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지우 셀리비다체

Sergiu Celibidache
세르지우 셀리비다체
Sergiu Celibidache 1966.png
1966년 셀리비다케
태어난(1912-06-28) 1912년 6월 28일
로마, 루마니아
죽은1996년 8월 14일(1996-08-14)(84)
국적.루마니아어
교육
직종.
  • 컨덕터
  • 학업의
조직
어워드

세르지우 셀리비다케(Sergiu Celibidache, 1912년 7월 11일 ~ 1996년 8월 14일)는 루마니아지휘자, 작곡가, 음악 이론가, 교사이다.고국인 루마니아에서, 그리고 나중에 파리와 베를린에서 교육을 받은 셀리비다체는 뮌헨 필하모닉, 베를린 필하모닉, 시칠리아 심포니 오케스트라, 그리고 몇몇 다른 유럽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로서의 경력을 포함하여 50년 이상에 걸쳐 음악 경력을 쌓았습니다.나중에 그는 독일의 마인츠 대학교펜실베니아 필라델피아에 있는 커티스 음악 대학에서 가르쳤다.

셀리비다체는 생전에 광고 녹음을 통해 자신의 공연을 공개하는 것을 자주 거부했는데, 이는 듣는 사람이 공연장 밖에서는 "초월적인 경험"을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그의 연주 음반 중 많은 부분이 사후에 발표되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고전 레퍼토리에 대한 해석으로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고 선종에서의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활발한 연주 스타일로 알려져 있다.그는 20세기의 [1][2]가장 위대한 지휘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초기 생활과 교육

1946년 베를린 필하모닉 지휘자로 셀리비다체

세르지우 셀리비다체는 1912년 6월[3] 28일 루마니아 의 기병 장교이자 나중에 아이아이 지방의 총독이 된 데모스테네 셀리비다치와 의 아버지가 정부 [4][5]관리였던 로마인 마리아 셀레리다치 사이에서 태어났다.그는 아이아이에서 자랐고,[6] 출생 후 곧 가족이 이사했다.그는 4살 때 이미 피아노에서 즉흥 연주를 했고, 아이아시에서 수학, 철학, 음악에 대한 전통적인 교육을 받은 후, 그의 아버지는 부쿠레슈티로 보내졌고, 그 후 파리에서 공부를 계속했다.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Romania,[4][6]에서 정치적 경력을 쌓기 위해지만 1936년에 Celibidache 그가 하인즈 Tiessen과 커트 톰과 지휘 작곡을 공부했던 베를린(독일 당국자들은 외한 은행 Celibidache, 그는 잉여금의 형태로 Celebidachi에서 그의 성을 바꾸었다)의 Hochschule für Musik(음악원)로 입학할 것이라고 예상했었다.W,Gmeindl과 Fritz [4][5]Stein을 바꾸세요.그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Friedrich-Wilhelms-Universitét)에서 박사과정을 계속하였고, 니콜라이 하르트만과 에두아르트 스프랑거와 아놀드 셰링과 게오르크 [4]쉬네만과 함께 음악학을 공부했다.그는 Josquin des Pres에 대한 논문을 제출했고 [4][5]1944년에 학위를 받았습니다.1940년대 내내 그는 루마니아 태생의 댄서이자 안무가인 Iris Barbura와 함께 동행하고 연애를 했다.베를린에서 공부하는 동안 셀리비다체는 스승 마틴 스타인케에 의해 선불교를 소개받았고 불교는 셀리비다체의 세계관과 평생의 [5]일을 알려줬다.1986년 인터뷰에서 그는 기독교 정교회에서 태어나 철학을 공부했지만 여전히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나는 스타인케를 통해 선의 길을 알게 되었다.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선 없이는 시작은 끝이라는 이 이상한 원리를 알 수 없었을 것이라는 것이다.음악은 이 [7]원칙의 실현에 불과합니다.

