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드웨이 앨범
The Broadway Album브로드웨이 앨범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85년[1] 11월 4일 | |||
녹음된 | 1985년[2] 봄-여름 | |||
스튜디오 |
| |||
장르. | ||||
길이 | 47:44 | |||
라벨 | 컬럼비아 | |||
프로듀서 |
|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연대기 | ||||
| ||||
감성의 싱글스 | ||||
|
브로드웨이 앨범(The Broadway Album)은 1985년 11월 4일 컬럼비아 레코드가 발매한 미국 가수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24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주로 클래식 쇼 곡으로 구성된 이 앨범은 스트라이샌드의 경력에 큰 변화를 주었다. 그녀는 1960년대 자신의 앨범에 뮤지컬과 가창력 기준에 10년을 보냈다. 1971년 앨범 《Stoney End》를 시작으로 1984년 《Emotion》으로 막을 내린 스트라이샌드는 컬럼비아 레코드를 위해 주로 록, 팝, 포크, 디스코 중심의 노래를 불렀다. 유명한 브로드웨이 작곡가 스티븐 손드하임은 가수의 요청에 따라 개인적으로 "Putting It Together"와 "Send in the Crowns"의 추가 가사를 썼다.[3] 원래 컬럼비아 레이블에서 발매되었고 그 후 컬럼비아와 소니 레코드가 다시 발매한 이 앨범은 비판적이고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1986년 1월 13일 RIAA에 의해 최초로 금을 인증받았으며, 1995년 1월 31일 백금 4배에 달했다.
이 앨범에는 TV 스페셜 "Puting It Together: The Makeing of the Broadway Album.[4] 원래의 LP와 카세트 릴리즈에는 11개의 트랙이 수록되었고 CD 릴리즈에는 보너스 트랙인 "아델라이드의 한탄"[5]이 수록되었다. 컬럼비아는 추가 보너스 트랙으로 2002년에 The Broadway Album을 다시 발매했는데, 원래 1985년에 "I Know Him So Well"이 삭감되었다.
생산
Streisand는 브로드웨이에서 활동을 시작했고, 그래서 이 앨범을 20년 동안 그 날의 대중음악을 녹음한 후, 다시 그녀의 뿌리를 찾는 것으로 생각했다. 스트레이샌드의 음반사인 컬럼비아 레코드는 팝송은 아니기 때문에 계획된 콘텐츠에 반대했지만, 스트레이샌드는 그녀의 커리어 초반에 더 낮은 수입에 대한 대가로 그녀에게 완전한 창조적 통제권을 주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시점에서 그녀는 그 계약으로 인해 "내가 부르고 싶은 노래를 부를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6]
그녀는 자신이 작곡한 음악 중 최고의 음악이자 가사로 간주하면서, 그녀가 존경하는 음악들을 매우 존경한다. 조지와 함께 공원에서 손드하임의 일요일의 리드 싱글인 "Putting It Together"는 음악 산업에서 예술과 상업의 이분법에 대한 내용으로 다시 쓰여졌다. 스트라이샌드는 적대적인 스튜디오 헤드들의 역할을 맡기기 위해 시드니 폴락 감독과 제펜 레코드의 데이비드 게펜을 고용했다. 스트레이샌드는 브로드웨이 쇼의 분위기를 포착하기 위해 전체 작품을 라이브로 녹화하고 싶었다. 많은 뮤지션들이 22년 전 Funny Girl에서도 연주를 했으며, 녹음 전 한 달간의 스테판 손드하임과의 리허설이 진행되었다.[7]
이 앨범의 커버 아트는 1985년 여름 뉴욕의 플리머스 극장에서 사진작가 리처드 코먼이 찍었다. 사용된 사진 외에도, 스테리샌드가 악보로 둘러싸인 무대 위의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코먼은 자리에 앉아 있는 그녀의 초상화를 추가로 촬영했다.[8]
리셉션 및 우등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 뮤직 | ![]() ![]() ![]() ![]() ![]()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A) 링크 |
