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딩이 바이어스에 영향을 미칩니다.

Fading affect bias

일반적으로 FAB로 알려진 페이딩 영향 편향은 부정적인 감정과 관련된 기억이 긍정적인 감정과 관련된 기억보다 더 빨리 잊혀지는 심리적 현상입니다.[1] FAB는 기억과 관련된 감정만을 의미하며, 기억 자체의 내용은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2] 초기 연구에서는 FAB를 회고적으로 연구하거나 개인적 성찰을 통해 연구했는데, 이는 회고적 분석이 주관적인 회고적 편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비판을 초래했습니다. 그러나 비후향적 회상 연구를 사용한 새로운 연구에서 FAB에 대한 증거가 [1]발견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대체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설명 및 배경

페이딩 에펙트 바이어스에 대한 초기 증거의 일부는 Cason(1932)의 연구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참가자들이 과거 사건과 감정을 회상하고 평가하는 후향적 절차를 사용한 Cason의 연구는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회상된 감정 강도가 부정적인 사건에 대한 회상된 감정 강도보다 일반적으로 더 강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3]

Landau and Gunter(2009)는 경험이 한 사람 간에 공유되든 또는 그 기억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그룹 간에 공유되든 관계없이 FAB가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사람들은 사건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며, 그 사건의 부정적인 정의의 질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페이딩 영향 편향은 메모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4]

처음에는 특정 사건의 감정적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지는 과정으로 페이딩 정동 편향이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초기 연구자들은 경험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특정한 삶의 사건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내용과 강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반적으로 희미해졌다고 대체로 믿었습니다.[1] 그러나, 이후의 연구들은 부정적인 사건들의 감정 강도가 긍정적으로 인지된 사건들보다 더 빠른 속도로 소멸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5] 또한 사건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퇴색될 뿐만 아니라 부정적 사건 기억을 기억하는 능력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퇴색됩니다.[5] 또한 원래 부정적인 사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하고 더 긍정적인 방식으로 간주되는 경향을 인정하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5] FAB는 문화 전반에 걸쳐 보편적으로 존재하며,[6] 나이가 들수록 강도가 증가합니다.[7]

부정적인 사건 기억의 퇴색으로 인해 개인의 자전적 기억은 긍정적인 빛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FAB는 긍정적인 감정 기억의 현저성을 허용하고 촉진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영향 편향에 대한 필수 대응물입니다.[8] 또한 폴랴나 원리에 필수적인 긍정적인 개인 이벤트 기억 경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9]

FAB를 반대하는 견해들은 부정적인 기억과 부정적인 경험이 긍정적인 기억보다 더 두드러지기 때문에 부정적인 기억은 회상의 대상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우려합니다.[1] 첫 번째 반대 아이디어는 "나쁜 것이 좋은 것보다 강한 것"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따라서 정의적 퇴색 측면에서 더 두드러집니다. 퇴색된 영향 편향과 반대되는 이 견해는 자아의 특성 때문에 부정적인 사건에 집중하고 기억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고 주장합니다.[10] 이 이론은 인간의 본성이 부정적인 경험, 기억, 감정을 기반으로 한다는 믿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것들은 쾌락주의적 관점과 관련하여 다른 모든 것들보다 더 구체적입니다. "나쁜 것이 좋은 것보다 강한 것" 이론을 생각해 낸 사람들은 자연 그 자체가 부정적인 경험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부정적인 것에 더 잘 적응하는 것들은 또한 더 적응적이고 더 잘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이 효과는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8] 하지만, 이러한 이론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나쁜 것이 좋은 것보다 강한 것"이라는 생각에 반대하는 부정적인 사건보다 긍정적인 사건을 더 자주 그리고 더 명확하게 기억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10]

퇴색하려는 또 다른 반대적인 생각은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억압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충격적인 사건과 관련된 부정적인 감정이 남아 있어야 한다는 프로이트억압 이론에서 비롯되었습니다.[1] FAB를 통한 이러한 기억의 감소는 적어도 억압의 개념에 대한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억압이 발생할 수 없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개념은 프로이트적 관점의 확장일 뿐 그 관점의 직접적인 진술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에게 귀속되었습니다.[1] 따라서 이러한 견해 중 FAB에 반대하는 확고한 주장을 나타내는 것은 없으며 점점 더 증가하는 증거는 FAB의 존재를 공고히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5]