직업

1969년 셀리비다케

1945년부터 1952년까지 셀리비다체는 베를린 필하모닉의 수석 지휘자였다.그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비극적인 상황에서 큰 기회를 얻었습니다.미군에 의해 지휘가 허가된 레오 보르차드는 야간 자동차 주행 중 총에 맞았고, 다른 나치 제거된 지휘자는 [8][7]없었다.그러나 그는 빌헬름 푸르트벵글러(셀리비다슈의 큰 영향)를 오케스트라 리더로 복귀시키기 위해 사심 없이 싸웠고 1947년부터 1952년까지 그들은 필하모닉 [8]지휘의 책임을 공유했다.첼리비다체는 후에 스톡홀름, 슈투트가르트, 파리라디오 오케스트라와 함께 일했다.그는 또한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에 영국에서 일했는데, 부분적으로 피아니스트 Eileen Joyce와 그녀의 파트너인 예술가 에이전트의 홍보 노력 덕분이었다.조이스는 셀리비다체가 지금까지 함께 일했던 지휘자 중 가장 위대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 영혼에 들어온 유일한 사람이다."[9]1970년에 그는 덴마크 소닝상받았다.1979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그는 뮌헨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을 맡았다.그는 독일의 Hochschule für Musik Mainz에서 정기적으로 가르쳤고 1984년에는 펜실베니아 필라델피아에 있는 커티스 연구소에서 가르쳤다.가르치는 것은 그의 일생 동안 주요 관심사였고 그의 강좌는 종종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개방되었다.그의 주목할 만한 제자 중에는 콘라드 폰 아벨, 프랑소이 베르니에, 로니 로고프, 베른하르트 시베레르, 마르칸드 [10]타카르, 닐스고랑 아레스쿠그[citation needed]있다.

그는 영화 음악 대사 (1952)에 출연하여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에그몬트 서곡 연주에서 베를린 필하모닉을 지휘하였다.

만년

1984년 커티스 인스티튜트에서 데이비드 버나드 학생에게 지휘 수업을 하는 셀리비다체

그의 최근 경력은 트롬본 연주자 애비 코난트와의 뮌헨[11] 필하모닉 재임 기간 동안 12년 동안 진행된 법정 다툼에서 드러난 성차별적이고 차별적인 행동으로 인해 그늘이 졌다.셀리비다체는 코난트가 트롬본 [12]부문을 이끌 "필요한 힘"과 "감정적 공감"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그의 명령에 따라 그녀는 두 번째 의자에 앉게 되었고 [13]성별을 이유로 남자 동료들보다 적은 임금을 받았다.실증된 비판의 부족으로 [14]셀리비다체는 재판에서 증언을 요청받지 못했다.법원은 코난트가 셀리비다체라는 것을 "사실로 그의 불만을 정당화할 수 없었다"[15]고 판결했다.이 결정에 대한 항소는 기각되었고, 코난트는 그녀의 남자 [13]동료들과 같은 보수를 받았다.

셀리비다체는 1996년 8월 14일 파리 근교의 라뇌빌 쉬르 에손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그는 Cimetiére de Neuville sur Essonne에 묻혔다.

퍼포먼스 스타일

로마의 고향에 있는 세르지우 셀리비다체 흉상

첼리비다케의 음악 만들기에 대한 접근법은 종종 그가 하지 않은 일보다는 하지 않은 일로 더 묘사된다.예를 들어, 셀리비다체의 거의 모든 콘서트 활동이 EMI와 도이치 그라모폰과 같은 주요 음반사들에 의해 사후에 그의 가족의 [16]동의를 얻어 녹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녹음 거부"에 대해 많은 것이 만들어 졌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셀리비다체는 이 녹음들을 만드는 데 거의 신경을 쓰지 않았고, 그는 이 녹음들을 단지 그의 오케스트라 콘서트의 부산물로만 보았다.

셀리비다케는 대신 각 콘서트 동안 그가 "초월적인 경험"이라고 부르는 최적의 조건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다.이치고 이치에같은 선불교의 양상이 그의 사상에 강하게 영향을 미쳤다.그는 녹음된 음악을 들을 때 초월적인 경험이 뒤따를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생각하여 그것을 피했다.그 결과, 뉴욕 타임즈 비평가 존 록웰이 25년간의 콘서트 [17]중 최고라고 극찬한 커티스 인스티튜트 오케스트라의 1984년 카네기콘서트 등 그의 콘서트는 관객들에게 특별하고 때로는 인생을 바꾸는 경험을 제공했다.

