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리 소콜로프

Grigory Sokolov
그리고리 소콜로프, 17세(1967년)

Grigory Lipmanovich Sokolov (Russian: Григо́рий Ли́пманович Соколо́в; born April 18, 1950) is a Russian[1] pianist.그는 바흐, 쿠페린, 라모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부터 쇤베르크아라포프까지를 아우르는 레퍼토리로 현존하는 [2][3][4]피아니스트 중 가장 존경받는 사람이다.그는 정기적으로 유럽(영국 제외)을 여행하고 이탈리아에 거주한다.

전기

소콜로프는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5]레닌그라드에서 유대인 아버지 리프만 기르셰비치 소콜로프와 러시아 어머니 갈리나 니콜라예브나 젤레네츠카야 사이에서 태어났다.그는 5살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7살 때 레닌그라드 음악원의 아이들을 위한 특수학교에 들어가 레아 젤리크만과 함께 공부했습니다.아이들 학교를 졸업한 후, 그는 Moisey Kalfin과 [6][7]함께 음악원에서 공부를 계속했다.12세 때, 는 모스크바 필하모닉 [8]소사이어티에서 바흐, 베토벤, 슈만, 쇼팽, 멘델스존, 라흐마니노프, 스크리아빈, 리스트, 드뷔시, 쇼스타코비치작품 콘서트에서 그의 첫 번째 주요 리사이틀을 열었다.16세 때, 그는 1966년 차이코프스키 국제 피아노 콩쿠르 심사위원단이 그에게 금메달을 수여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이것은 놀라운 결과였던 것 같다: "마침내 그 대회의 우승자가 된 16세의 그리샤 소콜로프는 그 [9]당시 누구에게도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는 뛰어난 손가락과 화음 기술을 가지고 있고 피아노를 쉽게 휘두르며 생상스 협주곡 2번 마지막 악장의 프레시모를 정말 세련된 경쾌함으로 연주합니다.그것은 놀라운 공연이었다.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는 이 젊고 재능 있는 피아니스트에 대해 더 많이 듣게 될 것이다.."[10]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소콜로프의 국제 경력은 1980년대 말에야 발전하기 시작했다.일부는 그가 망명하지 않은 것과 소련 정권 하에서 허락된 제한된 여행이 원인이라고 추측했다[11].소콜로프가 1969년, 1971년,[citation needed] 1975년, 1979년 미국 순회공연은 물론 핀란드, 일본 등 세계 곳곳에서 연주회를 연 것과 상반된다[10]."소콜로프의 투어 솔로 생활은 매우 혼잡합니다.그는 모국과 [10]해외를 많이 여행합니다.

1980년대는 소콜로프의 미국 경력에 걸림돌이 된 것 같다.그 후 미국과 소련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단절됐다.예정된 미국 투어는 1980년에 취소되었다.그 후 양국 간 문화협정은 모두 [12][13]취소됐다.

그리고리 소콜로프, 콩그레스하우스 스타드탈레 하이델베르크 콘서트 중 [de] (2015년)

게다가, 구소련이 해체되는 동안, 소콜로프는 러시아 밖에서 어떤 콘서트도 하지 않았다.

[14] 그는 이제 유럽 전역의 콘서트 홀에서 잘 알려진 인물이지만,[15] 미국에서는 훨씬 더 적은 수의 음반만 발매했고, 1995년부터 2015년까지[15] 20년 동안 한 곡도 발매하지 않았다.그러나 2014년 도이체 그라모폰과 라이브 연주 음반 [16]발매 계약을 맺고 2015년 모차르트의 소나타 2곡, 쇼팽의 서곡 24곡, 스크리아빈, 쇼팽, 라모, 바흐의 앙코르곡을 담은 2CD 라이브 잘츠부르크 리사이틀을 발매했다.

발표문

2009년 3월, 소콜로프는 영국 비자 요건 때문에 모든 비자를 요구하는 런던 콘서트를 취소했다.미국 근로자들은 모든 비자 신청 시 지문과 아이프린트를 제공한다(는 또한 비슷한 이유로 2008년 콘서트를 취소했다.소콜로프는 그러한 요구들이 소련 [17]탄압의 메아리를 가지고 있다고 항변했다.