로버트 크리스토퍼 | (C)링크 |
1993년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이 앨범에 대해 "아직도 자신이 노래하는 캐릭터들과 사랑에 빠질 만큼 최고의 가수 겸 배우의 작품이 더럽혀지지 않았다"고 향수 어린 눈으로 돌아봤다.[9] 발매 당시 글을 쓰면서 롤링 스톤은 비록 앨범이 자의식과 과잉 제작에 대해 비판한 후, 프란시스 데이비스 평론가는 "브로드웨이의 부귀가 어떤 것을 제공하는지, 그리고 스트레이샌드 I가 어떤 놀라운 가수를 제공하는지를 상기시켜주는 것으로만 한다면, 앨범이 어떻게든 작동한다는 것을 인정했다.그녀가 록스타로서 자신을 과시하려 하지 않을 때"[10]라고 말했다. 한때 롤링스톤과 함께 일했던 뉴욕 타임즈 리뷰어 스티븐 홀든은 앨범 발매 직후 스트레이샌드가 "평생 앨범이 될 수 있는 것을 막 발매했다"고 선언하면서 그러한 예약을 하지 않았다.[11] 이 앨범은 엔터테인먼트 위클리(Entertainment Weekly)가 선정한 '100개의 가장 위대한 CD' 순위에서 37위에 올랐다.[12]
이 앨범은 1986년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1위에 오르며 그 주에 21만 8천 장이 팔렸고 스트레이샌드에게는 "최고의 여성 팝 보컬 퍼포먼스"로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그것은 두 명의 성공적인 싱글 앨범을 출시했다. 리틀 나이트 뮤직의 "Send in the Crowns"는 "어덜트 컨템포러리" 차트에서 25위에 올랐다. 웨스트사이드스토리의 곡인 '썸어웨이'는 '어덜트 컨템포러리'에서 5위에 올랐고, '보컬리스트 동반 베스트 악기 편곡/베스트 배경 편곡'으로 프로듀서 데이비드 포스터에게 그래미상을 받기도 했다. 스트레이샌드의 회고 상자 세트인 Just for the Record의 라이너 노트에 따르면 이 앨범은 호주에서도 음반 인증을 받았다.[13]
트랙리스트
- "Puting It Together"(스텝 손드하임) – 4:20
- "If If Loved You"(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리처드 로저스) – 2:38
- 카루셀 출신
- "Something's Coming"(레오나드 번스타인, 손드하임) – 2:55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출신
- "내가 곁에 있을 때" (손드하임) – 3:29
- 스위니 토드 출신
- "Being Alive"(손드하임) – 3:23
- "I Have Dreamed" / "We Kiss in a Shadow" / "Something Wonder" (Hammerstein, Rodgers) – 4:50
- "아델라이드의 한탄"(프랭크 로서) – 3:25(CD 보너스 트랙)
- "광대를 들여보내라"(손드하임) – 4:42
- "예쁜 여자들" / "점심하는 여자들" (손드하임) – 5:09
- 스위니 토드 / 회사 출신
- "Can't Help Help Lovin' That Man"(Hammerstein, Jerome Kern) – 3:31
- 쇼 보트 출신
- "사랑해, 포기" / "포기, 난 이제 네 여자야 (베스, 넌 내 여자야)" (조지 거쉰, 아이라 거쉰, 뒤보스 헤이워드) – 4:35
- 포기와 베스 출신
- "어느 곳" (번스타인, 손드하임) – 4:56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출신
보너스 트랙
- "I Know He So Well" [세션 아웃테이크] (팀 라이스, 베니 안데르손, 비욘 울바에우스) – 4:14
- 체스 출신
인원
정보는 라이너 노트를 기반으로 한다.[14]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보컬, 편곡(1, 5, 9, 11)
- Randy Waldman – 신디사이저(1, 3, 8, 12), 키보드(12)
- Bob Esty – 키보드(6), 배열(6)
- 레트 로렌스 – 키보드 프로그래밍(6)
- 랜디 커버 – 어쿠스틱 피아노(8)
