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미어

Otomi language
오토미
지역멕시코: 멕시코(주), 푸에블라, 베라크루즈, 히달고, 과나후아토, 케레타로, 틀락스칼라, 미초아칸
민족성오토미
원어민 스피커
300,000(센서스 [1]포함)
오토망게안
공식 상태
공식 언어(영어)
멕시코에서는 원주민 언어권리 일반법(스페인어)에 의거하여.
규제 대상국립 렝구아스 인디게나스 [2]
언어 코드
ISO 639-2oto
ISO 639-3다양성:
ote메즈키탈 오토미
otl오토미 틸라파
otm하이랜드 오토미
otn오토미 테난고
otq– 오토미 케레타로
ots에스타도멕시코 오토미
ott·테모야 오토미
otxTexcatepec 오토미
otz익스텐코 오토미
글로톨로그otom1300오토미
sout3168서남오토미
Otomi speakers.png
멕시코의 오토미어권
Otomanguean Languages.png
오토망게어족의 오토미어족, 3번(밝은 파란색), 북쪽
이 문서에는 IPA 음성 기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적절한 렌더링을 지원하지 않으면 유니코드 문자 대신 물음표, 상자 또는 기타 기호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IPA 심볼의 개요 가이드에 대해서는, 다음의 헬프를 참조해 주세요.IPA.
로어웨스턴 오토미, 노스웨스턴 오토미, 시에라 오토미는 유네스코 세계언어지도의해 취약계층으로 분류되고 있다.
중앙 오토미와 메즈키탈 오토미는 유네스코 세계 언어 지도의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익스텐코 오토미, 오코야크 오토미, 틸라파 오토미, 웨스턴 오토미는 유네스코 세계언어지도의해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오토미(/oˌəːmi/; 스페인어:오토미어족(Otomimi)은 멕시코 [2]중부 알티플라노 지방의 오토미 원주민 약 240,000명이 사용하는 오토미어족이다.오토미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언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많은 언어들이 서로 이해할 수 없다.The word Hñähñu [hɲɑ̃hɲṹ] has been proposed as an endonym, but since it represents the usage of a single dialect, it has not gained wide currency.언어학자들은 현대 사투리를 세 개의 방언 영역으로 분류했다: 북서 사투리는 케레타로, 히달고, 과나후아토에서 사용되고, 남서 사투리는 멕시코 에서 사용되며, 동부 사투리는 베라크루즈, 푸에블라, 동부 히달고의 고지대와 탁스칼라 및 멕시코 주에 있는 마을들에서 사용된다.

오토미어는 다른 오토망게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톤 언어이며, 대부분의 종류가 3개의 톤을 구별한다.명사는 소유자에 대해서만 표시되며, 복수 번호는 한정사와 어미사로 표시되며, 일부 방언은 이중 번호 표시를 유지한다.케이스 마킹은 없습니다.동사 형태론은 분석에 [cn 1]따라 융접 또는 응집이다.동사 굴절에서, 인픽스, 자음 돌연변이, 그리고 아포케이프는 두드러진 과정이다.불규칙 동사의 수가 많아요.형태소의 클래스는 문장의 문법 주어를 상호 참조합니다.이러한 형태소는 선언문 또는 시제, 측면 분위기에 대한 접두사 및 기호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동사는 접미사에 의해 직접 오브젝트 또는 날짜 오브젝트 중 하나에 대해 굴절됩니다(동시에 둘 다 제외).문법은 또한 포함된 'we'와 배타적인 'we'를 구분한다.

스페인 정복 후 수도사들이 오토미에게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언어를 쓰도록 가르치면서 오토미는 문어가 되었다. 식민지 시대의 문어는 종종 고전 오토미라고 불린다.고전 오토미에는 여러 개의 고문서와 문법이 쓰여져 있었다.나후아족이 추진하고 스페인인이 영속하는 오토미족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은 오토미족에게 지위를 잃게 하고, 오토미족은 스페인어를 위해 언어를 포기하기 시작했다.2003년 오토미가 61개의 토착어와 함께 멕시코 법에 의해 국어로 인정되면서 오토미어에 대한 세계의 태도가 바뀌기 시작했다.

이름.

오토미나우아틀어 오토미틀에서 유래한 것으로, 토토미틀의 "새의 [3]쏘는 사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이는 익명으로, 오토미족은 [3][4][cn 2]방언에 따라 흐뇨, 흐뇨, 흐뇨, 흐뇨, 흐뇨, 흐뇨, 흐뇨, 흐뇨, 히뇨, , 뇨, 또는 냐냐뇨라고 부른다.그 형태들의 대부분은 각각 [5]"말하기"와 "잘하기"를 의미하는 두 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오토미라는 단어는 나후아틀을 통해 스페인어로 들어왔으며, 오토미 대민족 집단과 방언 연속체를 나타냅니다.스페인어에서 '오토미'라는 단어는 언어학 및 인류학 문헌에 정착되어 있다.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학계 명칭을 오토미에서 메즈키탈 계곡의 오토미족이 사용하는 내명흐냐누로 바꾸자는 제안이 제기되었지만,[3][4][6] 이 언어의 모든 방언에 공통된 내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역사

오토미 원기와 그 이후의 식민지 시대

오토파메어족 언어는 기원전 3500년경 다른 오토망게어족 언어에서 분리된 것으로 생각된다.오토미어파에서 오토미조어는 서기 500년 마자후아조어에서 갈라진 것으로 보인다.서기 1000년경, 오토미 원조는 현대의 오토미 [7]품종으로 다양해지기 시작했다.중부 멕시코에는 나후아틀어 화자가 도착하기 전에 오토파메어 화자가 많이 살고 있었다.이 밖에는 대부분의 현대 토착 언어들의 조상 단계의 지리적 분포와 다양한 문명과의 연관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오토미-마자후아 원어는 기원후 [8]600년경에 소멸된 고전기 최대의 메소아메리카 의식의 중심지였던 테오티와칸에서 사용된 언어들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프리콜럼비안 오토미족은 완전히 발달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그러나 아즈텍의 문자는 대부분 한문체로 [8]나후아틀어뿐만 아니라 오토미어로도 읽힐 수 있었다.오토미족은 종종 땅이나 통치자의 이름을 나후아틀 이름보다 오토미로 번역했다.예를 들어, 나후아틀의 지명인 테노치티틀란(Tenochtitlan)은 오토미 원어로 *mpondo로 표현되었으며,[cn 3]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식민지 시대와 고전 오토미

Folio of a handwritten codex. The upper page has manuscript text, the lower a drawing of a man brandishing a club walking towards a seated woman in front of a stylized mountain with a bird on top. Below are two glyphic signs.
16세기 오토미(大 from)에 쓰여진 페이지(Codex Huichapan)

스페인의 멕시코 중부 정복 당시 오토미는 현재보다 훨씬 더 넓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할리스코주와 [9]미초아칸주에 상당한 오토미어를 구사하는 지역이 존재했다.정복 후, 오토미족은 북멕시코 정복에 오토미족 전사들을 고용하면서 지리적 팽창기를 경험했다.오토미 전사들이 스페인을 위해 싸운 믹스톤의 반란 기간과 이후 오토미스는 케레타로(케레타로)와 과나후아토에 정착했다.이 지역은 이전에 유목민 치치메크들[10]거주했던 곳이다.베르나르디노사하군과 같은 스페인 식민지 역사가들은 주로 나후아 화자를 식민지의 역사 자료로 사용했기 때문에, 오토미족에 대한 나후아족의 부정적인 이미지는 식민지 기간 내내 지속되었다.다른 원주민 집단에 비해 오토미 문화의 정체성을 평가절하하고 낙인찍는 경향은 많은 오토미들이 사회적 [11]이동성을 찾아 스페인어와 관습을 채택하기로 선택했기 때문에 언어 상실메스티자제의 과정을 촉진시켰다.

고전적인 오토미는 식민지 지배 초기 수세기 동안 쓰였던 오토미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 용어이다.이 언어의 역사적 단계는 오토미족 사이에 개종하기 위해 그것을 배운 스페인 수도승들에 의해 라틴어 철자법이 주어지고 기록되었다.고전 [5]오토미의 텍스트는 스페인어 수도사들이 오토미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모음과 자음 음소를 구별하지 못했기 때문에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프란치스코회 같은 스페인 수도회 수도사들과 수도사들은 오토미 문법을 썼는데, 그 중 가장 이른 것은 페드로 데 까르세레스 수도사의 아르테 데 라 렌구아 오토미[sic]로, 아마 1580년에 쓰여졌지만 [12][13][14]1907년에야 출판되었다.1605년, 알론소 드 어반노는 오토미에 대한 문법적인 주석들을 포함한 3개국어 스페인어-나우아틀-오토미 사전을 썼다.나후아틀의 문법학자 호라시오 카로치는 오토미의 문법을 썼지만 사본은 남아있지 않다.그는 오토미 익명사전(마이너스 1640)의 저자이다.18세기 후반, 익명의 예수회 성직자가 문법을 썼다.Nevey Molina는 사전과 [16]문법을 썼다.[17]

식민지 기간 동안, 많은 오토미인들은 그들의 언어를 읽고 쓰는 것을 배웠다.그 결과, 세속적이든 종교적이든 상당한 수의 오토미 문서가 존재하며,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후이차판 고문서와 [cn 4]질로텍 고문서이다.식민지 시대 후반과 독립 이후 원주민 집단은 더 이상 별도의 지위를 갖지 않았다.이때 오토미는 교육 언어로서의 지위를 잃고 고전 오토미 시대는 문어로서의 지위를 잃었다.[5]이것은 멕시코 전역의 원주민 집단이 스페인어와 메스티조의 문화적 정체성을 채택함에 따라 토착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를 감소시켰다.카스텔라니자시온 정책과 함께, [18]20세기 초 오토미를 포함한 모든 토착 언어 사용자들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졌다.