첼리비다체는 [18]오케스트라와의 광범위한 리허설 시간에 대한 요구로 잘 알려져 있다.그의 후기 콘서트에서 자주 언급되는 특징은 라이브 녹음에서 포착된 것으로, 표준보다 느린 템포이며, 빠른 곡(특히 그의 초기 공연에서)에서는 그의 템피가 종종 메트로놈 마크를 훨씬 [19]능가한다.그러나 셀리비다체 자신의 관점에 따르면, 녹음의 템포에 대한 비판은 연주에 대한 비평이 아니라, 그에게 있어서, 그 순간적인 분위기 없이, 오히려 그것을 옮겨 적는 것이기 때문에, 녹음의 템포에 대한 비판은 관련이 없다.첼리비다케의 설명처럼 연주회를 듣는 음향 공간은 그가 추구하는 초월적 경험의 출현 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한편, 그의 연주 중 하나의 녹음을 듣는 음향 공간은 연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공간의 음향적 특징이 음악가들이 더 느리게 또는 더 빠르게 연주하도록 자극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의 녹음된 공연이 다른 대부분의 음반과 너무 많이 다르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이 음반들을 주류 음반이 아닌 수집가의 아이템으로, 레퍼런스 음반이 아닌 '일회성'[20]으로 보게 되었다.

사생활

1965년 셀리비다체는 이오아나 프로코피 뒤미트레스쿠와 결혼했다.그들은 1968년 [note 1]6월 19일에 태어난 아들 세르주 요안 셀리비다체를 두었다.

음반 목록

베토벤, 요하네스 브람스, 안톤 브루크너, 로버트 슈만,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가브리엘 포레 등의 뮌헨 공연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슈투트가르트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일련의 라이브 공연이 눈에 띈다.

