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 코에트

Anne Koedt
앤 코에트
태어난1941년(80~81)
국적미국인의
직업급진적 페미니스트
로 알려져 있다.뉴욕 급진 페미니스트 공동창업자
주목할 만한 작품
질 오르가즘의 신화

앤 코에트(Anne Koedt, 1941년 출생)[1]는 미국의 급진적 페미니스트로서 뉴욕에 기반을 둔 여성 성애에 관한 고전적 페미니스트 작품인 [2]<질 오르가즘신화>의 작가다.[1] 그녀는 그룹 뉴욕 래디컬 위민스와 연결되었고 뉴욕 래디컬 페미니스트의 창립 멤버였다.[3]

어린 시절과 가족

코에드는 1941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인 봅스 코에트(안드레아스 페체크 코에트 출생)와 잉거 코에트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덴마크 저항군의 일원으로서 난민들스웨덴으로 밀입국할 수 있을 때까지 지하에 유대인들을 숨겨왔다. 그녀의 아버지는 덴마크 저항군 지도자들을 위해 여권을 위조했던 건축가 겸 사진작가였다.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에서 태어난 봅스는 코펜하겐 외곽에서 자랐다. 봅슬레이는 독일군에 체포되어 취조를 받고 나치 사령부로 보내졌지만 무사했다. 아버지의 미국 시민권 덕분에 코에트 가족은 미국으로 쉽게 이민을 갈 수 있었고 샌프란시스코에 정착했다. 우울증과 발작에 시달리던 그녀의 아버지는 80세 생일을 얼마 앞두고 자살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의 어머니는 와이오밍 주의 잭슨 홀에서 60년 넘게 살았다. 프로테스탄트 출신의 잉거는 잭슨 홀 유대인 공동체와 함께 활동했다.[4][5] 잉거는 2021년 8월 14일 10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는 테톤 카운티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주민들 중 한 명이었다.[6]

조직 중인

뉴욕 급진 여성, 이른 여성 주의 집단 가을에 시작되어, 1967년은 행동 주의를 겪은 후, 그런, 쓰기, 페미니스트적인 작품을 출판하면서,과 소그룹 consciousness-raising의 형태로 정치적 억압에 개인적인 문제를 연결하는 1968년 미스 아메리카 선발 대회를 방해하고 여성의 해방을 개척했다의 Koedt 창설 멤버다.[7] 1968년 말, 그녀는 또한 티 그레이스 앳킨슨에 의해 시작된 엄격한 페미니스트 분리주의 단체인 "페미니스트"를 공동 설립했다. 그녀는 쉴라 마이클스, 바바라 메호프, 파멜라 케론, 쉴라 크로넌을 포함했다. 1969년 코에트는 페미니스트를 떠나 슐라미스 파이어스톤과 함께 뉴욕 급진 페미니스트(NYRF)를 결성했다. NYRF(더 크고 나이 많은 뉴욕 급진적 여성들과 종종 혼동하지 않기 위해, 여전히 만나고 있었고, 멤버쉽이 유동적이고 종종 더 작은 그룹들과 중복되어 있는 뉴욕 급진적 여성들)은 과거의 저명한 페미니스트들의 이름을 딴 작은 세포나 "브레이지"로 조직되었다; Koedt와 Firestone은 Stanton-Antony 여단을 이끌었다. 1970년까지, NYRF 내의 갈등하는 파벌들은 그들이 설립한 그룹에서 Koedt와 Firestone을 모두 몰아냈고 Koedt는 나중에 "나는 그 이후에 그룹들과 함께 끝냈다"[8]고 언급하면서 조직적인 행동주의에서 물러났다.