연구이력

Cason(1932) 연구에 대한 비판은 회고적이고 내향적인 절차가 기억 편향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연구 -Holmes(1970)는 사건의 감정적 강도를 포함하는 일기 사건의 기록을 사용하여 FAB를 연구하는 "비내향적"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26명의 피험자들에게 일기로 사건을 기록하고 경험의 감정 강도를 기록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FAB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1]

Walker et al.(1997)의 연구는 인지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일기 기록을 사용하여 FAB에서 기억이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여기서 인간은 자신이 기억하기로 선택한 것을 선호하며, 특정한 사건의 세부 사항은 희미해지지만 감정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이 연구는 긍정적인 사건에 의해 촉발된 감정이 부정적인 사건에 의해 촉발된 감정보다 지속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리치 등. (2009)1200개의 자전적 사건에 대한 피험자의 개인적 반응을 이용하여 페이딩 에 영향을 주는 편견(Fading Affect Bias)을 연구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력과 관련하여 Fixed Affect(정서적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 Fading Affect(정서적 강도가 감소하는 경우), Flourishing Affect(강도가 증가하는 경우), Flexible Affect(가반전되는 경우)의 4가지 경향을 발견하였습니다. 긍정적인 기억의 경우, Fixed Affect(39%)가 Fading Affect(37%)보다 더 두드러졌습니다. 그러나 부정적인 경우에는 Fixed Affect(38%)보다 Fading Affect(51%)가 더 두드러졌습니다. 부정적인 기억이 희미해지는 것에 대한 편견을 반복합니다.

앞서 언급한 심리학적 연구 외에도 FAB의 현상을 더 설명할 수 있는 관련 신경생물학적 연구들이 진행되었습니다. 인터뷰에서 신경 생리학자 매트 윌슨은 의 뇌 활동을 연구하면서 과거 사건에 대한 기억과 미래 사건에 대한 예상이 신경학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자세히 설명했습니다.[12] 이것은 FAB가 존재하는 이유에 대한 가능한 암시입니다. 사람은 미래에 사용될 관련 정보를 카탈로그화해야 합니다.

메모리 종류

FAB는 자전적 이벤트 메모리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지만 다양한 메모리 유형에서 탐색되었습니다.

플래시 전구 메모리

[13] Bohn & Berntsen (2007)의 연구는 베를린 장벽의 붕괴를 이용하여 FAB가 플래시 전구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했습니다. 동독과 서독 사람들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을 때 그들의 감정과 그 사건에 대한 현재의 감정을 평가하도록 요청 받았습니다. 그들은 벽이 떨어졌을 때 그것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들이 회상할 때 그들의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더 월'의 몰락을 부정적으로 본 사람들은 회상 당시 사건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덜 애착을 갖고 있었습니다.[13] 플래시 전구 메모리 리콜과 같은 자전적 이벤트 리콜 이외의 FAB의 현저성은 이러한 현상이 보편적이라는 주장을 강화합니다.[5]

플래시 전구 메모리를 사용하여 연구는 기억 몰입의 편향을 발견했습니다. 긍정적인 플래시 전구 기억에 초점을 맞추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그 사람은 그 기억에 다시 몰입하는 경향이 있었고 그 기억들은 그들의 삶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이 정신적 재구성에서 이러한 기억의 정확성은 변화하기 쉽습니다. 부정적인 플래시 전구 기억에 초점을 맞추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사람들은 이러한 부정적인 경험들과 연관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몰입을 갖지 못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음의 플래시 전구 메모리의 정확도는 훨씬 높았습니다. FAB는 이러한 기억이 마음 속에 유지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13]

Ritchie & Skowronski (2008)는 개인들에게 꿈이 일어났을 때 그들의 꿈에 대한 감정을 평가하고 나중에 그들이 같은 꿈에 대해 어떻게 느꼈는지 기억하도록 요청한 꿈 일기를 보관하도록 요청했습니다.[14] FAB 및 자전적 기억의 특성에 대한 이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발생 시점과 회상 시점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부정적인 영향보다 천천히 감소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흥미로운 발견은 FAB가 레크리에이션 약물의 사용으로 완화되었다는 것입니다.[14]

