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아룬데일

George Arundale
조지 아룬데일
G S Arundale.jpg
아룬데일(Benaras) 교장으로서
개인내역
태어난(1878-12-01)1 1878년 12월
영국 서리
죽은1945년 8월 12일 (1945-08-12) (66)
인도 아디야르
국적영국의
디노미네이션자유 가톨릭교도
배우자루크미니 데비 아룬데일
모교케임브리지 세인트존스 칼리지

조지 시드니 아룬데일(George Sydney Arundale, 1878년 12월 1일 영국 Surrey - 1945년 8월 12일 인도 Adyar)은 테오소포이스트 프리메이슨, 테오소포피즘 협회 아디야르의 회장, 자유 가톨릭 교회의 주교였다. 그는 인도의 댄서 루크미니 데비 아룬데일의 남편이었다.

초년기

아룬데일은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여의고 부유한 테오소피스트인 고모 프란체스카 아룬데일에 의해 입양되었다. 처음에 그는 찰스 웹스터 리드비터에게 개인적으로 지도를 받았다. 이후 프란체스카 아룬데일과 함께 독일로 건너가 비즈바덴의 게레르테 체육관에서 학교를 다녔다. 결국 영국으로 돌아온 그는 케임브리지세인트존스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1]

인도

이 사회의 또 다른 주요 중심지는 인도 정신주의에 거룩한 도시인 바라나시였다. 1902년 아룬데일과 그의 이모가 바라나시로 이주하여 중앙 힌두 대학교(CHC)에서 역사 교사로 부임하였다. 1909년, 그는 그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1912년 아룬데일은 아디야르에서 레치워스 가든 시티에 있는 성 크리스토퍼 스쿨의 설립에 영감을 준 테오소피컬 협회에 연설을 했는데, 이 학교는 아직도 설립 원칙하에 운영되고 있다.

애니 베산트는 런던 샤링 크로스 역에 그의 동생 니타난다 지두 크리슈나무르티와 저명한 테오소피스트이자 소년들의 가정교사 조지 아룬데일과 함께 도착한다. (그림과 자막은 크리슈나무르티 84쪽에 등장한다. Mary Lutyens의 각성의 해)

20세기 초, 많은 테오소포피스트들은 메시아적인 실체, 이른바 미륵이나 세계 스승의 출현이 임박했다고 믿었다. 이 무렵 지두 크리슈나무르티라는 이름의 어린 소년은 대표적인 테소피스트 찰스 리드비터에게 기대했던 메시아의 '차량'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크리스나무르티는 나중에 그 생각을 부인하였다). 아룬데일은 크리슈나무르티의 개인 지도교사로 뽑혔다. 그는 '세계의 스승이 온다'는 확고한 신봉자였으며, 1910년 말 은밀한 사회인 '욱일승천장'( 늦게 동양에서 별의 훈장으로 개칭)을 결성하여 이러한 명분을 더하려는 의도였다. 대부분의 신병들은 CHC의 학생들과 직원들이었다. 사회의 존재와 활동이 결국 공개되자 큰 소동이 일었다; 학교 신탁관리자와 행정관의 명령에 반대하여 1913년 아룬데일과 다른 교직원들은 그들의 직위를 사임하고 학교를 떠났다.

영국에서 휴가를 보내고 인도로 돌아와 신학회의 활동에 전념하였다. 그와 그의 이모는 마드라스의 아디야르에 있는 사회의 무질서한 캠퍼스에 정착했다. 인도의 고대 문화와 철학에 대한 관심과 자부심이 되살아난 것처럼 인도 독립 운동은 이 기간 동안 속도를 내고 있었다. Theosophical Society는 이 두 가지 조류 모두를 지지했다. 1917년 그는 애니 베산트와 함께 인도국립대학을 첸나이에서 조직한 테오소피스트의 한 그룹이었다. 라빈드라나트 타고레는 이 대학의 초대 총장이 되었다. 같은 해 6월 아룬데일은 베산트, 바흐만 페스턴지 와디아와 함께 인도 독립 운동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영국 당국에 체포되었다.