현대적 상태

멕시코 10개 주의 5세 이상 오토미어 화자(2005년 인구조사)
지역 세어보세요 퍼센티지[cn 5]
멕시코 시티 12,460 5.2%
케레타로 18,933 8.0%
이달고 95,057 39.7%
멕시코(주) 83,362 34.9%
할리스코 1,089 0.5%
과나후아토 721 0.32%
푸에블라 7,253 3.0%
미초아칸 480 0.2%
누에보레온 주 1,126 0.5%
베라크루즈 16,822 7.0%
멕시코의 나머지 지역 2,537 1.20%
합계: 239,850 100%

1990년대 동안, 멕시코 정부와 언어적 고유 권한이 세계 인권 선언'Rights[cn 6]과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과 토착 사회적 움직임에 의해 사회적, 정치적 흥분 상태와 같은 다양한 그룹들에 의한 가정, 정치적 사회 운동의 1996년 채택에 자극을 향해 정책의 일대 전환을 만들었다..분산된 정부 기관은 원주민 커뮤니티와 언어를 촉진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여기에는 국립 원주민 개발 위원회(CDI)와 국립 원주민 언어 연구소(INALI)[19]가 포함됩니다.특히 2003년 3월 13일 공포된 연방 레이 장군데레코스 링귀스티코스 데 로스 푸에블로스 인디게나스("원주민의 언어권리에 관한 일반법")는 오토미를 포함한 멕시코의 모든 토착어를 "국어"로 인정하고 모든 토착어에 대한 발언권을 부여했다.면허와 사생활.[20]

현재 스피커의 인구통계 및 활력

현재 오토미 사투리는 약 239,000명(이 중 약 5~6%가 단일 언어 사용자)에 의해 널리 분포되어 있습니다(지도 [2]참조).가장 높은 화자 집중도는 히달고의 발레 드 메즈키탈 지역과 케레타로 남부 지역에서 볼 수 있다.일부 자치단체는 오토미 스피커의 농도가 60~70%[21]에 이른다.최근의 이동 패턴으로 인해, 멕시코와 미국 전역의 새로운 장소에서 소수의 오토미 화자를 찾을 수 있다.20세기 후반, 화자 수는 일반 인구보다 느리지만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오토미 화자의 절대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멕시코 인구에 비해 그 수는 감소하고 있다.[22]

오토미는 자연 전달(메즈키탈 계곡이나 고지 등)을 통해 언어를 습득하는 등 활발한 지역도 있지만 멸종 위기에 처한 [23]언어다.특히 익스텐코(틀락스칼라주), 산티아고 틸라파(멕시코주), 크루즈 델 팔마르(과나후아토주)[21]의 세 가지 사투리가 빈사 상태에 이르렀다.한편, 오토미의 단언어는 히달고의 휴휴틀라에서 22.3%, 베라크루즈의 텍스카테펙에서 13.1%로 높다.단일언어주의는 보통 [24]남성보다 여성들 사이에서 현저하게 높다.192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원주민의 '히스패니메이션'을 장려하고 스페인어를 [18]학교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언어로 만든 정치로 인해 오늘날 [25]오토미어를 구사하는 집단은 [cn 7]전국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반면 오토미어를 구사하는 집단은 없다.

분류

Areas with significant Otomi speaking populations extend from the area west of Mexico city around the city of Toluca northwards to central Hidalgo and northeast into the borderlands between the states of Hidalgo, Puebla and Vera Cruz. The areas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speakers are northwest Mexico state, southern Querétaro, central Hidalgo and northwest Veracruz.
멕시코의 오토미어권

오토미어는 오토망게어족오토파메어파에 속한다.오토-파메안 내에서는 [26][27]마자후아도 포함하는 오토미아 하위군에 속한다.

오토미는 전통적으로 하나의 언어로 묘사되어 왔지만, 그 많은 방언들이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SIL International의 Etnologue는 문학의 필요성과 품종 간의 상호 이해 정도에 따라 9개의 다른 오토미 언어를 검토한다.[28]9개의 각각에 ISO 코드를 할당합니다.멕시코 국립 원주민 언어 연구소인 INALI는 "오토미"를 9개의 다른 "언어적 변종"[cn 8]을 가진 "언어적 그룹"으로 정의함으로써 방언이나 언어적 지위를 오토미어에 할당하는 문제를 피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목적을 위해, 각 품종은 별개의 [29]언어로 여겨진다.그러나 다른 언어학자들은 오토미가 가장 가까운 친척인 마자후아어[7]명확하게 구분되는 방언 연속체라고 생각한다.이 기사에 대해서는 후자의 접근방식을 따를 것이다.

방언학

방언학자들은 언어들을 세 개의 주요 그룹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방언들 간의 역사적 관계를 반영한다.메즈키탈 계곡과 히달고, 케레타로, 북멕시코주 주변 지역, 톨루카 계곡에서 사용되는 남서부 오토미, 북부 푸에블라, 베라크루즈, 트락스칼라의 히달고 고지대에서 사용되는 동부 오토미.노스웨스턴 품종은 혁신적인 음운론과 문법이 특징인 반면, 동양의 품종은 더 [30][31][29]보수적이다.

세 그룹에 대한 방언 할당은 다음과 같습니다.[cn 9]

상호 이해성

70% 에글랜드 & 바르톨로뮤 민족학 16
* 톨리만(레세테코자우틀라) Querétaro(포함)멕스키틀란)
아나야(+Zozea, Tecozautla) 메즈키탈
산펠리페 (N: 산펠리페) 멕시코 주; (S: 지키필코)테모야
* 틸라파
* 텍스카테펙 텍스카테펙
샌안토니오 – San Gregorio 동고원
산니콜라스 테난고
* 익스텐코 익스텐코

Egland, Bartholomeu & Cruz Ramos(1983)는 상호 신뢰도 테스트를 실시하여 8종류의 오토미가 상호 신뢰성에 관해 별개의 언어로 간주될 수 있으며 80%의 이해도가 동일 언어의 일부로 간주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그들은 Texcatepec, Eastern Highland Otomi 및 Tenango가 70%의 낮은 임계값에서 동일한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Ethnologue는 케레타로, 메즈키탈, 멕시코 주 오토미 사이에서 70%의 낮은 수준의 이해도를 발견한다.에스놀로그의 테마오야 오토미는 멕시코 오토미에서 분리되어 틸라파 오토미를 별개의 언어로 소개하고, 에글랜드의 테스트 부족인 조제아 오토미는 아나야/메즈키탈에 포함되어 있다.

음운론

음소 인벤토리

다음 음운론적 설명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토미어 [cn 10]품종인 발레 델 메즈키탈어에서 발견되는 체계와 유사한 케레타로 산 일데폰소 툴테펙의 방언이다.

양순골 치과의 폐포 구개음 벨라 성문
이제 그만 이젝트성 동작하다 ts420 하지 않다
숨쉬지 않다 p t 하지 않다 k ʔ
음성 b d ɡ
마찰음 목소리가 없는 ɸ θ s ʃ x h
음성 z
비음 m n ɲ
액체. 로틱 r~contractions(적용)
측면의 l
세미보웰 w j
전선. 중앙의 뒤로
오랄 코의 오랄 코의 오랄 코의
가까운. i ĩ ɨ u ũ
클로즈미드 e ə o õ
거의 열려 있다 ɛ ɛ̃ ɔ
열다. a ã

현대의 모든 품종이 내려온 오토미조어의 음소 인벤토리는 /p t k (k)) b b d t t t s h h z m n w j/, 구강 모음 /i u ö o o , a/, 비모음 / e e 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36][37]

현대 방언의 음운적 다양성

현대 방언은 일반적인 역사적 음소 목록으로부터 다양한 변화를 겪어왔다.대부분은 재구성된 오토미어 조어의 무성 비스피레이트 파열음 /p t k/을 음성으로 발음했으며, 현재는 유성 계열 /b d //만 가지고 있다.원래 무성 비아스피어 파열음을 유지하는 유일한 방언은 틸라파와 아카줄코의 오토미, 시에라 노르테 데 푸에블라의 산파블리토 파후아틀란의 동부 방언과 산타아나 휴이틀랄판의 [38]오토미이다.stop + [h]의 초기 클러스터에서 파생된 무성 흡인 파열음 계열 /p t t k k//는 대부분의 방언에서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서양 방언에서 마찰음 x x/로 바뀌었다.일부 방언은 *j와 비모음의 [21]초기 시퀀스로부터 구개음 ///를 변형시켰다.몇몇 방언에서, 구모음 앞의 오토미조어 군집 *mm *nn은 각각 /[14]bb//dd/가 되었다.대부분의 방언에서 *n은 단수 판별자 및 2인칭 소유형 마커와 같이 /ɾ/가 되었다.이 단어에서 /n/을 보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언은 동부 방언이며, 틸라파에서는 *n의 예가 /d/[38]가 되었습니다.

