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번 밸리 고속도로

Goulburn Valley Highway
굴번 밸리 고속도로

일반 정보
유형고속 도로.
길이256 km (159 mi)[1]
루트 번호
  • A39(2013-현재)(
    VIC/NSW 경계-아르카디아)
  • M39 (2013–현재)(
    Arcadia-)
    시모어)
  • B340(1998–현재)(
    Seymour-Eildon)
  • 동시 통화:
  • B300(1998-현재)(
    Yea-Cathkin)
  • B400(1998-현재)(
    Strathmerton-Yarroweyah)
예전의
루트 번호
  • 국도 A39호선(1997-2013)(
    VIC/NSW 경계-아르카디아)
  • M39번 국도 (2001-2013)
    (아르카디아-)
    시모어)
  • 39번 국도 (1992-1997)
    (VIC/NSW 경계-시모어)
  • 국도 제39호선(1965-1992)
    (VIC/NSW 국경-시모어)
  • 국도 168호선 (1986-1998)
    (세이모어-아일든)
  • 동시 통화:
  • 국도 153호선 (1986-1998)
    (예아캐스킨)
  • 국도 제16호선(1955-1998)
    (스트라트머튼-야로베이아)
주요 접합부
북동쪽 끝 뉴웰 고속도로
VIC/NSW 테두리
남동쪽 끝아일던 로드
아일든
장소
주요 결산스트라스머튼, 셰퍼튼, 나가미, 세이모어, , 알렉산드라
고속도로 시스템

Goulburn Valley Highway는 호주 빅토리아 주에 위치고속도로입니다.흄 고속도로의 북쪽 구간은 멜버른에서 브리즈번 국도(Hume Freeway와 함께)의 일부이며, 빅토리아와 뉴사우스웨일스 내륙을 연결하는 주요 연결 구간입니다.또한 멜버른과 빅토리아 주에 있는 셰퍼튼의 주요 지역 중심지를 연결하는 가장 직접적인 루트이기도 합니다(Hume Freeway 경유).

경로

이 고속도로는 머레이 강의 지류인 굴번 강의 경로를 대략 따라갑니다.고속도로는 호주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농업 지역 중 하나인 빅토리아주에 있는 굴번 계곡의 과일과 야채 재배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속도로는 아일던에서 세이모어까지 2차선 단일 차도로 갓길이 있는 밀폐된 도로로 운행됩니다.흄 고속도로에서 나가비를 경유하여 아르카디아로 가는 구간은 이중 차로로 완전히 전환되어 굴번 밸리 고속도로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고속도로 업그레이드로 인해 원래 Goulburn Valley Highway의 구간이 중복되어 새로운 고속도로에 통합되거나 로컬 액세스 도로로 기능하게 되었습니다.고속도로 구간은 호주 시골 고속도로의 표준 속도인 110km/h의 제한 속도로 덮여 있다.Arcadia와 Tocumwal 사이의 고속도로는 2차선 단일 차선이지만 촉각적인 도로 선, 넓은 갓길 및 추월을 위한 3~4차선 단일 차선 도로의 작은 구간이 있습니다.Goulburn Valley Highway는 Tocumwal에서 Murray 강을 건너 New South WalesNewell Highway와 합류합니다.

역사

Goulburn Valley 고속도로 출구는 Seymour와 Yeah로 흄 고속도로 근처입니다.

