케도니아의 편입을 원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IMRO를 지지합니다."라고 특징지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또한 살로니카를 수도로 하는 독립적인 마케도니아를 추구하는 경향의 존재를 지적했습니다. "이 운동은 불가리아의 마케도니아 식민지 중에서도 지지자들이 있었습니다."[75]

불가리아군은 1941년 해방자로 환영받았지만 불가리아 행정부의 실수로 1944년까지 그들의 존재에 대한 불만이 늘어났습니다. 또한 이 지역을 합병하는 동안 불가리아 군대는 특정 대대의 군인의 40%-60%에 달하는 지역 인구에서 부분적으로 모집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76] 최근의 몇몇 자료는 심지어 마케도니아의 민족해방전쟁도 민족정치적 동기에 의한 내전과 닮았다고 발표했습니다.[77][78] 전쟁이 끝난 후 이 지역은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구성 공화국의 지위를 얻었고 1945년에는 마케도니아어가 성문화되었습니다. 그 인구는 세르비아인과 불가리아인과는 다른 국적인 마케도니아인으로 선언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정치적인 동기에 의한 것이었고 유고슬라비아 내 세르비아와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불가리아의 위치를 약화시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성은 마케도니아 민족의 독특한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어미 '-스키'를 포함하도록 다시 변경되었습니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Y)이 시작될 때부터 마케도니아의 새로운 당국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형성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보복에 관여했다는 비난이 표면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조직적인 살해로 인해 사망한 "반혁명자"의 수는 불분명합니다. 게다가, 많은 사람들이 1940년대 중반에 골리오톡의 노동자 수용소를 돌아다녔습니다.[79] 빨치산 역사의 이 장은 1980년대 후반까지 SFRY에서 금기시되는 대화 주제였고, 그 결과 수십 년간의 공식 침묵은 민족주의적 공산주의 선전 목적의 수많은 자료 조작이라는 형태로 반작용을 낳았습니다.[80] 유고슬라비아의 크로아티아 지배층 시절, 바르다르 바노비나 주는 인구 조사에서 인구의 대다수가 마케도니아 민족으로 선언되었고, 마케도니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구별되는 것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되어 자치 마케도니아로 바뀌었습니다. 수도는 톨라키아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위치했습니다. 국가에 의한 불가리아인의 정체성에 대한 박해는 선전과 함께 계속되었습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탄생한 후, 마케도니아에서 가장 높은 정치 기관이었던 ASNOM 대통령은 사실상 AVNOJ의 결정을 거부하는 몇 가지 성명과 행동을 했습니다. 메토디야 안도노프 대통령의 측근인 간부는 유고슬라비아의 최종 해방을 위해 마케도니아 11월의 주력군을 스렘 지역에서 전투에 참가시키라는 티토 총사령부의 명령에 복종하는 대신, 100개의 진격을 위한 준비를 명령하는 것이 더 나을지 심각하게 생각했습니다."마케도니아 국민을 하나의 나라로 통일"하기 위해 그리스 북부를 향해 그의 휘하에 있는 수천 명의 무장 병력.[81] 첸토의 사상에 충실한 장교들이 스코페의 요새에 주둔한 수비대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무력 개입으로 반란을 진압했습니다. 12명의 경찰관들이 현장에서 총에 맞았고, 다른 사람들은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습니다. 또한 첸토와 그의 측근들은 가능한 한 유고슬라비아와의 관계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고, 끊임없이 마케도니아 국민들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는 것을 언급했는데, 이것은 AVNOJ의 결정에 반대하는 것이었습니다.[82] 첸토는 심지어 미국의 지원을 받는 독립된 마케도니아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유고슬라비아 비밀경찰은 단호한 조치를 취했고 메토디자 안도노프-첸토와 그의 가장 가까운 부하들을 체포하고 그의 정책을 막았습니다. 첸토의 자리는 친유고슬라프 노선을 전면 시행하기 시작한 라자르 콜리셰프스키가 차지했습니다.
나중에 당국은 자치주의 일탈 혐의로 기소된 마케도니아 사람들에 대한 빈번한 숙청과 재판을 조직했습니다. 전 IMRO(연합) 정부 관리들 중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자리에서 숙청된 다음, 친 불가리아 성향,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의 더 큰 또는 완전한 독립 요구, 음모적인 정치 단체 또는 조직의 형성, 그리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많은 경우 조작된) 혐의로 처형되었습니다. 보다 큰 민주주의 등에 대한 요구 판코 브라슈나로프, 파벨 샤테프, 디미타르 블라호프, 벤코 마르코프스키와 같은 사람들은 새 정부에서 빠르게 축출되었고, 그들 중 일부는 암살당했습니다. 한편, 이반 미하일로프의 추종자인 전 IMRO 회원들도 불가리아 점령군과의 협력 혐의로 베오그라드 당국에 의해 박해를 받았습니다.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서 샤를리스티라고 불리는 메토디 샤토로프의 지지자들은 1944년 가을 유고슬라비아 공산당(YCP)에 의해 조직적으로 몰살당했고, 반유고슬라프와 친불가리아 정치적 입장을 이유로 탄압을 받았습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 문화의 장려와 진화는 유고슬라비아 정책의 다른 어떤 측면보다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에 훨씬 더 크고 영구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 국가 음악, 영화, 그래픽 아트의 발전이 장려되었지만, 가장 큰 문화적 효과는 마케도니아 언어와 문학의 성문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1967년 마케도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83]의한 마케도니아 정교회 설립과 새로운 역사 해석
불가리아

피린 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인 인구는 1913년 이후에도 불가리아인으로 남아있었습니다. "마케도니아 문제"는 1912-1913년 발칸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의 철수와 그에 따른 그리스, 불가리아, 세르비아 사이의 마케도니아 지역 분할로 인해 특히 두드러졌습니다.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 사용자들은 기독교 농민들인 경향이 있었지만, 그들 중 대다수는 불가리아 제후국과 그 교육 시스템의 영향 아래 있었고, 따라서 그들 자신을 불가리아인으로 여겼습니다.[14][84][85] 게다가 불가리아의 불가리아인들은 마케도니아 인구의 대부분이 불가리아인이라고 믿었습니다.[86] 발칸 전쟁 이전에 지역 마케도니아 방언은 불가리아어로 취급되었고, 총독부 학교 시스템은 현지인들에게 불가리아어로 가르쳤습니다.[87] 발칸 전쟁 이후 대부분의 지역에서 불가리아인의 왕권 행사가 중단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의 영토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직접 통치하에 들어갔고 때때로 "남부 세르비아"라고 불렸습니다. 오늘날 세르비아의 일부와 함께 공식적으로 새로 형성된 바르다르 바노비나에 속했습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베오그라드가 이 지역에 세르비아 문화 동화 과정을 시행했을 때 세르비아화에 대한 강력한 프로그램이 시행되었습니다.[88] 바르다르 바노비나에서 두 번의 세계 대전 사이에 지역 마케도니아 방언은 세르비아어로 선언되었고 세르비아어는 공식 언어로 학교와 행정부에 도입되었습니다. 암살과 동화라는 정부 정책이 시행되었습니다. 바르다르 바노비나의 세르비아 행정부는 불안감을 느꼈고, 이는 지역 농민들에게 잔인한 보복을 촉발시켰습니다.[89][90][91] 그리스는 다른 모든 발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제2차 발칸 전쟁을 포함한 불가리아의 전쟁 경험과 불가리아의 슬라브 소수 민족에 대한 성향 때문에 소수 민족에 대해, 즉 북부 지역의 슬라브 인구에 대해 제한적인 정책을 채택했습니다.

IMRO는 1920년대에 마케도니아의 세르비아와 그리스 지역에서 공격을 시작하기 위해 이 지역에 있는 "국가 내의 국가"였습니다. 그 무렵 IMRO는 불가리아의 우익 초국가주의 단체가 되었습니다. 1920년대 유고슬라비아(바르다르) 마케도니아 지역의 IMRO 통계에 따르면 53개 체타(무장 밴드)를 운영했으며, 이 중 36개는 불가리아에서 침투했으며, 12개는 현지인, 5개는 알바니아에서 입국했습니다. 그리스(에이지) 마케도니아 지역에서는 24체타와 10개의 현지 정찰 분견대가 활동했습니다. 수천 명의 슬라보폰 마케도니아인들이 혁명 운동과의 접촉 의혹으로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 당국에 의해 탄압을 받았습니다. 피린 마케도니아의 인구는 많은 사람들의 가정 경비대에 조직되었습니다. 1925년 판갈로스 장군이 페트리히 구를 상대로 군사 작전을 펼쳤을 때 이 민병대는 그리스 군대에 저항한 유일한 군대로, 추측으로는 떠돌이 개의 전쟁이라고 불렸습니다. IMRO의 지속적인 동족상잔 살해와 해외에서의 암살은 1934년 5월 19일 쿠데타 이후 불가리아 군부 내에서 일부 세력이 조직을 장악하고 권력을 무너뜨리도록 자극했습니다. 한편, 이후 좌파는 분할된 마케도니아의 독립과 통일의 원칙을 바탕으로 새로운 조직을 구성했습니다. 이반 미하일로프(Ivan Mihailov)의 IMRO에 대항하는 새로운 조직은 IMRO(United)라고 불렸습니다. 1925년 비엔나에서 설립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질적인 대중적 지지를 받지 못했고 1936년까지 활동했으며 코민테른과 발칸 공산주의 연맹에 의해 자금을 지원받고 밀접하게 연결되었습니다. 1934년 코민테른은 마케도니아 국가의 인정에 관한 결의안을 채택하고 마케도니아를 포함한 발칸 연방 공화국의 창설에 관한 발칸 공산주의 연맹의 프로젝트를 확인했습니다.
