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조영술

Angiography

혈관조영술 또는 동맥류술은 특히 동맥, 정맥, 심장실에 관심을 두고 신체의 혈관 및 장기의 내부 또는 내장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되는 의료 영상술이다. 이는 전통적으로 혈관에 무선투과 조영제를 주입하고 투시 진단과 같은 X선 기반 기법을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그 자체가 그리스어인 ἀε angeῖ ange 안젤리온 '베셀'과 γρφφ grap grap 그래핀 '쓰다, 기록하다'에서 유래한 것이다. 혈관의 필름이나 이미지는 혈관조영술, 또는 더 흔히 혈관조영술이라고 불린다. 비록 이 단어가 동맥경화와 정맥경화를 모두 묘사할 수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혈관경색과 동맥경화라는 용어는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반면에 정맥경화라는 용어는 더 정확하게 사용된다.[1]

혈관조영술이라는 용어는 방사성핵종 혈관조영술CO2 혈관조영술, CT 혈관조영술, MR 혈관조영술과 같은 새로운 혈관조영술에 적용되었다.[2] 보다 정확하게는 동위원소 관류 검사라고 부르지만, 동위원소 혈관 조영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었다.

역사

신장동맥 혈관 조영 영상

이 기술은 1927년 리스본 대학포르투갈 의사 및 신경학자 에가스 모니즈가 종양, 동맥 질환, 동맥 기형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신경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대조적인 X선 뇌 혈관조영술을 제공하기 위해 처음 개발되었다. 모니즈는 이 분야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3] 1927년 리스본에서 제1차 뇌혈관조영술을, 1929년 같은 도시에서 레이날도 도스 산토스가 제1차 대동맥조영술을 했다. 사실 리스본 대학에서 포르투갈인에 의해 많은 현재의 혈관 조영 기술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1932년, 로포카르발호는 상급 구성원의 정맥 구멍을 통해 첫 번째 폐 혈관조영술을 수행했고, 1948년 첫 번째 카보그램은 수우사 페레이라에 의해 수행되었다. 혈관조영술의 방사상 접근 기법은 1953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여기서 에두아르도 페레이라[clarification needed]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을 수행하기 위해 방사상동맥을 먼저 식인 것이다. 1953년 셀딩거 기법이 도입되면서 혈관 내강 안에 남아 있을 만한 날카로운 도입 장치가 필요 없어 시술이 눈에 띄게 안전해졌다.

테크닉

혈관조영술의 종류에 따라 가장 일반적으로 대퇴동맥을 통해 혈관에 접근할 수 있으며, 심장의 왼쪽과 동맥계를 볼 수 있고, 또는 경정맥이나 대퇴정맥은 심장의 오른쪽과 정맥계를 볼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카테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X선을 흡수하여 나타나는 일종의 조영제를 혈액에 첨가하여 X선 영상에서 볼 수 있게 한다.

촬영된 X선 영상은 정지 상태일 수 있으며, 영상 증강기 또는 필름에 표시되거나 모션 영상에 표시될 수 있다. 심장을 제외한 모든 구조물에 대해, 영상은 보통 디지털 뺄셈 혈관 조영 또는 DSA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촬영된다. 이 경우 영상은 보통 초당 2~3프레임으로 촬영되며, 이를 통해 중재적 방사선사가 혈관이나 혈관을 통한 혈류량을 평가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뼈와 다른 장기를 "추상"하여 조영제로 채워진 혈관만 볼 수 있게 한다. 심장 영상은 뺄셈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초당 15~30프레임으로 촬영된다. DSA는 환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심장에 사용할 수 없다. 이 두 가지 기법은 모두 중재적 방사선 전문의나 심장전문의에게 혈관 내부의 협착증(막힘 또는 협착증)을 볼 수 있게 하여 혈액의 흐름을 억제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시술이 완료된 후 대퇴골 기법을 적용하면 접속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동맥 진입부위를 수동으로 압축하거나 스테이플러로 닫거나 봉합한다.[4]

