ʼ어

Chʼol language
ʼ롤
네이티브:멕시코
지역북중부 치아파스 주, 타바스코 주, 캄페체
민족성촐족
원어민
25만명 (2020년 인구조사)[1]
마야인
  • 촐란-첼탈란
초기형태
방언
  • 틸라
  • 툼발라
라틴어
언어코드
ISO 639-3ctu
글로톨로지chol1282
ELP
이 기사에는 IPA 음성 기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적절한 렌더링 지원이 없으면 유니코드 문자 대신 물음표, 상자 또는 기타 기호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IPA 기호에 대한 소개 가이드는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IPA.

촐어는 멕시코의 치아파스주, 타바스코주, 캄페체주에서 촐족이 사용하는 마야어족의 서부 분파에 속하는 언어입니다. 이 언어는 '촌탈', '초르티', '촐티'와 함께 촐어군을 이루고 있습니다.[2]

마야 언어의 촐란어파는 과테말라온두라스가장 가까운 두 동족인 초르티어와 함께 특히 보수적이고 촐란어파로 여겨지며, 타바스코어의 촌탈 마야어고전 마야 언어와의 관계를 가장 잘 반영하는 현대 언어로 여겨집니다.[3]

Ch'ol 언어 프로그래밍은 CDI의 라디오 방송국 XEXPUJ-AM에 의해 CampechXpujil에서 방송됩니다.

방언

ʼ롤에는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있습니다.

  • 43,870명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틸라의 ʼ롤은 그 중 10,000명이 치아파스의 틸라, 비센테 게레로, 키발리토, 리마르 마을에서 단일 언어를 사용합니다.
  • 90,000명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툼발라의 ʼ롤은 그 중 30,000명이 툼발라, 사바닐라, 미시자, 리마르, 키발리타, 비센테 게레로 마을에서 단일 언어를 사용합니다.

맞춤법

알파벳

ʼ롤 작가들은 1992년 디아스 페냐테가 제안하고 개발한 라틴어 알파벳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알파벳에 합의했습니다.

대문자 A B E I J K K ʼ L M N ñ O P
소문자 a b e i j k k l m n o p
대문자 P ʼ R S T 타이 타이 U W X Y ä -
소문자 p r s t 동글동글한 동글동글한 u w x y ä

마야의 글라이프스와의 관계

과테말라에 글라이픽 자료가 없는 것은 달력이 저지대 마야의 창조물이었음을 지적합니다.[3] 촐어는 여러 마야 문자 비문에 가까운 언어 중 하나로 여겨져 왔습니다.[4] 라운즈베리는 고대 팔렌케뇨스가 원시 콜레아어를 사용했다고 제안했습니다. 어떤 팔렌케 통치자는 이름에 케찰 머리의 글립을 가지고 있는데, 그의 이름이 촐어로 케찰을 뜻하는 단어가 국이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국경이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5] 뒷날 표시기로만 발생하는 란다의 접사 I은 '5일 후', '5일 전'의 호빅시와 같은 촐의 과거 시간에 대한 개념과 유사성을 유지합니다. Ch'ol, Chontal, Chorti, Chzotzil의 어휘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언어들과 마야의 글라이프 사이의 일부 동족체를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3]

Houston, Robertson, Stuart에 의해 개발된 대안적인 가설은 서기 250년과 850년 사이의 고전 마야 비문이 촐어보다 초르티어와 더 관련된 동부 촐란어로 전달된다고 제안했습니다.[6] 그러나 이 주제에 대한 의견 일치는 없습니다.

음운론

자음

ch ʼol에는 21개의 자음 분절이 있습니다. 아래는 ch ʼol의 자음 목록입니다. 해당 맞춤법은 IPA 기호 옆의 각도 괄호에 표시됩니다.

라비알 폐포 구개구개구개구개구개구개구개구개구의 벨라르 글로탈
플로시브 무성의 p ⟨p t ⟨의 k ⟨크 ʔ ⟨-⟩
분출성의 p ⟨p t ⟨의 k ⟨크
유성의 b ⟨b
아피레이트 무성의 ⟨츠 t ⟨치
분출성의 ⟨츠 t ⟨치
마찰적 s ⟨들 ʃ ⟨x x ⟨j
m ɲ ⟨뇨
액체. 측면의 l ⟨의
트릴 r ⟨자
글라이드. w ⟨의 j ⟨리의

구개열의 분절에 대해 [t ʲ, t ʲʼ]는 구개음화치조 자음이고 [t ʃʼ, t ʃ]는 구개음화된 치조 자음입니다. 자음 목록의 또 다른 특성은 라벨에만 유성 세그먼트 [b]가 있다는 것이며, 이는 프로토-마얀의 유성 쌍성 내향성 [ɓ]에 해당합니다.