1939년 9월 1일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마케도니아 공동체 전체, 특히 점령 지역의 난민들이 마케도니아의 해방을 위한 방법을 찾도록 영감을 주었습니다. 1941년 초 스코페의 영국 부영사는 외무부에 마케도니아 문제의 현 상태에 대한 훨씬 더 광범위하고 지각 있는 분석을 제공했습니다. 그는 마케도니아인의 대다수가 민족 운동에 속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실제로 그는 "모든 슬라브 마케도니아인의 90%가 어떤 의미에서는 자율주의자였습니다..."라고 추정했습니다. 그러나 이 운동은 비밀에 싸여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해류의 상대적인 강도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습니다. IMRO가 불가리아에서 금지되고 그 지도자들이 추방된 이후로 IMRO가 설 자리를 잃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요.
1941년 4월 6일에서 1941년 4월 17일 사이에 추축국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침공했습니다. 추축국의 승리는 유고슬라비아가 11일 만에 항복했기 때문에 신속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마케도니아 이민자들이 발행하는 마케도니아애국기구 기관지 '마케돈스카 트리부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 침공과 몰락에서 독일의 승리를 칭송했습니다. 유고슬라비아 침공 초기인 1941년 4월 8일 스코페에서 마케도니아의 독립 또는 자치를 통한 해방에 대한 생각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주로 참여한 회의가 열렸습니다. IMRO의 활동가들과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 – 전 IMRO (연합) 회원들, 독일과 이탈리아의 보호 아래 친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국가를 만드는 아이디어의 추종자들이 있었습니다. 이 회의는 마케도니아의 독립을 위한 행동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상황은 역동적으로 바뀌었습니다. 북마케도니아의 지역 주민들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패배를 기뻐했습니다. 그것은 세르비아의 통치가 끝난 것으로 간주되었고 유고슬라비아 군대에 대거 동원된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군인들이 전투를 거부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대부분의 세르비아 행정부는 독일이나 불가리아 사람들만큼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복수를 두려워하여 도망쳤습니다.
불가리아 정부는 공식적으로 추축국에 가입했지만 유고슬라비아 침공과 그리스 전투의 초기 단계에서 군사적 수동성을 유지했습니다. 1941년 4월 6일, 독일, 이탈리아, 헝가리군은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의 반대 세력을 격파했지만, 유고슬라비아의 비행기들은 불가리아의 쿠스텐딜 마을을 폭격했고, 67명이 사망하고 90명이 부상당했으며, 소피아 교외에서는 8명이 사망했습니다.[92]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4월 17일 항복했습니다. 그리스 정부는 4월 30일까지 버틸 예정이었습니다. 1941년 4월 18일, 불가리아 정부는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로부터 불가리아군 부대가 점령할 지역을 명시하는 전보를 받았습니다. 그리스에서 이 부대는 스트라이몬 강과 네스토스 강 사이에 있는 트라키아와 마케도니아를 점령하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불가리아인들이 바르다르 강과 포모라블제 강에서 피롯-브란제-스코프제 선에 이르는 지역을 차지하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리브벤트롭의 전보에는 이 노선이 일시적인 것, 즉 바르다르 강 서쪽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고 적혀 있었습니다.
불가리아 군대의 유고슬라비아에서의 움직임은 4월 19일에, 그리스에서의 움직임은 4월 20일에 시작되었습니다.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대부분을 차지한 주요 세력은 불가리아 제5군이었습니다. 제6보병사단과 제7보병사단은 1941년 4월 19일부터 24일까지 바르다르 바노비나를 침공하는 데 적극적이었습니다. 불가리아군은 주로 이탈리아 점령 지역과 가까운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서부 지역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이는 알바니아의 이익을 실행하고 지역 농민들을 공포에 떨게 한 이탈리아인들과의 국경 충돌 때문이었습니다.[93] 그래서 바르다르 바노비나의 대부분(바르다르 마케도니아 포함)은 불가리아에 합병되었고 다른 여러 지역과 함께 대불가리아가 되었습니다.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가장 서쪽은 파시스트 이탈리아 왕국에 의해 점령되었습니다. 1941년 4월 19일 불가리아 군대가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 입성하면서 세르비아 통치의 종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해방자로 환영받았습니다.[94][95][96] 전 IMRO와 IMRO(연합) 회원국들은 현지 당국을 인수하는 임무를 맡은 불가리아 행동위원회를[95] 조직하는 데 적극적이었습니다. 불가리아 행동 위원회는 바르다르 바노비나에서 불가리아 군대의 침공을 계기로 북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인들에게 포고령을 선포했습니다. 세르비아 식민지 주민들에 관해서는, 선거 위원회의 구성원들은 단호했습니다. 그들은 가능한 한 빨리 추방되어야 했고, 그들의 재산은 지역 주민들에게 반환되어야 했습니다. 불가리아 군대가 도착하면서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세르비아인들을 대량 추방했습니다. 처음에는 도시 거주자들이 1941년에 추방되었고, 그 다음에는 친서민으로 의심되는 모든 사람들이 추방되었습니다.[97]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의 현지 지도자였던 메토디 샤타로프-샤를로도 불가리아군을 점령군으로 규정하는 것을 거부하고 불가리아 공산당(BCP) 내에 지역 마케도니아 공산당 조직의 편입을 요구했습니다. 마케도니아 지역 위원회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CPY)과의 접촉을 거부하고 유고슬라비아 침공이 시작되자마자 BCP와 연계했습니다. 1941년 7월 4일, 공산당은 공식적으로 무장 봉기를 시작하기로 결정했지만, 샤를로는 불가리아인들에 대한 군사 행동을 요구하는 선언문을 배포하는 것을 거부했습니다.[98] 유고슬라비아 군대에 징집되었던 12,000명 이상의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전쟁 포로들이 독일, 이탈리아, 헝가리 군대에 의해 석방되었습니다.[99] 불가리아 군대가 점령한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역의 슬라브어 사용자들도 해방이라고 환영했습니다.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기 전에는 바르다르 바노비나에서 저항이 없었습니다. 코민테른은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될 무렵 이 전쟁이 다양한 민족 지배층 사이의 제국주의적 전쟁이라고 주장하며 불개입 정책을 지지했지만, 1941년 6월 22일 소련 자체가 침공당하자 코민테른은 입장을 바꿨습니다. 독일의 소련 공격은 불가리아 공산주의자들의 분노를 촉발시켰습니다. 같은 날 BCP는 "독일 파시즘의 범죄 목적을 위해 불가리아 땅과 군인을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라"고 촉구하는 브로슈어를 국민들 사이에 퍼뜨렸습니다. 이틀 뒤인 6월 24일, BCP는 보그단 필로프 정부와 베르흐마흐트에 대한 무력 저항을 요구했습니다. 그 후, 그리고 이미 몇 달 전 유고슬라비아가 추축국에 합병되었을 때, 마케도니아인, 아로마니아인, 세르비아인, 알바니아인, 유대인, 불가리아인을 포함한 마케도니아 공산당 빨치산들이 그들의 저항을 조직하기 시작했습니다.[100] 제1 스코페 빨치산 분견대는 1941년 9월 8일 스코페 근처 보고밀라에서 추축국 병사들을 공격했습니다. 1941년 10월 11일에 일어난 프리렙 당파 분견대의 반란은 저항의 상징적인 시작으로 여겨집니다. 프릴렙 당파 분견대 소속 무장 저항 세력이 프릴렙 시의 추축스 점령 지역, 특히 경찰서를 공격하여 지역 출신 불가리아 경찰 1명이 사망했으며, 이로 인해 크루셰보에서 공격이 발생하고 북마케도니아의 다른 지역에서 소규모 반군 분견대가 생성되었습니다. 그리스 마케도니아와 오늘날의 불가리아 마케도니아에서도 그리스 공산당과 불가리아 공산당의 주도로 당파적 분리가 형성되었습니다.