A schema showing two horizontal layers. A straight black line in the upper layer shows the high tone numbered one, a straight line in the lower layer shows the low tone numbered two, and to the right a line starting in the low layer ut rising to the high layer shows the rising tone numbered 12.
Mezquital Otomi의 톤 시스템. 다른 대부분의 방언은 유사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Mezquital Otomi에서와 같이 모음 * and와 *a를 /a/로 병합한 방언도 많지만, Ixtenco Otomi와 같은 다른 방언은 *o와 병합했습니다.다른 방언들은 3개에서 5개의 비모음을 가지고 있다.오토미조어의 4개의 비모음 외에 ///가 있는 방언도 있다.Ixtenco Otomi 에는 /"/"/"/" 밖에 없습니다만, Toluca Otomi 에는 /"/"/"가 있습니다.관주아토 크루즈델팔마르의 오토미에서는 비모음이 /ũ,,,,[cn 11] /로 바뀌어 있다.현대의 오토미는 스페인어 trled [r]가 아닌 일부 오토미 방언에서 나타나는 /l/, 오토미 원어민 어휘에는 [39][40]없는 /s/ 등 외래어에서만 발생하는 새로운 음소 외에 스페인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

톤과 강세

오토미어는 모두 이 있고, 대부분의 품종이 하이, 로우,[14][cn 12] 라이징의 3가지 음색을 가지고 있습니다.시에라 방언 중 하나인 산 그레고리오 방언은 네 번째 하강 음색을 [41]가진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메즈키탈 오토미에서는, 톤에 [42]대해서 서픽스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반면, 테난고 오토미에서는, 톤에 대해서 지정되어 있지 않은 음절은, 전절 음절과 다절어의 마지막 음절뿐입니다.

오토미의 강세는 음소적인 것이 아니라 예상대로 다른 음절마다 떨어져 어근의 첫 음절에 [43]강세가 붙는다.

맞춤법

이 기사에서는 음절 음색을 나타내는 라스트라(Lastra, 1996, 2006 등 다양)의 철자를 사용한다.로우톤은 마크 없음(a), 하이레벨톤은 급성 악센트(a), 상승톤은 카론(ǎ)으로 마크한다.비모음은 모음 문자 하단에 오른쪽 굽힘 고리(ogonek)가 표시되어 있다: ,, ,, ų.문자 c는 [tss], y는 [j], 구개 슬빌란트 [ʃ]문자 ,로, 구개 비음 []]ñ로 표기한다.나머지 기호는 IPA에서 표준값과 함께 가져온 것입니다.

클래식 오토미

고전 오토미의 식민지 문서에는 오토미어의 음운학적 대비가 모두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오토미 인구를 알파벳으로 분류한 수도사들은 스페인어 화자였기 때문에, 오토미어에는 있지만 비음, 톤, 대모음 목록, 흡음, 성문 자음 등 스페인어에는 없는 대조를 알아차리기 어려웠다.오토미에 음소 대비가 더 있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에도, 그것을 어떻게 번역할 것인지, 그리고 일관되게 하는 것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식민지의 문서에는 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비음화의 존재는 카르세레스에 의해 언급되었지만, 그는 그것을 기록하지 않았다.까르세레스는 중설 비원순 저모음 []]을, 중설 비원순 고모음 [44]ɨ세딜과 함께 사용했다.그는 또한 성문화된 자음을 쌍둥이트로 표기했다. 예를 들어 [tssʔ][44]ttz.까르세레스는 [ and] []]에 무덤이 강조된 모음 -와 for를 사용했다.18세기에 네베 이 몰리나는 이 두 모음에 마크롱 ē와 o가 있는 모음을 사용했고 중심 [45]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여분의 문자(꼬리와 갈고리가 있는 e와 꼬리가 있는 u)를 발명했다.

현대 사투리를 위한 실용적인 맞춤법

메즈키탈 계곡에서 오토미어와 스페인어로 쓰인 간판:
비엔베니도스 A IXMIKILPAN
HOGAE EHE NTS'우티코라존델발레델메즈크
UITAL

현대의 오토미 작문용 철자법은 오랜 세월에 걸쳐 필드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의 초점이 되어 왔다.특히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것은 원어민에 의해 사용되는 철자법에 음조를 표시할지 여부, 그리고 어떻게 표기할지에 대한 문제이다.오토미 스피커가 사용하는 많은 실용적인 맞춤법에는 톤 마킹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바르톨로뮤는[46] 어조가 언어의 문법적, 어휘적 체계에 통합된 요소이기 때문에, 그것을 나타내지 못하면 모호함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톤 표기의 주창자였다.반면, 버나드(1980)는 원어민 화자는 문맥을 사용하여 거의 항상 모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종종 언어에서 톤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톤 분음 부호를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을 배우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톤 없는 맞춤법을 선호한다고 주장했다.Mezquital Otomi의 경우, Bernard는 이에 따라 두 단어 사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톤을 나타내는 맞춤법을 작성했으며 표준 스페인어 타이프라이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기호(를 들어 []] 경우 문자 c, []]의 경우 v, []] 경우 기호 +)를 사용했습니다.베르나르의 철자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자신과 오토미 작가 예수 살리나스 [47][48]페드라자에 의해 출판된 작품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오토미 문맹을 촉진하기 위한 실용 철자법은 링귀스티코 데[cn 13] 베라노 연구소에 의해 설계되어 출판되었으며, 후에 국립 원주민 언어 연구소(INALI)에 의해 출판되었다.일반적으로 이들은 중저모음 [ and]과 [ from]을 고모음 e와 o와 구별하기 위해 디아레스 + to를 사용한다.중설 고모음 []]은 일반적으로 or 또는 u,로 표기되며, 전언 중설 원순모음 []]or 또는 o̱로 표기된다.trema가 있는 문자 a는 비모음 []]과 후설 비원순 저모음 [ʌ] 모두에 사용되기도 한다.성문화된 자음은 아포스트로피(를 들어 [tss]]의 경우 tz')로, 구개음 시빌런트 []] [49]x로 쓴다.이 철자법은 히달고 익스미킬판을 중심으로 한 오토미어학원에 의해 정식 채택되어 에르난데스 크루즈, 빅토리아 토케마다, 싱클레어 크로포드(2004)가 발행한 2004년판 SIL 사전 등 메즈키탈 지역의 도로 표지판이나 메즈키탈 품종의 출판물에 사용되고 있다.약간 수정된 버전은 엔리케 팔랑카르가 산 일데폰소 툴테펙 [50]품종의 문법에 사용하였습니다.

문법.

오토미의 형태소사적 유형학은 합성 구조와 분석 구조의 혼합을 보여준다.구 레벨의 형태론은 합성이며, [40]문장 레벨은 분석적이다.동시에, 언어는 언어 형태학의 측면에서 헤드마크이며, 명목 형태학은 더 분석적이다.

가장 일반적인 분석에 따르면 오토미에는 두 종류의 결합 형태소가 있다.반음은 주로 음운학적 특성에서 접사와 다르다; 그들은 음색과 차단 비음 조화로 표시된다.[51] 일부 저자들은 선언문을 [52][53]접두사로 더 잘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표준 철자법은 선언문을 별도의 단어로 쓰는 반면 접사는 숙주 어근에 결합되어 씁니다.대부분의 접사는 접미사이고 예외는 거의 없이 동사에서만 발생하는 반면, 선언어는 명목 패러다임과 동사 패러다임 모두에서 발생합니다.선언문은 정의와 숫자, 인물, 부정, 시제, 측면의 범주를 나타내며 종종 하나의 선언문으로 융합됩니다.접미사는 직접적간접적 목적어, 폐쇄성(포용적 "우리"와 배타적 "우리"의 구별), 숫자, 위치 및 감정적 강조를 표시합니다.역사적으로 다른 오트망게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기본 어순은 동사 주어 객체이지만, 일부 방언은 주어 동사 오브젝트 어순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는데,[40] 아마도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소유형 구성에서는 소유형 순서의 소유자를 사용하지만, 수정형 구성에서는 수식자-헤드 순서를 사용합니다.

