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무 영어
Bamboo English대나무 영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개발된 일본의 피진-영어 전문용어로, 점령된 일본에 있는 미군기지에서 미군과 일본인들 사이에서 쓰였다. 언어의 특징을 분석해 보면 안정된 피지닌이 아닌 사전피지닌이나 전문용어로 나타나지만,[1] 피지닌으로 생각되어 왔다.[2]
6·25전쟁 당시 한국인과 소통하는 방법으로 미군에 의해 한국으로 수출되었다. 여기서 한국어 단어를 습득했지만, 주로 영어와 일본어를 기반으로 했다. 최근 오키나와 현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3]있는 곳으로 미군 주둔이 상당하다.
본인 섬은 본인 영어라고 불리는 일본의 피진 영어와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이 접촉 언어는 100년 이상에 걸친 영어와 일본어 사이의 지배적인 언어의 뒤바뀌는 변화 때문에 개발되었다.[4]
대나무 영어라는 이름은 Arthur M. Z에 의해 만들어졌다. 노먼은 기사에서 처음 그 언어를 묘사했다.[5]
음운론
각 언어에 포함되는 소리의 측면에서 일본어와 영어의 차이와 단어 내에서의 소리 배치로, 대나무 영어 내에서의 두 개의 조합은 심지어 같은 단어에 대해서도 영어와 일본어를 사용하는 개인들 사이의 약간의 차이를 보여준다.
단어의 엔딩 자음은 [n, m,] 또는 [ŋ](각각 캔, from, song 등)로 끝나지 않는 영어단어에 대해 일본어 화자에 의해 단어의 끝에 /o/ 또는 /u/를 추가하여 변형되는 경우가 많다.[6]: 60 이 변화는 영어권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되었지만, '동일하다'[6]는 의미의 세이모 세모의 경우처럼, 왜 그렇게 되었는지 알지 못하고 적용되었다.
대나무 영어에서 입증된 또 다른 유사한 변화는 영어 단어의 끝에 (치즈에서와 같이) "이" 소리를 추가한 것이다. '변화', '캐치', '말하기'와 같은 단어들은 그 후 체인지, 케치, 그리고 스피키가 되었다.[6]
또한, 일본어 사용자들은 보통 일본어에서는 지도샤이지만 대나무 영어에서는 지도시라고[6] 하는 '카'의 단어와 같은 일부 단어에서 최종 모음을 제거함으로써 영어 연설의 일부 측면을 모방했다.
형태학
대나무 영어의 형태학에 대한 문서화는 다소 불완전하기 때문에 다양한 특성의 유무를 증명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어, 컴파운딩은 이것 때문에 대나무 영어 내에 존재하는 기록이 거의 없다. 반면에, 붙이는 것은 더 잘 알려져 있다. 일본어에서 따온 접미사 -산의 존재는 마마산이나 아기산 등의 명사를 생산하기 위해 '마마', '파파', '소년', '소녀', '아기'와 같은 참조와 어드레스 용어에 붙는 경우가 많다.[7]
대나무 영어에서 볼 수 있는 추가적인 형태학적 특성은 환원법이지만, 언어에서 볼 수 있는 예들은 뿌리가 단 한 번 발생하는 이런 단어들의 형태가 없기 때문에 이것이 진정한 환원법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 단어들은 '음식'을 뜻하는 찹찹, '나쁘다'를 의미하는 'dame-dame', '빨리 서둘러라'[7]를 의미하는 'hubba-hubba'이다.
구문
대나무영어는 변형을 크게 활용하지 못하고 어휘도 제한적이어서 어휘는 다기능을 얻었다. 명사는 종종 초기의 용어로써 사용되었고,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로 사용되어 발전되었다. 예를 들어, 찹찹은 '음식'을 의미하지만 '먹는다'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 밖에 '빨리'와 '빨리'를 뜻하는 하야쿠와 '빨리'를 뜻하는 사요나라, '절대'와 '제거해야 한다'[8]를 뜻하는 사요나라, '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다수
예제 구문
듀크(1970), 페이지 170에서 인용한 예.
대나무 영어 | 번역 |
---|---|
얼마나 말을 해, 아빠-산? | 가격을 말해라. |
1위는 와시-와시 케치, 1위는 하바-예스. | 네가 내 세탁을 만족스럽게 하면, 나는 너에게 돈을 잘 주겠다. |
메모들
- ^ 듀크(1970), 페이지 170.
- ^ 에이브람 (2017), 페이지 72.
- ^ 스미스(1994), 페이지 343. 대상
- ^ Long (2007), 페이지 17–18.
- ^ 노먼(1955), 페이지 44.
- ^ Jump up to: a b c d 에이브람 (2017), 페이지 61.
- ^ Jump up to: a b 에이브람 (2017), 페이지 63.
- ^ 에이브람 (2017), 페이지 67.
참조
- Avram, Andrei A. (2017). ""Two Sides of the Same Coin": Yokohama Pridgin Japanese and Japanese Pidgin English". Acta Linguistica Asiatica. 7 (1): 57–76. doi:10.4312/ala.7.1.57-76. ISSN 2232-3317. S2CID 125498798.
- Duke, Charles R. (May 1970). "The bamboo style of English".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21 (2): 170–172. doi:10.2307/356557. JSTOR 356557. S2CID 141562532.
- Long, Daniel (2007). "When islands create languages" (PDF). Shim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to Island Cultures. 1 (1): 15–27. ISSN 1834-6057.
- Norman, Arthur M. Z. (1955). "Bamboo English: The Japanese Influence Upon American Speech". American Speech. 30 (1): 44–48. doi:10.2307/454192. JSTOR 454192.
- Arends, Jacques; Muysken, Pieter; Smith, Norval, eds. (1994). "An annotated list of creoles, pidgins, and mixed languages". Pidgins and Creoles: An Introduction. Amsterdam,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p. 331–374. ISBN 978-1556191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