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크 처치
Frank Church프랭크 처치 | |
---|---|
![]() 프랭크 처치, 날짜 미상 | |
미국 상원의원 아이다호 출신 | |
재직중 1957년 1월 3일 – 1981년 1월 3일 | |
선행자 | 허먼 웰커 |
성공자 | 스티브 심스 |
개인내역 | |
태어난 | 프랭크 포레스터 처치 3세 1924년 7월 25일 미국 아이다호 주 보이즈 |
죽은 | 1984년 4월 7일 미국 메릴랜드 주 베데스다 | (59)
시민권 | 미국인의 |
정당 | 민주적인 |
배우자 | (m. 1947) |
아이들. | 프랭크 포함 2 |
부모님 |
|
모교 | 스탠퍼드 대학교(BA, LLB) |
직업 | |
병역 | |
얼리전스 | ![]() |
지점/서비스 | ![]() |
근속년수 | 1943 – 1946 |
순위 | ![]() |
구성 단위 | 군사 정보 |
전투/와이어 |
프랭크 포레스터 처치 3세(1924년 7월 25일 ~ 1984년 4월 7일)는 더 흔히 프랭크 처치라고 부르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였다. 민주당 소속으로 1957년부터 1981년 패배할 때까지 아이다호에서 미국 상원의원을 지냈다. 2021년 11월 현재, 그는 주 출신 민주당 상원의원 중 최장수 의원이며, 아이다호 출신의 유일한 민주당 상원의원이다. 그는 미국 외교 정책의 저명인사였으며, 당 진보파의 일원으로서 명성을 쌓았다.
아이다호주 보이즈에서 태어나 자란 그는 1942년 스탠포드 대학에 입학했으나 육군으로 입대하기 위해 떠났다. 군대에서 그는 제2차 세계대전의 중국 버마 인도극장에서 군 정보 장교로 복무했다. 종전 후에는 스탠포드 로스쿨에서 법학 학위를 마치고, 보이즈로 돌아와 법률을 실천했다. Church는 아이다호에서 활동적인 민주당원이 되었고 1952년에 주 의회 의석을 얻는데 실패했다. 1956년, 총선거에서 현직 헤르만 웰커(Herman Welker)를 누르고 미국 상원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치열한 경합 끝에 전 상원의원 글렌 테일러(Glen Taylor)가 당선되었다.
상원의원으로서, 그는 당시 상원의원인 린든 B의 진정한 지도자였다. 존슨은 상원 외교위원회에 임명되었다. 1960년 Church는 1960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기조연설을 할 때 전국적인 노출을 받았다. 강력한 진보적이고 환경적인 입법자로 여겨지는 그는 보호받는 황무지의 제도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Church는 베트남 전쟁을 처음 지원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비판적이었다. 1970년 쿠퍼-처치 수정안과 1972년 케이스-처치 수정안을 공동 발의한 것은 둘 다 전쟁을 줄이기 위한 입법 노력이다. 1975년에 그는 교회 위원회로 더 잘 알려진 정보 활동에 관한 정부 운영을 연구하기 위한 상원 선택 위원회의 의장을 맡았다. 1978년 해외정보감시법의 토대 마련.
1976년 처치는 뒤늦게 민주당 총재 지명을 구했고, 1976년 3월 18일 출마를 선언했다. 네브라스카, 아이다호, 오리건, 몬태나 주 경선에서 승리했지만 지미 카터 전 조지아 주지사의 손을 들어 물러났다. Church는 1980년 공화당의 물결이 일던 시절 패배할 때까지 1962년, 1968년, 1974년 공화당 반대파를 물리치고 계속 상원의원에 재선되었다. 임기 말에 이어 워싱턴DC에서 아시아 문제를 전문으로 하는 국제법을 실천했다. 처치는 1984년 1월 12일 췌장종양으로 입원했고, 3개월도 채 안 돼 1984년 4월 7일 메릴랜드 베데스다의 자택에서 사망했다.
