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씰

Christmas seal
1904년 덴마크의 크리스마스 씰에는 덴마크 여왕 루이즈가 등장한다.

크리스마스 씰은 자선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과 인식을 높이기 위해 크리스마스 시즌에 우편물에 부착된 라벨이다. 특히 결핵과 같은 폐질환, 아동복지와 관련이 깊어졌다. 크리스마스 도장은 우편요금으로 사용되는 크리스마스 우표와는 대조적으로 신데렐라 우표[1] 한 형태로 여겨진다.

오리진스

에이나 홀보엘, C. 1900

1900년대 초반에 결핵은 매우 두려운 질병이었고, 그것이 어린이들에게 끼치는 해로운 영향은 특히 파괴적인 것처럼 보였다. 1904년 덴마크 우체국 직원인 Einar Holböll은 크리스마스 때 우편으로 보낸 명절 인사말에 자선 우표를 추가하는 아이디어를 개발했다.[2] 모금된 돈은 결핵에 걸린 어린이들을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다.[3] 이 계획은 우체국장과 덴마크 국왕(기독교 IX)의 승인을 받았다.[4]

1904년 덴마크 여왕(헤세-카셀의 루이)과 줄렌(크리스마스)이라는 단어를 닮은 세계 최초의 크리스마스 도장이 발행되었다. 첫 해에 400만 개 이상이 도장당 0.02에 팔렸다.

콜딩에 있는 최초의 덴마크 크리스마스 씰 요양소, 지금은 호텔 콜딩피오르드

처음 6년 동안은 1911년에 개원한 콜딩에 크리스마스 실 요양소를 지을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이 마련되었다. 같은 해 두 기관이 같은 목적을 위해 일하는 것은 자원의 낭비라고 여겨져 요양소가 덴마크 결핵 퇴치를 위한 덴마크 전국협회 행정부로 이관되었다. 덴마크의 크리스마스 씰 위원회 - 오늘날 줄렘슈크폰덴(Christmas Seal Fund)[5]으로 알려진 - 그 때, 그 당시, 수집된 모든 자금을 어린이들을 위한 회복가옥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데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유럽에서는

덴마크가 최초의 크리스마스 도장을 발행한 직후 스웨덴아이슬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3] 바다표범은 그 후 스칸디나비아 전역과 유럽의 모든 주요 국가에 퍼져 오늘날에도 여전히 인기가 있다. 크리스마스 바다표범은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그리고 호주에서 수백 개의 다른 사회, 그리고 지역적으로 발행되었다. 그 이후 대부분의 TB 도장은 크리스마스 때 발행되었고 이중으로 금지된 로레인 십자수인 TB에 대한 국제적인 상징을 포함했다.

미국에서는,

1914년 미국의 크리스마스 바다표범.

그들은 1907년 에밀리 비셀에 의해 미국에 소개되었는데,[6] 그녀가 1904년 덴마크 태생인 Jacob Riis의 기사에서 1904년 덴마크의 크리스마스 도장에 대해 읽은 후였다.[3] 비셀은 델라웨어에 있는 브랜디와인 크릭에서 요양원을 위한 기금을 모으기를 희망했다. 비셀은 1908년에 델라웨어 지방의 크리스마스 씰을 디자인하기 시작했다. 미국에는 1907년부터 크리스마스 씰이 국가 이슈와 함께 존재해왔으며, 크리스마스 씰 & 자선 스탬프 협회에 의해 목록화되었다.

1908년까지 비셀의 생각은 결핵연구예방협회(NASPT)와 미국적십자사가 관리하는 국가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 이 도장들은 우체국 로비에서 판매되었는데,[3] 처음에는 델라웨어에서 각각 미화 0.1달러에 팔렸다. 매출로 인한 순이익은 두 조직 간에 균등하게 분배될 것이다. 1920년까지 적십자는 이 협상에서 탈퇴했고 당시 미국결핵협회(NTA)로 알려진 NASPT에 의해 독점 판매되었다. 1954년 뉴욕 사라낙 호수의 작은 마을(애디론닥 코티지 요양원의 고향)이 크리스마스 씰을 파는 전국 대회에서 우승했는데, 이 상은 폴 뉴먼 영화 "실버 찰리스"의 세계 초연을 주최하고 있는 영화 "실버 찰리스"의 출연진들이 이 마을의 연례 겨울 대학원에서 퍼레이드에 참여했다는 것이다.이발

신문 만화는 여자가 더 많은 선물을 가져오는 동안 한 남자가 크리스마스 도장을 소포에 넣는 것을 그렸다.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팩시밀리는 오른쪽 아래 구석에 도장이 찍혀 있다. 자막의 원문은 "백선충과 싸우는 것을 도와라"라고 쓰여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항생제 스트렙토마이신 TB의 발달로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 되었다. 비록 선진국에서는 그것이 통제되고 있다고 여겨지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것이다. 조직의 목표의 확대 범위를 반영하기 위해 1960년대 후반에 국립 결핵 및 호흡기 질환 협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NTRDA는 1973년에 미국폐협회(American Lung Association)가 되었으나 1974년 도장에는 NTRDA가 계속 새겨져 있다.

크리스마스 노래인 미슬토와 홀리(1957)가 1960년 크리스마스 씰 어필의 주제곡으로 선정되었다.

오늘날 크리스마스 씰은 미국폐협회와 다른 폐 관련 이슈에 혜택을 준다. 결핵은 감소하고 있었지만,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결핵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흔한 전염병 중 하나이다.