1942년 4월, 독일에서 "다뉴브강 지역"이라는 제목의 지도가 출판되었는데, 이 지도에서 바르다르와 그리스 마케도니아, 서부 트라키아에 있는 불가리아의 소위 "새로운 부속 영토"는 "불가리아 임시 행정 하의 영토"로 묘사되었습니다. 이것은 불가리아 민족의 통일을 완성했다고 주장하고 이탈리아, 불가리아, 독일 사이의 내부 모순을 보여주는 소피아의 공식 선전에 실패한 것이었습니다. 전쟁이 계속되면서 새로운 반파시스트 빨치산 부대가 지속적으로 결성되었고 1942년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서 총 9개의 소규모 빨치산 분파가 활동했으며 프릴렙, 스코페, 크루셰보, 벨레스 주변의 산악 지역을 통제했습니다. 북마케도니아에 대한 소유권을 놓고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 공산주의자들 사이의 충돌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불가리아 공산주의자들은 불가리아 당국에 대항하는 대규모 무장 봉기를 조직하는 것을 피했지만,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무장 반란 없이는 어떤 해방도 이룰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코민테른과 요제프 스탈린 자신의 도움으로 결정이 내려졌고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들은 CPY에 소속되었습니다.[101] 불가리아 군대에 대한 지역 공산주의자들의 진지한 투쟁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CPY의 최고 참모진은 캠페인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1943년 몬테네그로인 스베토자르 부크마노비치-템포가 도착하면서 최소 저항 정책이 바뀌었고, 그들은 불가리아 점령군에 대항하여 격렬한 투쟁을 조직하기 시작했습니다. 템포는 CPY의 최고 참모로 일했으며 바르다르 바노비나에서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개인 대표가 되었습니다.

한편, 불가리아 정부는 스코페와 비톨라에서 7,000명이 넘는 유대인들을 포위하고 추방했습니다. 그것은 불가리아에서 유대인들을 추방하는 것을 거부했지만 나중에 독일의 압력에 의해 불가리아 시민권 없이 새로운 병합 영토에서 유대인들은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와 서부 트라키아에서 추방되었습니다.[102] 불가리아 당국은 왕국의 전체 영토에서 공산당을 추격할 수 있는 거의 무제한적인 권한을 받은 특수 헌병대 병력을 만들었습니다. 헌병대는 포로가 된 빨치산들과 그들의 지지자들을 상대로 잔학행위를 자행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아졌습니다. 점령군의 가혹한 통치와 연합군의 다수의 승리는 추축국이 전쟁에서 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그것은 더 많은 마케도니아인들이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공산주의 빨치산 저항 운동을 지지하도록 장려했습니다.
많은 전직 IMRO 회원들은 불가리아 당국이 템포의 빨치산들과 싸우는 것을 도왔습니다. 불가리아 정부와 전 IMRO 회원들의 도움으로 1943년 점령된 그리스 마케도니아에서 우흐라나라는 몇몇 친 불가리아 및 반 그리스 분리주의자들이 조직되었습니다. 이들은 원래 그리스 마케도니아 출신의 불가리아 장교들이 이끌었고 독일과 이탈리아의 지배하에 있는 지역의 지역 주민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1943년 9월 파시스트 이탈리아가 항복한 후, 마케도니아의 이탈리아 지역은 독일에 의해 점령되었습니다. 우흐라나는 이반 미하일로프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미하일로프는 독일의 지배하에 마케도니아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더 넓은 계획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분명했습니다. 그는 불가리아 요소가 우세한 통일 마케도니아 국가에 대한 생각의 추종자였습니다.[103] 또한 IMRO 자원봉사자들이 플로리나, 카스토리아, 에데사 지역에서 행정과 교육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독립 마케도니아 군대의 핵심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리고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저항 운동에서는 두 가지 정치적 성향이 분명히 드러났습니다. 첫 번째 것은 템포로 대표되었으며 새로 설립된 마케도니아 공산당은 명백하거나 잠재적인 친 불가리아 정서와 싸우고 이 지역을 새로운 예상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 끌어들이는 데 우선권을 주었습니다. 마케도니아 문제의 해결을 민족적 선호로 받아들였던 친 불가리아계 IMRO와 IMRO(유나이티드)의 참전용사들은 이제 마케도니아를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는 것이 주요 목표라고 여겼으며, 그들의 전후 미래는 반드시 유고슬라비아 연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그 안에서 북마케도니아에 대한 세르비아의 새로운 지배 형태를 예견했고, 오히려 발칸 연방의 가입이나 다른 독립을 선호했습니다.[104] 이 두 가지 경향은 앞으로 몇 년 안에 충돌했을 것입니다. 1944년 봄, 마케도니아 민족해방군은 독일군과 불가리아군이 참여하는 "봄의 공세"라는 작전을 시작했고, 이 작전은 이 지역에 60,000명 이상의 군사 및 행정 요원을 배치했습니다.[105] 스트루미카에서는 약 3,800명의 전사들이 이 지역의 군사 운동 형성에 참여했습니다. 제4, 제14, 제20마케도니아 행동여단, 스트루미카 빨치산 분견대, 제50마케도니아 분견대, 제51마케도니아 분견대가 편성되었습니다.[106] 1943년 군대가 결성된 이후 마케도니아 공산당은 자치 정부를 만들려는 열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944년 8월 2일, 일린덴-프레오브라제니 봉기 41주년을 맞아 새로 창설된 반파시스트 집회(ASNOM)의 첫 번째 회기가 성(聖)에서 열렸습니다. 프로호르 프친스키 수도원. а 선언문은 독립적인 마케도니아 국가를 위한 ASNOM의 미래 계획과 마케도니아어를 마케도니아 국가의 공식 언어로 만드는 것을 기술한 것입니다. 그러나, 바르다르 마케도니아가 새로운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될 것이라는 결정이 나중에 내려졌습니다. 1944년 여름, 오흐라나는 불가리아에서 온 약 12,000명의 전사와 자원봉사자들을 조직했습니다. 슬라보폰 마을 전체가 무장하여 그리스 인민해방군(ELAS)의 가장 강력한 적으로 발전했습니다. 이때 이반 미하일로프는 독일이 점령한 스코페에 도착했고, 독일군은 그가 IMRO와 오흐라나 기지에서 그들의 지원으로 마케도니아 독립국을 만들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전쟁이 독일에 패한 것을 보고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거절했습니다.