초년기
아이다호주 보이즈에서 태어나 자란 교회는 프랭크(II)와 로라 빌더백 교회의 두 아들 중 막내였다.[1] 그의 아버지는 스포츠 용품 가게를 공동 경영했고 아이다호 산에서 아들들을 낚시와 사냥, 하이킹에 데려갔다.[2] 그 가족은 가톨릭 신자였고 보수적이었으며 프랭크 3세는 성당에 참석했다. 요셉의 학교는 어렸을 때 '프로스티'[4]라는 별명으로 다녔다.[3] 그의 형 리차드는 미 해병대에서 직업 장교가 되었고, 대령으로 은퇴했다.[1] 교회 가족의 또 다른 분파로는 앨버트 T 장군이 있다. 제독 알버트 T는 물론 교회 목사님. Church, Church Report의 저자인 Church
Church는 젊었을 때 William E를 존경했다. 1907년부터 1940년까지 미국 상원의 아이다호를 대표했던 보라. 처치는 1942년 보이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학생회장을 지냈다. 1941년 3학년 때, 그는 미국 군단 전국 웅변대회에서 우승했다. 수상자가 선택한 대학에서 4년간 제공하기에 충분한 상이었다. 처치는 1942년 캘리포니아의 스탠포드 대학에 입학해 테타자이 친목회에 가입했다.
교회는 1942년 미군에 입대해 이듬해 소집됐고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장교 후보 훈련을 받았다.[5] 1944년 20번째 생일에 소위로 임관했으며, 캠프 리치에서 리치 보이즈 중 한 명으로 훈련을 받은 그는 중국-부르마-인도 극장에서 군 정보 장교로 복무했다. 1946년 제대 후, 그는 1947년 파이 베타 카파 훈장을 받아 역사학 학사 학위를 받으며 스탠포드로 돌아와 교육을 마쳤다.[2]
1947년 6월, 그는 아이다호의 전 민주당 주지사이자 주 연방 판사였던 체이스 클라크의 딸인 베신 클라크와 결혼했다. 결혼식은 외딴 로빈슨 바 랜치에서 열렸다.44°14′49″N 114°40′41″W / 44.247°N 114.678°W/ ), 스탠리 동쪽 산에 있는 클라크 가문의 목장([6]현재 가수 캐롤 킹이 1981년부터 소유하고 있다).[7][8] 두 사람은 행복한 결혼생활을 했고 공개석상에서 애정표현을 자주 했다.[9] 그는 그해 가을 하버드 로스쿨에 입학했고, 1년 후 처치는 스탠포드 로스쿨로 전학했는데, 그때 그는 매사추세츠 주 추운 겨울이 허리 아래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생각했다. 통증이 가시지 않았고 문제는 곧 고환암으로 진단됐다.[10] 하복부의 고환과 분비샘 중 하나가 제거된 후 처치는 몇 달밖에 살지 못했다. 하지만 다른 의사가 엑스레이 치료를 시작한 뒤 병세가 호전됐다. 이 두 번째 기회는 후에 그를 "인생 자체가 너무나 찬란한 명제여서 살 길은 큰 기회를 잡는 것밖에 없다"고 생각하게 했다. 1950년 Church는 스탠포드 로스쿨을 졸업하고 Boise로 돌아와 법을 연습하고 주니어 칼리지에서 대중 연설을 가르쳤다.
프랭크와 베신에게는 2009년 사망한 프랭크 포레스터 교회 4세와 보이즈에 사는 [11]체이스 클라크 교회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 두 소년 모두 할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다.
미국 상원의원 경력
1956년 선거
Church는 아이다호에서 활동적인 민주당원이 되었고 1952년 주 입법부에 대한 시도가 실패하자 1956년 미국 상원의원에 출마했다. Glen H 전 상원의원을 상대로 치열한 경선 끝에. 테일러, 처치는 총선거에서 공화당의 현직 헤르만 웰커를 완패시켰다. 32세의 나이에 Church는 미국 상원에 앉아 있는 다섯 번째 최연소 회원이 되었다.
제1기 (1957–1963)
1957년 1월 상원에 들어가자, Church는 민주당 다수당 지도자인 Lyndon Johnson의 희망에 반하는 조치에 투표하는 실수를 범했고, Johnson은 이후 6개월 동안 Church를 무시하는 것으로 모두 처벌했다. Church는 공화당 소수당 지도자인 William Knowland로부터 위안을 찾았다. 그러나 Church는 1957년 시민권법이 통과될 수 있도록 주요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Johnson의 선한 면모를 찾아냈다. LBJ는 젊은 아이다호주를 진정한 원생으로 만들어, 명문 상원 외교위원회의 자리, 그의 우상인 윌리엄 보라의 전철을 밟을 수 있는 자리와 같은 매실 임무를 그에게 보상했다. 최근 기밀 해제된 문서들은 이 젊은 참전용사가 1964년 톤킨 만 사건 이후 비밀리에 그의 멘토에게 도전했다는 것을 보여주며 "민주주의에서 당신은 아들이 살해되고 있고 누가 살해될 것인지 그들에게 진실을 숨긴다면 그들의 판단을 내릴 것을 기대할 수 없다"고 경고한다.[12]
Church는 1962년 잭 홀리 전 주대표를 누르고 재선되었다. 현재까지, 그는 상원에서 한 번 이상 대중적으로 선출된 유일한 아이다호 민주당원이다.