결혼

아룬데일은 아디야르에 있는 동안 동료 테오소피스트인 닐라칸타 사스트리의 가족과 접촉하여 딸 루크미니와 사랑에 빠졌다. 이것은 수치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다. 뤼크미니는 사스트리가 테오소포이스트에 관여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길 정도로 힌두교 가정 정통파에 속했고, 인종, 종교, 문화적 배경 등에 대한 고려가 있었고, 뤼크미니는 아룬데일의 아내가 되기에는 너무 어렸기 때문에 26살이나 어린 나이였다.

이러한 고려와 루크미니의 가족이 제기한 소란을 견디지 못한 그들은 1920년에 결혼했는데, 루크미니는 열여섯 살이 되고 그는 마흔두 살이 되었다. 아룬데일은 루크미니에게 멘토링을 하며 고전 무용에 대한 관심을 키우도록 격려했다. 룩미니는 계속해서 바라타나티암 스타일의 고전 무용의 원기를 회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에 따라 오늘날 인도에서 조지 아룬데일이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루크미니 데비 아룬데일의 남편으로서다.

경력

결혼 후, 그는 몇 년 동안 첸나이 외곽에 사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했고 인도 중부 인디고르마하라자로부터 그 의 교육 위원장으로 일하라는 제의를 받아들였다. 그의 인도르에서의 시책 중 하나는 나바라트나 만디르라고 알려진 박물관을 여는 것인데, 이 박물관은 어린 학생들에게 영감을 주는 역할을 하기 위해 전 세계 위대한 사람들의 전기와 기념품을 담고 있다. 이것이 인도에 있는 중앙 박물관의 전조가 되었다.

그는 그의 시간의 많은 부분을 계속해서 Theosophical Society의 활동에 바쳤다. 1924년, 그의 이모는 아디야르에서 죽었고 그는 상당한 재산을 물려받았다. 1926년 그는 로마 가톨릭과 아무런 관련도 없는 신학 성체인 자유 가톨릭 교회의 주교가 되었다. 같은 해, 그는 호주 Theosophical Society의 총서기로 임명되어 아내와 함께 그 나라로 이주했다. 호주로 항해 중인 그들의 동반승객 중 한 명은 발레 무용수 안나 파블로바였는데, 그는 순식간에 아룬달레스의 친구가 되었다. 뤼크미니가 파블로바의 예술과 그녀로부터 배우고자 하는 열망에 감탄하자, 후자는 대신 인도의 고전적인 전통을 보고 그들의 부흥을 향해 일하라고 충고했다. 뤼크미니는 충고를 마음에 새겨 후에 인도 바르샤나티암 부흥의 도옌이 되었다.

1934년 조지 아룬데일은 테오소피셜 협회 아디야르의 회장이 되었다. 같은 해, 그는 협회의 캠퍼스 내에 베산트 기념 학교를 설립했다. 그는 후에 마리아 몬테소리가 와서 학교를 책임지도록 설득했다. 몬테소리는 1939년 아디야르에 와서 3년간 이 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면서 기관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36년 아룬달레스는 인도의 고전무용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데 헌신한 존경받는 기관인 칼라크셰트라를 설립했다. 1948년까지 칼라크셰트라는 아디야르의 테오소피셜 협회의 널따란 캠퍼스 안에 위치했다.

아룬데일은 1902년 프리메이슨(Freemason)이 되어 생애를 마칠 때까지 한 사람 남아 있었다. 또한드루이트 후마인의 일원이었으며, 세계 청년 테오소피스트 연맹에서 일했다. 그의 삶의 마지막 10년 동안, 그는 Theosophy에 관한 책과 모노그래프를 몇 권 썼다. 그는 1945년 아디야르의 자택에서 평화롭게 숨을 거두었다.

작동하다

  • 자유와 우정. 1935년 마드라스의 신학 출판사.
  • 쿤달리니, 신비로운 경험. 마드라스 1938년 이오소픽 출판사.
  • 정신적 성취인 에베레스트 산. 1933년 휘튼의 Theosophical Press, Wheaton.
  • 니르바나, 합성의식에 관한 연구. Theosophical Press, Chicago 1926.
  • 연꽃불, 상징요가에 관한 연구 마드라스 1939년 이오소픽 출판사.
  • '주인의 발에'에 대한 생각들.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American Branch), Hollywood 1919.

참조

  1. ^ "Arundale, George Sidney (ARNL895GS)". A Cambridge Alumni Database. University of Cambridge.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