카테터화 연구실
선택적 혈관조영술의 카테터화

사용하다

혈관조영술에 나타난 손가락 혈관종

관상동맥 혈관 조영술

가장 흔한 혈관조영술 중 하나는 관상동맥의 혈액을 시각화하는 것이다. 카테터라 불리는 길고 얇고 유연한 관을 사용하여 시각화할 원하는 부위에 X선 조영제를 투여한다. 카테터는 팔뚝의 동맥에 실이 꿰어져 있고, 끝부분은 동맥계를 통해 주요 관상동맥으로 진전된다. 관상동맥 내부에 흐르는 혈액 내의 과도 방사광 분포의 X선 영상을 통해 동맥 개구부의 크기를 시각화할 수 있다. 동맥의 벽 안에 있는 아테롬성 동맥경화증이나 아테롬의 유무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은 관상동맥 협착이나 혈관의 좁아짐을 시각화할 수 있다. 협착의 정도는 혈관의 좁아진 부분과 인접한 부분의 넓은 부분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4]

관상동맥질환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MRI 스캔보다 CT 스캔이 만족스럽다. CT와 MRI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97.2%와 87.4%와 87.1%와 70.3%로 나타났다. 따라서 CT(주로 다국질 CT)는 더 많이 수용되고, 더 널리 이용가능하며, 환자들이 더 선호하고, 더 경제적이다. 게다가 CT는 MRI보다 호흡 유지 시간이 짧다.[5]

플루오레스체인 혈관조영술

형광체 혈관조영술은 형광 염료를 혈류로 주입하는 의료 시술이다. 이 염료는 눈 뒤쪽에 있는 혈관을 강조하여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한다. 이 테스트는 종종 눈 질환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6]

옥트 혈관조영역

광학정합성단층촬영(OCT)은 근적외선을 이용해 눈을 영상화하는 기술로, 특히 망막을 관통해 망막 표면 뒤의 미세구조를 보는 것이 특징이다. 시각적 OCT 혈관조영술(Outtular OCTA)은 망막의 혈관건강을 평가하기 위해 OCTA는 망막의 혈관건강을 평가하는 방법이다.[7]

마이크로앵글리그래피

미세혈관조영술은 작은 혈관을 시각화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신경-혈관 혈관 조영술

뇌에 대한 동맥과 정맥 공급을 시각화하기 위해 신경 혈관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도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동맥류의 코일-배출, AVM 접착과 같은 간섭 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

말초 혈관조영술

혈관조영술은 다리와 발 아래 혈류가 감소하여 다리 클라우딩이나 경련이 있는 환자에서 좁아지는 혈관을 식별하기 위해 시행되기도 하며, 신장 협착증 환자(일반적으로 고혈압을 유발함)에서는 머리에서 뇌졸중을 찾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은 모두 대퇴동맥을 통해 일상적으로 행해지지만, 또한 쇄골동맥이나 축골동맥을 통해서도 행해질 수 있다. 발견된 협착은 풍선 혈관 성형, 스텐팅 또는 이격 절제를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

의료법적 사례에 대한 사후 모템 CT 혈관 조영

의료법적 사례에 대한 사후 모템 CT 혈관조영술은 Virtrogram 그룹이 초기에 개발한 방법이다. 그 프로젝트에서 나온 용액과[8] 기름기가[9] 많은 용액은 모두 평가되었다.

기름기가 많은[9] 용액은 폐수를 모으기 위해 특별한 증착 장비가 필요한 반면[8], 물기가 많은 용액은 문제가 덜한 것으로 보인다. 수분 용액은 또한 유분이 많은 용액은 아닌 반면 모템 CT 조직 분화를 강화하도록 문서화되었다. 반대로, 기름진 용액은 독성학적 분석을 따르는 것을 최소화하는 반면, [10]묽은 용액은 독성학적 분석을 상당히 방해할 수 있으므로, 모템 CT 혈관 조영 후 혈액 샘플 보존이 필요하다.

합병증

혈관조영술 이후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수술 부위에 약간의 통증이 생길 수 있지만 우회 수술일 수도 있어 심장마비나 뇌졸중은 보통 일어나지 않는다.

뇌혈관조영술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이나 조영 MRI와 같은 뇌혈관조영술의 주요 합병증도 드물지만 뇌졸중, 마취 기타 약물이나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다리의 접근 정맥 중 하나에 대한 막힘이나 손상, 혈전증색전증 형성이 포함된다. 대조주사를 맞은 부위의 출혈이나 타박상은 경미한 합병증이며, 출혈 지연도 발생할 수 있지만 드물다.[11]

추가위험

사용되는 조영제는 보통 몇 초밖에 지속되지 않는 온기의 느낌을 주지만 주사부위에서는 더 큰 정도로 느낄 수 있다. 만약 환자가 조영제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훨씬 더 심각한 부작용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새로운 조영제를 투여할 경우 심각한 반응의 위험은 8만 번의 검사 중 1건에도 미치지 못한다. 또한, 카테터를 통과하는 동안 펑크/주입 부위와 혈관을 따라 어디든 혈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대신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을 사용하면 카테터를 혈관까지 전달할 필요가 없으므로 위험성이 상당히 감소하므로 손상이나 막힘의 가능성이 낮아진다.