조절인자

사회적 조정자

리허설

자신의 기억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반복하는 것은 기억에 대한 인식과 기억에 부착된 감정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5] 다른 사람들과 자주 기억을 공유하면 긍정적인 사건 기억에 대한 회상을 증가시키고 부정적인 사건 기억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긍정적인 사건 기억에 대한 회상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15] FAB의 효과를 증폭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원으로 인식되는 이벤트 기억의 빈번하고 반복적인 사회적 공개가 필수적입니다.[5] 전반적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이벤트 공유는 개인이 이벤트를 기억하는 방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자체 리허설은 전반적으로 정의적 퇴색의 부족과 연결되기 때문에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지 않습니다.[15][5] 자기 리허설을 통해 피험자는 기억의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 모두의 생생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리허설이 FAB에 미치는 영향은 이벤트 리허설과 기억 유지 및 생생함의[16] 관계로도 설명될 수 있습니다.

성격조절자

불안.

FAB의 효과는 불안감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이 겪고 있는 불안감의 정도에 따라 FAB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불안 수준의 증가는 긍정적인 사건과 부정적인 사건 모두에 대한 FAB를 낮췄습니다. 이는 불안이 FAB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여러 연구에서 발견되었습니다.[4] 불안감이 높은 사람들은 불안감의 증가가 사건에 대한 기억의 감정적인 측면을 증폭시키는 더 큰 인식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처럼 보입니다.[17]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불안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더 많은 감정적 경험을 보고하고,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이해가 더 나빠진다는 것입니다. 이 사람들은 원래 있었던 것보다 더 많은 감정을 가진 경험을 기억하지만 기억 속에서 그 감정을 정의하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연구들은 이것을 실제든 인지든 위협을 예상하는 상태에 갇혀 있는 특성 불안증을 가진 사람들과 관련시켜 보았습니다.[17] 다른 연구들은 더 높은 수준의 불안을 겪는 사람들은 지각된 위협이 자신들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자신들에게 더 많은 불안을 야기한다는 것을 의식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Bishop, 2007). 더 높은 수준의 불안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이러한 영향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그들이 세상을 경험하는 방법과 자전적 기억을 기억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17]

우울증.

우울증이나 조울증이 있으면 FAB의 효과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우울한 개인과 우울하지 않은 개인 간의 자전적 기억의 전반적인 내용은 불성립적인 자전적 기억이 부정적인 사건 기억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1] 여러 연구에서 발견된 바와 같이, 이질적인 개인의 부정적인 기억의 불균형한 양은 FAB의 중단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기억은 디스포릭이 아닌 사람보다 더 느리게 사라지는 경향이 있고, 더욱이 디스포릭의 긍정적인 기억과 부정적인 기억은 비슷한 속도로 희미해지는 것처럼 보입니다.[1][5][18]

나르시시즘

자기애자들은 매우 높은 수준의 자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져서, 사람들은 그들이 높은 FAB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자아도취적인 사람일수록 FAB 효과가 적습니다.[4] 이에 대한 예외는 리콜되는 이벤트 메모리의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사건 기억의 초점이 나르시시스트이거나 그들이 한 일일 때 FAB가 존재합니다.[5] 그러나 그룹 또는 커뮤니티와 관련된 메모리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FAB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자기애 수준이 낮은 사람이 FAB 효과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자기애 수준과 FAB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일부 증거가 있습니다.[18] 자기애에 의한 FAB의 절제는 FAB가 건강한 감정 조절의[5] 지표라는 더 많은 증거를 제공합니다.