이 시기에 이반 바그랴노프의 새로운 불가리아 정부는 나치 독일과의 동맹을 거부하고 중립을 선언하고 모든 반유대인 법을 종료하고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 군대의 철수를 명령함으로써 별도의 평화를 찾는 것을 목표로 연합국과 비밀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태생의 내무장관 알렉산드르 스타니셰프를 통해 정부는 불가리아 군대가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서 철수한 후 군대가 파르티잔에게 팔을 내줄 것이라고 약속하면서 마케도니아 파르티잔과 협상을 시도했습니다 미래의 유고슬라비아의 틀 없이도 빨치산들이 친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국가의 수립을 보장한다는 것은 조건에 의해서 가능할 것입니다.[107] 협상은 실패했고 1944년 9월 9일 소피아의 조국전선은 쿠데타를 일으켜 정부를 폐위시켰습니다. 불가리아가 나치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 후, 독일군에 포위된 마케도니아에서 철수하는 불가리아군은 불가리아의 옛 국경으로 돌아가기 위해 싸웠습니다. 불가리아 친공산주의 신정부의 주도하에 1944년 9월 하순 점령된 유고슬라비아에 총 45만 5천 명의 불가리아 3군이 진입하여 그리스에서 철수하는 독일군을 봉쇄하는 전략적 임무를 수행하며 소피아에서 니슈와 스코페로 이동했습니다. 그들은 이곳에서 지역 빨치산들과 교류하며 활동했습니다. 세르비아 남부와 동부, 그리고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대부분은 11월 말에 해방되었습니다.[108] 11월 말과 12월 초에 불가리아군은 귀국 전 해방된 세르비아에 집결했습니다. 135,000명의 불가리아 제1군은 유고슬라비아 빨치산의 도움을 받아 헝가리까지 계속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지역을 합병하는 동안 불가리아 군대는 특정 대대의 군인의 40%에 달하는 지역 주민들로부터 부분적으로 모집되었습니다. 1991년 이후 마케도니아 의회와[109] 류브초 게오르기예프스키 전 총리에 대한 일부 공식 논평은 "투쟁은 시민적이지만 해방 전쟁은 아니다"라고 발표했습니다.[77] 공식 소식통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불가리아 군대에 대항한 마케도니아 공산당 빨치산의 희생자 수는 539명이라고 합니다. 불가리아 역사학자이자 불가리아 국립역사박물관 소장인 보지다르 디미트로프 박사는 2003년 저서 '마케도니아의 열 가지 거짓말'에서 불가리아 세력에 대한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현지 주민의 저항 정도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번 충돌을 정치적인 것으로 묘사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과 새로운 마케도니아 언어가 탄생하면서 민족 형성 과정이 시작되었고 뚜렷한 민족적 마케도니아 정체성이 형성되었습니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불가리아의 영향력을 제거하는 정책을 시작하여 마케도니아를 새로운 발칸 연방의 설립을 위한 연결 고리로 만들고 유고슬라비아와의 동일성을 고취할 수 있는 뚜렷한 슬라브 의식을 만들었습니다.[11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배적인 불가리아 공산주의자들은 불가리아 마케도니아의 인구를 마케도니아 민족으로 선언하고 유고슬라비아에서 교사들을 데려와 새로운 마케도니아 언어로 현지인들을 가르쳤습니다. 불가리아의 IMRO 조직들은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전 IMRO 조직원들은 공산주의 밀리티야에 의해 사냥되었고,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투옥되고, 억압받고, 추방되거나 죽임을 당했습니다. 또한 벨렌 노동 수용소에 있는 사람들의 이러한 정치 활동에 반대하는 수용소가 조직되었습니다. 티토(Tito)와 게오르기 디미트로프(Georgi Dimitrov)는 발칸 공산주의 연맹의 프로젝트에 따라 두 발칸 국가인 불가리아와 유고슬라비아를 발칸 연방 공화국으로 통합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이는 1947년의 협력과 블레드 협정 체결로 이어졌습니다.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와 피린 마케도니아 사이의 통일과 서부 오지가 불가리아로 돌아갈 것을 예견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그리스 내전에서 그리스 공산주의자들, 특히 슬라브-마케도니아 민족 해방 전선을 지원하여 그리스 마케도니아와 서부 트라키아를 공산주의 통치하의 새로운 국가로 통일하자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따르면 마케도니아가 분할된 3개의 제국주의 국가의 지배 국가의 부르주아 계급은 마케도니아 민족의 국가적 특징과 마케도니아 국가의 존재를 부정하면서 국가적 억압을 위장하려고 했습니다. 1948년 6월 티토-스탈린의 분열로 인해 소련의 이익에 종속된 불가리아가 유고슬라비아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협정에 따른 정책이 역전되었습니다. 1930년대 이후 마케도니아와 같은 지역 국가와 국가의 투영과 인정을 위한 이 정책은 코민테른 정책에서 일반적이었으며, 동유럽의 민족 국가에 대한 소련의 분노와 파리 평화 회의의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1943년 코민테른의 해체와 1948년 코민포름의 출현으로 조셉 스탈린은 이전의 이데올로기를 일축했고 냉전 기간 동안 소련의 패권을 위해 만들어진 조건에 적응했습니다. 1949년 7월 디미트로프호가 갑자기 사망하자 불가리아에서 "티토이스트" 마녀사냥이 이어졌습니다.
그리스 내전에서 그리스 공산주의자들이 패배한 후, 많은 슬라브어 사용자들이 그리스에서 추방되었습니다.[111][112]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은 원래 극소수의 난민을 받아들였지만, 정부 정책이 바뀌면서 불가리아 정부는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난민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섰습니다. 전쟁이 끝나갈 무렵 불가리아로 약 2,500명의 어린이들이 보내졌고 3,000명의 빨치산들이 그곳으로 도망친 것으로 추정됩니다. 1944년 불가리아군이 드라마세레스 지역에서 철수하면서 난민들이 불가리아로 더 많이 유입되었습니다. 슬라브어 사용자의 대부분이 그곳으로 이민을 갔습니다. 소피아(불가리아어: с лавянски к омитет)의 "슬라브 위원회"는 동구권의 다른 지역에 정착한 난민들을 유치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1962년 정치 보고서에 따르면 그리스에서 온 정치 이민자의 수는 6,529명이었습니다.[113] 그리스에서 온 난민들에 대한 공산주의 불가리아의 정책은 적어도 처음에는 민족적 기원과 관련하여 차별적이지 않았습니다. 그리스어와 슬라브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은 모두 그리스 정치 이민자로 분류되어 주정부 당국으로부터 동등한 대우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1950년대 말은 "불가리아 민족과는 다른 마케도니아 민족의 존재를 더 이상 인정하지 않는" 불가리아의 "마케도니아" 정책의 결정적인 전환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 그 결과,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더 겨냥하고 "그리스 민족"을 덜 겨냥한 차별적인 정책인 그리스 출신의 난민들에게 특정한 전도적인 측면이 주어졌습니다. 결국 이 이주민들 중 많은 사람들이 불가리아 사회에 동화되었습니다.
1950년대 말 공산당은 이전의 결정을 폐기하고 "마케도니아" 국가의 존재를 부정하는 입장을 취했습니다. 일관성 없는 불가리아의 정책은 그 이후로 불가리아 마케도니아에 있는 인구의 진짜 기원에 대해 대부분의 독립적인 관찰자들을 혼란의 상태에 빠뜨렸습니다. 1960년 불가리아 공산당은 특별 결의안을 표결에 부쳐 "거의 모든 마케도니아인들이 불가리아인들의 민족 의식이 뚜렷하고 불가리아를 자신들의 조국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 결과 소피아-벨라르 노선의 국제 관계는 악화되었고, 사실상 파탄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반(反) 불가리아 및 친(親)유고슬라브 성향의 마케도니아 정치권의 최종 승리로 이어졌고, 남슬라브 연방의 개념 자체가 확실히 쇠퇴했음을 의미했습니다.[114]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로포비아는 거의 국가 이데올로기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115]
불가리아는 보통 인구 조사에서 민족성을 선언할 권리를 지켰지만,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의 블라고에브그라드 주의 인구 조사에서는 불가리아의 정체성이 최소화되었습니다. 그러나 1945년과 1965년 사이에 강제로 마케도니아인 블라고에크그라 주 1946년과 1956년 인구 조사에서 유고슬라비아와의 합의에 따라 공산주의 정부에 의해 그들의 의사에 반하여 마케도니아 민족으로 등록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116]

2001년 인구 조사에서 블라고에브그라드 지역의 총 3,100명의 사람들이 마케도니아라고 선언했습니다(이 지역 인구의 0.9%). 유럽 인권 재판소에 따르면 불가리아의 마케도니아 민족은 불가리아 정부에 의한 인권 침해를 견뎌왔습니다.
오늘날 불가리아에서 마케도니아 문제는 1878년 산 스테파노 조약의 개정을 시작으로 국가 통합성 위반의 결과로 주로 이해되어 왔습니다. 불가리아는 별도의 마케도니아 정체성의 존재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불가리아의 이번 선언은 과거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와 공유했던 영토, 역사, 언어에 대한 강한 상실감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붕괴와 그에 따른 마케도니아 국가의 독립 이후,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 국가의 합법성에 대해 계속 의문을 제기했지만, 동시에 새로운 국가를 인정했습니다. 1991년 불가리아 정부는 이러한 정치적 타협을 국가 문제를 억압하기보다는 건설적인 삶의 방식으로 추진했습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긴장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으며, 이 문제는 소피아 정치에서 중요한 저류로 남아 있습니다.[117]
알바니아
알바니아의 남슬라브계 소수민족은 말라 프레스파와 골로보르다 두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1930년대에 알바니아에 사는 정통 슬라브족은 알바니아 지역 주민들에게 불가리아인으로 여겨졌습니다.[118] 새로운 알바니아 국가는 이 소수 민족을 동화시키거나 지역 마을의 이름을 강제로 바꾸려고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1932년 제2차 발칸 회의에서 불가리아와 알바니아 대표단은 알바니아 내 불가리아 소수민족의 인정에 관한 의정서에 서명했습니다.[119]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마케도니아 인민공화국의 창설과 발칸 연방공화국의 건국에 대한 신공산주의 국가들의 정책은 상황을 바꾸어 마케도니아 소수민족을[120][121] 공식적으로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마케도니아의 학교와 라디오 방송국이 이 지역에 설립되었습니다.[120] 알바니아는 약 5,000명의 강력한 마케도니아 소수민족을 인정했습니다. 알바니아에는 불가리아와[citation needed] 마케도니아의 단체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각각 지역 슬라브 인구가 불가리아인 또는 마케도니아인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슬람교도가 대부분인 인구 자체는 공식적인 인구 조사에서 알바니아 사람이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해 왔습니다.
