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라클로나스
Heraclonas헤라클로나스 | |||||
---|---|---|---|---|---|
로마 황제 | |||||
![]() | |||||
비잔틴 황제 | |||||
군림하다 | 641년 2월~10월/11월 | ||||
대관식 | 638년 7월 4일 | ||||
전임자 | 헤라클리우스 | ||||
후계자 | 콘스탄스 2세 | ||||
공동 엠페러 | 콘스탄티누스 3세 (641년 5월까지) 티베리우스 (641년 10월) | ||||
태어난 | 626년 5월 3일 라치카 | ||||
죽은 | 642년(15-16세) 로즈 | ||||
| |||||
왕조 | 헤라클리아 왕조 | ||||
아버지 | 헤라클리우스 | ||||
어머니 | 마르티나 | ||||
종교 | 찰케도니아 기독교 |
헤라클리아 왕조 | ||
---|---|---|
연대기 | ||
| ||
계승 | ||
| ||
헤라클리오스와 그의 조카 마르티나의 아들은 작지만 헤라클로나스나 헤라클로나스(그리스어: αραε[ε]ωνᾶ])로 알려져 있으며,[2] 헤라클리오스 2세로서 더 드물게 헤라클리오스와 그의 조카 마르티나의 아들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유언장에 그의 아들 헤라클로나스와 콘스탄티누스 3세 모두 그의 죽음에 대해 공동으로 통치해야 한다고 명기했었다. 헤라클리우스는 또한 아내 마르티나를 법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한 "어머니와 황후"라고 부르도록 명시했다.[3]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641년 2월 부종으로 사망했다. 마르티나가 고인이 된 황제의 유언장을 공표했을 때, 그녀는 정부에서 어떤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지만, 641년 2월 헤라클로나스와 콘스탄티누스 모두 무사히 공동 황제로 선언되었다. 641년 4월/5월 콘스탄티누스가 결핵으로 사망한 후, 헤라클로나스는 젊은 나이 때문에 어머니의 섭정을 받아 단독 황제가 되었다. 그는 641년 4월/5월 – 10월/11월, 콘스탄티누스 3세의 아들인 콘스탄스 2세를 설치한 아르메니아 추출물의 장군이자 약탈자인 발렌티누스에 의해 전복되어 통치하였다. 발렌티누스는 헤라클로나스의 코를 잘라낸 다음 로도스로 유배시켰고, 그 다음 해에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어린 시절과 가족
헤라클로나스는 626년 5월 3일 소피아내 교외 궁전에서 태어났다. 헤라클리우스 황제와 그의 조카 부인 마르티나의 아들이었으며,[4][5][6] 헤라클리우스가 동쪽에서 아랍인들을 상대로 캠페인을 벌이던 중에 태어났다.[7]
헤라클리우스 휘하에서 639년 메소포타미아 테마가 공물을 바치지 못해 비잔틴 제국이 아랍인들에 의해 침략당했다. 에데사와 다라의 도시들은 금방 잡혔다. 같은 해 '암르 ibn al-As'가 이끄는 또 다른 아랍인 집단이 비잔틴 이집트를 침공했다. 그는 이집트의 해안 도시들을 재빨리 점령했지만, 요한이 이끄는 비잔틴 세력의 완강한 저항 때문에 나일강을 건널 수 없었다. 존과 '암르'의 피비린내 나는 전투 끝에, '암르는 라시둔 칼리프 우마르에게 더 많은 병력을 요청하도록 강요당했다. 존은 이집트의 주요 요새인 바빌론 요새 주변에 병력을 집결시킨 또 다른 장군 테오도르에 의해 대체되었다. 640년 여름까지 '암르'의 병력은 약 1만 5천 명으로 불어났다.[8] 이 자들과 함께 '암르는 바빌론 북쪽의 테오도르를 단호히 격파한 뒤 요새를 포위했다.[9]
인생