영국의 음악평론가 노먼 르브레히트가 2014년 크레모나 뮤직 어워드를 받은 후, 소콜로프는 그가 2015 크레모나 뮤직 어워드를 받은 것을 알고 이 영예를 받기를 거부하며 자신의 웹사이트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초급 품위에 대한 나의 생각에 따르면, 르브레히트와 [18]같은 수상자 명단에 있는 것은 수치스럽다."소콜로프의 성명은 르브레흐트가 소콜로프의 [19]가족에 대해 한 개인적인 발언을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영향

소콜로프는 다년간의 연구에서 영감을 준 피아니스트들을 인용했다. "무대에서 들은 사람들 중에서 에밀 길렐의 이름을 먼저 말하고 싶다.기록으로 판단하건대, 라흐마니노프, 소프로니츠키, 글렌 굴드, 솔로몬, 그리고 리파티였다.미학에 대해서는 안톤 [20]루빈스타인과 가장 친밀감을 느낍니다.

레퍼토리

소콜로프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협주곡 연주 횟수를 대폭 줄였습니다.

매우 간단합니다.피아노는 음악의 바다로 쓰여져 있기 때문에 평생 피아노의 작은 부분조차 연주할 수 없습니다.오케스트라에서는 리허설을 할 충분한 시간을 찾거나 시계를 보지 않고 최종 제품에 관심이 있는 오케스트라를 찾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지휘자도 쉽지 않습니다.왜냐하면 이 특별한 재능을 가진 훌륭한 뮤지션의 조합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너와 같은 방법으로 음악을 이해하려면.아주 드물다고 해야겠다!그리고 아마 최악일 수도 있어요독주곡은 며칠에 걸쳐 여러 번 연주하면 발전하게 됩니다.하지만 협주곡은 이 곡을 점점 더 많이 연주하게 됩니다.그러나 각 오케스트라와 지휘자는 첫 번째 리허설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그렇다면, 만약 여러분이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해서 독주회에 훨씬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왜 그렇게 하는 걸까요?나는 내가 만드는 모든 것이 오직 나에게 달려있다는 사실을 매우 좋아한다.100명이면 거의 불가능하다.당신은 [21]책임이 없어요.