북마케도니아

북마케도니아는 1991년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승인하는 국민투표와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기념하지만,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의 미래 연합"에 참여하는 것을 합법화하고 있습니다. 북마케도니아의 마케도니아 민족들은 예외 없이 때로는 강하고 심지어 공격적인 마케도니아 의식을 보여주었습니다.[122] 불가리아와의 관계는 비난 받았습니다. 이 기간 동안 마케도니아 학자들은 인접한 주에 위치한 마케도니아 지역에 크고 억압받는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이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한 주장 때문에 마케도니아 민족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진 영토를 포괄하기 위해 마케도니아 국경의 확장을 요구하는 보수적인 제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123] 인근 지역의 인구는 인근 국가 정부의 선전에 "섭동"되어 있으며, 그들이 통합 마케도니아로 편입될 필요가 있습니다. 마케도니아가 독립을 선포할 때까지 불가리아를 계속 바라보던 사람들은 거의 없었습니다.[124] 불가리아인의 정체성을 고수하는 3,000-4,000명의 사람들이 당국과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큰 적대감을 만났습니다. 가끔 '불가로필'에 대한 재판이 오늘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125][126] 마케도니아 공화국 헌법재판소는 "인종적이고 종교적인 증오와 편협함을 조장한다"며 마케도니아-라드코 공화국에서 불가리아인들을 조직하는 것을 금지했습니다.[127] 2009년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유럽인권재판소는 이 사건에서 유럽인권협약 위반을 이유로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비난했습니다.[128]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몇 년 동안 경제적 번영과 불가리아의 EU 가입이 증가하면서 약 60,000명의 마케도니아인이 불가리아 시민권을 신청했습니다. 그것을 얻기 위해서는 그들이 출신지가 불가리아인 것을 선언하는 성명에 서명해야 합니다. 불가리아 시민권을 신청하고 부여받은 가장 유명한 마케도니아인은 류브초 게오르기예프스키 전 총리일 것입니다.[129][130] 약 500명의 마케도니아인들이 매주 불가리아 시민권을 받습니다. 이는 지난 20년간 불가리아 시민권을 받은 마케도니아 국민 약 5만 명을 합친 것입니다.[131] 불가리아 정부는 마케도니아인을 민족 정치적으로 방향을 잃은 불가리아인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 정책을 정당화합니다.[132]
참고 항목
메모들
- ^ 안나 파나요투(Anna Panayotou)는 고대 마케도니아의 지리적 경계를 핀두스 산에서 네스토스 강에 이르는 지역과 테살리아에서 페이오니아(필립 2세 왕국이 차지한 지역으로, 대부분 같은 이름의 로마 속주와 일치함)까지 포괄한다고 설명합니다.[5]
- ^ 메세르 칸트체프, 츠비예츠(크비예치), 벨리츠가 작성한 민족학적, 언어적 지도를 부쿠레슈티 조약의 새로운 국경과 비교하면 세르비아인들이 수행한 과제의 중대성을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이 역사적인 영토가 강력한 알바니아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고대 영토인 Sandjak, Novi-Bazar와 Old Servia propert (코소보 폴과 메치아)의 소유를 재개했을 뿐만 아니라, 애국적인 Servian 민족 학자들이 "Enlargeed Old Servia"라고 묘사한 영역에 추가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그들의 안이한 관대함은 그들로 하여금 그들의 지도에 슬라브 마케도니아라고 묘사된 인구를 마케도니아에 있는 불가리아인들의 존재를 감추기 위해 고안된 완곡한 표현으로 그리스인들과 공유하도록 강요했습니다. 그리고 부쿠레슈티 조약에 따른 그들의 획득은 그들의 가장 사치스러운 가식을 넘어섰습니다. 그들은 불가리아인들이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평화를 체결하여 바르다르 동쪽의 영토를 박탈해야 하는 필요성을 이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불가리아인들의 애국심이 가장 선명하게 빛났던 치티페와 라도비체는 마케도니아를 해방시키기 위해 불가리아인 애국자들이 받아들인 희생이 항상 예외적으로 컸습니다. 이것은 부상에 모욕을 더하는 것이었습니다.
- ^ "바르다르 마케도니아"는 현재 북마케도니아가 차지하고 있는 마케도니아 지역의 일부입니다.
참고문헌
- ^ a b King, Carol J. (2017-07-28). Ancient Macedonia. Routledge. pp. 21 (Pelasgians), 360 (Bryges). ISBN 978-1-351-71031-2.
- ^ Edwards, Iorwerth Eiddon Stephen (1973).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Part 2,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Region c.1380-1000 BC.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86912.
- ^ Borza 1992, p. 84: "마케도니아인 자신들은 다른 그리스 민족을 생산했던 동일한 인구 집단에서 유래했을 수 있습니다."
- ^ 보르자, 유진 N. "아테네인, 마케도니아인, 마케도니아 왕실의 기원" 밴더풀에서 (1982), 페이지 7.
- ^ Panayotou-Triantaphyllopoulou, Anna (2007). "The Position of the Macedonian Dialect". In Anastasios-Phoibos Christidis (ed.). AHistory of Ancient Greek. Cambridge. pp. 433–434.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Herodotus (2020). The Histories. Open Road Media. ISBN 978-1-5040-6192-6. OCLC 1148868210.
- ^ 워딩턴 2014, 2장: 알렉산더의 유산, p. 10; 혼블로워, 사이먼. 고대와 고전기의 그리스 정체성. 자카리아(2008)에서, 페이지 55-58.; Joint Association of Classical Teachers 1984, pp. 50–51; Errington 1990; Fine 1983, pp. 607–608; Hall 2000, p. 64; Hammond 2001, p. 11; Jones 2001, p. 21; Osborne 2004, p. 127; Hammond 1989, pp. 12–13; Hammond 1993, p. 97; Starr 1991, pp. 260, 367; Toynbee 1981, p. 67; Worthington 2008, pp. 8, 219; Chamoux 2002, p. 8; Cawkwell 1978, p. 22; Perlman 1973, p. 78; Hamilton 1974, 2장: 마케도니아 조국, p. 23; Bryant 1996, p. 306; O'Brien 1994, p. 25.
- ^ Trudgill 2002, p. 125; Theodosiev 2000, pp. 175–209; Christesen & Murray 2010, p. 428.
- ^ Joseph, B. (2001). "Ancient Greek". In J. Garry; et al. (eds.). Facts about the World's Major Languages: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Major Languages, Past and Present.
- ^ Melville-Jones, John (2021-12-01). "The Borders of Ancient Makedonia III: Roman Makedonia". Macedonian Studies Journal. 2 (1). ISSN 2204-3128.
- ^ Fine, John Van Antwerp (1983). "The Slavic Invasions".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ACLS Humanities E-Book.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ublished 1991). p. 28. ISBN 9780472081493. Retrieved 23 September 2021.
Though some Slavic incursions had occurred earlier, the number of raids increased in the second half of Justinian's reign. [...] Procopius also speaks of Slavs living in the vicinity of certain Thracian cities, suggesting that by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a certain amount of Slavic settlement (as opposed to raiders coming, raiding, and then returning beyond the Danube) had begun in the Balkans.
- ^ 고대 일리리아인들. Pashko Gjonaij. 2001.
- ^ 발칸 반도: 공산주의에서 콘스탄티노플까지. 데니스 푸프칙
- ^ a b c Bourchier, James David (1911). Chisholm, Hugh (ed.).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17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6–222. . In
- ^ 바칼로풀로스, '마케도니아의 역사, 1354–1832', 살로니카, 1973.
- ^ Castellan, Georges, 1999, Histoire des Balkan, XIVe–XXe siècle. transl. 릴리아나 차네바(불가리아어 번역. 파리: Fayard. p. 358. ISBN 2-213-60526-2
- ^ 국경지대에서의 삶의 이해: 깊이와 움직임의 경계, I. 윌리엄 자트만, 2010, p.169
- ^ 지도와 정치: 마케도니아 민족지도의 고찰, 리버풀 지리학 연구, 헨리 로버트 윌슨, 대학 출판부, 1951, 73-74쪽.
- ^ 헬레닉 월드의 기초. 20세기 초 마케도니아 사람들
- ^ Плебисцит за български митрополити въ Охрид и Скопие преди освобождението на България
- ^ Quo vadis, Македонио!
- ^ 발칸 반도의 국적: F의 마케도니아인의 사례. A. K. Yasamee. (Balkans: 신세계 질서의 거울, 이스탄불: EREN, 1995; pp. 121-132)
- ^ 세르비아계 대다수이념에서 공격으로 IA; Jovan Cvijic: 선택한 문
- ^ 중앙유럽과 동유럽의 지도 제작: 제1회 ICA Symposium on Cartography for Mentral Europe; Georg Gartner, Felix Ortag; 2010; p.338
- ^ a b Ljuljanović, Denis Š (2023). Imagining Macedonia in the Age of Empire: State Policies, Networks and Violence (1878–1912). LIT Verlag Münster. ISBN 978-3-643-91446-0.
