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어 자이슬러

Claire Zeisler
클레어 자이슬러
Claire Zeisler.jpg
Zeisler는 1980년 경에 Dimensional Fibres의 작품을 가지고 있다.
태어난
클레어 블록

(1903-04-18)1903년 4월 18일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
죽은1991년 9월 30일(1991-09-30) (88세)
일리노이 주 시카고
국적미국인의
교육일리노이 공과대학교 시카고 디자인 연구소
로 알려져 있다.파이버 아츠
배우자
해럴드 플로르하임
(m. 1921 – 1943)

어니스트 자이슬러
(m. 1946)

클레어 자이슬러(Claire Zeisler, 1903년 4월 18일 ~ 1991년 9월 30일)는 매듭과 땋은 실의 표현성을 확장하여 이 매체에서 대규모의 자유분방한 조각상을 개척한 미국섬유 예술가였다.그녀의 경력 내내 Zeisler는 섬유질로 "크고, 강하고, 단일한 이미지"를 만들려고 노력했다.[1]자이슬러의 비기능적인 구조는 네모난 매듭, 포장, 바느질 등의 베틀 기법을 벗어나 전통적인 짜임새와 아방가르드를 사용하여 건축되었다.Zeisler는 Jute, sisal, raffia, 삼베, 양모, 가죽과 같은 천연 물질로 작업하는 것을 선호했다.섬유는 종종 다이나믹하지 않은 채로 남겨졌는데, 이는 자이슬러가 섬유 자체를 강조한 자연색소를 선호하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다.하지만 그녀가 색을 사용했을 때, Zeisler는 빨간색으로 끌렸다.[2]

그녀의 작품은 케이 세키마치, 바바라 쇼크로프트, 레노레 타우니, 막달레나 아바카노비치, 쉴라 힉스 등 1960~70년대 섬유 예술가들의 영향을 받아 영향을 받아왔다.[3]2000년대 들어 섬유 예술과 마크라임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난 것은 짐 올라르트아그네스 한셀라를 포함한 새로운 세대의 매듭꾼과 크리에이터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전기

클레어 블록은 오하이오 신시내티에서 태어나 1년간 컬럼비아 칼리지 시카고에 다녔고, 이후 1921년 해롤드 플로르하임(밀턴 S의 아들)과 결혼했다. 플로르스하임플로르스하임 슈의 후계자).그들은 1943년 이혼하기 전 조안(네 플로르스하임) 프레이만 빈클리(건축가 레로이 "로이"빈클리와 결혼), 피터 플로르스하임(Peter Florsheim), 토마스 플로르하임(Sr. Sr.) 등 세 자녀를 두었다.1946년, 그녀는 내과 의사이자 작가인 어니스트 블룸필드 자이슬러와 결혼했는데,[4] 그는 패니(네 블룸필드) 자이슬러지그문트 자이슬러의 아들이다.1930년대에 그녀는 폴 클라이, 조안 미로, 헨리 무어, 피카소의 작품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조각품, 탄트리 예술, 고대 페루 섬유, 300개가 넘는 미국 인디언 바구니들을 포함한 부족 물품들을 샀다.자이슬러의 개인 소장품에서 고대 및 민족 섬유 문화는 산업혁명 이후 기계화된 베틀이 지배하게 된 서구의 섬유 문화를 대비시켰다.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은 섬유 제작의 활용에 중점을 두는 대신 수공예에 중점을 두어 재료와 "즉각적인 접촉"을 하는 수공예에 중점을 두어 기계화 과정의 활성화를 도모하였다.기본적인 건축 기법을 이용해 손으로 일하는 것에 대한 자이슬러의 관심, 60~70년대 아방가르드 섬유 예술가들이 가진 공통 관심사는 '유용성, 여성성, 가정성, 아마추어리즘, 예절성, 심지어 원시성'이라는 '저문화적 함축성'을 자주 가지고 있었다.[5]

Zeisler는 1940년대에 유진 다나,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와 함께 시카고 디자인 대학(뉴 바우하우스)에서 공부했고, 그곳에서 러시아 전위 조각가 알렉산더 아치펜코와 시카고 위버 비아 스와르트차일드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4]1946년, 그녀는 흑산대학의 여름 미술 학원에 다니면서 요제프 앨버스 밑에서 색상과 디자인을 공부했다.[6]

레드 프리뷰(Red Preview)는 1969년 자이슬러가 만든 섬유 건축물이다.