- David Foster – 키보드(12), 신디사이저(12), 배열(12)
- Bo Tomlyn – 신디사이저 프로그래밍(12)
- Michael Boddicker – 신디사이저 프로그래밍(12)
- 오스카 카스트로 네브스 – 기타(9)
- Neil Stubenhaus – 베이스(5)
- Chuck Berghofer – 베이스(7)
- Steve Schaeffer – 드럼 (5)
- 솔 구빈 – 드럼(7, 9)
- 파울리뉴 다 코스타 – 타악기(5, 9)
- 브라이언 오코너 – 프렌치 호른(2)
- 게리 허빅 – 알토 색소폰(5)
- 리처드 토드 – 프렌치 호른(8)
- 얼 더머 – 잉글리시 호른(8), 오보에(8)
- 스티비 원더 – 하모니카(10)
- Peter Matz – 준비(1, 2, 5, 9, 11), 지휘자(1, 2, 5, 7, 9, 10, 11), 조정(9, 10)
- Richard Baskin – 준비 (3)
- Jerry Hey – 경적 배열 (3)
- Jeremy Lubbock – 오케스트레이션 및 지휘자(4, 8), 현(6)
- Paul Jabara – 준비 (6)
- Sid Ramin – 오케스트레이션(7)
- 이스라엘 베이커 – 콘서트 마스터 (8)
- Conrad Salinger – 독창적인 오케스트레이션(10)
- 제럴드 빈치 – 콘서트 마스터 (10)
- 알렉산더 용기 – 오케스트레이션(11)
- 데이비드 게펜 – 성우 (1)
- 시드니 폴락 – 성우 (1)
- 켄 실크 – 성우 (1)
- Richard 페이지 – 백업 보컬(13)
인원
- Barbra Streisand – 프로듀서(1, 2, 5–11), 총괄 프로듀서, 마스터링 감독
- Peter Matz – 프로듀서 (1, 2, 5, 7, 9, 10, 11), 총괄 프로듀서
- 리처드 바스킨 – 프로듀서(3, 4)
- 밥 에스티 – 프로듀서(6)
- 폴 자바라 – 프로듀서 (6)
- 데이비드 포스터 – 프로듀서(12)
- 돈 한 – 녹음(1, 2, 4, 5, 7, 9, 10, 11), 리믹스(4)
- John Arias – 녹음(3, 6, 8), 리믹스(3, 6, 8, 10)
- 훔베르토 가티카 – 리믹스(1, 2, 5, 9, 11), 엔지니어(12)
- Benny Faccone – 보조 엔지니어(1-11)
- Greggg Jampol – 보조 엔지니어(1-11)
- Magic Moreno – 보조 엔지니어(1-11), 추가 엔지니어(12)
- 제프리 "우디" 우드러프 – 보조 엔지니어(12)
- Laura Livingston – 리믹스 어시스턴
- Jay Willis – 리믹스 조수
- Stewart Whitmore – 디지털 편집
- Stephen Marcocen – Presicion Mastering(캘리포니아 주, Hollywood)에서 마스터링.
- Kim Skalecki – 생산 조정
- Nancy Donald – 미술 방향, 디자인
- Tony Lane – 예술 방향, 디자인
- 리처드 코먼 – 사진
차트
주간 차트
| 연말 차트
|
인증 및 판매
지역 | 인증 | 인증 단위/판매 |
---|---|---|
오스트레일리아(아리아)[31] | 2× 플래티넘 | 140,000![]() |
캐나다(음악 캐나다)[32] | 2× 플래티넘 | 200,000^ |
네덜란드(NVPI)[33] | 금 | 50,000^ |
뉴질랜드(RMNZ)[34] | 백금 | 15,000^ |
영국(BPI)[35] | 금 | 100,000^ |
미국(RIAA)[36] | 4× 플래티넘 | 4,000,000^ |
미국(RIAA)[37] 비디오 롱폼 | 금 | 50,000^ |
^ 출하량은 인증만으로 계산된다. |
참조
- ^ http://barbra-archives.com/record/albums/broadway_album.html
- ^ http://barbra-archives.com/record/albums/broadway_album.html
- ^ 브로드웨이 앨범 올뮤직
- ^ 통합: IMDb의 브로드웨이 앨범 제작
- ^ 안녕, 맷 콤팩트 디스크: 신기술[1]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기록 보관소
- ^ Savage, Mark (4 August 2021). "Barbra Streisand: 'I've always had the right to sing what I want'". BBC News.