1968년 소환 및 당선 시도
1967년 아이다호 북부 쿠테나이 카운티의 공화당 소속 군 위원인 론 랭킨에 의해 처치에 대한 소환 운동이 벌어졌다. 랭킨은 아이다호의 국무장관을 상대로 리콜 청원에 응하라는 소송을 제기하는 데 실패했다. 아이다호 지방법원은 주(州)의 리콜법이 미국 상원의원들에게 적용되지 않았으며, 이런 리콜은 미국 헌법에 위배된다고 판결했다. 당시 아이다호 법무장관이었던 앨런 셰퍼드도 법원의 결정에 동의했다.
셰퍼드는 1967년 6월 17일 국무장관에 대한 의견서에서 "미국의 상원의원은 주(州) 공무원이 아니라 미국 헌법 제1조 1항에 의해 지위가 만들어진 연방관료라는 점을 지적해야 한다"고 썼다. "미국 상원의원 소환선거 투표에 대한 조사 규정은 없는 것 같다." 당시 대부분의 논평가들은 소환 시도가 그가 정치 순교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교회를 정치적으로 강화시켰다고 믿었고, 그는 공화당 하원의원 조지 5세를 제치고 내년 선거에서 재선되었다. 한센 60%~40%.
제3기(1969-1975): 베트남 전쟁 및 교회 위원회
처치는 1970년대 미국 외교정책의 핵심 인물로 1979년부터 1981년까지 상원 외교위원장을 지냈다. 일찍 질문을 하게 된 본능에 따라(위 참조) 처치는 일찍이 분쟁을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베트남 전쟁에 공개적으로 반대했던 최초의 상원의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전쟁을 줄이기 위한 두 가지 입법 노력의 공동저자인 1970년의 쿠퍼-처치 수정안과 1973년의 케이스-처치 수정안의 공동저자였다.[13]
1970년 9월, Church는 텔레비전과 전국의 연설을 통해 " 비둘기파들이 승리했다"고 발표했다. 작가 데이비드 F. 슈미츠 장관은 반전운동의 두 가지 핵심 명제인 'A 협상 평화 및 미군 철수'가 이제 공식적인 정책이었다는 사실에 근거해 자신의 주장을 폈다고 말한다. 철군 여부가 아니라 언제 철군할 것인가, 전쟁의 의미를 놓고 남은 논쟁만이 끝이 날 것이다. Church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그래서 비둘기파들이 조국을 위해 할 수 있는 마지막 봉사는 닉슨 대통령의 철수 프로그램이 진정으로 전쟁의 '베트남화'로 이어진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것은 남베트남에 미군이 무기한 주둔하는 것을 낮추어 영구화하는 장치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이 잘못된 전쟁에서 우리의 오랜 시련은 반드시 끝나야 한다. 우리 땅에서 모여드는 위기, 우리 국민들 사이에 깊어지는 분열, 이곳 국내에서의 곪아 터지는, 무인화 문제들은 인도차이나에서 우리가 위태롭게 했던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우리 공화국의 미래를 짊어지고 있다.
처치는 베트남 전쟁의 반대자들이 국가와 그 기관의 부패를 막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Church에게 반전 반대는 "순응의 애국심이 아니라 애국심의 최고 개념"이었지만, 이전 시기의 반체제 인사인 칼 슈르츠 상원의원의 애국심이었다. 그는 '우리 나라는 옳고 그름'을 선언했다. 옳을 때, 옳을 때, 옳을 때, 옳을 때"[14]
Church는 1975년부터 1976년까지 정보활동과 관련된 정부운영을 연구하는 미국 상원의원선정위원회 위원장직을 통해 상원에서 복무하는 동안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탔는데, 이 위원회에서는 일반적으로 초법적인 FBI와 CIA의 정보를 조사하는 광범위한 청문회를 실시한 교회 위원회로 더 잘 알려져 있다.갠지스식 작전과 은밀한 수술 위원회는 골든 트라이앵글에서의 CIA 마약 밀반입 활동과 제3세계 국가에서의 미국의 비밀 지원 전쟁을 조사했다.[15][16][17][18] 샘 얼빈 상원의원의 위원회 질의와 함께, 교회 위원회 청문회는 1978년의 외국 정보 감시법의 기초를 다졌다.
