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누스 6세

Constantine VI
콘스탄티누스 6세
로마 황제
Solidus Irene ConstantineVI (reverse).jpg
콘스탄티누스 6세 – 골드 솔리더스. 비문은 다음과 같다. 콘스탄티노스
비잔틴 황제
군림하다780년 9월 8일 – 797년 8월 19일
대관식776년[1] 4월 14일
전임자레오 4세
섭정아이린
후계자아이린
후계자샤를마뉴(청구)[2]
태어난771년 1월 14일
죽은805년 이전에
배우자암니아의 마리아
테오도테
이슈
디테일
왕조이사우리아어
아버지레오 4세
어머니아이린
이사우리아 왕조 또는 시리아 왕조
연대기
레오 3세 717–741
콘스탄티누스 5세와 함께 720–741.
콘스탄티누스 5세 741–775
751–775, 공동 엠퍼러로 Leo IV와 함께
아르타바스두스 강탈 741–743
레오 4세 775–780
콘스탄티누스 6세를 공동제국으로 776–780.
콘스탄티누스 6세 780–797
780–790의 아이린 아래, 792–797의 공동정거로 아이린 아래.
황후 이레네 797–802
계승
선행자
20년 무정부주의
그 뒤를 이어
나이키포리아 왕조

콘스탄티누스 6세(그리스어: κωσσαανῖνοςς, Konstantinos; 771년 1월 14일 - 805년[3] 이전)는 780년부터 797년까지 비잔틴 황제였다. 레오 4세 황제의 외동딸인 콘스탄티누스는 776년 5세의 나이로 그와 함께 공동 황제로 추대되었고, 780년 9세의 나이로 그의 뒤를 이어 단독 황제로 추대되었다. 그의 어머니 아이린은 790년까지 그의 섭정으로서 그녀의 수석 장관인 Staurakios의 도움을 받아 그를 통제했다. 콘스탄티누스가 성숙해지자 섭정은 끝났지만, 아이린네는 정부 참여를 계속하려고 했다. 콘스탄티누스는 몇 년간 독단적인 통치 끝에 792년 어머니를 황후로 임명하여 그녀를 그의 공식적인 동료로 만들었다.

콘스탄틴은 군사적인 패배를 당했고 그의 정부인 테오도테와 불법으로 결혼하는 등 논란이 많은 결정을 내렸다. 아들의 비인기를 틈타 아이린은 콘스탄티누스를 퇴위시키고, 797년 장님, 옥고를 치렀고, 스스로 권력을 장악하여 제국의 첫 왕후가 되었다. 콘스탄티누스는 그 직후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콘스탄티누스 6세는 로마 황제로 보편적으로 인정받은 최종 통치자였으며, 그가 동부에서 통치한 제국, 교황직과 교황직, 교황직서유럽권력 모두에 의해 그렇게 인정되었다. 비잔틴의 교황직 보호 능력은 아랍 정복 이후 쇠퇴하여, 교황직은 점점 더 프랑크족으로부터 보호를 받게 되었다. 이는 800년 프랑크 족의 권력과 지위를 신봉한 교황 레오 3세샤를마뉴를 '로마누스의 황제'로 추대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이는 여성이 자신의 권리에 따라 황후가 될 수 없다는 주장에 근거하여, 동양으로부터 독립된 신정치의 토대를 마련하여 신성로마제국으로 진화할 수 있었다.[4]

어린 시절과 아이린의 섭정

콘스탄티누스 6세는 황제 레오 4세와 아이린네의 외동딸이었다. 콘스탄티누스는 776년 아버지로부터 공동 황제로 즉위하였고, 780년 9세의 나이로 단독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의 소수파 때문에 아이린과 그녀의 수석 장관인 스타우라키오스는 그를 위해 섭정을 행사했다.[3]

787년 콘스탄티누스는 제2차 니케아 평의회의 법령에 서명하였지만, 그는 우상숭배적 동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3] 그때쯤 콘스탄틴은 16세가 되었으나 그의 어머니는 그에게 행정권을 양도하지 않았다.[citation needed]

788년 아이린 자신이 샤를마뉴의 딸 로트루드와 콘스탄티누스의 약혼을 파기했다. 샤를마뉴에게 등을 돌린 동로마인들은 이제 프랑크족의 이탈리아 침공 이후 강제로 망명하게 된 롬바르 프레데터 아달기스를 지지했다. 아달기스는 788년 말에 칼라브리아에 상륙하여 로마 원정대의 지휘를 받았으나, 위니게스 휘하의 프랑크 군대뿐만 아니라 스폴레토의 롬바르두케스 힐데프란드베네벤토의 그리모알드 3세의 연합군에게 패배하였다.[5]

790년 봄에 아이린에 대한 음모가 진압된 후 그녀는 황후로 공식 인정을 받으려고 시도했다. 이 역효과와 군사적 지원으로 콘스탄티누스는 마침내 790년 아르메니아 인들이 아이린에게 반란을 일으킨 후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칸반도에서 성공적으로 선거운동을 한 후 콘스탄틴은 겨우 2년 만에 정권을 잃고 792년 그의 어머니를 복직시켜 공동 선거인으로 만들었다.[6]