산티아고 멕스퀴틀란의 다양한 케레타로에서 4개의 접미사와 반포문자를 가진 복잡한 동사 구절의 예를 다음에 제시하겠습니다.

Bi=혼가위토와

Bi=혼가위토와

"[54]그/그녀는 여기서만 우리를 찾는다."

첫 번째 선언문 bi는 현재 시제와 3인칭 단수, 동사 root hon은 "찾다", -ga- 접미사는 1인칭 오브젝트, -wi- 접미사는 이중 숫자, tho는 "만" 또는 "정의"의 의미를 나타내는 반면, -wa- 접미사는 "여기"의 위치적 의미를 나타낸다.

프로노미날 시스템:인물과 번호

원래, 모든 방언, 그러나 약간의 더 혁신적인 방언들이, 그 케레타로와 Mezquital 지역 같은, 오직 숲과의 단수 복수 번호를 식별하는, 가끔씩paucal 숫자가 이전 이중 형태를 사용한 이중의 단수 복수 번호다.[55]그 Ixtenco 방언, 복수, 대규모 단수 복수 번호 구분하고 있다.[56][57]그 개인적인 접두사, 문법적인 사람엔 열 한명의 범주의 대부분의 방언으로 총으로 만들고 4명을 구별한다.[21]명사의 문법 번호 기사의 사용에 의해;명사들 번호를 추적할 수 없는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방언에서, 대명사의 시스템(첫번째 사람과 별도, 2인칭과 3사람)과 3개의 숫자(이중의 단수 복수)이 4명을 구별합니다.그 시스템 아래의 톨루카 방언에서 왔다.[58]

단수형 듀얼 복수형
1일 사람 Incl. * nugóbé는 '당신과 나' Nugóhé 나가서 당신 guys'.
1일 PersonExcl. nugó'의 Nugówí 두(네가 아니)' 'we. Nugóhɨ́ 모든(네가 아니)' 'We.
2일 Person nukʔígé'u' nukʔígéwí 'you 2의 '너희들'
제삼자 '/그/그/그것' 너게게게위 '둘이' '그들'

Tilapa Otomi의 다음 비정형 프로노미 시스템은 1인칭 복수에서는 포함/배타적 구별이, [59]2인칭에서는 2인칭 복수/복수 구별이 없다.

단수형 듀얼 복수형
1인칭 제외 * 말고 우리 둘이야 우리 모두(포함, 배타적)'
1인칭 포함 니우가 '나' '와 나' *
2인칭 '' 니쿠세위 '너희 둘. '너희들'
제삼자 니위니 * nyuyi 'the' (이중과 복수 모두)

명사들

오토미 명사는 소유자에 대해서만 표시되며, 복수형대명사와 관사를 통해 표현된다.케이스 마킹은 없습니다.소유적 굴절의 특정 패턴은 메소아메리카 언어 영역에 널리 퍼져 있는 특성이다: 소유자와 직접 일치하는 접두사가 있고, 소유자가 복수 또는 이중인 경우 명사는 소유자와 숫자에 일치하는 접미사로 표시되기도 한다.다음은 톨루카 [58]방언의 " "house"라는 단어의 굴절 패러다임이다.

단수형 듀얼 복수형
1인칭 제외 * mą-ng-ng-bé '우리 집 (나와 그/그녀)' m house-ng-ng-ng-hé '우리 집 (나와 그들)'
1인칭 포함 m--ng('내 집') m house-nǵ-wi '우리 집 (나와 당신)' m house-ng h-hh '우리 집(나, 너, 그리고 그들)'
2인칭 '네 집' 너희 둘의 집 너희들의
제삼자 '그녀/그녀/그녀/그녀의 집' '둘의 집' 그들의

기사들

명사 자체는 문법적 수에 대해 불변하기 때문에 명사 앞에 있는 확정사는 명목적 요소에서 복수 표현에 사용된다.대부분의 방언은 r'the (단일)와 y'the (이중/복수)를 가지고 있다.명사 구문의 예:

단수형 듀얼 복수형
'그 집'을 찾아라. 집. 집들

고전 오토미는 카르세레스가 기술한 바와 같이 중립적, 존대적, 경멸적 확정사 nn, 존대적 단수 ,, 경멸적 단수 ̌, e, 중립적, 존대적 복수, yo, 경멸적 복수이다.[14]

"ng" "The house house"
ong '명예로운 집'
'저 망할 집'이야

동사들

동사형태론은 합성이며 융합과 [cn 1][60]응집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

동사 어간은 여러 가지 다른 과정을 통해 굴절된다: 동사 어근의 초성은 현재 대 비현재의 자음 돌연변이의 형태음적 패턴에 따라 변화하여 현재 대 [50][61]수동적, 능동 대 수동적 자음을 나타낸다.어근은 구문적,[62] 운율적 요소에 따라 형성적 음절을 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역성 또는 중간 음성을 [63]표현하기 위해 코 프리픽스를 루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몇몇 방언들, 특히 동양의 방언들은 서로 다른 일련의 접두사를 갖는 동사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다.이러한 활용 범주는 [29]카르세레스의 문법에서 알 수 있듯이 식민지 시대에 서부 지역에 존재했지만 서양 방언에서 사라졌다.

동사는 접미사에 의해 직접 목적어 또는 간접 목적어 중 하나에 대해 굴절된다(그러나 동시에 둘 다에 대한 것은 아니다).주어, 시제, 측면, 기분의 범주는 분석에 [40][64]따라 언어 접두사 또는 선언어인 조형사와 동시에 표시된다.이러한 선언은 또한 비언어적 [41][65]술어 앞에 있을 수 있다.톨루카와 익스텐코의 방언은 현재, 프리테리트, 완벽, 불완전, 미래, 다중, 연속, 명령어, 그리고 두 의 부속어를 구별한다.메즈키탈 오토미에는 [66]또 다른 분위기가 있다.타동사에서는 목적어의 인칭이 접미사로 표시된다.서브젝트 또는 오브젝트 중 하나가 이중 또는 복수일 경우 오브젝트 서픽스 뒤에 복수의 서픽스를 붙여 표시한다.오토미 동사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상자/TAM(프로클리틱) 접두사(예: 음성, 부사 수정) 뿌리 형성하다 오브젝트 서픽스 1인칭 강조 접미사 복수/듀얼 서픽스

인물, 숫자, 시제, 측면 및 분위기

현재 시제 접두사는 di-(1인칭), gi-(2인칭), i-(3인칭)이다.

단수형 듀얼 복수형
1인칭 제외 * (나와 그/그녀가) 보인다. di-nu-hé '우리는 (나와 그들이) 보인다'
1인칭 포함 di-nu '알겠습니다' di-nu-wi '우리는 (나와 당신을) 본다' mdi-nu-hhi's we see (나와 당신과 그들)
2인칭 gi-nu '알겠지' gi-nu-wi '너희 둘이 봐' gi-nu-hhi-hi-hi-hi-hi-hi-hi
제삼자 '/그/그/그/그/그/그것은 본다' '둘이 보면 알겠지만' '그들이 본다'

Preterite는 접두사 do-, o-, bi-, Perfect by-, ko-, ii-, theima, mi, future는 dimo-, ii-, da-, plufect는 tam-, kim-, kam-로 표시됩니다.모든 시제는 이중 및 복수 숫자와 폐쇄성에 현재 시제와 동일한 접미사를 사용합니다.Preterite와 Implicate의 차이는 스페인어 Preterite hablo 'he speaked (정시적)'와 스페인어 Implicate hablaba 'he speaked (정시적)의 차이와 유사하다.

톨루카 오토미에서는 두 가지 가정형식(A와 B)의 의미적 차이는 언어 문헌에서 아직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았다.때때로 가정 B는 가정 A보다 더 최근의 것을 암시한다.둘 다 뭔가 반사실적인 것을 나타냅니다.Ixtenco Tlaxcala의 Otomi와 같은 다른 Otomi 방언에서는 두 형식의 구별은 irrealis[66][67]아니라 가정어의 한 가지입니다.'과거'와 '현재 진보'는 각각 영어 'was'와 'is X-ing'과 의미가 비슷하다.이 명령은 직접 명령을 발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오렴'처럼 화자에 대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는 사람/TAM을 나타낼 때 접두사 집합이 다릅니다.이 접두사는 '이쪽으로 오는 동안 무언가를 하다'를 나타낼 때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Toluca Otomi mba-는 이동 동사의 3인칭 단수 불완전 접두사이다.

mba-thh

3//-MVMTIMPERF노래

mba-thh

3/MVMT/IMPERF-sing

"[68]그는 노래를 부르러 왔다"

명사를 서술적으로 사용할 경우 주어 접두사는 단순히 명사 root에 추가됩니다.