다니엘 엘스버그는 NSA에 대해 "나는 미국에 폭정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알고 있다"면서 "이 기술을 보유한 이 기관과 모든 기관들이 법 안에서 그리고 적절한 감독하에 운영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것은 돌이킬 수 없는 심연이다."[19] 1975년 8월 17일, 프랭크 처치 상원의원은 NBC의 "언론과의 만남"에 대해 NSA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잠재적인 적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미국 정부는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를 감시할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완성했다. 이 메세지는 해상에 있는 배들 사이에 있어 부대들 사이일 수도 있고, 현장에 있는 군부대들 사이일 수도 있어 우리는 전파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메시지를 가로챌 수 있는 매우 광범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현재, 그것은 우리가 해외의 적이나 잠재적 적들을 바라볼 때 미국에게 필요하고 중요하다. 우리는, 동시에, 그 능력이 언제든 미국 국민들에게 돌아설 수 있고, 어떤 미국인도 사생활이 남아 있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전화 통화, 전보 등 모든 것을 감시할 수 있는 능력이다. 숨을 곳이 없을 것이다.
만약 이 정부가 폭정이 된다면, 만약 독재자가 이 나라에서 집권한다면, 정보계가 정부에 부여한 기술력은 총체적인 폭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고, 정부에 저항하여 함께 힘을 합치려는 가장 세심한 노력 때문에 반격할 방법이 없을 것이다. 그것이 얼마나 은밀하게 이루어졌는지는 정부가 알 수 있는 범위 안에 있다. 이것이 바로 이 기술의 능력이다.
이제 왜 이 조사가 중요한가? 왜 그런지 말해줄게. 난 이 나라가 다리를 건너는 걸 보고 싶지 않거든. 나는 미국에서 폭정을 총체적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알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 기술을 소유한 이 기관과 모든 기관이 법 안에서 그리고 적절한 감독하에 운영되어 우리가 그 심연을 절대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저것은 돌이킬 수 없는 심연이다.[20][21][22][23]
NSA의 상원 교회 통신 모니터링
국가안보국(NSA)은 '미나레 프로젝트'라는 코드명으로 명명된 비밀 작전에서 미국의 베트남 전쟁을 비판한 상원의원과 하워드 베이커,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를 비롯해 미국의 저명한 언론인과 운동선수 등 주요 미국인들의 의사소통을 감시했다.[24] NSA의 Minaret 프로그램의 NSA의 검토는 Minaret이 "전면적으로 불법이 아니라면 비난받을 수 없다"[24]는 결론을 내렸다.
환경기록 및 기타 이슈
처치는 또한 강력한 진보적이고 환경적인 입법자로서 투표한 것으로 기억되고 있으며, 그는 1960년대에 국가의 보호 야생 지역 제도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64년에 Church는 국가 황야법의 원내 후원자였다. 1968년에 그는 야생 및 경관 하천법을 후원했고 태평양 북서부에서 캘리포니아로 물을 이전하려는 연방 계획에 대한 10년 유예조치의 통과를 얻었다. 서북부의 다른 주 의회 의원들과 함께, Church는 오레곤과 아이다호 사이의 경계를 따라 헬스 캐년 국립 휴양지 설립을 도왔고, 이 지역은 댐 건설로부터 협곡을 보호했다. 그는 1972년 아이다호 중심부에 쏘우토스 황야와 국립 휴양지 설립의 일차적 지지자였다.
Church는 또한 원로원에서의 마지막 해인 1980년에 아이다호 강 노 리턴 황야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황무지는 옛 아이다호 원시 지역, 연어 강이 원시 지역을 부수고, 그 외에 추가적인 땅들을 구성했다. 236만 에이커(9,550 km²)로 3,600 평방 마일(9,300 km2)이 넘는 이곳은 알래스카 외곽에서 미국에서 가장 큰 야생 지역이다. 췌장암 진단 직후인 1984년 프랑크 처치-돌아오지 않는 황야의 강으로 개칭했다. 아이다호주 상원의원 짐 맥클레어는 2월 말 상원에서 이 조치를 소개했고,[25][26] 레이건 대통령은 4월 7일 프랭크 교회가 사망하기 4주도 채 남지 않은 3월 14일 이 법안에 서명했다.