- ^ 마케도니아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휴 폴튼, C. 허스트앤코 출판사, 1995, ISBN 1-85065-238-4, 페이지 63-64.
- ^ 네오피토스 두카스, "로고스페리 카타스타소스스크홀리온"
- ^ 수데우로파의 테데 칼(The de Kahl), 민족주의자(Ethnizität und räumliche Vertilung der Aromunen). 뮌스터, 1999
- ^ 마케도니아 문제는 1871년 페트코 슬레이브니코프가 카리그라드(현재 이스탄불)의 마케도니아 신문에 게재한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서 페트코 슬레이브이코프는 "우리는 마케도니아인들로부터 그들이 불가리아인이 아니라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의 후손이라는 것을 여러 번 들었습니다."라고 썼습니다.
- ^ 슬라비코프가 불가리아 총독에게 보낸 솔룬의 편지. 테살로니키) 1874년 2월.
- ^ 빅터 A. 프리드맨: 19세기와 20세기 초반의 마케도니아어와 민족주의. Balcanistica 2 (1975): 83–98. : 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Mark Biondich (2011). The Balkans: Revolution, War, and Political Violence Since 1878. Oxford University Press. p. 31. ISBN 9780199299058.
- ^ "Истинският образ на неуравновесения Кръсте Мисирков". www.promacedonia.org. Retrieved 2023-12-04.
- ^ 던컨 페리, 카렌 다이샤와 브루스 패럿(eds.)의 "마케도니아 공화국: 길 찾기", 동남유럽의 정치, 권력 및 민주주의 투쟁,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7, 페이지 228-229.
- ^ Hugh Poulton (2000). Who are the Macedonians?. C. Hurst & Co. Publishers. p. 105. ISBN 9781850655343.
- ^ Andrew Rossos (2013). Macedonia and the Macedonians: A History. Hoover Press. pp. 196–197, 264. ISBN 9780817948832.
- ^ Shaw, Stanford J.; Shaw, Ezel Kural (1977-05-27).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Volume 2, Reform, Revolution, and Republic: The Rise of Modern Turkey 1808-1975.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09. ISBN 978-0-521-29166-8.
- ^ "Eveniment - Div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13. Retrieved 2009-03-07.
- ^ http://files.about-near-exact.webnode.gr/200000112-2ba692ca07/The_Balkan_Vlachs-Aromanians.pdf Wayback Machine에서 2021-12-27 보관
- ^ 헨리 로버트 윌킨슨(Henry Robert Wilkinson)은 1951년 지도와 정치라는 저작을 출판했습니다. 마케도니아의 민족지 지도에 대한 리뷰에서 이 민족 지도는 당시 대부분의 민족 지도로서 "마케도니아가 불가리아 영토라는 견해에 동의했다"고 말했습니다.
- ^ S. 노바코비치의 보고로부터 베오그라드 교육부 장관에게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인들의 세르비아화의 과도기적 단계로서 마케도니아주의에 대해 -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 역사 연구소 - 불가리아어학연구소, 마케도니아, 문서 및 재료 - 소피아 1978. [1]
- ^ 마케도니아의 전쟁, Loring M. Danforth: 초국가적 세계에서의 민족주의, 1995, Princeton University Press, p.65, ISBN 0-691-04356-6
- ^ Stephen Palmer, Robert King,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와 마케도니아 문제, Hamden, CT Archon Books, 1971, pp. 199-200
- ^ 뉴먼, R. (1952) 티토의 유고슬라비아 (런던)
- ^ 마케도니아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휴 폴튼, 허스트앤코 출판사, 1995, ISBN 978-1-85065-238-0, p. 101.
- ^ Ortaylı, İlber. 손 이 ̇ 파라토루크 오스만 ı (마지막 제국: 오스만 제국), ̇스탄불, 티마 ş 야이 ı날라르 ı(티마 ş 프레스), 2006. 87-89쪽. ISBN 975-263-490-7 (in Turkish).
- ^ a b c d e Shaw, Stanford; Shaw, Ezel (27 May 1977).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Volume 2, Reform, Revolution, and Republic: The Rise of Modern Turkey 1808-1975 (11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08. ISBN 9780521291668.
- ^ Hodge, Carl (2008). Encyclopedia of the Age of Imperialism, 1800-1914.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631. ISBN 9780313043413.
- ^ Ahbab, Yakup (2015). "Administrative and Socio-Economic Structure of the Skopje Sanjak (1876-1911) / Üsküp Sancağı'nın idari ve sosyo/ekonomik yapısı (1876-1911)" (PDF) (in Turkish). p. 1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3-01-31. Retrieved 2023-01-31.
- ^ Rahman Ademi (2006). "The Macedonian Muslims in the Era of Abdulhamid II / II. Abdülhamit döneminde Makedonya Müslümanları" (in Turkish). p. 97.
- ^ Güler YARCI (2013). "The Macedonian Question in Ottoman Diplomacy (1876-1913) / Osmanlı Diplomasisinde Makedonya Meselesi (1876-1913)" (PDF) (in Turkish). p. 26.
- ^ Mithat AYDIN (2019). "Slav Bulgarian Committee Action in Ottoman Macedonia" (in Turkish). p. 3.
- ^ Boeckh K., Von Den Balkankriegen Zum Ersten Weltkrieg, 논문 수용, Ludwig-Maximilians University, 1994/95, S.227. ISBN 3-486-56173-1
- ^ Angelopoulos A., 오늘날 그리스의 언어, 민족의식과 종교에 따른 인구분포, 발칸학, 20, p.123-132, 1979
- ^ a b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1914). "CHAPTER IV: The War and the Nationalities".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To Inquire into the causes and Conduct OF THE BALKAN WARS (Report). Washington, DC: THE ENDOWMENT.
- ^ 리차드 길레스피, "지중해 정치", Pinter Pub Ltd, 1996
- ^ a b c d Despot, Igor (2012). The Balkan Wars in the Eyes of the Warring Parties. iUniverse. pp. 250, 253, 198, 258. ISBN 9781475947038.
- ^ a b Livanios, Dimitris (17 April 2008). The Macedonian question: Britain and the Southern Balkans 1939-1949.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25, 26. ISBN 9780191528729.
- ^ a b c d Lieberman, Benjamin (16 December 2013). Terrible Fate: Ethnic Cleansing in the Making of Modern Europe. Rowman & Littlefield. pp. 76, 75. ISBN 9781442230385.
- ^ a b c Mozjes, Paul (2011). Balkan Genocides: Holocaust and Ethnic Cleansing in the Twentieth Century. Rowman & Littlefield. pp. 37, 38. ISBN 9781442206632.
- ^ a b c 카네기 국제평화기금, 간행물 No. 4, Washington DC, 1914 [2] [3]
- ^ "Ethnic Cleansing in Macedonia".
- ^ a b c d Fowkes, B. (2002). Ethnicity and Ethnic Conflict in the Post-Communist World. Springer. p. 57. ISBN 9781403914309.
- ^ 로링 M. 댄포스. 마케도니아 분쟁: 초국가적 세계의 민족주의. 프린스턴, 뉴저지: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ISBN 978-0-691-04357-9.p. 73.
- ^ 마조워 2000, 페이지 276.
- ^ 마케도니아 신문, 1948년 5월 11일.[full citation needed]
- ^ IMRO 민병대와 마케도니아 남서부 의용대, 1943-1944 빅 니콜라스에 의해 Wayback Machine에서 보관된 2006-07-20.
- ^ 1940년대 마케도니아. 근현대 마케도니아, vol. II, 64-103. [4]예이니스 D. 스테파니디스
- ^ Watch 1320 Helsinki, Human Rights Watch/Helsinki (Organization : U.S.); Lois Whitman; Jeri Laber (1994). Denying Ethnic Identity: The Macedonians of Greece. Toronto: Human Rights Watch. p. 9. ISBN 1-56432-132-0.
{{cite book}}
: CS1 메인트: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에게해 횡단: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교류의 결과, 르네 히르숑, 2003(181쪽)
- ^ John S. Koliopoulos (1999). Plundered loyalties: Axis occupation and civil strife in Greek West Macedonia, 1941–1949. London: Hurst & Co. p. 53. ISBN 978-1-85065-381-3.
- ^ F0371/58615, 1946년 9월 24일 테살로니키 영사보고서
- ^ John S. Koliopoulos (1999). Plundered Loyalties: World War II and Civil War in Greek West Macedonia.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p. 304. ISBN 978-0-81474-730-8.
