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쿠어족

Skou languages
스쿠
스코
바니모 코스트
지리학
분배
바니모 인근 북부 뉴기니 해안
언어구분노스웨스트 파푸안?
  • 스쿠
소분류
글로톨로지skoo1245

스코어 또는 스쿠어족주로 파푸아뉴기니산다운바니모 해안을 따라 약 7000명이 사용하는 소어족으로, 일부는 이 지역에서 내륙으로, 적어도 인도네시아 파푸아 주(이리안 자야로 알려져 있다)에서 국경을 넘어 한 개 이상이다.

유형학

Skou 언어는 파푸아어 중에서 톤으로 특이한데, 모든 Skou 언어는 대조적인 톤을 가지고 있다.[1]예를 들어, Vanimo높은 음, 중간 음, 낮은 음의 세 가지 음색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Skou 언어에서 톤 대비를 나타내는 최소 집합 예:[1]

  • I'aka: ẽyH 'louse', weeL 'butterfly', weeLH 'house', weeHL '언어'
  • 바루푸: eH '투스', eL '가든', e '모스키토HL', e '쓰기HLH'
  • 우퉁: H '사고 팜 전선으로 만든 지붕 토치', L '별', 호 '기름HL'
  • 스카우: taH 'grass', taL 'hair', taHL 'arrow'

남서쪽으로 불규칙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레이크 플레인 언어도 톤이다.명백한 음운학적 유사성과 '루즈'와 같은 안정적 기본어들의 공유 때문에 폴리는 스코우와 레이크 플레인 가족들 사이에 공유된 원거리 관계의 잠재적 가능성을 추측하고 있지만, 증거가 불충분하여 두 가족을 연결하는 공식적인 제안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2]추가로 폴리에 따르면, 몇몇 어휘적 및 음운학적 유사성에 기초하여, Kew 언어(현재 언어 격리어로 분류됨)도 레이크 플레인 언어와 깊은 관계를 공유할 수 있다.레이크 플레인어처럼 큐도 수축적인 어조를 가지고 있다.

스코우어권 남서쪽 인도네시아-PNG 국경의 산악 내륙 지역에서 사용되는 렙키, 카우레, 켐브라도 톤이다.[2]

형태학

스쿠 언어는 분리되거나 폴리합성될 수 있다.[1]

  • 격리 구조:이너 스쿠어인 두모어
  • 다합성 구조: 바루푸, 피오레 강어

분류

Skou 언어는 G에 의해 처음 연결되었다.1912년 프레데리시1941년 K.H.토머스는 현재의 범위까지 그 가족을 확장했다.

Søren Wichmann(2013년)은 이를 두 개의 별도 그룹으로 나누는 스카우트 가족을 받아들이지 않는다.[3]

도노휴(2007)와 도노휴와 크로우더(2005)는 피오레 강과 세라힐스 하위그룹의 특징을 모두 가진 혼합언어로 누리(Nuri)를 열거하고 있다.[4][5]

스코 (레이콕 1975년)

레이콕은 바니모와 크리사라는 두 개의 지점을 점찍었다.

스쿠 (2005년 이후)

하지만 크리스티사는 형편없는 지지를 받고 있고 말콤 로스는 그것을 포기했다.

매크로스커우 (Donohue 2002)

마크 도노휴는 자신이 매크로스코우라고 부르는 영역확산을 바탕으로 한 하위분류화를 제안했다.

도노휴(2004)는 멸종된 누리가 피오레 강이나 세라 힐스 분지에 있는지 불분명하다고 지적한다.

Sko (Foley 2018)

폴리(2018)는 다음과 같은 분류를 제공한다.[1]

스코

아이사카

피오레 강

바루푸 / 와루푸(바우니)

라모 (유니)

스모 (보우니)

세라 힐스

푸아레

워모

와로

이너스코

스쿠

리트레

두모

두서르

냐오 / 상케

우퉁 시

폴리의 이너 스코는 도노휴의 웨스턴 스쿠에 해당한다.

밀러(2017년)

피오레 강 지점은 밀러에서 라군(2017년)으로 개칭했다.[6]피오레 강 언어의 옛 이름은 마을 이름에서 따왔다. 밀러는 그 이름을 바우니, 유니, 바우니, 보베로 개칭했다. 비록 그것들이 모두 구별되는 언어인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라군 (또한 피오레 강)

어셔(2020)

어셔는 언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각 노드는 재구성 가능한 클래드이며, 가족들에게 단일 언어의 이름을 붙이기보다는 지리적 라벨을 부여한다.동양의 언어는 서양의 언어와 I'aka와는 유형적으로 상당히 구별된다.[7]

바니모 코스트

아이사카

서쪽

스쿠

리트레

두모두수르 (바니모)

상케우퉁

상케 (냐오)

우퉁 시

동쪽
피오레 강

바루푸 (바우니-우리-부니)

누리

세라 힐스

푸아레

라오

피니

워모

스마라루

대명사

로스가 프로토스쿠를 위해 재구성하는 대명사는

I *na 우리 *ne
너의 *me ?
*ka 그들(M) *ke
그녀는 *bo 그들(F) *de

스코우어는 또한 포괄적 언어와 배타적 언어의 구분이 있는 이중 언어도 가지고 있지만, 원문 언어에 대해서는 형태를 재구성할 수 없다.