헤라클로나스는 630년 헤라클리우스에 의해 카이사르가 되었고,[7] 638년 7월 4일 다프네 궁전의 세인트 스테판 예배당에서 카이사르가 된 동생 다윗과 함께 공동 엠페러로 승격되었다.[10][11][7] 헤라클로나스의 카멜라우키온(세사르 모자)을 머리에서 떼어내고 황제로 교체했다는 데포르테오니스의 묘사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같은 카멜라우키온을 데이빗의 머리 위에 올려놓았다.[10][12]
헤라클리우스는 641년 2월 11일 부종으로 사망하여 제국을 그의 장남 콘스탄티누스 3세와 헤라클로나스에게 공동으로 맡겼으며,[13][9][14] 이들은 모두 641년 5월 말에 황제로 선포되었다.[13] 그가 공동황제로 즉위할 당시 헤라클로나스는 15세에 불과했던 반면 콘스탄티누스는 28세나 29세로 사실상 콘스탄티누스에게 실권을 주었다. 헤라클로나스는 많은 사람들이 불법이라고 느꼈던 숙부와 조카의 결혼인 격언 결혼의 결과였기 때문에, 비잔틴 대중들의 상당수는 헤라클로나스를 서자로 만들었다. 콘스탄티누스의 열 살짜리 아들 콘스탄스 2세가 콘스탄티누스, 헤라클로나스와 나란히 오르지 못해 가능하면 아버지에서 장남으로 원로직을 승계하는 전통을 깼다는 점도 불쾌하게 여겨졌다. 또한 상승이 부족했기 때문에 후계자 승계 작업에서 완전히 배제될 수도 있었다고 생각되었다.[5][14]
콘스탄티누스가 왕위에 오른 직후, 그는 재무장관 필라그리오스로부터 헤라클리우스가 마르티나를 위해 비밀 자금을 조성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피루스 총대주교가 관리했다. 콘스탄티누스는 이 계좌를 압류하여 춘제 군납 예산에 충당하기 위해 사용했는데, 이 계좌는 급여의 절반을 차지하는 전통적인 기부금과 함께 총 201만 6천 명의 유목민이다.[15][16] 콘스탄티누스는 적어도 이집트 해안선을 유지하려는 바람으로 발렌티누스를 주동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비잔틴 장군 테오도르는 여전히 아랍의 공격을 물리칠 수 없었다. 콘스탄티누스는 알렉산드리아의 키로스를 불러들여 이집트 총독으로 임명하고 알렉산드리아를 보강할 준비를 하라고 지시했다. 이 침공이 일어나기도 전에 바빌론은 아랍인들에게 항복하여 그들이 알렉산드리아를 포위할 수 있도록 하였다.[16]
헤라클리우스의 유언에도 마르티나는 어머니로서, 황후 섭정을 받아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었지만, 이 부분은 원로원에 의해 거부당했다. 헤라클로나스의 젊은 나이 때문에 마르티나는 그를 통솔하면서 콘스탄티누스의 정책에 일관되게 반대하여 두 개의 다른 정파를 탄생시켰다. 콘스탄티누스의 파벌은 초기에는 둘 중 더 강력했지만, 이러한 통제는 경제가 침체되고 이집트가 아랍인들에게 패배하면서 약화되었다. 직후인 641년 4월 24일이나 5월 25일 콘스탄티누스의 일부 지지자들은 마르티나가 자신에게 독약을 먹였다고 주장했지만 콘스탄티누스는 마르티나의 섭정하에 헤라클로나스를 단독 통치자로 남겨두었다.[14][17][18][19][7]
단독규율과 가을
마르티나는 콘스탄티누스의 계획을 유지했고, 키로스를 알렉산드리아로 보냈는데, 찬미군의 상당 부분이 있었다. 그런 다음 그녀는 그들을 대신하기 위해 트라키아 군대를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불러들였다.[16][20][21] 이 무렵 마르티나의 영향력 있는 조언자였던 총대주교 피루스(Pyrhus)가 단조주의 정책을 부활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정책의 결과, 일신인 키로스는 알렉산드리아의 시야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아 그에게 종교적, 세속적 통제권을 모두 부여했다. 마르티나는 키로스에게 아랍인들이 군사적으로 그들을 이길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들과 협상을 시도하라고 지시했다.[14] 키로스는 바빌론 요새에서 'Amr'를 만났고 그곳에서 이집트가 아랍인들에게 항복하는 것에 동의했다.[22]