1987년 미국 폐협회는 "크리스마스 씰"이라는 용어의 상표를 취득하여 이를 발행하는 유일한 미국 국가 기금 협회가 될 권리를 보호했다. 물론 이 상표는 1907년 필라델피아 PA의 켄싱턴 디스펜서리가 지역 크리스마스 씰을 발행한 이후 많은 기관에서 미국에서 사용되는 미국 밖에서 발행된 크리스마스 씰이나 지역 크리스마스 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캐나다에서

1908년까지 그 캠페인은 캐나다에 도달했다. 토론토온타리오주 해밀턴에서 관심 있는 사람들은 결핵병원이 소집되면서 위생병원을 건설하고 지원하기 위한 크리스마스 씰 캠페인을 시작했다.

토론토 글로브는 즉시 그들을 도왔다. 12월 초, 글로브는 캠페인 소식을 전하며 1면에 매일의 이야기를 실어나르기 시작했다. 그 기둥은 독자들이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홀리와 접해 있었다.

한 이야기는 토론토 58개 학교의 아이들이 어떻게 크리스마스 씰 1만 개를 팔았는지를 말해주었다. 또 다른 이슈는 사스카처완의 또 다른 신문인 레기나 리더가 자사의 직원들이 이 봉인을 팔아서 머스크오카에 건설 중인 요양소를 위해 돈을 되돌려 보내겠다고 썼다고 발표했다.

뉴브런즈윅세인트존에서 온 G. A. 무어 목사는 자신과 다른 자원봉사자들이 8,500개를 팔아서 그 돈을 요양소를 위해 토론토에 보내겠다고 편지를 썼다.

그 첫해 토론토 캠페인은 6,114.25달러를, 해밀턴 시민들은 1,244.40달러를 기부했다. 해마다 캐나다 전역의 다른 도시들은 돈을 모으는 것뿐만 아니라 결핵이 통제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크리스마스 씰 캠페인을 시도했다.

마침내, 1927년, 결핵 협회가 대중에게 자금을 호소할 수 있는 공식적인 방법이 될 수 있도록 크리스마스 씰 캠페인이 합의되었다. 국새가 설치되었다.

크리스마스 씰 캠페인은 공중 보건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처음에 모금된 돈은 새롭고 절실히 필요한 요양에 쓰였다. 이것들이 설립되었을 때, 크리스마스 씰 펀드는 결핵 예방을 위해 사용되었다. 이 바다표범은 수백만 명의 캐나다인들이 흉부 엑스레이나 투베르쿨린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돈을 지불했다. 그 결과 질병이 다른 사람들에게 퍼지기 전에 수천 건의 결핵환자가 발견되었다.

캐나다 폐협회의 크리스마스 씰은 결핵과의 싸움에서 승리하는데 도움을 준 캐나다인들의 풀뿌리 지지를 계속해서 상징하고 있다.[7]

다른 나라들

크리스마스 씰을 발행하는 폐 협회는 전세계적으로 거의 100개가 있다. 많은 다른 나라들이 도시, 주, 영토뿐만 아니라 그들만의 크리스마스 도장을 발행한다. 미국과 전세계 TB 크리스마스 씰 수집의 성서인 그린 카탈로그는 이 바다표범들을 국가적인 것과 지역적인 크리스마스 씰로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결핵 인장 발행 협회들은 국제 결핵 및 폐질환 퇴치 연맹의 회원들로, 매년 열리는 세계 폐건강 회의에서 조직 및 구성 인장 발행 회원들 중 최고의 디자인을 위한 크리스마스 인장 대회를 연다.

인식되지 않는 씰

1937년과 1943년 사이에 덴마크 나치당(DNSAP)은 나치 스와스티카를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도장을 발행했다.[8] 이 희귀한 바다표범들은 홀리와 같은 크리스마스 주제를 포함하고 있지만 결핵과의 싸움과 알려진 연관성은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그들은 그린 카탈로그에 실려 있지 않다.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독재 정권은 크리스마스 도장을 발행하는 것을 중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한국의 공산 주의자들 밑에 에바 페론은 일제 강점기 중국, 아르헨티나에서 발생했다.[표창 필요한]

그 밖의 많은 자선기금은 크리스마스 때, 종종 크리스마스를 테마로 하여 종교 단체, 시민 단체 및 우애 단체, 애국 단체, 마술 단체 등에 의해 발행되었지만, 결핵 퇴치를 위해 발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핵 퇴치의 국제적인 상징인 로레인의 이중 금지 십자가가 부족하다.1902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결핵 국제회의에서 제안되었으며, 엄밀히 말하면 크리스마스 도장이 될 수 없다.

참고 항목

참조

  1. ^ 맥케이, 제임스 필라텔릭 약관 일러스트레이티드, 4판, 스탠리 기븐스, 2003년 런던, 페이지 25. ISBN0-85259-557-3
  2. ^ Loytved, G. (2006). "[Christmas seals]". Pneumologie (Stuttgart, Germany). 60 (11): 701–710. doi:10.1055/s-2006-944325. ISSN 0934-8387. PMID 17109268.
  3. ^ a b c d Healey, Barth (24 December 1989). mes-stamps.html "Pastimes: Stamps" Check url= value (help). Archives, The New York Times.
  4. ^ Tower, Samuel A. (1979-11-25). "STAMPS".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1-05-20.
  5. ^ "Flere testamenterer til et godt formål". www.julemaerket.dk (in Danish). Retrieved 2021-05-20.
  6. ^ Media, Delaware Public. "History Matters: Christmas Seals - The Legacy of Emily Bissell". www.delawarepublic.org. Retrieved 2021-05-20.
  7. ^ Association, Lung. "History: Support Christmas Seals". Canadian Lung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11. Retrieved 13 October 2011.
  8. ^ "Jay Smith & Associates: Denmark: Christmas Seals: Christmas Seals - Danish Nazi Party". www.jaysmith.com. Retrieved 2021-05-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