  • 1945년: 드뷔시/루셀:베를린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낙소스)가 있는 쁘띠 스위트
  • 1945: 프로코피예프: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D장조, 작품 25 "클래식"(HMV C 3729-30) 78rpm
  • 1948: 차이코프스키:교향곡 5번 E단조, Op. 64 LPO (Decca AK 2036-41 78rpm)
  • 1949: 모차르트: 교향곡 25번 G단조, K. 183 (데카 AK 2197-9 78rpm)
  • 1951: 모차르트: 교향곡 25번 G단조, K. 183 (데카 LXT 2558)
  • 1951년: 차이코프스키:교향곡 5번 E단조 Op. 64 LPO (Decca LXT 2545)
  • 1969: 차이코프스키:교향곡 5번 E단조, Op. 64 LPO (Decca Eclipse ECM 833)
  • 1985: 베토벤: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전기 레코드)
  • 1988: 멘델스존: 신포니아 N. 4 "이탈리아어", 드보르작: 신포니아 N. 9 Dal Nuovo Mondo (자주)
  • 1990: 차이코프스키:교향곡 5번;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런던)
  • 1991년: 모차르트: 레퀴엠; 비발디:Stabat Mater(아르카디아)
  • 1991년 차이코프스키:교향곡 6번 '패티크'; 로메오 에 줄리엣 (아르카디아)
  • 1994: 브람스: 교향곡 2번 & 하이든 변주곡, 작품 56a (포니트-체트라 이탈리아)
  • 1994: 브람스: 교향곡 3, 4번 (포니트 체트라 이탈리아)
  • 1994: 브루크너:교향곡 7번 (안드로메다)
  • 1994: 모차르트: 그랜드 미사, K. 427 (체트라)
  • 1995년: 베토벤: 교향곡 2번 & 4번 (Nas)
  • 1997: 바르토크: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EMI 음악 배급)
  • 1997년: 베토벤: 교향곡 4번 & 5번 (EMI 음악 배급)
  • 1997: 드뷔시: 라메르; 이베리아 (EMI 음악 배급)
  • 1997: 하이든: 교향곡 103번 및 104번 (EMI 음악 배급)
  • 1997년: 모차르트: 교향곡 제40번; 하이든: 옥스포드 교향곡 (EMI 음악 배급)
  • 1997년: 라벨: Ma Mér l'Oye; Bolero, Le tombeau de Couperin; Alborada del Gracioso (Fonit-Cetra 이탈리아)
  • 1997: S. Celibidache, 베토벤과 브람스 지휘 (타흐라)
  • 1997년: 슈버트: 교향곡 9번 (EMI 음악 배급)
  • 1997년: 슈만: 교향곡 3, 4 (EMI 음악 배급)
  • 1997년 차이코프스키: 로미오와 줄리엣 판타지-개요, 무시르스키: 전시회에서의 사진 (EMI 음악 배급)
  • 1997년 차이코프스키:교향곡 5번 (EMI 음악 배급)
  • 1997년 차이코프스키:교향곡 6번 (EMI 음악 배급)
  • 1997년: The Young Celibidache, Vol.II(타하라)
  • 1997년: 와그너:관현악 (EMI 음악 배포)
  • 1998: 브루크너 3 (EMI 음악 배급)
  • 1998: 브루크너 4 (EMI 음악 배급)
  • 1998: 브루크너 6 (EMI 클래식)
  • 1998: 브루크너 7; 테 데움 (EMI 음악 배급)
  • 1998: 브루크너8 (EMI 클래식)
  • 1998년: 브루크너9의 콘서트&리허설 (EMI 클래식)
  • 1998: 브루크너: 매스 인 바 단조 (EMI 음악 배급)
  • 1998: 브루크너:교향곡 3~9번, 미사곡 F단조 테데움(EMI 클래식)
  • 1998: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7번 (매직 탤런트)
  • 1999: 베토벤: 교향곡 2번 & 4번 (EMI 음악 배급)
  • 1999: 베토벤: 교향곡 3번 (EMI 음악 배급)
  • 1999: 베토벤: 교향곡 6번; 레오노레 (EMI 음악 배급)
  • 1999: 브람스: 아인 도이체 레퀴엠 (오디오필 클래식)
  • 1999: 브람스: 교향곡 2, 3, 4번 (EMI 음악 배급)
  • 1999: 브람스: 교향곡 제1번; 아인 도이체 레퀴엠 (EMI 음악 배급)
  • 1999년 첼리비다체 지휘 베토벤 7, 8 (EMI 음악 배급)
  • 1999년: 무소르그스키: 전시회에서의 사진; 스트라빈스키:요정의 키스 스위트 (도이체 그라모폰)
  • 1999년: 프로코피예프: 스키티안 협주곡; 교향곡 5번 (도이체 그라모폰)
  • 1999년: 림스키 코르사코프: 셰헤라자데; 스트라빈스키:파이어버드 스위트 (1923년 버전) (도이체 그라모폰)
  • 1999: 슈만: 교향곡 2번; 브람스:하이든 바리에이션(EMI 음악 배포)