드르므하

1SG//-PRESCONT접속

드르므하

1SG/PRES/CONT사제

'[68]나는 신부다'

타동사 및 정지동사

타동사는 접미사를 통해 목적어와 일치하기 위해 굴절되며, 자동사와 같은 주어 접두사를 사용하여 대리사와 일치한다.그러나 모든 방언에서 몇몇 자동사동사는 주어 접두사 대신 목적어 접미사를 사용합니다.종종 그러한 자동사 동사는 상태를 기술하는 안정사이며, 이것은 오토미의 형태사적 정렬이 능동사-정사적 체계와 대격사적 [65]체계로 분할된다는 해석을 불러일으켰다.

톨루카 오토미에서 목적어 접미사는 -gi(1인칭), -kíi(2인칭), -bi(3인칭)이지만 /e/를 포함하는 어근에 접미사를 붙이면 /i/가 /e/와 조화를 이룰 수 있다.1인칭 접미사는 동사 어근과 동사 어근 뒤에 -kii로 나타나며,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될 때는 -hkii로 나타난다.2인칭 객체 접미사는 때때로 -kkii변형될 수 있다.3인칭 접미사는 특정 [69]문맥에서 형태소가 0일 뿐만 아니라 동형사 -hpi/-hpé, -pi, -bi도 가지고 있다.

1인칭 객체 2인칭 객체 3인칭 객체

바이누스키

그/PAST그/쓰기자

바이누스키

그/과거-쓰기-미

그는 나에게 편지를 썼다.

바이누스키

그/PAST그-편지-그-그-그-그-그-그-그

바이누스키

그/과거-편지-너

'그는 너에게 편지를 썼다'

바이크레비

그/PAST믿을

바이크레비

그/과거 믿을 수 없는 일

'그는 그것을 믿었다'

바이누기

그/PAST시-미

바이누기

그/과거-시

'그는 나를 보았다'

바이누키

그/PAST그-그-그-그-그-그-그-그-너

바이누키

그/과거-그-그-그-그-그-그-너

'그는 너를 보았다'

bi-hwi-hwhwahtti-bi

때리다PAST

bi-hwi-hwhwahtti-bi

그/그녀/과거 때리기

'그/그녀를 때렸다'

오브젝트 번호(이중 또는 복수)는, 서브젝트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서픽스로 마크 되어, 서브젝트 및 오브젝트 각각의 번호에 대해서 불명확하게 되는 일이 있습니다.제1인칭 또는 제2인칭의 목적어 접미사를 사용하면 어근은 종종 최종 모음의 삭제에 의해 변한다.예를 [70]들어 다음과 같습니다.

듀얼 오브젝트 / 듀얼 오브젝트 복수 객체/복수 객체

비냐슈키위

그/PAST컷.헤어-유-DU

비냐슈키위

그/과거 컷.헤어유듀

'둘이서 머리를 잘랐어' 또는
'너희 둘의 머리를 잘랐어'

비냐시키히노

그/PAST컷.헤어-유-PL

비냐시키히노

he/PASS-cut. 헤어-you-PL

'그들이 내 머리를 잘랐다' 또는 '그가 우리 머리를 잘랐다'

특성이나 상태를 가리키는 단어 클래스는 형용사[71] 또는 정지 [65][72]동사로 묘사되어 왔다.이 세분류의 구성원은 "남자가 키가 크다", "집이 낡았다"와 같이 재산을 실체에 귀속시킨다.이 클래스 내에서 일부 루트는 일반 제목/T/A/M 접두사를 사용하는 반면, 다른 루트는 항상 개체 접미사를 사용하여 환자/대상 사용자를 인코딩합니다.는 사실 후자 그룹에 뿌리들은 조건자의 타동사게 사용하는 것은 patient/object을 인코딩하는 데 같은 접미사를 사용하여 patient/subject하는 분리 intransitivity,[65]의 특징으로서의 모든 Otomi 방언으로 명백한입니다; 하지만 특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들 개체를 접두사와 접두사들의 번호를 받아 해석돼 왔다.있을ke는 방언마다 다릅니다.톨루카 오토미에서는 대부분의 정적 동사가 목적어/환자 접미사와 유사한 접미사와 제3인칭 주어 접두사를 사용하여 활용되지만, 현재 연속 주어 접두사는 극소수만 사용한다.다음은 Toluca [73]Otomi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상태 동사 활용의 예입니다.

환자/객체 접미사를 사용하여 서브젝트/에이전트 프리픽스 포함

rʌ-nǒ-nǒ-nǒ-nǒí r

이트/PRES지방미

rʌ-nǒ-nǒ-nǒ-nǒí r

IT/PRES-지방미

'나는 뚱뚱하다'

dr'-d't'의

I//-PRESCONT짧음

dr'-d't'의

I/PRES/-CONT쇼트

'나는 키가 작다'

구문

Otomi에는 주격-침묵적 정렬이 있지만, 한 분석에 따르면 액티브-스태틱 [65]얼라인먼트가 출현한 흔적이 있습니다.

어순

예를 들어 톨루카의[74] 오토미, 산일데폰소의 오토미, 케레타로 [75]등 일부 방언에서는 SVO가 가장 빈번한 어순이지만 VSO의 어순은 메즈키탈 [76]오토미 등 다른 방언에서는 기본입니다.오토미조어는 다른 오트망게어족 언어에서 가장 빈번한 기본 어순이기 때문에 VSO 어순도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일부 오토미 방언은 스페인어의 [77]영향을 받아 동사 이니셜에서 주어 이니셜 기본 어순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절의 종류

Lastra(1997:49~69)는 Ixtenco Otomi의 구 유형을 설명합니다.네 가지 기본 절 유형은 지시형, 부정형, 의문형 및 명령형입니다.이들 4가지 유형은 단순, 접속 또는 복잡(하위 절 포함) 중 하나입니다.서술형 조항은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일 수 있습니다.비언어 서술어는 보통 동등하거나 서술어('X는 Y'라는 의미)입니다.non-vegal 서술형 절에서는 순서가 거꾸로 된 포커스 구문을 제외하고 주어가 술어 앞에 있습니다.부정 파티클은 술어 앞에 있습니다.

니응구

당신 집

nd480^té

큰.

ni-ngüngu ^te

댁의 큰 집

'네 집은 넓구나'

할 수 없다

빨간.

【n】

후추

ɛɨng thng

홍고추

'빨간색, 후추' (후추)

등식절도 복잡할 수 있습니다.

티타

스위트하우스

하프

어디에

디타

목욕을 하다

y440

kh440

사람

ʔ

티타하브이티타이티타카히

목욕탕

'땀 흘리는 집은 사람들이 목욕하는 곳' 단어 불일치: 1행 6단어, 2행 5단어(도움말);

동사가 있는 절은 자동사 또는 타동사일 수 있습니다.익텐코 오토미에서는 타동사가 자유명사구로 표현되는 두 개의 인수를 가지고 있는 경우, 보통 주어가 동사 앞에 있고 목적어가 그 뒤에 온다.

인식하다

그렇게

인식하다

남자

샤오히오

죽여

인식하다

①요

ngé rʌ ñôhɨ šʌ-hió rʌ ʔyo

그래서 그 남자는 개를 죽였다.

"그 남자는 개를 죽였다"

이 순서는 하나의 성분만 자유명사구로 표현되는 절의 표준이기도 하다.Ixtenco Otomi에서는 동사-최종 어순이 오브젝트에 대한 포커스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동사-초기 어순이 술어에 포커스를 두기 위해 사용됩니다.

ng4^bo

두뇌

디포미

우리는 가지고 있다

마카야위

우리PL 머리들

ng ^bo di-pho-mi ma-sechya-wi

우리가 가진 두뇌

"우리의 뇌, 우리의 머릿속에 그것들이 있다." (물체에 대한 설명)

종속절들은 보통 khandi 'in order to', hab ' 'where', khati 'ven have', mba 'when', nge 'because'와 같은 종속절들 중 하나로 시작한다.종종 미래 시제는 이러한 하위 절에서 사용된다.관계구는 보통 관계대명사 없이 단순 병치사로 표현된다.동사 "to have", "be (한 장소에)" 및 명령어 절에는 서로 다른 부정 입자가 사용된다.

힝기파체네게포나츄(s) 혼자 가지 않는다.왜냐하면 그는 두려워서.

질문 절은 보통 억양으로 표현되지만 질문 절인 si도 있다.내용 질문은 서술어 앞에 의문대명사를 사용합니다.

비카나노

이-이-그-이

테비카엔

그-그게

'그게?

숫자

메소아메리카 언어권의 다른 모든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오토미어는 1진수 체계를 가지고 있다.다음 숫자는 Carceres가 기술한 Classical Otomi에서 가져온 것입니다.1을 제외한 모든 숫자에 앞에 붙는 e는 복수의 공칭 결정자(-nµda와 관련된 a는 단수 결정자)[14]이다.