폐포음 [n, t]는 /ɲ, ts/의 유성음으로만 들립니다.

모음.

ʼol은 모음 목록에서 아래와 같이 6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선. 중앙의 뒤로
높은 i ⟨어 ɨ ⟨ä u ⟨유
중앙의 e o ⟨o
로우 a ⟨a

모음 ä는 다른 ʼ롤어와 마찬가지로 ʼ롤어의 독특한 부분입니다. Kaufman and Norman (1984)에 따르면 마야조어의 긴 모음은 *aa (길이)와 *a (짧은)를 제외하고 ʼ어의 짧은 모음과 합쳐졌습니다. 이 분절들은 *aa되고 *aä가 되는 음 변화를 겪었습니다.[10]

음절 구조

ch ʼol은 가능한 음절 구조로서 CV, CVC, CVCC, CCVC, CCVCC를 가질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CV와 CVC입니다.[11]

잡동사니의 [뮤트 ʲʰ] '치킨.' CVC
풀을 먹인 [pul̥] '태우다' CVC
자' [xa ʔ] '물.' CVC
익식 [ʔi.xik ʰ] '여자' CV.CVC
위닉의 [wi.ɲ릭 ʰ] '남자' CV.CVC

다른 많은 마야 언어들처럼, ʼ롤은 시작이 없는 음절들을 허용하지 않는데, 이것은 사실 모음으로 시작하는 것처럼 보이는 단어들이 시작과 같이 성문 멈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ch [ʔ잇 ͡ʃ] '고추의' CVC
도끼질을 하다 [ʔax] '과일의 한 종류' CVC
네 알겠습니다 [ʔ옥 ʰ] '' CVC
이지 [ʔ예즈] '' CVC

복잡한 집합과 복잡한 코다가 존재하지만 전자는 형태소 경계에서만 발생하고 후자는 jC로 제한됩니다.[12]

크팜 [kpam ̥] '내 이마'
크템 [kt ʲem ̥] '나의 의자'
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 [t ͡ʃ'tumxm ̥] '펌프질하는'
mujk [머그 ʰ] '배꼽'

스트레스

단어의 주요 강세는 일반적으로 ʼol의 궁극기에 달려 있습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이중모음 고유어다모음 외래어에 해당합니다. 다음 예에서 응력은 에 대한 급성 악센트로 표시됩니다.[13]

iximm '옥수수'
ok ʼol '흙탕물'
야 ʼ라스 '바나나'
축음기 스페인어: naranja '오렌지색의'
카예타즈 스페인어: galleta '쿠키'
tyexeléx 스페인어: 티에라 '가위'

복합어는 또한 울티마에 주요한 강세를 갖습니다. 중대한 억양으로 표시되는 2차 강세는 복합어의 첫 부분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이 약한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첫 번째 부분의 궁극적으로 진행됩니다.[14]

티티무티 'rooster'(남성+chicken)
chä ̀kmé' 'mud'(레드+deer)
matyè’chityám 'banana'(숲+pig)
바츨래 ̀엠티예' 'orange'(jaguar+트리)

형태학

부속

붙임말ʼ롤의 주요 단어 형성 방법입니다. 접두사, 접두사접미사가 있습니다. 접미사는 다른 두 개보다 훨씬 풍부합니다.[15]

접두사

명사 클래스 마커인 aj-와 x- 두 개의 파생 접두사가 있습니다. 전자는 고유한 이름으로 이동하고, 동사를 명목화하고, 동물을 나타내는 일부 용어에 접두사를 붙일 수 있습니다. 후자는 또한 고유한 이름과 일부 동물의 이름과 함께 갈 수 있지만 추가적으로 일부 나무와 식물의 이름 앞에 접두사를 붙일 수 있습니다.[16]

아즈마리아 '적당한 이름' x-마리아 '적당한 이름'
아즈와엔 '적당한 이름' x-Wañn '적당한 이름'
aj-xujch’ 강도' x- 여우'
aj-tsänsaj 살인자' x-kuk' '케찰'
아주치 주머니쥐' x-chujtye ‘cedar’
아즈쿠즈 '올빼미' x-쿨라a티야 고수'

또한 세트 A 굴절은 명사(10a)와 동사(10b) 앞에 붙습니다.[17]

k-wex k-wäy-el
바지 1벌 imfv 잠을 한 번 자는-
'내 바지' '나는 잔다'.