마르티나는 아나톨리아에서 손이 닿지 않는 발렌티누스의 반대에 부딪혔지만, 그의 후원자인 필라그리우스를 아프리카로 추방했다.[16][20][21] 헤라클로나스와 마르티나는 마르티나가 콘스탄티누스를 독살했다는 소문과 단설주의 지지로 인해 비잔틴 원로원과 사람들의 지지를 잃었다.[14] 또한 이 시기에 헤라클로나스와 마르티나의 군대와의 관계는 마르티나가 콘스탄티누스가 준 기부금에 걸맞게 충분한 자금을 조달하지 못한 결과로 어려움을 겪었다.[16][20][21]
641년 8월 발렌티누스는 자신의 군대를 찰세돈으로 진군시켜 마르티나를 강제로 콘스탄스 2세를 공동제국으로 격상시켰다. 발렌티누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보스포루스 강을 가로질러 진을 치고 있는 동안, 한 폭도들이 시내에서 일어나 피루스 왕관 콘스탄스 2세를 황제로 추대하고 [16][20][21]퇴위할 것을 요구하였다. 마르티나는 지금 정말 절박한 상황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군부에 더 많은 헌금을 제안하고, 아프리카에서 온 필라그리우스를 회상하며 발렌티누스에게 엑소버터스 백작의 칭호를 제의했다.[16][19] 9월 말/10월 말에 마르티나는 콘스탄스를 공동 엠페러로 승격시켰지만 헤라클로나스의 형제 마르티노스와 다윗도 왕위에 올랐다.[6] 이러한 제의에도 불구하고 발렌티누스는 10월/11월에 이 도시에 입성하여 [c]헤라클로나스와 마르티나를 폐위시킨 다음 콘스탄스를 황제로 승격시켰다.[16][19][26][7] 발렌티누스는 여자와 아이를 죽이려 하지 않았으나 642년 1월 마르티나의 혀가 잘리고 헤라클로나스의 코가 잘려나간 뒤 로도스로 추방했다.비잔틴 포로들의 정치적 분해가 그 사람이 더 이상 정치적 권력을 가질 수 없음을 나타내는 데 이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생각된다.[14] 이 후로는 헤라클로나스가 642년 로도스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6][19][27][7] 그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28]
메모들
- ^ 헤라클로나스의 동전은 콘스탄티누스라는 이름만 사용하지만,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대부분의 공식 문서들은 헤라클리오스라는 이름만 사용하므로, 그의 현대적인 번호 매기는, 주어진다면 헤라클리오스 2세라는 이름만 사용한다. 그러나 이 동전들은 콘스탄스 2세의 통치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
- ^ 그의 개인적인 이름은 때때로 그를 "젊은 콘스탄틴"이라고도 부르는 고백자 테오파네스의 권위에 따라 "콘스탄틴 헤라클리오스"로 불리기도 한다.[2]
- ^ 이것은 10월 1일 폴의 당선 후 어느 정도 일어났을 것이다.[19][18] 트레드골드는 크로니콘 알티네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641년 11월 5일에 허스클로나스가 퇴위되었다고 주장했다.[18] 스트라토스는 642년 1월을 선호했지만, 이것은 헤라클리우스의 죽음을 641년 3월에 놓아야 할 것이다.[23] 오스트로고르스키는 641년 9월에 주지만,[3] 그는 몇 가지 모순된 설명을 섞음으로써 그러한 결론에 도달한다.[24] 마르티나의 몰락은 보통 641년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7][14][19][25]
참조
일차 출처
인용구
- ^ a b Foss 2005, 페이지 96.
- ^ a b 벨린저 & 그리슨 1992 페이지 389.