- ^ Ghostarchive 및 Wayback Machine에 보관:
- ^ http://barbra-archives.com/record/albums/broadway_album.html
- ^ 샌도우, 그렉. (1993년 6월 25일) 브로드웨이로 돌아가자. EW.com. 2007년 10월 18일에 접속.
- ^ 데이비스, 프란시스 (1986년 1월 16일 ~ ) 브로드웨이 앨범. 구르는 돌 2007년 10월 18일에 접속.
- ^ Holden, Stephen (November 10, 1985), "Barbra Streisand: 'This is the music I love. It is my roots'", The New York Times, pp. Late City Final Edition, Section 2, Page 1, Column 1
- ^ "100 GREATEST CDS A LOVE-IT-OR-LOATHE-IT GUIDE TO THE ESSENTIAL DISC LIBRARY".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2011-10-26.
- ^ 라이너 노트, C4K 44111 컬럼비아 레코드, 1991
- ^ 스트라이샌드, 바브라 브로드웨이 앨범. 컬럼비아 1985.
- ^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ISBN 0-646-11917-6.
- ^ "Austriancharts.at – Barbra Streisand – The Broadway Album"(독일어) 헝 메디엔. 2016년 3월 20일 회수.
- ^ "최고 RPM 앨범: 발행 0642". RPM. 캐나다 도서관 및 기록 보관소. 2016년 3월 20일 회수.
- ^ "Dutchcharts.nl – Barbra Streisand – The Broadway Album"(네덜란드어) 헝 메디엔. 2016년 3월 20일 회수.
- ^ "European Top 100 Albums" (PDF). Eurotipsheet. Vol. 3, no. 3. January 20, 1986. p. 15. OCLC 2980022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rch 8, 2021. Retrieved February 5, 2022 – via World Radio History.
- ^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Roppongi, Tokyo: Oricon Entertainment. 2006. ISBN 4-87131-077-9.
- ^ "Charts.nz – Barbra Streisand – The Broadway Album". 헝 메디엔. 2016년 3월 20일 회수.
- ^ "Swedishcharts.com – Barbra Streisand – The Broadway Album". 헝 메디엔. 2016년 3월 20일 회수.
- ^ "공식 앨범 차트 상위 100위" 공식 차트 회사. 2022년 2월 5일 회수
- ^ "Barbra Streisand Chart History(빌보드 200)" 빌보드. 2016년 3월 8일 회수.
- ^ "RPM Top 100 Albums of 1986". RP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4, 2012. Retrieved October 3, 2011.
- ^ "Jaaroverzichten – Album 1986" (in Dutch). Dutch Charts. Retrieved February 5, 2022.
- ^ "Top Selling Albums of 1986 — The Official New Zealand Music Chart". Recorded Music New Zealand. Retrieved February 5, 2022.
- ^ "Top 100 Albums (January to December 1986)" (PDF). Music Week. January 24, 1987. p. 25. ISSN 0265-1548 – via World Radio History.
- ^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1987". Billbo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8, 2021. Retrieved February 5, 2022.
- ^ 캐쉬 박스 잡지"The CASH BOX Year-End Charts: 198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4, 2012..
- ^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2021 Albums" (PDF).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Retrieved February 7, 2022.
- ^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Barbra Streisand – The Broadway Album". Music Canada.
- ^ "Dutch album certifications – Barbra Streisand – The Broadway Album" (in Dutch). Nederlandse Vereniging van Producenten en Importeurs van beeld- en geluidsdragers. "Artest of titel" 상자에 브로드웨이 앨범으로 들어가십시오.
- ^ "New Zealand album certifications – Barbra Streisand – The Broadway Album". Recorded Music NZ. Retrieved 1 March 2016.
- ^ 형식 필드에서 앨범을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Barbra Streisand – The Broadway Album".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선택하십시오. [인증] 필드에서 [골드]를 선택하십시오. "Search BPI Awards" 필드에 The Broadway Album을 입력한 다음 Enter 키를 누르십시오.
-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Barbra Streisand – The Broadway Album".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 ^ "American video certifications – Barbra Streisand – Putting It Together -- Making of the Broadway LP".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