레이블 Opus 111이 녹음한 14장의 CD(바흐 2장, 베토벤 2장, 슈베르트 2장, 쇼팽 2장, 브람스 1장, 스크리아빈 1장, 라흐마니노프 프로코피예프 1장)와 2015년 발매된 2장의 2008년 리사이틀과 2013년 발매된 2장의 CD 세트.현재(2015년) 소콜로프가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소콜로프가 지금까지 공연한 레퍼토리의 스냅샷을 구성한다.2013년 6월 5일 베를린 필하모니에서 녹음된 콘서트('함메르클라비에' 쏘나타 포함)의 두 번째 DVD가 있다.이 DVD는 Bruno Monsaingeon 감독의 작품입니다.보다 광범위한 레퍼토리의 [citation needed]일람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라포프
    • 바이올린, 피아노, 타악기 협주곡
    • 에뛰드셰르조
    • 소나타 1, 2, 5번
  • 바흐
    • 푸가의 예술
    • English Suite No.2
    • 판타지 & 푸가 A단조, BWV 904
    • 프렌치 스위트 No.3
    • 골드버그의 변주곡
    • 이탈리아 협주곡 바장조 BWV 971
    • 프랑스 스타일의 서곡, BWV 831
    • Partitas No.1, 2, 4, 6
    • 요한 아담 라인켄 BWV965의 소나타 "Hortus Musicus"
    • 토카타 E단조, BWV 914
    • 성질이 고운 클라비어 1권
    • 성질이 좋은 클래비어 2권
바흐-브라함:좌측 BWV1004용 샤콘
Bach-Busoni: "Ich ruf zu dir, Herr Jesus Christ" BWV639
Bach-Busoni: "Nun freut euch, lieben Christen g’mein" BWV734
바흐 실로티: 서곡 B단조
  • 베토벤
  • 브람스
    • 협주곡 1, 2번
    • 쏘나타 C장조 1번, Op.1
    • 소나타 3번 바단조, Op.5
    • 4 발라드 Op.10
    • 헨델의 주제에 대한 변주곡 Op.24
    • 2 랩소디 Op.79
    • 7 판타지 Op.116
    • 3 인터메지 Op.117
    • 6 Klavierstüke Op.118
    • 4 Klavierstüke Op.119
  • 버드
    • 파반 & 갈리아드 MB52
    • 알만 MB11
    • 전주곡 MB12
    • Clarifica Patter (II) MB48
    • 퀴파세 MB19
    • MB93 전투 전 행군
    • 배틀 MB94
    • 승리의 갈리아드 MB95
  • G의 카르발료-소콜로프 토카타와 안단테
  • 쇼팽
    • 발라드 4번 바단조, Op.52
    • 협주곡 1, 2번
    • 에뛰드 Op.10 8번
    • 에뛰드 Op.25
    • 판타지 임프롬프투 Op.66
    • 판타지 Op.49
    • 즉흥곡 Op.29, Op.36 및 Op.51
    • 마주르카스 Op.7 No.2, Op.17 No.4, Op.30 No.4, Op.33 No.4, Op.50 No.1-3, Op.63 No.1-3, Op.68 No.2-4, Oppppposth.
    • Nockturnes, 작품번호 15, 작품번호 27, 작품번호 1 & 2, 작품번호 48, 작품번호 1 & 2, 작품번호 62, 작품번호 1 & 2, 작품번호 72, 작품번호 72, 작품번호 1 & 2
    • 폴로네즈-판타시 Op.61
    • 폴로네즈 Op.26 No.1&2, Op.40 No.2, Op.44, Op.53, Op. posth.
    • Op.28 제외
    • 소나타 2번과 3번
    • 왈츠 No.17 Op.posth
  • 쿠페린
    • 르틱톡초크 레마이로탱스
    • 피에스 드 클라베신 제3권 오르드레 13세와 오르드레 18세
  • 드뷔시
    • Des pas sur la neige (서곡, 제1권, 제6호)
    • 카노페 (서론, 제2권, 제10호)
  • 프랑크
  • 프로버거
    • 토카타 FbWV101
    • 캔존 FbWV301
    • 판타지아 FbWV201
    • Ricercar FbWV411
    • 카프리오 FbWV508
    • 파르티타 FBWV610
  • 그리보예도프
    • 왈츠 2번 E단조
  • 하이든
    • 피아노 소나타 호프 16세: 23, 32, 34, 36, 37, 44
  • 코미타스
    • 식스댄스
  • 리스트
  • 모차르트
    • 협주곡 21번, 23번[22], 24번
    • 서곡 (판타지)와 푸가 K.394
    • 론도 K.511
    • 소나타 K.280, K.310, K.331, K.332, K.457 및 K.545
    • 판타지 K.475
  • 프로코피예프
  • 라흐마니노프
    • 협주곡 2번과 3번
    • Op.2 No.3, Op.23, Op.32 No.5 및 No.12 제외
  • 라모
    • D de Piéces de clavecin 스위트 (1724년) - 2012년 레퍼토리에서
    • G/g de Piéces de clavecin 스위트 (1726년) - 2012년 이전에 레퍼토리에서
    • E단조 스위트의 "Le rapel desoiseaux" & "Tambourin" (1724년)
    • "L'indiscréte"는 Piéces de Clavecin의
  • 라벨
    • 가스파르 드 라 누이트
    • 르 톰보 드 쿠페랭
    • 오이소 트리스트(미루아르산)
    • 프렐루데
    • 소나틴
  • 생상스
  • 쇤베르크
    • 투피스 Op.33
  • 슈베르트
    • 알레그레토 D.915
    • 헝가리 멜로디 D.817
    • 즉흥곡 D.899 제1-4호, D.935 제1-4호
    • Klavierstüke D.946 1~3호
    • 모멘트 뮤코 D.780
    • 소나타 D.537, D.664, D.784, D.850, D.894, D.958, D.959 및 D.960
    • 왈츠 G장조 D.844
    • 방랑자 판타지
  • 슈만
    • 카르나발 Op.9
    • 쏘나타 F-샤프 단조 1위, Op.11
    • 쏘나타 2번 G단조, Op.22
    • 소나타 3번 바단조, Op.14
    • 크라이슬레리아나 Op.16
    • 판타지 Op.17
    • 아라베스크 Op.18
    • 휴모레스크 Op.20
    • 분트 블래터, 작품 99
    • 11월 10일 Op.21 No. 2, 7, 8
    • Presto passionato Op.22a
    • 4 Klavierstüke (셰르조, 지그, 로맨스, 푸게테) Op.32
    • 오리지널 테마에 따른 E-Flat의 변화, WoO 24, "Geister Variations"
  • 스크리아빈
    • 까르세 당세 작품 57번 2번
    • 데지르 작품 57번 1번
    • 에니그메 작품 52번 2번
    • Etudes Op.2 No.1, Op.8, Op.42 No.4 및 5
    • Feuillet d' album Op.45 No.1
    • Poéme Fantastique Op.45 No.2
    • Poémes Op.32 No.2, Op.69 No.1 및 2
    • 왼손을 위한 서곡과 야상곡 Op.9
    • Op.11 No.4, Op.33 No.4, Op.45 No.3, Op.49 No.2 및 Op.51 No.2를 제외합니다.
    • 소나타 1, 3, 4, 9, 10번
    • Vers la flamme Op.72
  • D&C의 세이하스-소콜로프 토카타스
  • 스트라빈스키
  • 차이코프스키