1924년 고속도로[2] 차량법안빅토리아 의회를 통과하면서 주정부가 지방도로위원회(나중에 VicRoads)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 도로인 주 고속도로의 선언이 이루어졌다.Goulburn Valley Highway는 1946/47 회계연도에 [3]Seymour에서 Murchison, Shepparton을 거쳐 Strathmerton까지(총 88마일)의 주 고속도로로 선언되었습니다. 이 선언 이전에는 이 도로는 Goulburn Valley Road, Murchison-Shepparton Road, Sheppurnum으로 불렸습니다.1959/60 회계연도에, 아일돈에서 알렉산드라, 에서 세이모어까지 동부 구간이 [5]추가되었고, 어퍼 골번 로드(아일돈에서 트라우울, 거기서 굴번 강을 건넌 후 세이모어-예아 로드부터 세이모어까지)[5]를 따라 추가되었다.마지막 구간인 Yarroweyah에서 토쿰왈 외곽 NSW와의 국경까지 머레이 [6][7]밸리 고속도로 북쪽Benalla-Tocumwal 도로를 따라 1983년 6월에 추가되었다.1985년 9월 셰퍼튼과 스트라스머튼 사이의 고속도로 구간은 토쿰발 철도선의 동쪽 누무르카와 카퉁가를 지나 스트라스머튼의 머레이 밸리 고속도로와 만나는 것에서 서부 철도의 누무르카를 우회하는 현재의 노선(이전의 앤클리프 로드)으로 재조정되었다.Strathmerton에서 서쪽으로 4km 떨어진 Murray Valley Highway와 만난다. 전자의 정렬은 현재 Numurkah를 통과하는 Tocumwal Road, Strathmerton을 넘어 [8]Numurkah Road로 알려져 있다.

1965년 시모어와 토쿰왈 사이의 국도 39호선과 1986년 [9]시모어와 아일던 사이의 국도 168호선이 체결되었다.Whitlam 정부는 1974년 [10]연방 국도법을 도입하여 국도로 선포된 도로는 여전히 도로 건설과 유지보수에 대한 주정부의 책임이었지만 연방정부는 승인된 [10]: S7 프로젝트에 사용된 비용을 전액 보상하였다.빅토리아와 퀸즐랜드의 수도를 잇는 중요한 주간 고속도로로서,[11] 굴번 밸리 하이웨이는 1992년에 세이모어와 토쿰왈 사이의 국도로 선언되었습니다.1990년대 후반 빅토리아가 새로운 영숫자 시스템으로 전환함에 따라, 이것은 세이모어와 토쿰왈 사이의 A39번 노선으로 업데이트되었고, 세이모어에서 에이든까지의 B340번 노선으로 대체되었다.시모어 북쪽 고속도로의 단계가 고속도로 표준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됨에 따라, 이러한 구간은 A39번 경로에서 M39번 경로로 업데이트됩니다.

도로 관리 법 2004[12]의 서거 VicRoads에:골번 밸리 고속 도로(고속 도로#1640년)2011년 VicRoads, 시모어 그리고 Eildon과 보신탕의 잔재 re-declaring Arcadia,[13]에 연결되는 이 길 re-declared 전반적인 관리와 빅토리아의 주요 동맥 도로의 개발의 책임을 허락했다.rder 재치h New South Wales는 Goulburn Valley Highway(동맥 번호 6640).[14]

국도로서 [11]선언된 직접적인 결과로 1992년부터 시모어와 셰퍼튼 사이의 고속도로 표준 도로로 전환할 계획입니다.첫 부분의 건설, 16km흄 고속 도로 시모어에와 교차의 바로 남쪽 Nagambie에, 1999년 1월에 시작되었다고 하고[15]이것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흉터 나무, 죽은 트리는 나무 방패와 요리어서는 국내 Taungurong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상담에서 삭감된 상처 베어링의 이전을 포함한 변환할입니다. Peo2001년 [16]4월 새로 생긴 남쪽 방향 휴게소에서 열린 개소식에 참석하기도 했다.[15]머치슨 동쪽 편차는 2003년 2월(거의 11개월 전)에 개통되어 머치슨 동쪽과 무어림을 경유하는 대신 보다 직선적으로 도로를 정렬할 수 있게 되었고 멜버른과 셰퍼턴 사이의 거리를 [17]4km 단축시켰다.

업그레이드 일정

  • 2001년 – 흄 고속도로에서 나가미까지 16km를 2001년 4월에 개통하여 5,300만달러의 [16]비용을 지불했습니다.
  • 2003년 - 머치슨 이스트 편차가 2003년 2월 18일 개장했으며, 비용은 [17]8890만 달러였다.
  • 2008년 – Arcadia 복제, 2008년 6월에 개업한 10km. 비용은 4050만달러.[18]
  • 2013년 - 나가미 바이패스, 17km 바이패스 2013년 [19]4월말 개통.