- ^ a b 오스트로고르스키 1969 페이지 112–114.
- ^ 개기 2003, 페이지 324.
- ^ a b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307.
- ^ a b c PmbZ, 헤라클로나스 (#2565/corr.
- ^ a b c d e f g 존스, 마틴데일 & 모리스 1992 페이지 588.
-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305.
- ^ a b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306.
- ^ a b 개기 2003, 페이지 265–266.
- ^ 스트라토스 1972, 페이지 140.
- ^ Reiskius 1829, 페이지 627–628.
- ^ a b PmbZ, 헤라클로나스 (#2565/corr.
- ^ a b c d e f g 무어.
-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308.
- ^ a b c d e f g h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309.
-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308–309.
- ^ a b c 트레드골드 1990, 페이지 431–433.
- ^ a b c d e f 벨린저 & 그리슨 1992 페이지 390.
- ^ a b c d 스트라토스 1980, 페이지 88.
- ^ a b c d 스트라토스 1980, 페이지 179.
- ^ 존스, 마틴데일 & 모리스 1992 페이지 378.
- ^ 스트라토스 1972, 페이지 201.
- ^ 스트라토스 1972, 페이지 220–222.
- ^ 치솔름.
- ^ 카즈단 1991 페이지 496.
-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310.
- ^ 카즈단 1991, 페이지 918.
- ^ 폰테인 2004, 페이지 42.
참고 문헌 목록
- Bellinger, Alfred Raymond; Grierson, Philip, eds. (1992). Catalogue of the Byzantine Coins in the Dumbarton Oaks Collection and in the Whittemore Collection: Phocas to Theodosius III, 602-717. Phocas and Heraclius (602–641). Vol. 2. Dumbarton Oaks. ISBN 978-0-884-02024-0.
- Fontaine, P.F.M. (2004). The Light and the Dark: A Cultural History of Dualism. The dualism in byzantine history, 638-1453 and in the East-West relationship of the Middle ages. Groningen: J.C. Gieben. ISBN 978-9-051-79134-1.
- Foss, Clive (2005). "Emperors named Constantine". Revue numismatique. 6 (161): 93–102. doi:10.3406/numi.2005.2594.
- Jones, Arnold Hugh Martin; Martindale, J. R.; Morris, J. (1992). The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ume 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0160-8.
- Kaegi, Walter E. (2003). Heraclius: Emperor of Byzantiu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1459-1.
- Kazhdan, Alexander P. (1991).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4652-6.
- Lilie, Ralph-Johannes; Ludwig, Claudia; Pratsch, Thomas; Zielke, Beate (2013). "Heraklonas". Prosopographie der mittelbyzantinischen Zeit Online. Berlin-Brandenburg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Nach Vorarbeiten F. Winkelmanns erstellt (in German). Berlin and Boston: De Gruyter.
- Moore, R. Scott (1996). "Heraklonas (April/May - September 641 A.D.)". De Imperatoribus Roman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19. Retrieved 25 July 2019.
- Ostrogorsky, George (1969).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New Brunswick, New Jersey, U.S.A.: Rutgers University Press. ISBN 0-8135-0599-2.
- Reiskius, Io. Iac. (1829). Constantini Porphyrogeniti Imperatoris De Cerimoniis Aulae Byzantinae Libri Duo (in Latin). Bonn: Bonnae Impensis Ed. Weberi.
- Stratos, A. N. (1980). Byzantium in the Seventh Century: Justinian II, Leontius and Tiberius 685-711. Amsterdam: Hakkert. ISBN 978-9-025-60852-1.
- Stratos, Andreas N. (1972). Byzantium in the Seventh Century II: 634–641. Amsterdam: Hakkert.
- Treadgold, Warren (1990). "A Note on Byzantium's Year of the Four Emperors (641)". Byzantinische Zeitschrift. 83. doi:10.1515/byzs.1990.83.2.431.
- Treadgold, Warren (1997).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2630-6.
추가 읽기
-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이 글에는 현재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헤라클로나스와 관련된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