프랭크 교회는 총기 규제의 강력한 반대자였지만 진보주의자로 여겨졌다. 1979년 그는 쿠바에 소련 전투부대의 존재를 공개하고 항의한 최초의 의회였다.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에 따르면, 이러한 입장은 1980년 외교위원회에 대한 교회의 성과가 미국을 군사적으로 약화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상대편의 주장을 다소 무력화시켰다.[27] 1974년, Church는 Hospice care 프로그램에 연방 기금을 제공하는 첫 번째 법안을 후원하기 위해 Frank Moses, D-Utah 상원의원과 합류했다. 그 법안은 폭넓은 지지를 받지 못했고 표결에 부쳐지지 않았다. 의회는 마침내 1982년에 의료보험에 호스피스 혜택을 포함시켰다.[28]
1975년 말과 1976년 초, Church가 이끄는 미국 상원 소위원회는 록히드 이사회 회원들이 195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까지 록히드 관료들의 일련의 불법 뇌물과 기부금으로 군용기 계약을[29] 보증하기 위해 우호적인 정부 회원들에게 돈을 지불했다고 결론지었다. 1976년 이른바 '세기의 거래'인 F-104 스타파이터 등 항공기 판매 협상 과정에서 록히드가 외국 관리들에게[30] 2200만 달러의 뇌물을 준 사실이 공개되기도 했다.
교회도 펜실베이니아 공화당 존 하인츠와 함께 정부가 교회 부속병원에 낙태를 의무화하는 것을 금지한 '양심 조항'을 후원했다.[4]
후기 정치 경력
1976년 처치는 뒤늦게 민주당 대통령 지명을 구했고 3월 18일 아버지의 출생지인 촌스러운 아이다호시에서 출마선언을 했다.[31] 그는 네브라스카, 아이다호, 오리건, 몬태나 주에서 열린 예비선거에서 승리했지만, 최종 후보인 지미 카터 전 조지아 주지사에게 유리하게 사퇴했다.[32] 처치는 맥거번-프레이저 위원회의 개혁으로 주요 정당 대통령 예비선거에서 승리한 유일한 아이다호주로 남아 있다. 1972년 예비선거 이전에 윌리엄 보라는 1936년 공화당 예비선거에서 여러 차례 당선되었다.
6월까지 카터 전 대통령은 지명을 충분히 확정했으며 부통령 후보들을 인터뷰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교회가 강력한 자유주의 자격을 가진 경험 많은 상원의원으로서 균형을 제공하기 위해 두드려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처치는 친구들을 설득하여 카터를 대신하여 카터에게 개입하도록 하면서 자신을 승진시켰다. 과거의 관례처럼 빠른 선택이 요구되었다면, 나중에 카터는 아마도 Church를 선택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그러나 숙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카터는 장광설을 일삼는 성향을 가진 대중성을 추구하는 교회와의 양립을 걱정할 시간을 갖게 되었다. 대신 카터는 에드먼드 머스크리 상원의원과 존 글렌, 월터 몬데일 상원의원을 초청해 조지아 주 플레인스에 있는 자택을 방문해 직접 인터뷰를 하고, 처치, 헨리 M. 잭슨, 애들레이 스티븐슨 3세는 뉴욕에서 열리는 전당대회에서 인터뷰를 할 예정이다. 모든 후보자들 중에서 카터는 몬데일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그 결과 카터는 몬데일을 러닝메이트로 선택했다.
1970년대 후반, 처치는 파나마 운하를 파나마로 반환할 것을 제안한 토리요스-카터 조약의 대표적인 의회 지지자였다. 이 계획은 아이다호에서 널리 인기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워싱턴 D.C. ABC와 NCPAC는 1980년 보수 공화당 하원의원 스티브 펨스의 상원의원 선거 운동과는 공식적인 관계가 없는 국가 보수 정치 행동 위원회(NCPAC)가 창설한 "Averybody But Church" (ABC)를 결성하게 되었다.이전 연방 선거법에 따르면, 그들은 교회를 패배시키기 위해 모을 수 있는 한 많은 돈을 쓰도록 했다.[33]
Church는 Syms에 5번째 임기를 위한 그의 입찰에서 1% 미만의 득표 차이로 졌다. 그의 패배는 공화당 대통령 후보 로널드 레이건의 아이다호에서의 Anyone But Church 위원회의 활동과 전국 언론들이 일찍 발표한 것이 원인이었다. 이러한 예측은 주 전체, 특히 북쪽의 태평양 표준시에서 투표가 마감되기 전에 방송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이것이 정치적으로 온건한 아이다호 판핸들 지역의 많은 민주당원들이 투표를 전혀 하지 않게 했다고 믿었다. 2021년[update] 현재 처치는 미국 상원에서 아이다호를 대표하는 마지막 민주당원이다.
