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간어족
Dagan languages다간 | |
---|---|
메네오 산맥 | |
지리적 분배 | 파푸아 뉴기니 남동부 반도 메네아오 산맥: 중부 주 및 밀른 베이 주 |
언어분류 | 트랜스-뉴기니
|
글로톨로그 | daga1274 |
다간어족 또는 메네아오 산맥어족은 본토 최동단 파푸아어족인 뉴기니의 '새꼬리어족'(남동반도)의 메네아오 산맥에서 사용되는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작은 어족이다.트란스-뉴기니 남동부 파푸아 분기에 속하는 여러 작은 과 중에서 가장 분화한다.
언어들
언어는 다음과 같습니다.[1]
분명히 관련이 있지만, 그들은 특별히 가까운 사이는 아니다.예를 들어 우마나카이나와 기누만은 어휘적으로 23%밖에 유사하지 않다.
대명사
Usher(2020)는 대명사를 다음과 [2]같이 재구성한다.
sg pl 1 *n[e/a] *누 2 *g[e/a] *j[e/a] 3 *나 *mV
어휘 비교
다음은 트랜스-뉴기니 데이터베이스에 [3]인용된 SIL 필드 노트(1965, 1967, 1973년)의 기본 어휘이다.
광택을 내다 다가 디마 마이와 머리 나는 그랬다 언아 기운와w 머리 이구메와 데바 구마와 귀 다리네와 taii(na) 나나와u 눈동자 야메와 야마나 야오간와 코. 기네와 가이아나 지나와 이빨 노드네와 와리(na) 도나와 혀 무리와 페파(na) 페다나와ht 다리 와나 아이라니와 이 쿠이신 이구 기신wh 개 eao 케가와 쿠에야오whu 돼지. 투안 보로 '부이 새 nnip 미디와리 nenip; vehh'tu 에그 바구아 도도피 갓토다코렉바기와 피 다이너프 타와야나 di 뼈. 카메와 (e)레귤라 마나타와 피부. § piwa 이토나 코아피와hh 유방. 아메와 아마 am 트리 오마 나 i;ioma 남자 동작하다 apana apan; a'phan 여자 oen 와이나 베신 태양. 암 가부다라 금;금h 달빛 시라감 데디 의무; 의무h 물. 카움 오오 ioi; 요i 불 오마 아레마 야마가와 돌멩이 agim 아키마 agim; 'agim' 도로, 경로 나이긴 아이야와 【부】【부】【부】【부】 이름. 야오아 이와니 i'vi 와 먹는다 나이완 나이위 하나. 다이톤 다이이다 데지롬 두명 dr uri 두암
진화
트랜스뉴기니조어(pTNG)의 Dagan reflects 어원:[4]
다가어:
- ama 'filen' < *amu
- meri (nawa) 'signed' < *me(l,n)e
- ira '트리' < *inda
가나시어:
- asi '귀' < *kand(e,i)k(V)>
- etepa 'skin' < * (412g,k)a (nd,t)apu 'skin'
- 오보사 '바람' < * 쿰부투
- 오만 '스톤' < *ka(m,mb)u[CV]
- nene '새' < *n(e)i
레퍼런스
- 메모들
- ^ New Guinea World – 메네오 산맥
- ^ 뉴기니 월드, 오웬 스탠리 산맥
- ^ Greenhill, Simon (2016). "TransNewGuinea.org - database of the languages of New Guinea". Retrieved 2020-11-05.
- ^ Pawley, Andrew; Hammarström, Harald (2018). "The Trans New Guinea family". In Palmer, Bill (ed.).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The World of Linguistics. Vol. 4. Berlin: De Gruyter Mouton. pp. 21–196. ISBN 978-3-11-028642-7.
- 원천
- Ross, Malcolm (2005). "Pronouns as a preliminary diagnostic for grouping Papuan languages". In Andrew Pawley; Robert Attenborough; Robin Hide; Jack Golson (eds.). Papuan pasts: cultural, linguistic and biological histories of Papuan-speaking peoples.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pp. 15–66. ISBN 0858835622. OCLC 67292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