1950년대 Zeisler의 초기 작품은 전통적인 직조 기술을 사용했다.Zeisler는 베틀을 사용하여 의복에 사용할 장소 매트와 직물을 만들었다.1961년까지, 그녀의 작품은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자유롭고 입체적인 3차원 섬유 조형물을 만들면서 전통적인 직물의 경계를 밀어내는 베틀 기법의 사용에 점점 더 실험적이 되었다.[7]그녀는 그 해(1월 2일~30일) 59세의 나이로 시카고 공립 도서관에서 첫 단독 전시회를 가졌다.자이슬러의 첫 단독 쇼는 같은 해에 레노레 타우니의 1962년 스테튼 아일랜드 박물관에서 열린 단독 쇼와 같은 해에 전시되었다.[8]같은 해 시카고 대학의 르네상스 학회에서 그녀의 위닝과 수집품들의 전시회가 열렸다(10월 9일월 9일~11월 6일 시카고 대학 르네상스 학회에서.

자이슬러는 1963년(3월 22일~5월 12일) 뉴욕 현대공예박물관에서 열린 세미나를 시작으로 릴리 블루메노의 뉴욕 스튜디오에서 매듭짓기를 소개한 뒤 비로소 섬유 조각 분야에서 유명한 혁신가가 되었다.[9]'우울한 양식'은 Zeisler의 작품과 함께 오프룸 건축을 개척하기 위해 일하던 4명의 다른 여성 예술가들의 작품을 함께 선보였다.레노레 타우니, 쉴라 힉스, 앨리스 아담스, 도리안 자차이.이 전시회의 큐레이터인 에리카 빌레터는 이 전시회를 "우울한 양식"이라고 이름 지었는데, 이는 전위 예술가들의 혁신적인 직물을 아우르는 이름이 아직 없었기 때문이다.그녀는 "하지만 그것들은 이상한 물건이었고 직물 예술에 완전히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놓았다"[10]고 쓰고 있다. "Woven Forms"는 크래프트 호라이즌을 위해 쇼를 검토한 예술가 루이즈 부르주아로부터 단 한 번의 출판된 응답을 받았다.그녀의 반응은 부정적이어서 섬유아트의 낮은 문화 함축에서 오는 많은 편견을 드러냈다.부르주아는 "그림이나 조각은 그에게서 독립된 동시에 구경꾼에게 큰 요구를 한다.이런 즐거움들은, 더 매력적이고 덜 까다로운 것처럼 보인다.만약 그들이 분류되어야 한다면, 그들은 미술과 응용 미술의 중간쯤 될 것이다.이 쇼의 작품들은 거의 장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11]