- ^ Николов, Борис Й. Вътрешна македоно-одринска революционна организация. Войводи и ръководители (1893-1934). Биографично-библиографски справочник, София, 2001, стр. 89 - 90.
- ^ 영국 외무부와 마케도니아 국가 정체성, 1918-1941, 앤드류 로소스의 슬라브 리뷰, 제53권, 제2호(Summer, 1994), 369-394 페이지 [5]
- ^ Военна Академия "Г. С. Раковски" - София, Участие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Армия във Втората Световна Война 1941–1945. 2009년 3월 8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됨
- ^ a b КОЈ СО КОГО ЌЕ СЕ ПОМИРУВА - Лидерот на ВМРО-ДПМНЕ и Премиер на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Љубчо Георгиевски одговара и полемизира на темата за национално помирување.
- ^ СТЕНОГРАФСКИ БЕЛЕШКИ Archived 2008-02-28 at the Wayback Machine Тринаесеттото продолжение на Четиринаесеттата седница на Собранието на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17 January 2007.
- ^ 골리 오토크: 죽음의 섬: 벤코 마르코프스키의 편지 속 일기,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1984
- ^ Македонската кървава Коледа. Създаване и утвърждаване на Вардарска Македония като Република в Югославска Федерация (1943–1946) Archived 2014-03-01 at the Wayback Machine Веселин Ангелов, 2003-08-01, ISBN 978-954-8008-77-8
- ^ Методија Андонов - Ченто, Mакедонски Народен Трибун. Ристе Бунтески. Скопје. 2002
- ^ Не му се судеше на Ченто, му се судеше на АСНОМ. у рнати табуата за м етодија а ндонов ч енто[6] Wayback Machine에서 보관된 2009-03-05
- ^ 스티븐 팔머, 로버트 킹,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와 마케도니아 문제, 햄든, CT Archon Books, 1971.[page needed]
- ^ 1912년 11월 "내셔널 지오그래픽" 마케도니아의 인종과 종교
- ^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1914). "CHAPTER II: The War and the Noncombatant Population".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To Inquire into the causes and Conduct OF THE BALKAN WARS (Report). Washington, DC: THE ENDOWMENT.
- ^ Kojouharov, Anton (Fall 2004). "Bulgarian "Macedonian" Nationalism: A Conceptual Overview Anton Kojouharov" (PDF). OJPCR: The Online Journal of Peace and Conflict Resolution. 6 (1): 282–295. ISSN 1522-211X.
- ^ Известия Ураль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 0049 (2007), с. 138-153. Гуманитарные науки. Выпуск 13. Дмитрий Олегович Лабаури - Берлинский приговор 1878 г. и проблема македонского этноязыкового своеобразия. р г н ф. (러시아어) [7]
- ^ Veritas (1931). "Siegfried Jakoby, secretary to Einstein, in an article 'Macedonia - What I Saw There' writes about the Bulgarian character of Macedonia". Macedonia under oppression 1919–1929 (in Bulgarian). Sofia. pp. 511–512. Retrieved 2007-08-04.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Veritas (1931). "Trial of Bulgarians in Bitolya". Macedonia Under Oppression 1919–1929 (in Bulgarian). Sofia. pp. 460–464. Retrieved 2007-08-05.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Veritas (1931). "A petition from the Macedonian National Committee to the League of Nations on violations of the Treaty for the Protection of Minorities on the part of the SCS Kingdom. May 23, 1928". Macedonia Under Oppression 1919–1929 (in Bulgarian). Sofia. pp. 464–467.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Veritas (1931). "A petition from the Bulgarian population in Vardar Macedonia to the League of Nations concerning the unbearable national and political oppression. December 1929". Macedonia Under Oppression 1919–1929 (in Bulgarian). Sofia. pp. CXCI–CXCV.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Проф. Богдан Филов, Дневник - под общата редакция на акад. Илчо Димитров. (Prof. Bogdan Filov, Diary (학자 Ilcho Dimitrov, 주편집자), Sofia, 1986; 1990) 출판사: 조국전선출판사
- ^ 1941년 유고슬라비아 내 불가리아 육군 점령 부대
- ^ м акедония 1941 в ъзкресение(마케도니아 1941 부활), с отир н анев(소티르 나네프), 1942, 1993년 ISBN 954-528-366-1로 재인쇄, 출판사 т руд(트루드).(불가리아어로) 마케도니아 태생의 불가리아 중위가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지역 점령에 참여한 회고록.
- ^ a b 1941년 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선거 운동 위원회 - 디미테르 미체프 (디미테르 민체프). Kroraina.com 에서 호스팅하고 2007-08-21을 검색했습니다.
- ^ 과거와 미래 사이: 공산주의 이후 발칸 국가의 민군 관계, 빌야나 반코프스카, 2003, ISBN 1-86064-624-7, 270페이지 Google Books에서 추출한 2007-08-21을 검색했습니다.
- ^ 슬라벤코 테르지치, 세르비아인과 마케도니아인의 질문, 발칸반도의 세르비아인의 질문, 베오그라드 대학교, 출판사 - 베오그라드 1995. 2009-03-04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 ^ "Зборник докумената и података о народоослободплачком рату jугословенских народа", т. VII, кн. 1, Борбе у Македониjи. Београд, 1952, с. XII и 22.
- ^ 전쟁부가 마케도니아 소피아 불가리아 중앙 캠페인 위원회에 보낸 편지 11660, 1941년 5월 28일 CSA, 기금 396, 목록 1, 파일 37, 4페이지. 원본, 타이핑. [8][permanent dead link]
- ^ Кои беа партизаните во Македонија Никола Петров, Скопје, 1998
- ^ 스탄코비치, 슬로보단 1971년 2월 11일, "부크마노비치, 불가리아인과의 갈등 묘사", 자유 유럽 배경 보고서 (블링큰 오픈 소사이어티 아카이브)
- ^ 마케도니아의 홀로코스트: 모나스티르 유대인 추방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 박물관
- ^ Be сник "в ест", г одина:1 б рој:215 с абота 3/24/2001 보관 2005-10-16 Wayback Machine
- ^ 1944년 슬라보폰의 자치 운동인 스피리돈 스페타스. 그리스 공산당의 태도와 그리스-유고슬라브 국경의 수호, pg. 2 [9]
- ^ 나로드누오슬로보딜라흐카 보즈카 유고슬라비예. 프레글드 라즈보자 오루자니흐 스나가 나로드누오슬로보딜라흐코그 포크레타, 1941-45, 베오그라드, 1982, 590-815
- ^ "StrumicaOnline - the best Strumica site on the web". www.strumicaonlin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pril 2008. Retrieved 12 January 2022.
- ^ "Във и извън Македония - спомени на Пандо Кляшев, стр. 276, Македонска Трибуна"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2-18. Retrieved 2008-08-09.
- ^ 불가리아 역사 문헌 1938-1944 в арна, 2006 и здателство "л итернет" [10] 2차 세계 대전 중 이반 야네프 불가리아 박사의 외교 정책
- ^ СТЕНОГРАФСКИ БЕЛЕШКИ Archived 2008-02-28 at the Wayback Machine Тринаесеттото продолжение на Четиринаесеттата седница на Собранието на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17 January 2007
- ^ 1945년 이후의 유럽. 버나드 앤서니 쿡의 백과사전. ISBN 0-8153-4058-3, pg. 808.
- ^ "Във и извън Македония. Спомени на Пандо Младенов стр. 97 - 100"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2-18. Retrieved 2008-08-09.
- ^ 마케도니아 어린이 대량학살 - "마케도니아 트리뷴" 신문, 포트 웨이허 타운, 1993년 11월 4일부터 3157호.[11]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2008-09-11
- ^ Marinov, Tchavdar (2004). Aegean Macedonians and the Bulgarian Identity Politics. Oxford: St Antony's College, Oxford. p. 5.
- ^ "Towards a Decline of the Idea of a South Slavonic Federation (January–December 1948)". Studies in the History of Russia and Central-Eastern Europe. 40: 205–244.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18.
- ^ Mirjana Maleska. "WITH THE EYES OF THE "OTHERS"". New Balkan Politics - Journal of Politics (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24. Retrieved 2011-11-20.
- ^ Joseph. The Communist Party of Bulgaria; Origins and Development, 1883–1936. Columbia University Press. p. 126.
- ^ 국가와 민족주의 4권 3호, 389-407쪽, 저널 편찬, 2009,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를 위한 협회.
- ^ Poulton, Hugh (2000). Who Are the Macedonians?. C. Hurst & Co. Publishers. p. 79. ISBN 1-85065-534-0.
- ^ Ташев 1994: 141-162 стр.