감정조절자

기분

FAB를 보면 리콜 중 개인의 기분 상태가 이벤트에 대한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일반적인 오해가 있습니다.[5] 예를 들어, 사람들은 현재 기분이 좋기 때문에 긍정적인 렌즈로 부정적인 사건만을 돌아보고 있습니다. Ritchie et al. 의 연구. (2009)는 리콜 당시 가장 긍정적인 사람들이 더 관련성이 높은 FAB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는 부분적으로 사실임을 발견했지만, FAB는 감정 상태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여전히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는 FAB가 현재의 감정 상태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경험이라는 것을 강화시켜 주었습니다.[7]

가능한 설명

FAB는 일반적으로 유익한 현상으로 간주됩니다. FAB에 대한 심리학자와 연구자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진 설명은 건강한 자기 인식, 자기 조절 및 긍정적인 자기관의 필요성입니다.[5][19] 자전적 기억에서 부정적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면 부적응적인 미래행동을 감소시키고 자아를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1] FAB는 긍정적인 경험의 보존을 촉진함으로써 성공적인 사회적 탐색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개인이 확장 및 구축 이론에 따라 새로운 경험에 개방될 수 있도록 합니다.[1] 이것은 부적응 장애인 우울증을 가진 사람들이 불쾌한 기억으로부터 부정적인 감정을 유지함으로써 FAB에 대한 간섭을 경험한다는 증거에 의해 더욱 뒷받침됩니다.[18] FAB는 또한 충격적인 경험을 회상하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노력에 기인할 수 있으며 부정적인 경험이 실제보다 더 시간적으로 더 멀리 느낄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19] 전반적으로, 퇴색된 영향 편향은 건강한 사람들의 적응 행동으로 보여지고[1] 삶에 대한 더 긍정적인 전망을 가능하게 합니다.

문화적 고려사항

FAB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미국에서만 거의 독점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FAB의 결과와 효과는 정상적인 생활과 실험실 내에서 몇 번이고 보여집니다. FAB가 미국 내에서만 성행하고 있고, '밝은 쪽을 바라본다'는 미국의 태도를 반영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이러한 Ritchie와 동료들은 다양한 인종적 배경에 접근할 수 있는 6개의 다른 대학에서 10개의 다른 샘플을 테스트했습니다. FAB는 배경에 상관없이 모든 샘플에서 발생하여 FAB가 보편적인 것처럼 보이는 견고한 기반을 구축했습니다.[5] FAB가 보편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해서 모든 문화에서 FAB가 널리 퍼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문화는 핵심 집단의 가치 체계에 따라 인간 관계를 공식화하는 관습과 의례를 효과적으로 표준화합니다. 따라서 개인과 집단이 사건을 예측하여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문화마다 스트레스, 우울증 및 기타 감정을 다르게 경험하며, 이는 해당 문화 내에서 FAB가 얼마나 널리 퍼지는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7]