Zeisler는 당시 개발도상국과 선원들에게 주로 사용되었지만 매듭짓기는 베틀의 기하학적, 2차원적 한계로부터 그녀를 해방시켜 줄 수 있고 3차원에서 일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인식했다.[12]그녀는 이 기법으로 96인치나 되는 자유로운 조각품을 만들었는데, 종종 물과 머리카락에 비유되었던 촘촘히 매듭지어진 부분과 자유 낙하된 실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13]시카고 미술 연구소의 소장품에서 잘 알려진 그녀의 '레드 프리뷰'는 "수직적인 추진력이나 조직 내에서의 활동성 둘 다, 형식적으로 매우 에로틱하다"[14]고 불려왔다.그녀는 또한 양털로 만든 큰 공과 포장된 나선형 슬링키 장난감 등 다른 형태와 기법을 연구했고, 자신이 수집한 부족 유물과 유사한 유물을 만들기 위해 단추 구멍에 박힌 실로 돌을 덮었다.1964년, Zeisler는 독일 취리히의 예술 공예 박물관에서 레노레 타우니, 쉴라 힉스와 함께 선보였다.전시회가 열릴 때까지 유럽의 섬유 예술가들은 평평한 태피스트리 전통으로 작업해 왔으며, 심지어 타우니와 힉스에 비하면, 자이슬러의 작품은 이번 컨벤션에서 가장 급격하게 출발했다.[15]1970년대에 Zeisler는 가죽으로 작업하면서 직조, 격자, 쌓기, 접기 등 종이 자르기에 사용된 것을 연상시키는 기법을 통해 재료를 조작했다.Zeisler는 1970년대에도 미술품 제작에 실험했는데, 면이나 양털 같은 직물을 쌓아두어서 두꺼운 모양을 만드는 데 사용한 페이지(1976년), 장(1976년) 등의 작품들이 있다.그녀의 '엄밀하게 스케일을 잡은 작품'은 '관능적이면서도 비밀스러운 소재'[16]로 만들어졌다.그녀의 후기 구조물은 계단식으로 늘어뜨린 느슨한 섬유 가닥이 바닥에 흘러 엉클어진 것이 특징이다.[17]

Zeisler의 작품은 시카고 미술연구소(1979년)와 휘트니 미술관(1985년)에서 회고전을 통해 전시되었다.[18]1979년 아그네스 앨러튼 갤러리에서 회고전이 열렸는데, 이 전시회는 1961년부터 78년까지 그녀의 경력의 작품들을 전시했다.[19]1982년 클레어 자이슬러는 평생 예술로 여성 예술인 코커스(Women's Caucus for Art)의 영예를 뉴욕에서 받았다.보도자료에는 "우리는 클레어 자이슬러를 다차원적 형태의 위버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한 사람으로 존경한다"고 적혀 있었다.섬유들을 매듭짓고 감싸는 고대의 기술들이 그녀의 손에서 새로운 거짓말, 그리고 새로운 의미를 찾아냈다."[20]

전시회

1인 전시회:시카고 공공도서관, 1962; 르네상스 소사이어티, 1962; 시카고 미술관, 1964, 1966; 시카고와 뉴욕, 1968; 노던 일리노이 대학, 디칼브, 1970; 뉴욕, 1977; 해들러 미술관; 1979.[21]

Group Exhibitions: "Woven Forms," Museum of Contemporary Crafts, N.Y., 1963; Collectors Show, 1965; "Perspective in Textile," Stedelijk Museum, Amsterdam, 1969; Kunstgewevemuseum, Zurich, 1963; Indianapolis Museum, Ind., 1968; Kranert Museum, Urbana, Ill., 1969; Ravinia Festival, Highland Park, 1969; Ruth Kaufmann Gallery, N.Y., 1971; Denver Art Museum, Colo., 1971; "Deliberate Entanglements," Univ. of California, Los Angeles, 1971; museums in Zacheta and Warsaw, Poland, 1971; Utah Museum of Fine Arts, Salt Lake City;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cago, Ill.; "Sculpture in Fiber," Museum of Contemporary Crafts, N.Y., 1972; 1973 BIT; Univ. of Texas at Austin, 1973;클리블랜드 미술관, 1974; 허버트 F.Johnson Museum, Cornell Univ., Ithaca, 1974; 1974, 1976, IEMT; National Gallery of Art, Wellington, New Zealand, 1975; "Textile Objekte," Kunstgewerbemusum, Berlin, 1975; "American Crafts '76, An Aesthetic Vi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cago, 1976; "The Object as Poet," Renwick Gallery, National Collection of Fine Arts, Washington, D.C., 1977; "American Crafts 1977," 필라델피아 미술관, 필라델피아 미술관, "Fiber Works: America and Japan," 1977, "Fiberworks," "Cleveland 미술관, 1977," "Chicago:도시와 그것의 예술가들, 1945-1978," 앤아버 미시간 미술관의 유니브, 1978; "다양한 방향,"[21] 워싱턴 주립 미술관, 풀만, 워시, 1978.