"질 오르가즘 신화"

1968년 앤 코에트는 뉴욕 급진 여성 회원들의 급진-페미니스트 저널에 첫 해부터 노트라는 제목의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인 "질 오르가즘의 신화"를 발표했다.[9] 이 글에서 코에트는 거의 독점적으로 남성이었던 당시 대부분의 의학 및 정신분석학 전문가들이 갖고 있던 여성 성적인 쾌락에 대한 지배적인 이해에 솔직하게 도전했다. 특히 이 기사는 클리토랄 오르가즘을 '청소년'으로 깎아내리고 음부를 통해 달성한 오르가즘을 유일한 '자연' 형태로 본 여성 성애에 대한 프로이드적 지배적 설명을 문제 삼았다. 따라서 침투성 이성교제를 통해 오르가즘을 달성하지 못한 여성들은 전문계로부터 기능장애나 냉담하다는 딱지를 떼게 되었다. Koedt의 견해에 따르면, 이러한 접근방식은 이성간의 만족도 부족에 대해 여성들에게 부당한 비난을 가했고, 부정확하게 정상적인 여성 성기능을 병리적으로 만들었으며, 많은 여성들이 더 즐거운 성적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술을 탐구하기보다는 존재하지 않는 질병에 대해 불필요한 정신분석적 치료를 추구하도록 만들었다.e. 코에트는 그녀의 입장을 지지하여, 질보다는 클리토리스가 에로틱 자극의 일차적인 부위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알프레드 킨지마스터스 존슨 등의 최근 연구를 포함한 여성 해부학과 성반응에 관한 최신 연구를 정리했다. Koedt는 계속해서 남성 우월주의와 복종적인 역할로 여성을 유지하려는 충동이 여성 성리학을 둘러싼 잘못된 인식을 영속시키는 주된 원동력이라고 주장했다.

이 기사는 팸플릿 형태로 널리 유포되어 많은 지지자들이 독신주의를 옹호하거나 레즈비언주의를 여성의 이성애에 대한 긍정적인 대안으로 홍보하도록 고무되었다.[10] 다른 페미니스트 독자들은 특히 질 오르가즘을 경험했다고 증언한 여성들이 자신의 몸에 대한 교육 부족으로 혼란스러워하거나 남성 연인들의 자아를 불쾌하게 하지 않기 위해 "속였다"는 코에트의 주장을 문제 삼으며 더욱 비판적이었다.[11]

"여성과 급진주의 운동"

1968년 2월 17일, 코에트는 여성 해방과 여성의 전반적인 기본 개념을 바꾸기 위해 급진적인 여성들이 여성 혁명에서 해야 할 역할에 관한 연설을 했다. Koedt는 체계적인 변화를 옹호하며, 급진적인 여성들에게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형성하는 지배적/하위적 역학에 도전할 것을 촉구한다. 코에트(Koedt)는 여성문제와 여성해방을 흑인 권력투쟁과 유사한 점이 많은 사회정치적 이슈로 언급하고 있다. 코에트는 또한 남성 우월주의라는 주제와 사회 내에서 억압받는 집단으로서의 여성의 상태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에 대해 언급하면서 급진적인 운동 내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곳에서 여성을 위해 싸우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녀의 연설에서, Koedt는 급진적인 여성들이 역사와 여성들이 미국 혁명과 경제/소비에트 혁명과 같은 어떤 혜택도 얻지 못한 과거의 혁명으로부터 배울 것을 요구한다. 이 연설은 남성에게 여성에 대한 힘을 부여하는 사회의 기본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이 변화를 일으키려는 목적이지만 여성의 사회 지배적 지위로부터의 해방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 않는 어떤 혁명을 지지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짓는다. 자유의 이차적 특성을 개선하거나 일정한 특권을 얻기 위해서는 부족하지만, 진정한 급진적 혁명은 가부장적 사회 내에서 여성 억압의 기본 구조를 타파해야 한다.[12]

"첫해부터 노트"

뉴욕 래디컬 위민스는 1968년 작품 '첫해부터 노트(Notes From the First Year)'에서 코에트가 편집한 페미니스트의 글과 연설집 등을 편찬했다. 이 편찬에는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제니퍼 가드너, 캐시 아마티크, 코에트 자신이 쓴 글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코에트의 저술에는 1968년 2월 17일 뉴욕의 자유대학에서 그녀가 한 연설인 <질 오르가즘의 신화>와 <여성과 급진운동>이 포함되어 있었다.[13]

기타 글

1969년 12월 코에트의 에고의 정치, 뉴욕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을 위한 선언문은 2학년 때부터 노트에 처음 실렸고 이후 그녀의 문집인 급진적 페미니즘에 실렸다.[10] 이 성명서의 발췌문은 NYRF 우체국이 1989년에 문을 닫을 때까지 1976년 "뉴욕 급진 페미니스트 소개" 팸플릿의 일부로 계속 배포되었다.