군림하다

콘스탄티누스는 일단 국가를 통제하고 나서 건전한 통치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의 군대는 이슬람교도들에게 패배했고 콘스탄틴 자신도 792년 마르첼레 전투에서 불가리아의 카담의 손에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다.[where?][3] 그의 삼촌인 카이사르 나이키포로스에게 유리한 운동이 전개되었다. 콘스탄티누스는 삼촌의 눈을 밖으로 내밀고 아버지의 다른 이복형제 네 명의 혀를 잘라버렸다. 그의 전 아르메니아 지지자들은 그가 그들의 장군 알렉시오스 모셀을 실명시킨 후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793년에 극도의 잔인함으로 이 반란을 진압했다.[3]

이어 자신에게 남자 후계자를 제공하지 못한 암니아의 아내 마리아와 이혼하고, 정부 테오도테와 결혼해 이른바 '무치안 논란'을 촉발시킨 인기 없고 성적으로 불법적인 행위였다. 비록 총대주교 타라시오스가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그는 결혼 주례를 거절했다. 테오도테의 삼촌인 삭쿠디온의 플라톤이 그의 소극적인 자세 때문에 타라시오스와 교감까지 깨뜨린 것에 의해 대중의 불찬성이 표출되었다. 플라톤의 비타협적인 태도는 자신의 투옥으로 이어졌고, 그의 수도원 지지자들은 박해를 받아 테살로니카로 유배되었다. '무취안 논란'으로 콘스탄틴이 남긴 인기는 무엇이었는지, 특히 교회 설립에서 아이린이 자신의 아들을 상대로 소리 높여 지지하기 위해 신경을 썼다.[3][7][8]

797년[a] 8월 19일 콘스탄틴은 음모를 꾸민 어머니의 지지자들에 의해 붙잡혀 이 멀고 투옥되어 아이린네는 콘스탄티노플 섭정 첫 황후로 등극하게 되었다. 정확히 언제 콘스탄티누스가 죽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805년 이전은 분명했지만, 그는 눈이 멀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상처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는 성 수도원에 묻혔다. 아이린이 세운 유프로시네.[3][7][11]

820년대 초, 반역자 토마스 슬라브인마이클 2세에 대한 지지를 얻기 위해 콘스탄티누스 6세를 자처했다.[12]

가족

반대: 레오 4세는 그의 아들과 함께 콘스탄티누스 (VI)를 공동제독했다. 역: 그의 할아버지 레오 3세와 그의 아버지 콘스탄티누스 5세.

첫 번째 부인 마리아에 의해 콘스탄티누스 6세는 두 딸을 낳았다.[13]

  • 유프로시네(790년 – 836년 이후)는 미카엘 2세와 결혼했다.
  • 수녀가 된 아이린(789년 – 796년 7월 이후)

콘스탄티누스 6세는 그의 정부와 그 후 둘째 부인 테오도테에 의해 두 아들을 낳았는데, 두 아들 모두 젊은 나이에 죽었다.[13]

  • 레오(796년 10월 7일 – 797년 5월 1일)
  • 이름을 밝히지 않은 아들(추후 797/8 – 802 ~ 808)

참고 항목

메모들

  1. ^ 옥스퍼드 비잔티움 사전은 4월 19일을 주지만 이는 실수인 것 같다. ODB의 주요 출처 중 하나인 필립 그리슨 & 시릴 망고의 "비잔틴 황제의 톰스와 오비츠"는 8월 19일을 가리킨다. 그의 연대기에서, Theophanes the recheror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그들은 8월 15일 토요일 아침에 시에 도착했다." 15일은 화요일이었기 때문에 정확한 날짜는 8월 19일이 될 것이다.[9][10]

참조

  1. ^ PBW, "콘스탄티노스 6세"
  2. ^ https://www.gutenberg.org/files/44101/44101-h/44101-h.htm 황제 및 교황의 연대기 표.
  3. ^ Jump up to: a b c d e f g 커틀러 & 홀링스워스(1991), 페이지 501–502
  4. ^ 제임스 브라이스, 제1회 브라이스, 신성로마제국, 1864년, 페이지 62–64
  5. ^ 오토리노 베르톨리니, 「아델치, 레 디 롱고바르디」, 디지오나리오 바이오그라피코 데글리 이탈리아어 1호(1960년).
  6. ^ "콘스탄틴 6세 (780–797)", 덤바튼 오크스
  7. ^ Jump up to: a b 트레드골드(1997), 페이지 422
  8. ^ 갈랜드(1999), 페이지 84-85
  9. ^ Mango, Cyril A., ed. (1997). "A.M. 6289". The Chronicle of Theophanes Confessor.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25683.
  10. ^ Grierson, Philip; Mango, Cyril; Ševčenko, Ihor (1962). "The Tombs and Obits of the Byzantine Emperors (337–1042); With an Additional Note". Dumbarton Oaks Papers. 16: 54–55. doi:10.2307/1291157. ISSN 0070-7546. JSTOR 1291157.
  11. ^ 갈랜드(1999), 페이지 85–87, 260 (주 67)
  12. ^ 트레드골드(1997), 페이지 435
  13. ^ Jump up to: a b Crawley, Charles (29 May 2014). "BYZANTIUM 395–1057". Medieval Lands (3rd ed.). Retrieved 17 April 2018 – via Foundation for Medieval Genealogy.

원천

콘스탄티누스 6세
출생:771년 1월 14일 사망: 805년 이전
섭정 직함
선행자
레오 4세
비잔틴 황제
780년 9월 8일 – 797년 8월 19일 (아이린과 함께)
성공자
아이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