개별 Skou 언어의 대명사:[1]

대명사 아이사카 바루푸 우퉁 시 스쿠
1.SG 나나 나나 니우치
2.SG 엄마 므마 Me
3M.SG 기아의 ʔ
틀:축구단 3층 우뮤 ce 체를 바르다
1.PL 누메우 미미 ntutu
2.PL 유무 머푸 ɛtu e
3.PL 예이 티투 te

코인테스

Foley(2018년)가 열거한 Sko 가족 cognates([1]I'saka, Barupu, Wutung, Scou):

SKO가족동호인
광택을 내다 아이사카 바루푸 우퉁 시 스쿠
'손' 얼간이 같은 에노 노우슈 아니요.
‘tooth’ e ʔũ Kə̃
‘breast’ 아니요. 아니요.
'여자' bu 와우차 푸마
'새' y ru t 티앙
'개' 나키 나치 꺼지다
'물' wi 파이 발을 동동작
'오래된 튜니 티라 oto토토토
'먹다' a 아유 (u)a a

어휘비교

다음의 기본 어휘는 Trans-New Gini 데이터베이스에 인용된 Voorhoeve(1971, 1975년)에서 나온 것이다.[8][9][10]우퉁의 경우 마미온(2010년)[11]스카우(ASJP 데이터베이스에 인용된 도노휴(2002년)[12]의 보다 최근의 데이터가 추가됐다.

광택을 내다 우퉁 시
(Marmion 2010)[11]
우퉁 시
(Voorhoeve 1975)[9]
스쿠
(도노휴 2002)[12][13]
스쿠
(Voorhoeve 1971, 1975)[8][9]
머리 훌루크브르 Kəsu. 레비 뢰베
머리털 ta ta ta
귀를 기울이다 쿨러 le l
눈독을 들이다 루르티 레토 루우토 류트슈
코를 찌르다 ha ha
이가 나다 ke* 꽹과
다리를 크나우쿠 땡땡
부추기다 헤헤 fi fi
나흐치 나키 나키 나크́́
돼지를 까를 티아무 팔루
툰그랑 ta* tåå; tããããã
달걀을 치다 퀘쿠에 캉캉
핏덩어리 hnjie 안녕 안녕 안녕
뼈를 발라내다 콰이 e e ee
가죽을 벗기다 나; 나; 나으리 na nö re; nö rɔ̀.
젖가슴 아니요. 안 돼*
나무 ri ri; 의례 ri
남자 판유아 테바 kE ba 바; 케바; 케바네; 테바
여자 웡가웅가 3mE 쁘메슈
태양 hlaugh hrang ra* ŕ́
달님 kE
물을 주다 â 티아 발을 동동작 발을 동동작
히에 ra ra
돌로 만든 월룽 코우즈 우* hũ; wũ
먹다 Saqengpùa (1).SG) a* k; p; t
하나 오파 a의 ali* alì
두 개 hnyûmò 히메 hi*tu* hĩ́to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Foley, William A. (2018). "The Languages of the Sepik-Ramu Basin and Environs". In Palmer, Bill (ed.).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The World of Linguistics. Vol. 4. Berlin: De Gruyter Mouton. pp. 197–432. ISBN 978-3-11-028642-7.
  2. ^ a b Foley, William A. (2018). "The languages of Northwest New Guinea". In Palmer, Bill (ed.).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The World of Linguistics. Vol. 4. Berlin: De Gruyter Mouton. pp. 433–568. ISBN 978-3-11-028642-7.
  3. ^ 비히만, 쇠렌. 2013.파푸아 언어의 분류.In: Hammarstöm, Harald 및 Wilco van den Huevel (eds), Papuan 언어의 역사, 접촉 및 분류 (Melanesia, Special Essue 2012), 313–386.포트 모레스비: 파푸아 뉴기니의 언어학회.
  4. ^ Donohue, Mark; Crowther, Melissa (2005). "Meeting in the middle: interaction in North-Central New Guinea". In Andrew Pawley; Robert Attenborough; Robin Hide; Jack Golson (eds.). Papuan pasts: cultural, linguistic and biological histories of Papuan-speaking peoples.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pp. 167–184. ISBN 0-85883-562-2. OCLC 67292782.
  5. ^ 도노휴, 마크 P. 2007.뉴기니의 스쿠 언어 문법.미발표 원고.
  6. ^ 밀러, 스티브 A. 2017.스코우어 파푸아 뉴기니 시사노 라군 인근멜라네시아의 언어학과 언어학: 1-24.
  7. ^ 뉴기니 월드, 바니모 코스트
  8. ^ a b C.L. Voorhoeve "뉴기니 주 웨스트 아이리언의 언어에 관한 기타 노트"더튼, T, 보어회브, C, 워름, S.A. 편집자, 뉴기니언어학 제14호 논문.A-28:47-114.태평양 언어학,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 doi:10.15144/PL-A28.47
  9. ^ a b c 이리안 자야의 C.L. 언어인 Voorhoeve: 체크리스트. 예비 분류, 언어 지도, 단어 목록B-31, iv + 133쪽태평양 언어학, 1975년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 doi:10.15144/PL-B31
  10. ^ Greenhill, Simon (2016). "TransNewGuinea.org - database of the languages of New Guinea". Retrieved 2020-11-05.
  11. ^ a b Marmion, Doug (2010). Topics in the Phonology and Morphology of Wutung (PDF).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2. ^ a b 도노휴, 마크.Skou 사전 초안.Ms.
  13. ^ Wichmann, Søren (2020). "The ASJP Database". Retrieved 2021-01-20.
  • Laycock, Donald C. (1975). "Sko, Kwomtari, and Left May (Arai) phyla". In Stephen A. Wurm (ed.). Papuan languages and the New Guinea linguistic scene: New Guinea area languages and language study 1. Canberra: Dept. of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p. 849–858. OCLC 37096514.
  • Ross, Malcolm (2005). "Pronouns as a preliminary diagnostic for grouping Papuan languages". In Andrew Pawley; Robert Attenborough; Robin Hide; Jack Golson (eds.). Papuan pasts: cultural, linguistic and biological histories of Papuan-speaking peoples.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pp. 15–66. ISBN 0858835622. OCLC 6729278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