참고문헌

  1. ^ a b c d e f g h i j k Walker, W. Richard; Skowronski, John J. (November 2009). "The Fading affect bias: But what the hell is it for?" (PDF).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3 (8): 1122–1136. doi:10.1002/acp.1614.
  2. ^ Skowronski, John J.; Walker, W. Richard; Henderson, Dawn X.; Bond, Gary D. (2014-01-01), Olson, James M.; Zanna, Mark P. (eds.), "Chapter Three - The Fading Affect Bias: Its History, Its Implications, and Its Futur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Academic Press, 49: 163–218, doi:10.1016/B978-0-12-800052-6.00003-2, retrieved 2020-01-29
  3. ^ Fleming, G. W. T. H. (January 1933). "The Learning and Retention of Pleasant and Unpleasant Activities. (Arch. of Psychol., No. 134, 1932.) Cason, H.". Journal of Mental Science. 79 (324): 187–188. doi:10.1192/bjp.79.324.187-c. ISSN 0368-315X.
  4. ^ a b c Ritchie, Timothy D.; Walker, W. Richard; Marsh, Shawnda; Hart, Claire; Skowronski, John J. (January 2015). "Narcissism Distorts the Fading Affect Bias in Autobiographical Memory: Narcissism and the fading affect bia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9 (1): 104–114. doi:10.1002/acp.3082.
  5.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Skowronski, John J.; Walker, W. Richard; Henderson, Dawn X.; Bond, Gary D. (2014), "The Fading Affect Bia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Elsevier, vol. 49, pp. 163–218, doi:10.1016/b978-0-12-800052-6.00003-2, ISBN 9780128000526
  6. ^ Ritchie, Timothy D.; Batteson, Tamzin J.; Bohn, Annette; Crawford, Matthew T.; Ferguson, Georgie V.; Schrauf, Robert W.; Vogl, Rodney J.; Walker, W. Richard (2015-02-17). "A pancultural perspective on the fading affect bias in autobiographical memory" (PDF). Memory. 23 (2): 278–290. doi:10.1080/09658211.2014.884138. ISSN 0965-8211. PMID 24524255. S2CID 33335274.
  7. ^ a b 리치 등. (2009).
  8. ^ a b Walker, W. Richard; Skowronski, John J.; Thompson, Charles P. (2003). "Life is pleasant--and memory helps to keep it that wa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7 (2): 203–210. doi:10.1037/1089-2680.7.2.203. ISSN 1089-2680. S2CID 43179740.
  9. ^ Salkind, Neil J.; Rasmussen, Kristin (2008). Encyclopedia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SBN 9781452265834. OCLC 809773348.
  10. ^ a b Baumeister, Roy F.; Bratslavsky, Ellen; Finkenauer, Catrin; Vohs, Kathleen D. (2001). "Bad is stronger than good" (PDF).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 (4): 323–370. doi:10.1037/1089-2680.5.4.323. ISSN 1089-2680. S2CID 1315499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0-02-08.
  11. ^ Holmes, David S. (1970). "Differential change in affective intensity and the forgetting of unpleasant personal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 (3): 234–239. doi:10.1037/h0029394. ISSN 1939-1315. PMID 5485415.
  12. ^ Blue, Laura (23 June 2008). "Why Do We Remember Bad Things?". Ti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30, 2008. Matt Wilson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13. ^ a b c Bohn, Annette; Berntsen, Dorthe (April 2007). "Pleasantness bias in flashbulb memories: Positive and negative flashbulb memories of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mong East and West Germans". Memory & Cognition. 35 (3): 565–577. doi:10.3758/BF03193295. ISSN 0090-502X. PMID 17691154.
  14. ^ a b Ritchie, Timothy D.; Skowronski, John J. (2008). "Perceived change in the affect associated with dreams: The fading affect bias and its moderators". Dreaming. 18 (1): 27–43. doi:10.1037/1053-0797.18.1.27. ISSN 1573-3351. S2CID 6585974.
  15. ^ a b Ritchie, Timothy D.; Skowronski, John J.; Wood, Sarah E.; Walker, W. Richard; Vogl, Rodney J.; Gibbons, Jeffrey A. (2006-04-01). "Event self-importance, event rehearsal, and the fading affect bias in autobiographical memory". Self and Identity. 5 (2): 172–195. doi:10.1080/15298860600591222. ISSN 1529-8868. S2CID 8837391.
  16. ^ Lindeman, Meghan I. H.; Zengel, Bettina; Skowronski, John J. (2017-07-03).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valence, fading affect, rehearsal frequency, and memory vividness for past personal events" (PDF). Memory. 25 (6): 724–735. doi:10.1080/09658211.2016.1210172. ISSN 0965-8211. PMID 27424651. S2CID 4430252.
  17. ^ a b c d Walker, W. Richard; Yancu, Cecile N.; Skowronski, John J. (2014-09-30). "Trait anxiety reduces affective fading for both positive and negative autobiographical memories". Advances in Cognitive Psychology. 10 (3): 81–89. doi:10.5709/acp-0159-0. ISSN 1895-1171. PMC 4197641. PMID 25320653.
  18. ^ a b c Walker, W. Richard; Skowronski, John; Gibbons, Jeffrey; Vogl, Rodney; Thompson, Charles (January 2003). "On the emotions that accompany autobiographical memories: Dysphoria disrupts the fading affect bias". Cognition & Emotion. 17 (5): 703–723. doi:10.1080/02699930302287. ISSN 0269-9931. S2CID 145630088.
  19. ^ a b Sedikides, Constantine; Spencer, Steven (2007). The self. New York: Psychology Press. ISBN 9780203818572. OCLC 1086524377.

자원 및 연구

스터디

더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