선거결과
연도 | 민주당원 | 투표 | Pct | 공화당 | 투표 | Pct | 제3당 | 파티 | 투표 | Pct | ||||
---|---|---|---|---|---|---|---|---|---|---|---|---|---|---|
1956 | 프랭크 처치 | 149,096 | 56.2% | 허먼 웰커(주) | 102,781 | 38.7% | 글렌 테일러 | 쓰기-인 | 13,415 | 5.1% | ||||
1962 | 프랭크 처치(주) | 141,657 | 54.7% | 잭 홀리 | 117,129 | 45.3% | ||||||||
1968 | 프랭크 처치(주) | 173,482 | 60.3% | 조지 5세 한센 | 114,394 | 39.7% | ||||||||
1974 | 프랭크 처치(주) | 145,140 | 56.1% | 밥 스미스 | 109,072 | 42.1% | 장 스토다드 | 미국인의 | 4,635 | 1.8% | ||||
1980 | 프랭크 처치(주) | 214,439 | 48.8% | 스티브 심스 | 218,701 | 49.7% | 래리 풀머 | 자유당 | 6,507 | 1.5% |
상원에서 24년을 보낸 뒤 처치는 휘트먼과 랜섬의 회사인 워싱턴DC와 함께 아시아 문제를 전문으로 하는 국제법을 실천했다.
죽음
상원을 떠난 지 3년 만인 1984년 1월 12일 췌장종양으로 병원에 입원했다.[34][35] 그로부터 석 달도 안 돼 지난달 7일 59세의 나이로 메릴랜드 베데스다의 자택에서 별세했다.[5][36] 워싱턴 D.C.[37]에 있는 국립 대성당에서 추도식이 열렸고 그 후 그의 시신은 아이다호로 날아가 아이다호 주 의사당 로툰다 아래 주(州)에 누워 있었다.[38][39] 그의 장례식은 4월 12일 로키 대성당 보이즈 시내에서 열렸고 아이다호 전역에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 Church는 그의 소년 시절의 영웅인 상원의원 William Borah 근처에 Morris Hill 묘지에 묻혔다.[40][41][42]
레거시
처치는 1983년 펜실베이니아 엘리자베스타운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아 공직생활 중 미국민들을 위한 그의 업적을 기렸다. 그의 논문은 원래 1981년 모교인 스탠포드 대학에 주어졌던 것으로 1984년 그의 요청으로 보이세 주립대학으로 옮겨졌다.[43]
2021년[update] 현재, Church는 아이다호에서 미국 상원에서 복무한 마지막 민주당원으로 남아있다. 그의 최종 선거 승리는 47년 전인 1974년에 있었다.
NSA에 대한 경고
처치는 당시 대부분의 미국인에게 존재가 알려지지 않은 국가보안국(NSA)의 방대한 운영과 전자감시장치에 대해 교회위원회가 알게 된 것에 놀랐다. Church는 1975년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 능력은 언제든 미국 국민들에게 돌아설 수 있고, 미국인은 사생활이 남아 있지 않을 것이다. 전화 통화, 전보 등 모든 것을 감시할 수 있는 능력이다. 숨을 곳이 없을 것이다.[20][44]
그는 또한 NSA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는 것으로 널리 인용되고 있다.
난 이 나라가 다리를 건너는 걸 보고 싶지 않아... 나는 미국에서 폭정을 총체적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알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 기술을 소유한 이 기관과 모든 기관이 법 안에서 그리고 적절한 감독하에 운영되어 우리가 그 심연을 절대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저것은 돌이킬 수 없는 심연이다.[20][44]
글렌 그린월드와 같은 논평가들은 NSA가 미국인들을 감시하기 위해 돌아선 것에 대해 그의 예언적인 경고에 대해 찬사를 보내왔고, NSA는 9.11 테러 이후 몇 년 동안 그러한 전환을 감행했다고 주장했다.[45]
참고 항목
- 쿠퍼-처치 수정안
- 케이스-처치 수정안
- Frank Church 고등학교 – Boise의 대안 고등학교
- 프랭크 처치—돌아오지 않는 황야의 강
참조
이 기사는 미국 의회 웹사이트인 http://bioguide.congress.gov의 인명 디렉토리에 있는 공공 도메인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 ^ a b "Mother of former Sen. Church dies in Boise". Lewiston Morning Tribune. Associated Press. March 5, 1983. p. 5B.
- ^ a b "Frank Forrester Church III".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2008. Retrieved March 7, 2013.
- ^ Prentice, George (February 13, 2013). "Dave Bieter". Boise Weekly. Retrieved March 6, 2013.
- ^ a b Lardner, George, Jr. (April 25, 1976). "Frank Church running 'happy campaign,' relaxed about future". Spokesman-Review. Spokane, Washington. WP. p. A12.
