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 미 바브라
Color Me Barbra컬러 미 바브라 | ||||
---|---|---|---|---|
![]() 컴팩트 디스크 릴리스용 커버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66년 3월 | |||
장르. | 팝, 보컬 | |||
길이. | 34:12 | |||
라벨 | 컬럼비아 | |||
프로듀서 | 로버트 머시 |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연대기 | ||||
| ||||
대체 커버 | ||||
![]() DVD 발매 |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Color Me Barbra는 1966년 컬럼비아 레코드에 발매된 가수 Barbra Streisand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미국 앨범 차트 3위에 올랐고 RIAA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또한 1966년[2] 3월 30일 스트레이샌드의 두 번째 CBS TV 스페셜의 제목이기도 하였으며, 아직 TV의 신기함이었던 시절에는 처음으로 컬러가 적용되어 제목이 붙여졌다.
트랙리스트
사이드 원
- "Yesterdays"(Otto Harbach, Jerome Kern) – 3:05
- "원 키스"(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지그문트 롬버그) – 2:11
- "The Minute Walts"(란 오쿤, 프레데릭 쇼팽) – 1:59
- "Gotta Move"(피터 마츠) – 2:01
- "Non cest Rien"(미셸 주르단, Armand Canfora) – 3:27
- "Where or When"(로렌즈 하트, 리처드 로저스) – 3:06
사이드 투
- 메들리 – 9:00
- "내 수프의 동물 크래커"
- "Funny Face"
- "더 페이스"
- "그들은 나를 믿지 않았다"
- "Were Thine That Special Face"
- "그녀의 얼굴에 익숙해졌어"
- "음악과 춤을 마주하자"
- "샘, 바지를 너무 길게 만들었어"
- "뉴 푸시캣이 뭐야?"
- "스몰 월드"
- "사랑해"
- "나는 박람회에서 너무 오래 머물렀다"
- "저 얼굴 좀 봐"
- "C'est si bon" (André Hornez, Jerry Seelen, Henri Betti) – 3:40
-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도로시 필즈, 사이 콜맨) – 2:50
- "여기서 시작, 지금 시작" (리처드 몰트비, 주니어, 데이비드 쉬어) – 2:53
DVD
- "Draw Me a Circle"
- "어제"
- "원 키스"
- "미닛 왈츠"
- "고타 무브"
- "논 세스트 리엔"
- "어디 또는 언제"
- "펫"
- "내 수프의 동물 크래커"
- "Funny Face"
- "더 페이스"
- "그들은 나를 믿지 않았다"
- "Were Thine That Special Face"
- "그녀의 얼굴에 익숙해졌어"
- "음악과 춤을 마주하자"
- "샘, 바지를 너무 길게 만들었어"
- "뉴 푸시캣이 뭐야?"
- "누가 큰 나쁜 늑대를 무서워하지?"
- "스몰 월드"
- "기억하려고 노력"
- "다시 봄"
- "나는 박람회에서 너무 오래 머물렀다"
- "저 얼굴 좀 봐"
- "내 모자를 걸면 어디든지"
- "It Had Be You"
- "쎄시봉"
-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 "여기서 시작, 지금 시작"
싱글스
- "내가 어디로 가는 거지?" / 1966년 "너희 워너 베트"
- "샘, 바지를 너무 길게 만들었어" / "미닛 왈츠" 1966
- "Non C'est Rien" / "Le Mur" 1966
어콜라데스
Color Me Barbra는 올해의 앨범과 최우수 여성 보컬 부문에서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다.
차트
차트 | 피크 포지션 |
---|---|
오스트레일리아 앨범(켄트 음악 보고서)[3] | 5 |
독일 앨범(Offizielle Top 100)[4] | 33 |
노르웨이 앨범(VG-lista)[5] | 15 |
US 빌보드 200[6] | 3 |
인증
지역 | 인증 | 인증 단위/판매 |
---|---|---|
미국(RIAA)[7] | 금 | 500,000^ |
미국(RIAA)[8] 뮤직 비디오카세트 | 금 | 50,000^ |
^ 출하량은 인증만으로 계산된다. |
참조
- ^ 올뮤직 리뷰
- ^ Edwards, Anne (1997). Streisand: A Biography. New York: Little, Brown & Company. p. 539. ISBN 0-316-21138-9.
- ^ David Kent (2005). Australian Chart Book 1940 - 1969. Australian Chart Book Pty Ltd, Turramurra, N.S.W. ISBN 0-646-44439-5.
- ^ "Offiziellecharts.de – Barbra Streisand – Color Me Barbra"(독일어)GfK 엔터테인먼트 차트.2021년 11월 29일 회수
- ^ "Norwegiancharts.com – Barbra Streisand – Color Me Barbra".헝 메디엔.2016년 3월 19일 회수.
- ^ "Barbra Streisand Chart History(빌보드 200)"빌보드.2016년 3월 19일 회수.
-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Barbra Streisand – Color Me Barbra".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 ^ "American video certifications – Barbra Streisand – Color Me Barbra".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외부 링크
- 인터넷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의 색 미 바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