컬렉션

Zeisler의 작품은 다음과 같은 공개 컬렉션에 수록되어 있다.위스콘신 아트 센터, 밀워키, 시카고 예술 연구소;매디슨 주 위스콘신 주의 유니브, 암스테르담의 스테델리크 박물관, 취리히의 벨리브 박물관.[21]

참고 항목

메모들

  1. ^ Sewell, Darrel; Barsky, Ivy; Mitchell, Kelly Leigh (1991). "Contemporary American Crafts". Philadelphia Museum of Art Bulletin. 87 (372): 26. doi:10.2307/3795381. JSTOR 3795381.
  2. ^ Thurman, Christa C. Mayer (1979). "Claire Zeisler, a Retrospective". Bulletin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73 (1): 8–9.
  3. ^ Auther, Elissa (2002). "Classification and Its Consequences: The Case of "Fiber Art"". American Art. 16 (3): 2–9. doi:10.1086/444669. S2CID 191495047.
  4. ^ a b 스미스, 로버타"Claire Zeisler, 예술가, 수집가, 그리고 섬유 예술 혁신가, 88." 뉴욕 타임즈.1991년 10월 1일.
  5. ^ Auther, Elissa (2002). "Classification and Its Consequences: The Case of "Fiber Art"". American Art. 16 (3): 6. doi:10.1086/444669. S2CID 191495047.
  6. ^ Reid, Michael (2015). Convergence, divergence : exploring Black Mountain College + Chicago's New Bauhaus, Institute of Design. Asheville, NC: Black Mountain College Museum + Arts Center. p. 22. ISBN 978-1-4951-7080-5. OCLC 927177636.
  7. ^ Adlin, Jane (1995). "20th Centur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Bulletin. 53 (3): 66. doi:10.2307/3258792. JSTOR 3258792.
  8. ^ Kopols, Janet (1968). "Escaping the Wall: Claire Zeisler Retrospective". Craft Horizons. 28: 10–15.
  9. ^ Thurman, Christa C.메이어. 클레어 자이슬러: 회고전.시카고:1979년 시카고 미술관
  10. ^ Constantine, Mildred; Jack, Lenor (1981). The Art Fabric: Mainstream.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p. 18.
  11. ^ Auther, Elissa (2002). "Classification and Its Consequesnce: The Case of "Fiber Art"". American Art. 16 (3): 7. doi:10.1086/444669. S2CID 191495047.
  12. ^ "Oral history interview with Claire Zeisler". Archives of American Art. Smithsonian Institution. June 26, 1981.
  13. ^ 말러처, 패트리샤85년 11월/12월, 파이버아트 '클레어 지슬러의 잔해'
  14. ^ 코포스, 자넷, 메트칼프, 브루스.제작자: 아메리칸 스튜디오 크래프트의 역사.ISBN 978-0-8078-3413-8
  15. ^ 빌레터, 에리카에세이 인 클레어 자이슬러: 회고전, 1964년 시카고 예술 연구소
  16. ^ Constantine, Mildred; Jack, Lenor (1981). The Art Fabric: Mainstream.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p. 62.
  17. ^ Halstead, Whitney (1968). "Claire Zeisler and the Sculptured Knot". Craft Horizons. 28: 12.
  18. ^ Heise, Kenan (October 1, 1991). "Pioneer Fiber Artist Claire Zeisler, 88". Chicago Tribune.
  19. ^ Thurman, Christa C. Mayer (1979). "Claire Zeisler, a Retrospective". Bulletin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73 (1): 9.
  20. ^ "Claire Zeisler Honored". Fiber Arts. 9: 46. 1982.
  21. ^ a b c Constantine, Mildred; Jack, Lenor (1981). The Art Fabric: Mainstream. 1981: Van Nostrand Reinhold. pp. 268–9.{{cite book}}: CS1 maint : 위치(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