- ^ a b "Idaho ex-Sen. Frank Church dies of cancer". Spokesman-Review. Spokane, Washington. Associated Press. April 8, 1984. p. 1.
- ^ Dieter, Alice (Spring 1973). "The Robinson Bar". Skiing. p. 57.
- ^ "Musician Carole King's Stanley ranch re-listed". Idaho Mountain Express. Ketchum. July 2,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5, 2010.
- ^ "Robinson Bar Ranch". Hall and H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15. Retrieved September 28, 2015.
- ^ "Bethine Church dies at age 90". Spokesman.com. Retrieved 2018-09-06.
- ^ "Milestones: Jan. 23, 1984". Time. January 23, 198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30, 2007. Retrieved May 2, 2010.
- ^ "Sen. Church's son sentenced to prison". Spokane Chronicle. Washington. March 25, 1987. p. A3.
- ^ Bumiller, Elizabeth (14 July 2010). "Records Show Doubts on '64 Vietnam Crisi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5 July 2010.
- ^ Frank Church, 상원의원, 그리고 David F에 의한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파의 출현. 슈미츠, 나탈리 푸우스키스, 태평양 역사 리뷰, 제63권, 제4권 (1994년 11월), 페이지 561-581.
- ^ Schmitz, David F (2006). The United States and Right-Wing Dictatorships, 1965–19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6133-0. 페이지 121. 슈미츠는 CBS TV에서 1970년 9월 6일 방송된 CBS TV 2.2/32/IS, FCP에서 '도브스 해브 원'(The Doves Have Won)과 1970년 9월 11일('최고의 애국심'의 출처)의 예를 사용한다.1970년 9월 26일 콜로라도 주립대 연설과 "도브스가 이기고 있다 - 절망하지 말라", 1970년 12월 10.6/8/8/8 FCP의 "도브스가 이기고 있다 - 절망하지 말라" 등의 연설.
- ^ Knott, Stephen F (November 4, 2001). "Congressional Oversight and the Crippling of the CIA". History News Network.
- ^ Mooney, Chris (November 5, 2001). "Back to Church". The American Prospec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12-05.
- ^ Burbach, Roger (October 2003). "State Terrorism and September 11, 1973 & 2001". ZMag. 16 (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Scholar search) on January 11, 2006.
- ^ "Debate: Bush's handling of terror clues". CNN. May 19,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9, 2011. Retrieved May 2, 2010.
- ^ Ellsberg, Daniel (June 10, 2013). "Edward Snowden: saving us from the United Stasi of America". The Guardian.
- ^ a b c "The Intelligence Gathering Debate". NBC. August 18, 1975. Retrieved May 28, 2015.
- ^ Popkey, Dan (5 August 2013). "Idaho's Frank Church has posthumous TV debate with Rick Santorum". Idaho Statesman. Retrieved 21 September 2013.
- ^ "Sen. Frank Church Warns of How Easily Government Can Abuse Expanding Surveillance Capabilities". Grabien – The Multimedia Marketplace. Grabien – The Multimedia Marketplace. 17 August 1975. Retrieved 21 September 2013.
- ^ Bamford, James (13 September 2011). "Post-September 11, NSA 'enemies' include us". Politico. Retrieved 21 September 2013.
- ^ a b 가디언은 2013년 9월 26일 NSA 자체에서 '전반 베트남 비평가들을 감시하기 위해 1960년대 무함마드 알리와 MLK 작전의 미나렛을 설치한 NSA 파일 쇼 에이전시를 폐기했다'고 발표했다.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3/sep/26/nsa-surveillance-anti-vietnam-muhammad-ali-mlk
- ^ "Idaho acts to rename area after Frank Church". Deseret News. Salt Lake City, Utah. UPI. February 28, 1984. p. 10B.
- ^ "Reagan signs bill naming area after Frank Church". Spokane Chronicle. Washington. Associated Press. March 15, 1984. p. 3.
- ^ Mouat, Lucia (October 16, 1980). "It's 'Frank' vs. 'Steve' as Idaho's Church seeks re-election to Senate". Christian Science Monitor: 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1, 2008.
- ^ 국립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기구: 호스피스의 역사
- ^ "Wie gestalteten sich die sogenannte "Lockheed-Affäre" und die "Abhöraffäre"?". Franz Josef Strauß - Leben und Wirken des bayerischen Politikers.
- ^ "Scancals: Lockheed's Defiance: A Right to Bribe?". Time. August 18, 197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7, 2007.