  • 1 an-da
  • 이요호
  • 3 ehi420
  • 4 ekoho
  • 5 ekɨtaa
  • 6 전자 데이터
  • 7 eyoto
  • 8 ehy9000to
  • 에크토 9개
  • 10 e420ta
  • 11 e-d-ta ma-da
  • 20 e565장
  • 40 아이노트
  • 60 ehypte

어휘

오토미 방언에는 상당한 어휘적 차이도 있다.종종 용어가 동부와 남서부 방언 사이에서 공유되는 반면, 북서부 방언은 더 혁신적인 [cn 14]형태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군도
(Mezquital)
산 일데폰소
아메레코
톨루카 틸라파 익스텐코 휴에틀라
(하이랜드)
종이. 헥사미 ɛmi미 cáhkwa 카츠요 쿠와 cö(hkw)
어머니. 하지 않다 하지 않다 메가바이트 하지 않다 메가바이트
메탈 바쿠하[cn 15] 부쿠하 테시 ʔ̌ t t ʔɡ t t t키
돈. 복싱 복싱 [cn 16] mb450hti 토포 토포[cn 17]
많이/많이 ndnth의 쯔쯔야 던티 폰지 üng 。

외래어

오토미어는 스페인어와 나후아틀어 양쪽에서 차용했다.외래어의 음운 구조는 오토미 음운학에 동화되어 있다.Otomi는 트릴 /r/가 없기 때문에 보통 스페인어 ruda 'rue(메디칼 허브)'loda와 같이 [l]로 바뀌며, 스페인어 paloma의 baroma spanishi 'dove'와 같이 탭 ///로 스페인어 /l/를 빌릴 수 있다.스페인어의 무성 파열음 /p, t, k/는 보통 스페인어 파토 'duck'의 바두 'duck'에서와 같이 유성 파열음으로 차용된다.첫 음절에 강세가 있는 스페인어 차용어는 스페인어 savana 'bedsheet'의 savanna 'blanket'처럼 모든 음절에 높은 톤으로 차용된다.나후아틀의 외래어에는 나후아틀의 'got' (말 그대로 '수염 소유자')와 '돼지'를 뜻하는 나후아틀어의 다른 형태가 포함된다.두 대출 모두 스페인인들이 가축을 [39]들여온 식민지 시대에 오토미에 들어온 것이 분명하다.스페인어가 접촉하기 전의 시기에는 나후아틀과 오토미 사이의 차입이 드물었던 반면, 그 시기부터의 차입 번역은 아마도 널리 퍼진 이중언어 [78]때문일 것이다.

아즈텍족 중에서도 오토미는 곡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오토미송이라고 불리는 나후아틀의 특정 장르는 오토미 [79][80]원곡의 번역이나 재해석이라고 생각된다.식민지 시대에 오토미어로 쓰인 노래는 아직 남아 있지 않지만, 20세기 초부터는 인류학자들이 현대의 오토미 가수의 노래를 수집해 왔다.인류학자 로베르토 바이틀랑과 자크 수스텔은 1930년대에 오토미 음악을 수집했고 오토미 음악 스타일에 대한 연구는 비센테 T에 의해 수행되었다.멘도자.[81]멘도자는 두 가지의 뚜렷한 음악적 전통을 발견했다: 종교적 전통과 불경스러운 전통.스페인 가사와 함께 노래의 종교적 전통은 페드로 간테와 같은 선교사들이 인도인들에게 찬송가를 부를 때 사용되는 유럽 스타일의 악기를 만드는 방법을 가르쳤던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오토미 가사와 함께 불경스러운 전통은 아마도 콜럼버스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자장가, 농담가, 로맨스나 발라드 노래, 동물과 관련된 노래로 구성되어 있다.다른 메소아메리카 언어들의 전통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시적 악기는 병렬법, 커플트, 디프라시스모스 그리고 [82]반복의 사용이다.21세기에는 Adela Calva Reyes의 작품 raha ra hiae를 포함한 오토미 문학 작품들이 많이 출판되었다.삶의 간결함에 대한 오토미 노래의 다음 예는 [cn 18]20세기 중반에 앙헬 마리아 가리베이 K.에 의해 회상되었다.

16세기 오토미어 설교집

메모들

  1. ^ a b Palancar (2009:14) : "Des unto unto de la tipologia morfologica clashica el otomi es una lengua fusional que se convertiria, por otro lado en aglutinante si si si se se se los se los reanets se reaneticos se reanets reanets reaneticos se reaneticos reaneticos se reaneter 모든 클리틱스를 접사로 재분석하면 응집체로 변한다.)
  2. ^ 각 방언에서 사용되는 형식에 대해서는 개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3. ^ 현대의 오토미에서는, 「멕시코」의 명칭이 「몬도」(익스텐코 오토미) 또는 「몬다」(메즈키탈 오토미)로 바뀌었다.하이랜드 오토미에는 음본도라고 하는 것이 있습니다.원래의 발음을 유지하는 것은 Tilapa Otomi와 Acazulco Otomi뿐입니다(Lastra, 2006:47).
  4. ^ Huichapan Codex는 Eker(2001) target:도움말)에서 복제 및 번역되었다.
  5. ^ 주어진 퍼센티지는 오토미 스피킹 인구의 총수와 비교됩니다.
  6. ^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언어학 컨퍼런스에서 채택된 이 용어는 "멕시코의 언어권 진화 및 논의의 일반적인 참조 포인트가 되었습니다." Pellicer, Cifuentes & Herrera (2006:132)
  7. ^ 오토미 화자의 33.5%가 문맹이고, 전국 평균은 8.5%의 INEGI(2009:74)입니다.
  8. ^ 「언어적 다양성은, ①동일한 언어 그룹내의 다른 다양성과 비교해서 구조적인, 어휘적인 차이가 있는 것, ②다른 다양성의 화자에 의해서 태어나는 사회언어학적 정체성과는 다른 것」(번역 b)으로 정의된다.팔랑카르의 Y. E. 팔랑카(2011:247)CLIN의 원본 텍스트(2008:37)
  9. ^ 분류는 팔랑카르의 아메랄코 방언(2009)을 제외하고 라스트라를 따른다.
  10. ^ Palancar(2009:2)에 의해 기술된 음운론.툴테펙 방언은 가장 완전한 음운학적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방언이기 때문에 여기서 선택되었다.테모야 오토미 앤드루스(1949년)와 메즈키탈 음운론 월리스(1968년), 버나드(1973년), 버나드(1967년), 바르톨로뮤(1968년)에 대한 여러 다른 분석이 존재한다.
  11. ^ 20세기 후반, 메즈키탈 오토미는 비음과 구음의 구별을 잃기 직전이라고 보고되었다.버나드는 * bernard ///가 되었고 / ~ ~ i/와 / ~ ~ u/ 자유 변이되었으며, 구강과 구별되는 유일한 비모음은 ///뿐이라고 언급했다.버나드(1967) 버나드(1970)
  12. ^ 20세기 중엽, 오토미의 음색 분석에 대해서는 언어학자들이 의견이 엇갈렸다.Kenneth Pike 싱클레어 & Pike(1948), Doris Bartholomeu Bartholomeu(1968)바르톨로뮤(1979년) 블라이트앤파이크(1976년)는 3가지 음색을 포함한 분석을 선호했지만 리온&스와데시(1949년) 버나드(1966년), 버나드(1974년)는 상승 음색을 하나의 긴 모음에 대해 연속 2가지 음색으로 분석하는 2가지 음색 분석만을 선호했다.사실 버나드는 오토미의 음색은 어휘적인 것이 아니라 다른 음성 요소에서 예측 가능한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오토미의 음색을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이 분석은 월리스(1968년)의 철저한 분석에 의해 옹호할 수 없는 것으로 거부되었고 3가지 톤 분석이 표준이 되었다.
  13. ^ ILV는 멕시코에 있는 SIL International의 계열사입니다.
  14. ^ 아래 표는 Lastra(2006년: 43~62)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15. ^ 여기서 tʔí means는 '종'을 의미한다.
  16. ^ 식민지 스페인령 토민에서 빌려온 은화입니다.
  17. ^ 다른 고지 방언은 mbhhti(투토텍어, 히달고어)와 menyu(휴이틀랄판어)를 사용한다.
  18. ^ 원래 Garibay(1971:238)에서 출판되었으며, Lastra에서 음소 표기로 재발행(2006:69-70)

