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베스탄에 마자헤프
Dabestan-e MazahebThe Dabestān-e Mazāheb (Persian: دبستان مذاهب) "school of religions" is a Persian language work that examines and compares South Asian religions and sects of the mid-17th century. 저자가 불확실한 이 작품은 아마도 1655년경 CE에 작곡되었을 것이다. 본문의 제목은 또한 Dabistan-i Mazhib, Dabistan-e Madahib 또는 Dabestan-e Madaheb으로 번역된다.
본문은 1581년 이후 무굴 황제 잘랄 우드-딘 무아함마드 아크바르("Akbar the Great")가 제창한 싱크로트 종교인 Dīn-i Ilahī에 관한 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 문제를 일으킨 Ibadat Khanana 논의 중 가장 믿을 만한 설명일 것이다.
저자
저자를 Mīr Du'l-feqar Ardestanī(몰라 모우바드라고도 한다)로 식별하는 여러 원고가 발견되었다.[1] 미르 둘피카르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 작품의 작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
그러나 이 원고들이 발견되기 전에 윌리엄 존스 경은 저자를 모신 파니 카슈미르라고 확인했다.[2] 1856년, Keykosrow b. Kavus라는 이름의 파르시는 아자르 케이반의 아들인 Khosrow Esfandiyar를 저자로 주장했다.[1]
에디션
이 작품은 1809년 나자르 아슈라프가 캘커타에서 가동 활자로 매우 정확한 판으로 처음 인쇄했다(이 판의 오프셋 재인쇄는 1982년 테헤란 출신의 알리 아스하르 무스타파위에 의해 출판되었다). 이브라힘 빈 누르 무함마드가 AH 1292년(1875년) 봄베이의 판본을 출간했다. 1877년, 문시 나왈 키쇼레는 럭나우에서 온 또 다른 리토그래프 판을 출판했다. 페르시아의 저명한 학자 프란시스 글래드윈은 페르시아인에 관한 장을 영어로 번역하여 1789년 캘커타에서 출판하였다. 1809년 우르츠부르크의 E. 달버그가 쓴 독일판이 출판되었다. Raushanyas에 관한 장은 J. Leyden에 의해 아시아 연구, Xi, Calcutta에 영어로 번역되었다. 전 작품은 다비드 시아와 앤서니 트로이어가 런던에서 3권으로 '다비스탄 또는 매너 스쿨 오브 매너'(The Dabistan or School of Passences, 1843)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했다.[3]
저자는 파트나, 카슈미르, 라호르, 수랏, 스리카쿨람(안드라프라데시)에서 시간을 보냈다고 설명한다. 그는 학식과 호기심이 많은 사람으로 인식되며, 그의 시대적 맥락에 대해 극도로 열린 마음을 가진 사람으로 인식된다. 그는 수많은 신앙을 가진 학자들과의 수많은 인터뷰를 언급하는데, 이는 그가 잘 연결되어 있었음을 시사하며, 그래서 Dīn-i Ilahī에 대해 보고할 자격이 있음을 시사한다.
로저 카메네츠가 쓴 '연꽃 속의 유대인'에 따르면 다비스탄인은 무굴 신비의 왕자 다라 시코에게 의뢰를 받았다. 유대교에 관한 부분은 페르시아계 유대인인 사르마드 카샤니(Sarmad Kashani)와 신드 출신의 힌두교 제자에 의한 번역으로 구성되어 있다.[4] Walter Fischel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따라서 다비스탄 사르마드의 매체를 통해 수피크적 혼합을 통해 비록 유대인의 사상이 당대의 인도의 종교적 구조로 침투하는 통로가 되었다.[5]
다비드 셰아(1843)의 다비스탄 영어판은 인도 IISc 디지털도서관에서 볼 수 있다.[6]
개요
본문은 12개의 태림(채프터)으로 나뉜다.
- 제1장. 페르시아의 종교적 전통.
- Sipásíán, Jemsháspián, Samrádíán, Khodáníán, Rádían, Shídrangíán, Pykeríán, Miláníán, Aláríán, Shídábíán, Akhshíán, Zerdushtián (Zoroastrian), Mazdakíán.
- 제2장. 힌두교
- 스마티(스마르타 전통), 베단타산키야, 조기스(요가), 삭티안(샤크타), 비슈누(비슈누), 차르바키안, 타르키칸, 보다(실제 자인), 그리고 여러 새로운 종파를 포함한다.
- Sanyási, Avaduta, Jangama, Sufi-Hindus (Madárían, Jelalían, Kakan), Yógi, Narayaní (Gosáin Haridas), Dadu Panthi, Píára panthi, Gosáin Jáni, Surya-makhan, Chandra bhakta, Pavana bhakta, Jala bhakta, Prithivi bhakta (earth worshippers), Manushya bhakta (humanists), Nanak-Panthi (Sikh).
- 스마티(스마르타 전통), 베단타산키야, 조기스(요가), 삭티안(샤크타), 비슈누(비슈누), 차르바키안, 타르키칸, 보다(실제 자인), 그리고 여러 새로운 종파를 포함한다.
- 제3장. 불만족스러운 번역에서 배운 케라 타비티안(티베탄 불교)이다.
- 제4장. 야후드(Jews)는 유대인으로 태어나 유대인도 무슬림도 힌두교도도 아닌 자신을 수피 사르마드 카샤니에게서 배운 대로다.
- 제5장. 타르사 (기독교인)
- 6장. 무함메단(무슬림족)
- 제7장. 사다키아는 무함마드의 현대인 무사이리마가 창시했다.
- 8장. 바하디아(유니타리아인)는 바헤드 마흐무드가 세운 중앙아시아 종교다.
- 제9장. 로셰니안(로샤니야)은 피르 로샨이 세운 중앙아시아 종교다.
- X장. 일라히아(딘에일라히).
- 챕터 XI. 와이즈(헬레닉 전통을 연구한 철학자)
- 챕터 XII장. 수피아(수피스).
제2장은 시크교도들의 가장 초기 역사적 이야기 중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참조
- ^ [https://www.jstor.org/stable/44147678 DABESTAN-E-MAZAHB, 카림 나자피 바제가르, 인도 역사 회의의 절차 2009-2010, Vol. 70(2009-2010), 페이지 318-328의 미발견 사본 소개]
- ^ 알리, M. 아타르(2008) 무할 인도, 뉴델리: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ISBN0-19-56661-1, 페이지.216-28
- ^ 중세 인도의 모굴 황제 궁정에서의 유대인과 유대교, 월터 J. 피셸, 미국 유대인 연구 아카데미 회보 18권 (1948 - 1949), 페이지 137-177
- ^ 카메네츠 페이지 249
- ^ [1] 웨이백 머신에 2011-07-19 보관
외부 링크
- 패커드 인문 연구소의 쉬와 트로이어에 의한 번역, 또한 다베스탄-에 마다헤브 또는 '종교 교리의 학교'에서 번역
- 쿠다 바크시 동양 공공도서관의 본문 사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