아카디아 복제

이 복제는 호주 정부가 Auslink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4055만달러의 자금을 지원한 프로젝트입니다.이 작업은 머치슨 이스트 편차와 로스 로드 바로 북쪽에 있는 제안된 셰퍼튼 바이패스 사이의 기존 굴번 밸리 고속도로 10km를 아카디아를 통해 복제하는 것을 포함했다.4개의 경사 교차로, 전면 진입로, 완전한 시설을 갖춘 휴게소, 와이어 로프 안전 장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르카디아 구간은 칼더 우드번 명예의 기념 거리에 인접해 있습니다.명예로운 거리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헤리티지 빅토리아와 협의하여 보존 관리 계획이 개발되었습니다.그 계획에는 나무들의 길을 강화하고 강조하기 위한 조치들이 포함되어 있었다.이 프로젝트는 2006년 6월에 시작되어 2008년 2월에 공개되어 2008년 4월에 모든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이 고속도로는 2,000대 이상의 [when?]상용차를 포함하여 하루에 6,500대의 차량을 운송한다.

나가미 바이패스

Auslink 2(2009–2014) 연방정부 인프라 프로그램의 일부로 자금을 지원받은 나가미 바이패스는 나가미 마을을 동쪽으로 우회한다.자금 [20]조달은 2009년 5월에 발표되어 2009년 12월에 착공되었다.이 우회로는 2013년 [19]4월에 개통되었다.

비용은 2억 2,200만 달러이며, 1억 7,760만 달러는 호주 정부에 의해 기부되었고, 나머지 4,440만 달러는 주 [21]정부로부터 기부되었다.이 프로젝트는 키르완스 브릿지-롱우드 로드(2011년 11월 완공)와 미첼스타운 로드(Mitchellstown Road)에서 키르완스 브릿지-롱우드 로드(Kirwans Bridge-Longwood Road)[21] 사이의 3.5km에 이르는 기존 고속도로를 복제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셰퍼튼 바이패스

아르카디아에 있는 기존 굴번 밸리 프리웨이의 북쪽 종점과 연결되는 셰파르톤 바이패스의 정렬이 결정되었으며, 북서쪽으로 이동하여 툴람바굴번 강을 건넌 후 서쪽으로 이동한 후 북쪽으로 이동하여 콩구프[22]북쪽의 기존 고속도로에 합류한다.

Shepparton Bypass는 Auslink 2(2009–2014년)[23]에 의해 자금을 조달할 것을 제안했다. 2017/18년 주 예산은 3년에 걸쳐 1020만 달러를 예비 작업 및 토지 [24]취득에 할당했으며, 2018년 초기 단계에 대해 지역사회와 협의가 이루어졌다.현재 우선순위는 무루프나 서쪽 미들랜드 고속도로에서 쉐퍼턴 노스의 업그레이드된 왕가누이 도로를 통해 굴번 밸리 고속도로까지 이어지는 단일 차선인 1단계입니다. 연방 정부도 2억 6천만 달러의 프로젝트 비용으로 2억 8백만 달러를 기부했습니다.스테이지 [25]1의 경우.이 프로젝트는 아직 계획 중이며, 착공 날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스트라트머튼 편차

재편성은 StrathmertonYarroweyah의 작은 마을을 우회하여 Tocumwal에서 머레이 강을 건너는 남쪽의 위험한 굴곡을 피할 것이다.제안된 새로운 노선은 그 마을들을 통과하는 대신 머레이 밸리 고속도로를 건너 머레이 [26]강 바로 남쪽의 현재의 노선과 합류할 것이다.

제안된 Strathmerton 편차 역시 Auslink 2(2009–2014)[27]에 의해 자금을 지원받을 예정이었지만 2017년 초까지 구축되지 않았다.