- ^ a b 알바니아 공화국의 소수민족 현황 2009-03-05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알바니아 헬싱키 위원회는 핀란드 재단 'KIOS'와 '핀란드 인권 NGO 재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 마지막으로 알바니아는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소수민족을 인정합니다 -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인정되지 않는 소수민족: 유엔 소수자 실무 그룹에 보내는 성명, 제7차 회의, 제네바, 2001년 5월 14-18일 2009년 3월 5일 그리스 헬싱키 위원회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 ^ 플로다스, 데메트리오스 안드레아스
- ^ 슈피겔 인터내셔널 온라인, 2008년 3월 29일. 알렉산더 대왕은 어느 마케도니아 출신이었습니까?
- ^ Djokić, Dejan (2003). Yugoslavism: Histories of a Failed Idea, 1918–1992. C. Hurst & Co. Publishers. p. 122. ISBN 1-85065-663-0.
- ^ 1990~1997년 불가리아 민족의식을 가진 마케도니아 시민들의 인권침해 사건
- ^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 국기를 흔들었던 것에 대한 법원.
- ^ РЕШЕНИЕ НА УСТАВНИОТ СУД НА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Публикувано во СЛУЖБЕН ВЕСНИК НА РМ Бр. 27 од 10.04.2001г. Wayback Machine에서 2009년 2월 7일 보관
- ^ 선고 2009. 1. 15. (신청번호 74651/01) 2009. 3. 5. 웨이백머신에서 보관
- ^ "Former Macedonian Prime Minister received a Bulgarian passport" (in Bulgarian). Trud. 2006-07-16.
- ^ 백과사전 줄에 휘말린 마케도니아, 웨이백 머신에 보관 2017-10-23. 유랙티브, 2009년 10월 13일.
- ^ "Bulgarian citizenship: the latest numb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2-02. Retrieved 2010-11-24.
- ^ Mariana Lenkova (2001). Minorities in Southeast Europe - Macedonians of Bulgaria (PDF) (Report). Center for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on Minorities in Europe - Southeast Europe (CEDIME-SE). p. 3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7-05.
인용작
- Borza, Eugene N. (1992). In the Shadow of Olympus: The Emergence of Macedo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0880-9.
- Bryant, Joseph M. (1996). Moral Codes and Social Structure in Ancient Greece: A Sociology of Greek Ethics from Homer to the Epicureans and Stoics.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7914-3042-1.
- Cawkwell, George (1978). Philip of Macedon. London, UK: Faber & Faber. ISBN 0-571-10958-6.
- Chamoux, François (2002). Hellenistic Civilization. Oxford, UK: Blackwell Publishing. ISBN 0-631-22241-3.
- Christesen, Paul; Murray, Sarah C. (2010). "Macedonian Religion". In Roisman, Joseph; Worthington, Ian (eds.).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Oxford, Chichester, & Malden: Wiley-Blackwell. pp. 428–445. ISBN 978-1-4051-7936-2.
- Errington, Robert Malcolm (1990). A History of Macedonia. Berkeley and Los Angeles,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6319-8.
- Hall, Jonathan M. (2000). Ethnic Identity in Greek Antiquit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78999-0.
- Hamilton, J. R. (1974) [1973]. Alexander the Great. Pittsburgh, Pennsylvania: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ISBN 0-8229-6084-2.
-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2001). Collected Studies: Further Studies on Various Topics. Amsterdam, the Netherlands: Hakkert.
-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1993). Studies concerning Epirus and Macedonia before Alexander. Amsterdam, the Netherlands: Hakkert. ISBN 9789025610500.
-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1989). The Macedonian State: Origins, Institutions, and History. Oxford, UK: Clarendon Press. ISBN 0-19-814883-6.
- Joint Association of Classical Teachers (1984). The World of Athens: An Introduction to Classical Athenian Cultur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7389-7.
- Jones, Archer (2001). The Art of War in the Western World. Champaign,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ISBN 0-252-06966-8.
- Mazower, Mark (2000). After the War was Over: Reconstructing the Family, Nation, and State in Greece, 1943–1960.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58429.
- Perlman, Samuel (1973). Philip and Athens. Cambridge, UK: Heffer. ISBN 0-85270-076-8.
- O'Brien, John Maxwell (1994) [1992]. Alexander the Great: The Invisible Enemy - A Biography. New York, New York and London, UK: Routledge (Taylor & Francis). ISBN 0-415-10617-6.
- Osborne, Robin (2004). Greek History. New York, New York and London, UK: Routledge. ISBN 0-415-31717-7.
- Starr, Chester G. (1991). A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New York,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6628-6.
- Theodossiev, Nikola (May 2000). "The Dead with Golden Faces. II Other Evidence and Connections". Oxford Journal of Archaeology. 19 (2): 175–209. doi:10.1111/1468-0092.00106.
- Toynbee, Arnold Joseph (1981). The Greeks and Their Heritage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152565.
- Trudgill, Peter (2002). Sociolinguistic Variation and Change. Edinburgh, UK: Edinburgh University Press. ISBN 0-7486-1515-6.
- Vanderpool, Eugene (1982). Studies in Attic Epigraphy, History, and Topography. Princeton, NJ: American School of Classical Studies at Athens. ISBN 0-87661-519-1.
- Worthington, Ian (2008). Philip II of Macedonia. New Have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12079-0.
- Worthington, Ian (2014) [2004]. Alexander the Great: Man and God. New York, NY: Routledge. ISBN 978-1-317-86644-2.
- Zacharia, Katerina (2008). Hellenisms: Culture, Identity, and Ethnicity from Antiquity to Modernity. Hampshire, England: Ashgate Publishing. ISBN 978-0-7546-6525-0.
추가읽기
- Ivo. (1984). 유고슬라비아의 국민 질문. 기원, 역사, 정치. 코넬 대학교 출판부: 이타카/런던 대학교 출판부: 이타카/런던 (관련 페이지[permanent dead link] 온라인 버전)
- 부에, 아미. (1840) 레 투르키드유럽. 파리: 아서 베르트랑.
- 브레일스포드, 헨리 노엘. (1906). 마케도니아: 그것의 인종과 그들의 미래. 런던: 메투엔앤코
- 카네기 국제평화기금 (1914). 발칸 전쟁의 원인과 행동을 조사하기 위한 국제 위원회의 보고서. 워싱턴: 카네기 기금 https://web.archive.org/web/20110927153709/http ://vmro.150m.com/en/carnegie/
- Glenny, Misha (2012). The Balkans: Nationalism, War, and the Great Powers, 1804–2012. House of Anansi Press. ISBN 9781770892736.
- 고프체비치, 스피리돈 (1889). 메이크도니엔과 알트세르비엔. Wien: L. W. Seidel & Sohn. - Стара Србија и Македонија, превод: Милан Касумовић. Београд, 1890.
- Jezernik, Bozhidar. 마케도니아인: 그들의 부재로 눈에 띄는 것[영구 데드링크]
- 미시르코프, 크르스테 P. (1903). Za makedonckite raboti. 소피아: 리버럴 니클럽. (마케도니아어와 영어로)
- 블라 ž에 리스토브스키에 의한 마케도니아 민족사상의 출현과 민족계획의 형성(1878년까지)
- 쿤초프, 바실. (1900) 마케도니자. 에트노그라피자는 스타티카입니다. 소피아: ž 아브나 페카트니카 박사(к ънчов, в. 1900, м акедония). Етнография и статистика. София: Държавна печатница).
- 랑게아쿤드, 나딘 (1998). 마케도니아 문제, 1893-1908년 서부 출처. 볼더, 콜로라도 : 뉴욕
- 맥켄지, 게오르게나 뮤어와 어비, I.P. (1971). 유럽의 튀르키예 슬라보닉 지방을 여행합니다. 뉴욕, 아르노 프레스.
- 폴튼, 휴 (1995). 마케도니아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다. (주)허스트앤(Publishers) Ltd, Ltd.
- 루도메트오프, 빅터. (2000). 마케도니아 문제: 문화, 역사학, 정치. 볼더, 콜로라도: 동유럽 모노그래프.
- Todor Simovski (1972). "The Balkan Wars and their Repercussions on the Ethnical Situation in Aegean Macedonia". Glasnik. XVI (3): 191. 에 인용된
- 바이건드, 구스타프 (1924). 에트노그라피 폰 마케도니엔, 게쉬치틀리히-내셔널러, 스프래츨리히-통계학자 테이일 폰 프로프. 라이프치히, 프리드리히 브란트슈테터, 구스타프 바이간드 박사.
- 윌킨슨, H.R. (1951) 지도와 정치; 마케도니아의 민족지 지도 제작에 대한 리뷰, 리버풀 대학 출판부.
- Kuhn's Zeitschrift für vergleichende Sprachforschung XXII (1874), 괴팅겐: Vandenhoeck & Ruprecht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의 마케도니아 역사 관련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