인용문

  1. ^ Lenguas Indigenas y Hablantes de 3 annos y mass, 2020 INEGI.Censo de Poblacion y Vivienda 2020.
  2. ^ a b c INEGI (2009:69)
  3. ^ a b c 라스트라 (2006:56 ~ 58년)
  4. ^ a b 라이트 카 (2005a)
  5. ^ a b c Hecking & Bakker (2007:436)
  6. ^ 팔랑카 (2008:357)
  7. ^ a b 라스트라 (2006:33)
  8. ^ a b 라이트 카 (2005b)
  9. ^ 라스트라 2006, 페이지 26
  10. ^ 라스트라 2006, 페이지 132
  11. ^ 라스트라 2006, 페이지 143-146.
  12. ^ 1907년 카르세레스
  13. ^ 로페 블랜치 2004, 57페이지
  14. ^ a b c d e 라스트라(2006:37~41)
  15. ^ 짐머만 (2012)
  16. ^ Nevey Molina 2005.
  17. ^ 일반 짐머만 1997의 cf.
  18. ^ a b 수아레스 (1983:167)
  19. ^ Pellicer, Cifuentes & Herrera 2006, 페이지 132–137.
  20. ^ INALI [Instituto Nacional de Lenguas Indígenas] (n.d.). "Presentación de la Ley General de Derechos Lingüísticos". Difusión de INALI (in Spanish). INALI, Secretaría de Educación Públ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3-17. Retrieved 2008-03-31.
  21. ^ a b c d 라스트라(2001:19~25)
  22. ^ "INEGI: Cada vez más mexicanos hablan una lengua indígena - Nacional - CNNMéxico.com". Mexico.cnn.com. 2011-03-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2-06. Retrieved 2011-12-10.
  23. ^ 라스트라 2000년.
  24. ^ INEGI 2009, 페이지 70
  25. ^ 수아레스 1983, 페이지 168
  26. ^ 라스트라 2006, 페이지 32-36.
  27. ^ 캠벨 2000
  28. ^ Gordon (2013) : 2013 () [1] (오토미 품종 컴퓨터 생성 목록)
  29. ^ a b c Palancar 2011.
  30. ^ 라스트라 2001.
  31. ^ 라스트라 2006년
  32. ^ a b c 라스트라(2006:57); 라이트 카(2005a)
  33. ^ a b 라스트라 (2006:58)
  34. ^ a b c d 라스트라 (2006:57)
  35. ^ 뉴먼 & 웨이틀러 1950a.
  36. ^ 뉴먼 & 와이틀러너 1950b.
  37. ^ 바르톨로뮤 1960년
  38. ^ a b 라스트라 (2006:48)
  39. ^ a b 라스트라 (1998b)
  40. ^ a b c d Hecking & Bakker 2007.
  41. ^ a b 보이그틀랜더&에체고옌(1985년)
  42. ^ 바르톨로뮤 (1979년)
  43. ^ Blight & Pike 1976.
  44. ^ a b Smith-Stark (2005:32)
  45. ^ Smith-Stark 2005, 페이지 20
  46. ^ 바르톨로뮤 (1968년)
  47. ^ 버나드 & 살리나스 페드라자 1976년.
  48. ^ 살리나스 페드라자 1978년.
  49. ^ Chavez & Lanier Murray 2001.
  50. ^ a b Palancar 2009.
  51. ^ Palancar 2009, 페이지 64
  52. ^ Soustelle 1993, 페이지 143-5
  53. ^ 앤드류스 1993년
  54. ^ 1995년.
  55. ^ 라스트라(2006년:54~55)
  56. ^ 라스트라 1997년
  57. ^ 라스트라 1998b.
  58. ^ a b 라스트라(1992년:18~19년)
  59. ^ 라스트라 2001, 페이지 88
  60. ^ 월리스(1964년)
  61. ^ 1985년 보이그틀랜더 & 에체고옌
  62. ^ 팔랑카 2004b
  63. ^ 팔랑카 2006a.
  64. ^ 팔랑카 2006b, 332페이지
  65. ^ a b c d e 팔랑카 (2008)
  66. ^ a b 라스트라(1996:3)
  67. ^ 라스트라 1998a.
  68. ^ a b 라스트라(1992:24)
  69. ^ 라스트라 1992, 페이지 226–225.
  70. ^ 라스트라 1992, 34페이지
  71. ^ 라스트라 1992, 페이지 20
  72. ^ 팔랑카 2006b.
  73. ^ 라스트라 1992, 페이지 21
  74. ^ 라스트라 1992, 페이지 56
  75. ^ 팔랑카 2008, 페이지 358
  76. ^ 헤스 1968, 페이지 79, 84-85
  77. ^ Hecking & Bakker 2007, 439페이지.
  78. ^ 라이트2005b.
  79. ^ 라스트라 2006, 페이지 69
  80. ^ 가리베이 1971, 페이지 231
  81. ^ 라스트라 2006, 페이지 64
  82. ^ 바르톨로뮤 1995년