인픽스

고정은 수동화 및 숫자 분류기를 유도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첫째, 일부 천이근은 뿌리에 -j-를 삽입하여 원자가를 감소시킵니다. 이 과정은 핵심 논변의 수가 2개에서 1개로 줄어드는 것을 동반하며, 환자를 지칭하는 나머지 논변은 동사의 주어입니다.[18]

티이 아이패이-애-요-뇨 티이 ⟨j ⟩리-이-요-뇨
prfv a3-call-tv-ep-bv prfv call⟨pas⟩-iv-ep-b1
'S/그가 나를 불렀습니다' '소명을 받았습니다'

정보의 다른 용도에서는 대부분 위치와 동사에서 파생됩니다.

jäl(POS) '크고 얇은' jl '크고 얇은'
월(V) '돌려보기' 우글우글 ‘rounded’
päk (V) 접기 위해' jk크 ‘folded’

접미사

ch ʼol에는 접미사가 파생과 변곡의 주된 방식이기 때문에 많은 접미사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접미사 -añon 명사는 자동 동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접미사 -는 일부 자동동사를 인과합니다. 접미사 -b는 ditransitive 동사를, -ty는 해당 transitive 동사의 수동화에 의해 일부 intransitive 동사를 도출합니다.[19]

위닉(N) '남자' 위닉아엔 (IV) '남자가 되기 위해'
와이(IV) '잠을 청하기 위해' 왜이사엔 (TV) '잠을 재우려고'
(TV) '사려면' pmän-b-eñn (DV) '누군가를 위해 뭔가를 사기 위해'
pejkatvn (TV) '얘기할' pejkäñ-ty-el (DI) '대화할 사람'

구문

케이스마킹

다른 거의 모든 마야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Ch'ol은 두 세트의 인물 표시를 가지고 있습니다: 에르고티브절대자. 마야의 전통은 전자를 세트 A로, 후자를 세트 B로 분류하는 것입니다.[20] ʼol은 분할 언어입니다. 형태적으로 정렬되는 것은 양상에 따라 다릅니다. 완전한 측면에서는 공격적-절대 정렬이 사용되는 반면 불완전한 측면에서는 오히려 비판적인 것을 관찰합니다.[21]

집합 A 표시자는 일반적으로 접미사로 간주되지만, 마르티네스 크루즈(2007)와 아르코스 로페스(2009)는 이들을 격언으로 분류했습니다. 이 마커는 일반적으로 자동동사의 에이전트를 나타냅니다.

A세트
/ __ C / __ V
첫 번째 k- ~ j- (/ __ k)
두번째 a- 으-
세번째 이- (i)y-

모든 마커는 음운론적으로 조건화된 동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 단수 마커는 다른 k보다 앞에 있을 때 k에서 j로 바뀌고, 두 번째 단수 및 세 번째 단수 마커는 자음보다 앞에 있을 때 활공이 삽입됩니다.

세트 B 마커는 접미사입니다. 이러한 마커는 일반적으로 자동동사의 환자 또는 자동동사의 핵심 인수를 나타냅니다.

세트 B
첫 번째 -oñ
두번째 -에티
세번째

Ch'ol에는 복수의 대소문자 표시를 위한 3개의 복수의 표식이 있습니다 – 2개의 클리틱과 1개의 접미사. 두 개의 클리틱은 단일 인물 마커 앞 또는 언어적 뿌리 뒤에 부착될 수 있습니다.[22]

복수 마커
1위
1위 (ex) l(oj)oñn
두번째
세번째 -ob ~ -o’

독점적인 제1 복수 마커는 더 짧은 형태의 loñn과 더 긴 형태의 lojñn을 갖습니다. 둘 다 단일 마커 앞에 부착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로 교환하여 사용되며, 이 경우에는 더 짧은 형태만 허용됩니다. 복수의 접미사 -ob는 종종 음성에서 -o'로 실현됩니다.