  • 1999년 : 세르지우 셀레비다체 (박스) (소음 없음)
  • 1999: 스트라우스: 후안; 토드 und Verklérung; 리스피기: 피니 디 로마 (리허설) (도이체 그라모폰)
  • 1999: 차이코프스키:교향곡 2번 Op.17 "피콜라 러시아"; 드보르작: 협주곡 Op.104 (우라니아)
  • 1999: 차이코프스키:교향곡 2번; 브람스: 교향곡 4번 (아르카디아)
  • 2000: 브람스: 교향곡 2번; 모차르트: 교향곡 25번 (우라니아)
  • 2000: 브루크너:교향곡 3-5번 (박스 세트) (도이체 그라모폰)
  • 2000: 브루크너:교향곡 3번 (도이체 그라모폰)
  • 2000: 브루크너:교향곡 4번 (도이체 그라모폰)
  • 2000: 브루크너:교향곡 5번 (리허설) (도이체 그라모폰)
  • 2000: 브루크너:교향곡 5번; 모차르트: 교향곡 35번 (도이체 그라모폰)
  • 2000: 프랑크:교향곡 D; 힌데미스: 마티스 데 말러 (도이체 그라모폰)
  • 2000: 리하르트 스트라우스:틸 유렌슈피겔; 후안;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9번 (도이체 그라모폰)
  • 2000: 슈베르트: 교향곡 8번 "미완성"; 차이코프스키:호두까기 인형 세트 (아우라 클래식)
  • 2000: 시벨리우스:교향곡 2번 & 5번 (도이체 그라모폰)
  • 2001년: Sergiu Celibidache (Classica d'Oro)
  • 2001년: 세르지우 셀리비다체필하모니베를린 (타흐라)
  • 2001년: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7번 레닌그라드 (클래시카 도로)
  • 2002: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제1번과 제5번;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클래식 도로)
  • 2003: 멘델스존: 교향곡 제4번 "이탈리아어", 비제: 교향곡 인 C(아키펠)
  • 2004년: 바흐: 미사곡 B단조 (EMI 클래식)
  • 2004: 브루크너:교향곡 3번-5번, 7-9번 [박스 세트] (도이체 그라모폰)
  • 2004년: 셀리비다체, Milhaud & Rousel 지휘 (EMI 음악 배급)
  • 2004년: 첼리비다체가 모차르트의 레퀴엠을 연주한다(EMI 클래식)
  • 2004: 포레: 레퀴엠; 스트라빈스키: 시편 교향곡 [라이브] (EMI 음악 배급)
  • 2004년: 베를리오즈, 멘델스존, 슈베르트, 스메타나, 스트라우스 (EMI 음악 배급)
  • 2004: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1 & 5 (EMI 음악 배급)
  • 2004년: 림스키코르사코프: 셰헤라자데 (EMI 음악 배급)
  • 2004년: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7번 레닌그라드 (픽윅)
  • 2006년: 셀리비다체:Der Taschengarten (유니버설 클래식 & 재즈)
  • 2006년: 셀리비다체:컴플리트 EMI 에디션 [한정판][박스 세트] (EMI 클래식)
  • 2006년: Sergiu Celibidache:Lesen & Hören [CD+Book]
  • 2007년: 베토벤: 교향곡 제3번 "에로이카"; 서곡 레오네르 3세 (아키펠)
  • 2007: 브루크너:교향곡 5번
  • 2007: 슈만: 교향곡 제4번; 무소르그스키: 전시회의 그림
  • 2008년: Sergiu Celibedache가 쾰너 Rundfunk-Sinfonie-Orchester(오르페오)를 지휘합니다.
  • 안톤 브루크너:교향곡 5번과 8번; 브람스:하이든 변주곡, Op. 56 (배타적
  • 안톤 브루크너:교향곡 7번 E장조 (As Disc)
  • 안토닌 드보르작: 교향곡 N.7; 요한 스트라우스 주니어:디 플리더마우스 서곡 (아티스트)
  • 바흐: 미사음 B단조 (독점)
  • n.d.: 베토벤: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제5번 "황제" (전기 레코드)
  • N.d.: 베토벤: 교향곡 2번과 4번 (예술가)
  • N.d.: 베토벤: 교향곡 7번, 바흐: 브란덴부르크 우연곡 3번, 라벨: 르 톰보쿠페랭 (아키펠)
  • 벨리오즈:교향곡 환상곡, Op. 14; 로메오줄리엣 (아르카디아)
  • 브람스: Ein Deutsches Requiem (Myto Records)
  • n.d.: 브람스: 교향곡 1~4번 [박스 세트] (도이체 그라모폰)
  • 브람스: 교향곡 2번과 3번 (도이체 그라모폰)
  • 브람스: 교향곡 제2~4번; 하이든의 주제에 따른 변주곡 (아쿰)
  • 브람스: 교향곡 1번 (아쿰)
  • 브람스: 교향곡 1번 (도이체 그라모폰)
  • 브람스: 교향곡 4번 (리허설) (도이체 그라모폰)
  • 브람스: 교향곡 2번과 3번 (전설)