감염

항생제 프로필락스는 깨끗하지 않은 시술이나 색전증 같은 경색성 또는 괴사성 조직의 생성을 초래하는 깨끗한 시술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일상적인 진단 혈관조영술은 종종 깨끗한 절차로 간주된다. 감염된 공간에서 혈류로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예방접종도 한다.[12]

참고 항목

참조

  1. ^ G. Timothy Johnson, M.D. (1986-01-23). "Arteriograms, Venograms Are Angiogram Territory". Chicago Tribune. Retrieved 12 September 2011.
  2. ^ Martin, Elizabeth (2015). "Angiography". Concise Medical Dictionary (9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ref/9780199687817.001.0001. ISBN 9780199687817.
  3. ^ Berrios GE (March 1997). "The origins of psychosurgery: Shaw, Burckhardt and Moniz". History of Psychiatry. 8 (29 pt 1): 61–81. doi:10.1177/0957154X9700802905. PMID 11619209. S2CID 22225524.
  4. ^ Jump up to: a b Masters, Barry R. (2012-05-25). Harrisons'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th Edition, two volumes and DVD. Eds: Dan L. Longo, Anthony S. Fauci, Dennis L. Kasper, Stephen L. Hauser, J. Larry Jameson and Joseph Loscalzo. Graefe's Archive for Clinical and Experimental Ophthalmology. 250. McGraw Hill. pp. 1407–1408. doi:10.1007/s00417-012-1940-9. ISBN 9780071748896. ISSN 0721-832X. S2CID 11647732.
  5. ^ "CT more accurate than MRI for ruling out coronary artery disease". February 1, 2010.
  6. ^ "Fluorescein Angiography". EMPIRE RETINA CONSULTANTS. Retrieved 22 August 2016.
  7. ^ Kashani AH, Chen CL, Gahm JK, Zheng F, Richter GM, Rosenfeld PJ, Shi Y, Wang RK (September 2017).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methods and clinical applications".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60: 66–100. doi:10.1016/j.preteyeres.2017.07.002. PMC 5600872. PMID 28760677.
  8. ^ Jump up to: a b Ross S, Spendlove D, Bolliger S, Christe A, Oesterhelweg L, Grabherr S, Thali MJ, Gygax E (2008). "Postmortem whole-body CT angiography: evaluation of two contrast media solutions". AJR Am. J. Roentgenol. 190 (5): 1380–9. doi:10.2214/AJR.07.3082. PMID 18430859.
  9. ^ Jump up to: a b Grabherr S, Djonov V, Friess A, Thali MJ, Ranner G, Vock P, Dirnhofer R (2006). "Postmortem angiography after vascular perfusion with diesel oil and a lipophilic contrast agent". AJR Am. J. Roentgenol. 187 (5): W515–23. doi:10.2214/AJR.05.1394. PMID 17056884.
  10. ^ Rutty GN, Smith P, Visser T, Barber J, Amorosa J, Morgan B (2012). "The effect on toxicology, biochemistry and immunology investigations by the use of targeted post-mortem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Forensic Sci. Int. 225 (1–3): 42–7. doi:10.1016/j.forsciint.2012.05.012. PMID 22704555.
  11. ^ "Angiography – Complications". Health A-Z. NHS Choices. 2009-06-01. Retrieved 2010-03-24.
  12. ^ Venkatesan, Aradhana M.; Kundu, Sanjoy; Sacks, David; Wallace, Michael J.; Wojak, Joan C.; Rose, Steven C.; Clark, Timothy W.I.; d'Othee, B. Janne; Itkin, Maxim; Jones, Robert S.; Miller, Donald L. (November 2010). "Practice Guideline for Adult Antibiotic Prophylaxis during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Procedures". Journal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21 (11): 1611–1630. doi:10.1016/j.jvir.2010.07.018. PMID 2102994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