언어적 술어

기본 어순은 VOS입니다. 그러나 단어 순서는 다양하며 VOS가 항상 문법적인 것은 아닙니다: 애니메이션, 확정성, 주제화 및 초점을 포함한 요소가 어떤 단어 순서가 적절한지 결정하는 데 기여합니다.[23] Ch'ol 단순 타동사구는 [ASP Set A + Verb + Set B] 형태의 단일 타동사로 최소한 구성됩니다. 비동사적 자동동사의 경우 동사의 양상에 따라 집합 A 또는 집합 B 중 하나로 단일 논법의 교차 참조가 이루어집니다. 언어적 술어는 다음과 같은 측면을 가질 수 있습니다: 완전한, 불완전한, 진보적인, 직관적인, 종결적인, 그리고 잠재적인.[24]

타동사

ch ʼal transitive 동사 내에는 단순 형태와 파생 형태의 두 가지 주요 범주가 있습니다. 전자는 집합 A의 추이적 주어와 집합 B의 목적어를 교차 참조함으로써 동사 내의 주요 인수를 수정합니다. 완벽한 측면에서 이 범주는 근모음과 조화를 이루는 모음인 상태 접미사를 포함합니다. 반대로 불완전한 측면은 이러한 상태 접미사를 취하지 않습니다.[25]

아이켈외오'
imfv a3-see-b3-pl3
'그들은 그것을 봅니다.'

파생된 과도동사를 구성하기 위해 측면에 따라 접미사 -V 또는 -Vnn이 추가됩니다. 단순한 형태와 달리 접미사는 근모음과 조화를 이룰 필요가 없습니다. 이 범주의 직접적인 인수는 세트 A 및 세트 B 변형을 통해 식별됩니다.[26]

k-il- 티이 k-otyoty-i
imfv a1-see-dt-b3 prfv a1-house-dt-b3
'그들은 그것을 봅니다.' '저는 거기에 살았습니다.'

비언어적 술어

이 구조는 언어적 술어와 달리 측면 마커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명사, 형용사, 위치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핵심 인수는 Set B 마커만 사용합니다.[27]

와이엘오느
sleep-stat-b1
'그를 봤어요.'

참고 항목

메모들

  1. ^ 렌과스 인디게나시 하블란테스 데 3 아뇨시 마스, 2020. INEGI. Censo de Poblacióny Vivienda 2020.
  2.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 3.
  3. ^ a b c 휴스턴, S., O. 친칠라, 스튜어트 D. "고대 마야 글의 해독", 오클라호마 출판사, 2001.
  4. ^ Hopkins, Nicholas A.; Josserand, Kathryn (2010).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DICTIONARY OF CHOL (MAYAN): With a Sketch of the Grammar of Chol (PDF).
  5. ^ Matthews, Peter; Schele, Linda (1974). "Lords of Palenque: The Glyphic Evidence". Primera Mesa Redonda de Palenque : a Conference on the Art, Iconography, and Dynastic History of Palenque, Palenque, Chiapas, Mexico, December 14–22, 1973. Robert Louis Stevenson School, Pre-Columbian Art Research. OCLC 834378616.
  6. ^ Houston, Stephen; Robertson, John; Stuart, David (2000-06-01). "The Language of Classic Maya Inscriptions". Current Anthropology. 41 (3): 321–356. doi:10.1086/300142. ISSN 0011-3204. PMID 10768879. S2CID 741601.
  7.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34-35
  8. ^ 카우프만, 테런스 그리고 윌리엄 M. 노먼. 촐란조어 음운론, 형태학 및 어휘의 개요. 마야 상형문자 표기의 음성학에서, 저스틴과 라일 캠벨, 77-166. 뉴욕주립대학교 중미학연구소, 알바니, 1984; p.86-88
  9.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41
  10. ^ 카우프만, 테런스 그리고 윌리엄 M. 노먼. 촐란조어 음운론, 형태학 및 어휘의 개요. 마야 상형문자 표기의 음성학에서, 저스틴과 라일 캠벨, 77-166. 뉴욕주립대학교 중미학연구소, 알바니, 1984; p.85
  11.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46
  12.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47
  13.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43
  14.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44
  15.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64
  16.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64
  17.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65
  18.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65
  19.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66-67쪽
  20.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74
  21.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177-178
  22.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80-83
  23.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21-22
  24.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263
  25.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265
  26.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266
  27. ^ 바스케스 알바레스, 후안 헤수스. 마야 언어인 촐의 문법. 오스틴, 텍사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2011; pp.267

참고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