  • 브람스:완전한 교향곡; 하이든 변주곡; 알토 랩소디 (리빙 스테이지)
  • 브루크너:교향곡 4 & 9 (전용)
  • 브루크너:교향곡 7 & 8 (도이체 그라모폰)
  • 브루크너:교향곡 7-9 [박스 세트] (도이체 그라모폰)
  • 브루크너:교향곡 7 (도이체 그라모폰)
  • 브루크너:교향곡 9 (도이체 그라모폰)
  • 브루크너:교향곡 3번 (전용)
  • 브루크너:교향곡 7번 (아르카디아)
  • 브루크너:교향곡 8번, WAB108; 슈베르트: 교향곡 5번, D485 (도이체 그라모폰)
  • N.d. : Celibidache [박스 세트] (Deutsche Grammophon)
  • N.d.: Celibidache가 Debussy & Label (박스 세트) 지휘 (Deutsche Grammophon)
  • N.D.: Celibidache가 Debussy(FED)를 지휘합니다.
  • N.d.: Celibidache가 Debussy/Respighi/Milhaud 지휘 (오리지널)
  • N.d.: 첼리비다체, 무소르그스키, 스트라빈스키, 림스키코르사코프, 프로코피예프(박스 세트) 지휘자(도이체 그라모폰)
  • N.D.: Celibidache가 라벨과 스트라빈스키를 지휘 (오리지널)
  • N.D.: Celibidache가 Stravinsky (Arlecchino)를 지휘합니다.
  • N.D.: Celibidache가 차이코프스키 지휘 (Grammofono 2000)
  • N.d. : 셀리비다체 페스티벌 (오리지널)
  • N.d.: 셀리비다체, 제1권: 심포니 (EMI 클래식)
  • N.d.: Celibidache, Vol. 3: 프랑스러시아 음악 (EMI 클래식)
  • N.d.: Celibidache, Vol.4: 성스러운 음악과 오페라 (EMI 클래식)
  • 드뷔시:이베리아, 라벨: 랩소디 에스파골, 알보라다그라모폰(도이체 그라모폰)
  • 드뷔시: 라메르 (리허설) (도이체 그라모폰)
  • N.d.: 드뷔시: La Mer; La Damoiselle elue; Milhaud: 사우디는 브라질을 한다(Fonit-Cetra 이탈리아)
  • 드뷔시:야상;라메르 (도이체 그라모폰)
  • N.d.: 드보르작: B단조 협주곡 / 8단조 슬라브 춤 (아르카디아)
  • N.d.: 드보르작: 바이올린 협주곡; 교향곡 9 (협주곡)
  • 프랭크:심포니 앙 레 미네르; 바그너:지크프리드 이딜;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전주곡 (아르카디아)
  • n.d. : 20세기의 위대한 지휘자, 제39권 : 세르지우 셀리비다체 (EMI 음악 배급)
  • N.d.: 하이든: 교향곡 103번; 모차르트: 교향곡 38번 (원제)
  • N.d.: 하이든: 교향곡 104번 "런던"; 드뷔시: 쥐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쥐스카르테 (우라니아)
  • N.d. 레전드 퍼포머 Vol.2 (As Disc)
  • n.d.: 모차르트: 대미사, K. 427; 두 대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K. 365; 하프너 세레나데, K. 250 (Acum)
  • n.d.: 모차르트: 대미사 C단조, K. 427; 하프너 세레나데, K. 250 (포니트 세트라 이탈리아)
  • 모차르트 레퀴엠 (예술가)
  • 모차르트 레퀴엠 (일 사바토)
  • N.d.: 모차르트: 교향곡 40번과 41번, 슈베르: 교향곡 5번, 슈만: 교향곡 2번 (살아있는 무대)
  • n.d.: 모차르트: 교향곡 41번; 슈베르트: 교향곡 5번 (기억)
  • n.d.: Mussorgsky: 전시회에서의 사진; Cherubini:교향곡 D장조; 박: 오케스트라를 위한 인트라다 (원제)
  • n.d.: Mussorgsky: 전시회에서의 사진; Strauss: 후안 (아티스트)
  • N.d.: 프로코피예프: 로미오 E 줄리에타/베를리오즈:로미오 E 줄리에타 / 차이코프스키 : 로미오 E 줄리에타 (포니트 체트라 이탈리아)
  • n.d.: 프로코피예프: 로미오와 줄리엣 (Extracts) (Deutsche Grammophon)
  • n.d.: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제5번; 프로코피예프, 베를리오즈, 차이코프스키: 로미오와 줄리엣 (아쿰)
  • N.d.: 라벨: La Valse; Daphnis et Chloé; 스위트 넘버 2; Le Tombeau de Couperin (Deutsche Grammophon)
  • N.D. 리하르트 스트라우스:토드 und Verklérung; 비에르 레츠테 리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로이즈오페우; 라벨: 다프니스 엣 클로에 (아쿰)
  • N.d.: 림스키코르사코프: 셰헤라자데 (원제)
  • N.d.: 세르지우 셀리비다체 지휘 RTSI 오케스트라: 슈베르트, 차이코프스키