레퍼런스

  • Andrews, Henrietta (October 1949). "Phonemes and Morphophonemes of Temoayan Otomi".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5 (4): 213–222. doi:10.1086/464047. JSTOR 1263147. S2CID 143776150.
  • Andrews, Henrietta (1993). The Function of Verb Prefixes in Southwestern Otomí.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publications in linguistics. Dall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ISBN 978-0-88312-605-9.
  • Bartholomew, Doris (October 1960). "Some revisions of Proto-Otomi conson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26 (4): 317–329. doi:10.1086/464591. JSTOR 1263552. S2CID 144874022.
  • Bartholomew, Doris (July 1968). "Concerning the Elimination of Nasalized Vowels in Mezquital Otomi".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34 (3): 215–217. doi:10.1086/465017. JSTOR 1263568. S2CID 143848950.
  • Bartholomew, Doris (January 1979). "Otomi Parables, Folktales, and Jokes [Book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45 (1): 94–97. doi:10.1086/465579. JSTOR 1264981.
  • Bartholomew, Doris (1995). "Difrasismo en la narración otomi". In Ramón Arzápalo; Yolanda Lastra de Suárez (eds.). Vitalidad e influencia de las lenguas indígenas en Latinoamérica. Segundo Coloquio Mauricio Swadesh.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UNAM. pp. 449–464. ISBN 978-968-36-3312-5.
  • Bernard, H Russell (December 1966). "Otomi Tones". Anthropological Linguistics. 8 (9): 15–19. JSTOR 30029194.
  • Bernard, H Russell (July 1967). "The Vowels of Mezquital Otomi".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33 (3): 247–48. doi:10.1086/464969. JSTOR 1264219. S2CID 143569805.
  • Bernard, H Russell (January 1970). "More on Nasalized Vowels and Morphophonemics in Mezquital Otomi: A Rejoinder to Bartholomew".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36 (1): 60–63. doi:10.1086/465093. JSTOR 1264486. S2CID 143548278.
  • Bernard, H. Russell (July 1973). "Otomi Phonology and Orthography".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39 (3): 180–184. doi:10.1086/465262. JSTOR 1264569. S2CID 143961988.
  • Bernard, H Russell (April 1974). "Otomi Tones in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40 (2): 141–150. doi:10.1086/465300. JSTOR 1264352. S2CID 144848859.
  • Bernard, H. Russel; Salinas Pedraza, Jesús (1976). Otomí Parables, Folk Tales and Jokes. Native American Text Series. Vol. 1.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SN 0361-3399.
  • Bernard, H Russell (April 1980). "Orthography for Whom?".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46 (2): 133–136. doi:10.1086/465642. JSTOR 1265019. S2CID 144793780.
  • Blight, Richard C.; Pike, Eunice V. (January 1976). "The Phonology of Tenango Otomi".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42 (1): 51–57. doi:10.1086/465386. JSTOR 1264808. S2CID 144527966.
  • Campbell, Lyle (2000) [1997]. American Indian Languages: The Historical Linguistics of Native America. Oxford Studies in Anthropological Linguistics (OUP pbk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9427-5.
  • Cárceres, Pedro de (1907) [ca. 1550–1600]. Nicolás León (ed.). "Arte de la lengua othomí". Boletín del Instituto Bibliográfico Mexicano. 6: 39–155.
  • Chávez, Evaristo Bernabé; Lanier Murray, Nancy (2001). "Notas históricas sobre las variaciones de los alfabetos otomíes" (PDF). Publicaciones impresas. Instituto Lingüístico de Verano. Retrieved 2009-08-29.
  • CLIN, Catalogo de las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2008 (2008). Variantes Lingüísticas de México con sus autodenominaciones y referencias geoestadísticas (PDF). Mexico City.: Diario de la Nación (14 Jan.).
  • Lastra, Yolanda; Bartholomew, Doris, eds. (2001). Códice de Huichapan: paleografía y traducción. (in Otomi and Spanish). Translated by Ecker, Lawrence. México, D.F.: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UNAM. ISBN 978-968-36-9005-0.
  • Egland, Steven; Bartholomew, Doris; Cruz Ramos, Saúl (1983). La inteligibilidad interdialectal en México: Resultados de algunos sondeos. México, D.F: Instituto Lingüístico de Verano.
  • Garibay, Ángel María (1971). "Poemas otomíes". Historia de la literature náhuatl. Primera parte: Etapa autonoma: de c. 1430 a 1521. Bibliotheca Porrúa (2nd ed.). Mexico: Hnos. Porrúa. pp. 231–273.
  • Hekking, Ewald (1995). El Otomí de Santiago Mexquititlan: desplazamiento linguïstico, préstamos y cambios grammaticales. Amsterdam: IFOTT.
  • Hekking, Ewald; Bakker, Dik (2007). "The Case of Otomí: A contribution to grammatical borrowing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In Yaron Matras; Jeanette Sakel (eds.). Grammatical Borrowing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Empirical Approaches to Language Typology. Berlin: Mouton de Gruyter. pp. 435–464. doi:10.1515/9783110199192.435. ISBN 978-3-11-019628-3.
  • Hernández Cruz, Luis; Victoria Torquemada, Moisés; Sinclair Crawford, Donaldo (2004). Diccionario del hñähñu (otomí) del Valle del Mezquital, estado de Hidalgo (PDF). Serie de vocabularios y diccionarios indígenas "Mariano Silva y Aceves" (in Spanish). Tlalpan, D.F.: Instituto Lingüístico de Verano. ISBN 978-968-31-0313-0.
  • Hess, H. Harwood (1968). The Syntactic Structure of Mezquital Otomi. Janua Linguarum. Series practica. The Hague: Mouton. ISBN 9783112026465. OCLC 438991.
  • INEGI,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y Geografia] (2009). Perfil sociodemográfico de la población que habla lengua indígena (PDF) (in Spanish). INEGI. Retrieved 2009-08-17.
  • Lastra, Yolanda (1992). El Otomí de Toluca. (in Otomi and Spanish). México, D.F.: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UNAM. ISBN 978-968-36-2260-0.
  • Lastra, Yolanda (1996). "Verbal Morphology of Ixtenco Otomi" (PDF). Amérindia. 21: 93–100. ISSN 0221-88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7-18. Retrieved 2009-08-05. (PDF는 원래 출판물과 페이지 수가 다릅니다)
  • Lastra, Yolanda (1997). El Otomí de Ixtenco. (in Otomi and Spanish). México, D.F.: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UNAM. ISBN 978-968-36-6000-8.
  • Lastra, Yolanda (1998a). Ixtenco Otomí. Languages of the world/Materials series. München: LINCOM Europa. ISBN 978-3-929075-15-1.
  • Lastra, Yolanda (1998b). "Otomí loans and creations". In Jane H. Hill; P. J. Mistry; Lyle Campbell (eds.). The Life of Language: Papers in Linguistics in Honor of William Bright. Trends in linguistics series. Studies and Monographs. Berlin: Mouton de Gruyter. pp. 59–101. ISBN 978-3-11-015633-1.
  • Lastra, Yolanda (2000). "Otomí language shift and some recent efforts to reverse it". In Joshua Fishman (ed.). Can threatened languages be saved? Reversing Language Shift, Revisited: A 21st Century Perspective. Multilingual Matters. ISBN 978-1-85359-492-2.
  • Lastra, Yolanda (2001). Unidad y diversidad de la lengua. Relatos otomíes (in Spanish).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UNAM. ISBN 978-968-36-9509-3.
  • Lastra, Yolanda (2006). Los Otomies – Su lengua y su historia (in Spanish).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UNAM. ISBN 978-970-32-3388-5.
  • Leon, Frances; Swadesh, Morris (1949). "Two views of Otomi prosody".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5 (2): 100–105. doi:10.1086/464028. JSTOR 1262769. S2CID 144006207.
  • Lope Blanch, Juan M. (2004). Cuestiones de filología mexicana. Publicaciones del Centro de Lingüística Hispánica (in Spanish). México, D.F.: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Filológicas, UNAM. ISBN 978-970-32-0976-7.
  • Neve y Molina, Luis de (2005) [1767]. Erik Boot (ed.). Reglas de Orthographia, Diccionario, y Arte del Idioma Othomi (PDF) (in Spanish).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soamerican Studies. Retrieved 2006-11-25.
  • Newman, Stanley; Weitlaner, Roberto (1950a). "Central Otomian I:Proto-Otomian reconstru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6 (1): 1–19. doi:10.1086/464056. JSTOR 1262748. S2CID 144486505.
  • Newman, Stanley; Weitlaner, Roberto (1950b). "Central Otomian II:Primitive central otomian reconstru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6 (2): 73–81. doi:10.1086/464067. JSTOR 1262851. S2CID 143618683.
  • Palancar, Enrique L. (2004a). "Datividad en Otomi". Estudios de Cultura Otopame. 4: 171–196.
  • Palancar, Enrique L. (2004b). "Verbal Morphology and Prosody in Otomi".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70 (3): 251–78. doi:10.1086/425601. JSTOR 3652030. S2CID 143924185.
  • Palancar, Enrique L. (2006a). "Intransitivity and the origins of middle voice in Otomi". Linguistics. 44 (3): 613–643. doi:10.1515/LING.2006.020. S2CID 144073740.
  • Palancar, Enrique L. (2006b). "Property in Otomi: a language with no adj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72 (3): 325–66. doi:10.1086/509489. S2CID 144634622.
  • Palancar, Enrique L. (2008). "Emergence of Active/Stative alignment in Otomi". In Mark Donohue; Søren Wichmann (eds.). The Typology of Semantic Align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3838-5.
  • Palancar, Enrique L. (2009). Gramática y textos del hñöñhö Otomí de San Ildefonso Tultepec, Querétaro. Vol 1. Universidad Autónoma de Querétaro: Plaza y Valdés. ISBN 978-607-402-146-2.
  • Palancar, Enrique L. (2011). "The conjugations of Colonial Otomi". Transactions of the Philological Society. 109 (3): 246–264. doi:10.1111/j.1467-968x.2011.01275.x.
  • Pellicer, Dora; Cifuentes, Bábara; Herrera, Carmen (2006). "Legislating diversity in twenty-first century Mexico". In Margarita G. Hidalgo (ed.). Mexican Indigenous Languages at the Dawn of the Twenty-first Century. Contributions to the Sociology of Language. Berlin: Mouton de Gruyter. pp. 127–168. ISBN 978-3-11-018597-3.
  • Salinas Pedraza, Jesús (1978). Rc Hnychnyu = The Otomí. Albuquerque, N.M.: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ISBN 978-0-8263-0484-1.
  • Sinclair, Donald; Pike, Kenneth (1948). "Tonemes of Mesquital Otomi".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14 (1): 91–98. doi:10.1086/463988. JSTOR 1263233. S2CID 143650900.
  • Smith-Stark, Thomas (2005). "Phonological Description in New Spain". In Otto Zwartjes; Maria Cristina Salles Altman (eds.). Missionary Linguistics II = Lingüística misionera II: Orthography and Phonology.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ssionary Linguistics, São Paulo, 10–13 March 2004. Amsterdam studies in the theory and history of linguistic science. Series III: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pp. 3–64. ISBN 978-90-272-4600-4.
  • Soustelle, Jacques (1993) [1937]. La familia Otomí-Pame del México central. Sección de Obras de Historia (in Spanish). Nilda Mercado Baigorria (trans.) (Translation of: "La famille Otomí-Pame du Mexique central", doctoral thesis ed.). México, D.F.: Centro de Estudios Mexicanos y Centroamericanos, Fondo de Cultura Económica. ISBN 978-968-16-4116-0.
  • Suárez, Jorge A. (1983). The Mesoamerian Indian Languages. Cambridge Language Survey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2834-3.
  • Voigtlander, Katherine; Echegoyen, Artemisa (1985) [1979]. Luces Contemporaneas del Otomi: Grámatica del Otomi de la Sierra. Serie gramáticas de lenguas indígenas de México (in Spanish). Mexico, D.F.: Instituto Lingüístico de Verano. ISBN 978-968-31-0045-0.
  • Wallis, Ethel E. (1964). "Mezquital Otomi Verb Fusion". Language. Language, Vol. 40, No. 1. 40 (1): 75–82. doi:10.2307/411926. JSTOR 411926.
  • Wallis, Ethel E. (1968). "The Word and the Phonological Hierarchy of Mezquital Otomi". Language. Language, Vol. 44, No. 1. 44 (1): 76–90. doi:10.2307/411465. JSTOR 411465.
  • Wright Carr, David Charles (2005a). "Precisiones sobre el término "otomí"" (PDF). Arqueología Mexicana (in Spanish). 13 (73): 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9, 2008. Retrieved 2006-12-06.
  • Wright Carr, David Charles (2005b). "Lengua, cultura e historia de los otomíes". Arqueología Mexicana (in Spanish). 13 (73): 26–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2-26.
  • Zimmermann, Klaus (1997). "La descripción del otomí/hñahñu en la época colonial: lucha y éxito". In Zimmermann, Klaus (ed.). La descripción de las lenguas amerindias en la época colonial. Frankfurt am Main: Vervuert/Madrid: Iberoamericana 1997. pp. 113–132.
  • Zimmermann, Klaus (2012). "El autor anónimo de 'Luces del otomí' (manuscrito del siglo XVIII): ¿El primer historiógrafo de la lingüística misionera?". In Alfaro Lagorio Consuelo; Rosa, Maria Carlota; Freire, José Ribamar Bessa (eds.). Políticas de línguas no Novo Mundo. Rio de Janeiro: Editora da UERJ. pp. 13–39.
  • "Estadística básica de la población hablante de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2015". site.inali.gob.mx. Retrieved 2019-10-26.</ref>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