코에트는 1972년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을 대신하여 3년차부터 노트 편집장이 되었다. 일부 페미니스트 단체들은 이전에 포함되었던 보다 급진적인 페미니스트 입장이 이번 제3판 중 편집되었다고 느꼈다.[14]

활동주의

1978년 코에트는 여성 언론자유연구소(WIFP)의 부연구원이 되었다.[15] WIFP는 미국의 비영리 출판 단체다. 이 기구는 여성들 간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대중을 여성에 기반한 미디어의 형태와 연결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선택한 작품

  • Koedt, Anne (1970). The myth of the vaginal orgasm. Somerville: New England Free Press. OCLC 2393445. 온라인 사용 가능
그리고 기사로서도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이 다시 인쇄됨:

참고 항목

참조

  1. ^ a b Gerhard, Jane (Summer 2000). "Revisiting "The Myth of the Vaginal Orgasm": the female orgasm in American sexual thought and second wave feminism". Feminist Studies. 26 (2): 449–476. doi:10.2307/3178545. JSTOR 3178545.
  2. ^ Joannou, Maroula (2000), "From The Golden Notebook", in Joannou, Maroula (ed.), Contemporary women's writing: from "The Golden Notebook" to "The Color Purple", Manchester, UK / New York, U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 40, ISBN 9780719053399. 미리보기
  3. ^ Echols, Alice (1989), "Appendix C: a guide to women's liberation groups (The Feminists)", in Echols, Alice (ed.),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 388, ISBN 9780816617876. 미리보기
  4. ^ "Centenarian feels lucky, is still enjoying life". Jackson Hole News & Guide. Retrieved 2019-10-22.
  5. ^ "Koedt still cooking as she nears 104". Jackson Hole News & Guide. Retrieved 2019-10-22.
  6. ^ "Longtime Jackson resident, Inger Koedt, dies at age 106". Jackson Hole News & Guide. Retrieved 2021-09-19.
  7. ^ 1999년, 20-21페이지, 다이얼 프레스, 수잔 브라운밀러의 "In Our Time: a revolution of a revolution"
  8. ^ Faludi, Susan (15 April 2013). "Death of a Revolutionary". The New Yorker. Retrieved 21 October 2016.
  9. ^ Koedt, Anne (1968). "The myth of the vaginal orgasm". Notes from the Second Year. OCLC 2265246.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웨이백 머신보관된 2016-05-13
  10. ^ a b Thompson, Denise (1991). Reading between the lines: a lesbian feminist critique of feminist accounts of sexuality. Spinifex Press. ISBN 9780646041964. 세부 사항
  11. ^ eck25 (14 June 2010). "A Reaction to Anne Koedt's "The Myth of the Vaginal Orgasm"". www.wstudies.pitt.edu. Gender, Sexuality, & Women's Studies Program, University of Pittsburgh. Retrieved 14 October 2015.
  12. ^ Koedt, Levine, Rapone (1973). Radical Feminism. Quadrangle/The New York Times Book Company. pp. 318–321.{{cite book}}: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13. ^ Koedt, Levine, Rapone (1973). Radical Feminism. Quadrangle/The New York Times Book Company. p. 318.{{cite book}}: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14. ^ Bouchier, David (September 1979). "The deradicalisation of feminism: ideology and utopia in action". Sociology. 13 (3): 387–402. doi:10.1177/003803857901300302. JSTOR 42853376.
  15. ^ "Associates The Women's Institute for Freedom of the Press". www.wifp.org (in American English). Retrieved 2017-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