주요 교차로 및 마을

VIC/NSW 경계선 - 시모어

LGA장소[1][13]km[1]수신처메모들
주 경계선0.00.0빅토리아 – 뉴사우스웨일스 주 경계
모이라쿠누무 Newell Highway(A39) – Tocumwal, Dubbo, Goondiwindi고속도로의 북쪽 종점. 뉴웰 고속도로로 NSW까지 계속됩니다.
9.76.0코브람쿠노무로드(C367)-코브람, 야라원가
야로베야14.28.8 머레이밸리 고속도로(동쪽 B400)– 베날라, 코브람, 야라원가B400번 노선과의 동시통행 동부 종점
스트라트머튼23.414.5도쿰왈 선
28.517.7 머레이밸리 고속도로(B400 서쪽)– 나탈리아, 에추카, 랑, 스완힐B400번 노선과의 동시 접속 서부 종점
누무르카46.028.6카타미테 나탈리아 도로(C361 서쪽)– 나탈리아루트 C361과의 동시성
47.829.7카타마티테 나탈리아 도로(C361 동쪽)– 카타마티테
대셰파르톤콩구프나70.443.7카타마티-셰파르톤 도로(C363)-카타마티계획된 셰파르톤 바이패스 북쪽 종점
70.643.9Grahamvale Road(C391) – Euroa, 멜버른, 타운 바이패스 경유
셰퍼튼 노스74.946.5바르마-셰파르톤 도로(C358) - 바르마나탈리아
셰파톤78.448.7두키셰파톤로드(C364)~두키에
80.049.7 미드랜드 고속도로(A300)– 캬브람, 엘모어, 벤디고, 베날라
81.250.5도쿰왈 선
키알라86.753.9리버 로드(C391) – Euroa, Benalla, Tocumwal 마을 우회 경유
아카디아96.760.1Ross Road (서쪽)– Arcadia
카라모무스 로드(동부)– 카라모무스
고속도로 및 A39번 국도의 남쪽 종점, 고속도로 및 M39번 국도의 북쪽 종점
계획된 셰파르톤 우회로의 남쪽 종점
98.561.2도일스 로드
100.362.3Arcadia Road – Arcadia, Tamleugh West
스트라스보기아르카디아 남부101.463.0Arcadia Two Chain Road – 유로아
103.964.6누난스 로드 – Arcadia
무릴림107.466.7머치슨바이올렛타운로드(C345)– 바이올렛타운 머치슨
111.769.4더글러스 로드(서쪽)– 머치슨 이스트
버크 로드(동쪽) – 무릴림
와링116.372.3Dargalong Road – 머치슨 이스트, 와링
118.573.6Wahring-Murchison East Road (C357)– Murchison, Rushworth, Tatura
122.776.2Wahring-Euroa Road – Euroa칼텍스 서비스 센터
키르완스 다리128.279.7그림와이드 로드(C392 west)– 롱우드나가미비
128.780.0도쿰왈 선
타빌크135.584.2
139.786.8Mitchellstown Road (C346 동쪽/C392 서쪽)– 나가미, 히스코트, 아베넬
망갈로르145.390.3공항로드롬 로드 - 아베넬, 망갈로르 공항
148.892.5제라드 로드 – 망갈로르
153.495.3셀렉터 도로(서쪽)
나링가로드(동부)– Avenel
미첼시모어.155.096.3 Hume Freeway (M31)– 멜버른, Wodn부분 클로버 리프 나들목
Goulburn Valley Highway (B340)– Seymour, Eildon고속도로의 남쪽 종점 및 M39번 국도; Goulburn Valley Highway로 계속됩니다.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시모어 - 아일든