레퍼런스

인용문

  1. ^ Michael Church (28 February 1997). "Game, set and match". The Independent. Retrieved 15 July 2015.
  2. ^ "The 10 Greatest Classical Pianists of All Time". cmuse. 23 February 2015. Retrieved 21 September 2017.
  3. ^ "The greatest living pianist The Spectator". The Spectator. 2011-03-26. Retrieved 2017-12-16.
  4. ^ "Does Grigory Sokolov, 'The Greatest Living Pianist,' Speak To A Higher Power?". www.wbur.org. Retrieved 2017-12-16.
  5. ^ "Grigory Sokolov mit Bach, Brahms und Schumann in der Berliner Philharmonie". Retrieved 2010-11-30.
  6. ^ 모리슨 2001년
  7. ^ "GRIGORY SOKOLOV". NAXOS. Retrieved 27 September 2014.
  8. ^ 질베르퀴트 1983 페이지 331
  9. ^ 블라디미르 크리네프는 러시아의 위대한 현대 피아니스트 마크 질베르퀴트 1983에서 인용했다.
  10. ^ a b c 질베르퀴트 1983년
  11. ^ 인터내셔널 피아노 2006년 9월/10월
  12. ^ 소콜로프는 냉전에서 소외된 피아니스트를 인용했다.미-러시아의 어려움은 그리고리 소콜로프를 음악원에 있는 사람들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에게 미스터리로 만들었다.클리블랜드 플레인 딜러, 1996년 3월 4일
  13. ^ "The life and recordings of legendary pianist Grigory Sokolov". ABC Classic. 2020-04-16. Retrieved 2021-10-31.
  14. ^ 1996년 3월 4일 클리블랜드 플레인 딜러 Karen Schaefer씨
  15. ^ a b Michael Kimmelman (2008-04-17). "When Fame Can't Cross the Atlantic".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10-11-30.
  16. ^ "Grigory Sokolov signs exclusive contract with Deutsche Grammophon". Gramophone. No. December 2014.
  17. ^ Brown, Ismene (2009-03-04). "Grigory Sokolov's visa woes". The Daily Telegraph.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3-10. Retrieved 2010-05-04.
  18. ^ Martin Bernheimer (2015-09-28). "Grigory Sokolov refuses award because it has previously been won by Norman Lebrecht". Los Angeles Times. Retrieved 2017-09-13.
  19. ^ "Orpheus Complex: Lebrecht, Sokolov…and Sokolov's wife". 30 September 2015.
  20. ^ 질베르퀴트 1983, 페이지 330
  21. ^ Jessica Duchen 국제 피아노 인터뷰 2006년 9월/10월
  22. ^ "Grigory Sokolov". Pianistique.com. 2003-02-18. Retrieved 2017-07-02.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