- ^ Shelledy, Jay (March 19, 1976). "Church joins race for White House". Lewiston Morning Tribune. Idaho. p. 1A.
- ^ Weaver Jr., Warren (June 15, 1976). "Church Withdraws; Endorses Carter". The New York Times. p. 27.
- ^ Lindsay, John J (June 30, 1980). "Endangered Liberal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1, 2008. Cite 저널은 페이지 20을 요구한다.
- ^ "Frank Church in hospital; described as 'gravely ill'". Spokesman-Review. (Spokane, Washington). Associated Press. January 11, 1984. p. 1.
- ^ "Former Sen. Church will undergo surgery at N.Y. cancer center". Deseret News. (Salt Lake City, Utah). Associated Press. January 11, 1984. p. A3.
- ^ "Frank Church dies of cancer". Lewiston Morning Tribune. (from The Washington Post). April 8, 1984. p. 1.
- ^ "Church's body returned for funeral rite at Boise". Spokane Chronicle. Washington. Associated Press. April 11, 1984. p. 36.
- ^ "Church's body comes home to Idaho". Spokesman-Review. Spokane, Washington. Associated Press. April 12, 1984. p. 1.
- ^ "Hundreds of Idahoans mourn". Spokane Chronicle. Washington. Associated Press. April 12, 1984. p. 1.
- ^ "Frank Church will rest near boyhood hero". Spokane Chronicle. Associated Press. April 9, 1984. p. 3.
- ^ Sher, Jeff (April 13, 1984). "Last tribute paid to Church". Spokesman-Review. Spokane, Washington. p. 1.
- ^ Gallagher, Susan (April 13, 1984). "Church remembered as man of compassion". Lewiston Morning Tribune. Idaho. Associated Press. p. 1A.
- ^ "Church's papers headed for BSU". Spokesman-Review. (Spokane, Washington). wire reports. March 2, 1984. p. 21.
- ^ a b Bamford, James (December 25, 2005). "The Agency That Could Be Big Brother". The New York Times.
- ^ Greenwald, Glenn (June 25, 2013). "Liberal Icon Frank Church on the NSA - Almost 40 Years Ago, the Idaho Senator Warned of the Dangers of Allowing the NSA to Turn Inward". The Guardian.
추가 읽기
- 애쉬비, 르로이 "프랭크 교회는 상원으로 간다: 1956년 아이다호 선거." 태평양 북서쪽 78 분기 (1987년 1월 ~ 4월): 17-31일.
- 애쉬비, 르로이, 로드 그래머. 배틀 더 오즈: 프랭크 교회 상원의원의 삶. 풀만: 워싱턴 주립 대학교 출판부, 1994.
- 교회, F. 포레스터. 아버지와 아들: 아이다호주 프랭크 교회 상원의원의 아들의 개인 전기
- 댄트, 새라 "야생노동 만들기: 프랭크 교회와 미국야생운동" 태평양 역사 검토 77(2008년 5월): 237-272.
- 에워트, 새라 E. 단트. "프랭크 교회의 개종: 환경론자의 진화" 2000년 워싱턴 주립대학 박사학위 논문.
- 에워트, 새라 E. 단트 "환경주의자의 진화: 프랭크 교회 상원의원과 헬스 캐년 논란." 몬타나: 서양사 51호(2001년 봄) : 36-51.
- 에워트, 새라 E. 단트 "피크 파크 정치: 보라에서 교회로 가는 쏘우토츠를 둘러싼 투쟁." 태평양 북서 분기별 (2000년 여름): 138-149.
- 홀, 빌. 워싱턴 D.C.의 프랭크 처치, 그리고 미 풀먼: 워싱턴 주립 대학 출판부, 1995. ISBN 978-0-87422-119-0
외부 링크
- United States Congress. "Frank Church (id: C000388)".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 세계 전기 백과사전 – 프랭크 포레스터 처치 III
- 보이세 주립 대학교 - 프랭크 교회 연구소
- BSU 도서관: 특별 소장품 - 프랭크 교회 논문
- BSU 도서관 – Bethine Church에 대한 헌사
- 프랭크 처치—돌아오지 않는 황야의 강(PDF) - 사용자 가이드
- 보이세 고등학교 명예의 전당
- 모리스 힐 묘지 - 보이즈, ID - 워킹 투어
- 무덤 찾기 프랭크 처치
- 프랭클린 & 엘리너 루즈벨트 연구소 – 프랭크와 베신 교회
- Frank Church for President – 1976년 캠페인 브로셔
- C-SPAN에 대한 표시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프랭크 처치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