LGA장소[1][14]km[1]수신처메모들
미첼시모어.155.096.3Goulburn Valley Freeway (M39) – 토쿰왈셰파르톤B340 고속도로의 서쪽 종점 및 루트 B340; Goulburn Valley Freeway로 북쪽으로 계속됨
Hume Freeway (M31)– 멜버른, Wodn부분 클로버 리프 나들목
160.099.4Seymour-Tooborac Road (C384) – 멜버른, Tooborac, Puckapunal
160.899.9도쿰왈 선
굴번 강170.8106.1브리지 이름을 알 수 없습니다.
미첼화이트헤드 강171.1106.3어퍼골번로드(C383) – 탈라루크
킹 패럿 크릭181.3112.7브리지 이름을 알 수 없습니다.
무린디네, 그렇습니다.198.0123.0Whittlesea-Yea Road (C725)– Whittlesea, Flowerdale
198.7123.5 멜바 고속도로(B300 남쪽)– 릴리데일 야라 글렌루트 B300과의 동시성
예 강199.3123.8브리지 이름을 알 수 없습니다.
굴번 강212.3131.9브리지 이름을 알 수 없습니다.
무린디캐스킨216.4134.5 마룬다 링크 고속도로(B300 북쪽)– 보니둔, 맨스필드, 베날라루트 B300과의 동시성
코리에라223.0138.6 마룬다 고속도로(C516 북쪽)– 보니둔, 맨스필드, 베날라
알렉산드라229.9142.9 마룬다 고속도로(B360 남쪽)– 메리스빌, 힐스빌, 릴리데일
굴번 강239.2148.6길모어 다리
무린디손턴242.3150.6Taggerty-Thornton Road (C515)– 멜버른 태거티
굴번 강255.4158.7브리지 이름을 알 수 없습니다.
무린디아일돈255.7158.9Eildon Road – Eildon동부 종점 고속도로 및 B340번 노선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d e Google (19 October 2021). "Goulburn Valley Highway/Freeway"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19 October 2021.
  2. ^ 1924년 12월 30일, 고속도로시골 도로 자동차와 트랙션 엔진에 관한 추가 규정을 제정하는 법률
  3. ^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Thirty-Fourth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47".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0 November 1947. p. 19.
  4. ^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Twenty-Sixth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39".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10 November 1939. pp. 95, 102.
  5. ^ a b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Forty-Seventh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60".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1 November 1960. pp. 7–8.
  6. ^ "Road Construction Authority of Victoria.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84". Road Construction Authority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1 December 1984. p. 54.
  7. ^ "Victorian Government Gazette". State Library of Victoria. 30 June 1983. p. 1971. Retrieved 30 December 2021.
  8. ^ "Victorian Government Gazette". State Library of Victoria. 11 September 1985. p. 3522. Retrieved 30 December 2021.
  9. ^ "Road Construction Authority of Victoria.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86". Road Construction Authority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4 November 1986. p. 42.
  10. ^ a b 1974년 국도법
  11. ^ a b "VicRoads Annual Report 1992-93". VicRoads.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9 September 1993. p. 45.
  12. ^ State Government of Victoria. "Road Management Act 2004" (PDF). Government of Victoria.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9 October 2021. Retrieved 19 October 2021.
  13. ^ a b VicRoads. "VicRoads – Register of Public Roads (Part A) 2015" (PDF). Government of Victoria. pp. 25–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20. Retrieved 19 October 2021.
  14. ^ a b VicRoads. "VicRoads – Register of Public Roads (Part A) 2015" (PDF). Government of Victoria. pp. 99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20. Retrieved 19 October 2021.
  15. ^ a b "VicRoads Annual Report 1998-99". VicRoads.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30 August 1999. p. 27.
  16. ^ a b "VicRoads Annual Report 2000-01". VicRoads.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6 September 2001. p. 31.
  17. ^ a b "VicRoads Annual Report 2002-03". VicRoads.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 October 2003. p. 14.
  18. ^ Vic Roads.VicRoads Annual Report 2007-08, Kew, Victoria:VicRoads, 2008, 페이지 35
  19. ^ a b "VicRoads Annual Report 2012-13". VicRoads.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7 August 2012. p. 20.
  20. ^ "Nagambie bypass construction to begin this year". ABC New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5 May 2009. Retrieved 4 July 2011.
  21. ^ a b "Goulburn Valley Highway - Nagambie Bypass". Nation Building Program: Find Projects. 18 May 2011. Retrieved 4 July 2011.
  22. ^ "Bypassing Shepparton". Major Road Projects Victoria.
  23. ^ "Archived copy" (PDF). www.doi.vic.gov.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July 2008. Retrieved 15 January 2022.{{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24. ^ "Goulburn Valley Highway Shepparton Bypass". Greater Shepparton City Council.
  25. ^ "Goulburn Valley Highway - Shepparton Bypass Stage 1".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Infrastructure, Transport, Regional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s.
  26. ^ "Strathmerton Deviation". VicRoad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anuary 2007.
  27. ^ "Archived copy" (PDF). www.doi.vic.gov.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July 2008. Retrieved 15 January 2022.{{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