  • n.d.: 슈베르트/슈만: 교향곡 (Fonit-Cetra 이탈리아)
  • N.d.: 슈베르트: 교향곡 제5번 및 제8번, 슈만: 교향곡 제1번 "프리마베라" 및 제2번 (아쿰)
  • N.d.: 슈버트: 교향곡 8번과 9번; 프랑크:교향곡 D단조; 무시르스키 라벨: 전시회의 그림 (우라니아)
  • n.d.: 슈만: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54; 리하르트 스트라우스:Vier Letzte Lider (아티스트 라이브 레코딩)
  • 악보: 슈만: 교향곡 1번과 2번 (체트라)
  • n.d.: Sergiu Celibidache alla RAI, 제1권: 요하네스 브람스– 신포니 1-4, Variazione su un tema di Haydn (포니트라 이탈리아)
  • N.d.: Sergiu Celibidache Alla Rai, Vol. 5 (Fonit-Cetra 이탈리아)
  • N.D.: Sergiu Celibidache 지휘 (아티스트)
  • N.D.: Sergiu Celibidache 지휘 (EMI Classic)
  • N.d.: Sergiu Celibidache 실행 (엔터프라이즈)
  • N.D.: Sergiu Celibidache 지휘(우라니아)
  • 세르지우 셀리비다체가 지휘하는 베토벤: 교향곡 2번과 4번 (FED)
  • N.D.: Sergiu Celibidache가 Blacher, Mendelsson, Brams, Cherubini, Schwarz-Schilling(Tahra) 지휘자
  • N.d.: Sergiu Celibidache 지휘 브람스: Ein Deutsches Requiem, Op.45 (IDIS)
  • N.D.: Sergiu Celibidache가 Franck, Chaikovsky(IDIS) 지휘를 합니다.
  • 세르지우 셀리비다체가 멘델스존, 하이든, 베토벤 지휘자(IDIS)
  • N.d.: Sergiu Celibidache가 Schubert & Schumann(IDIS)을 지휘합니다.
  • 세르지우 셀리비다체 베를린 필하모니커 지휘 (Myto Records)
  • 신간 : Sergiu Celibidache, Vol.1 (아렉치노)
  • 주의: Sergiu Celibidache: 도이체스 룬프카르지브 컬렉션 (음악 및 예술)에서
  • N.d.: Sergiu Celibidache: Magier des Klangs (문서)
  • N.D.: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1과 9; 이발사:Adagio for String (EMI 클래식)
  • 엔디: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작품 47; 교향곡 9번, 작품 70 (아르카디아)
  • N.D.: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7번 레닌그라드 (그라모포노 2000)
  • 주의: 스트라우스: 후안; 토드 und Verklérung; Respighi: 피니로마 (도이체 그라모폰)
  • 주의: 스트라우스:아인 헬덴레벤 (도이체 그라모폰)
  • n.d.: 스트라빈스키: L'Oiseau de feu; Label: Daphnis et Chloé; La Valse; Pavane pour un childe défunte (세트라)
  • 차이코프스키:교향곡 4번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엔젤 레코드 / EMI 클래식)
  • 차이코프스키:교향곡 6번; 몬테베르디:1610년 베스퍼– Ave Maris Stella (아키펠)
  • n.d.: 세르지우 셀리비다체의 예술, 제1권~제7권 (아렉치노)
  • n.d.: 완전한 RIAS 녹음(감사자)
  • N.d.: 슈투트가르트 레코드, Vol.3 (도이체 그라모폰)
  • n.d.: 나폴리의 미공개 첼리비다체 (원제)
  • N.d.: Verdi: Requiem (EMI 클래식)
  • 바그너:트리스탄 und 이졸데, WWV90; 지그프리드 이딜, WWV103(아르카디아)

명예, 수상, 훈장

메모들

  1. ^ 몇몇 자료에서 그의 아들의 이름은 Serge Ioan Cellebidachi로 표현된다.[citation needed]

레퍼런스

  1. ^ "Sergiu Celibidache – das Wesen der Musik". Focus (in German). 26 June 2012. Retrieved 10 October 2013.
  2. ^ "Der Stachel im Fleisch des Musikbetriebs". Süddeutsche Zeitung (in German). 4 July 2012. Retrieved 10 October 2013.
  3. ^ 1912년 6월 28일 생년월일은 루마니아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된 오래된 스타일의 율리안 달력에 기초했다.서양에서 현재 사용되는 현대 그레고리력에 따르면, 셀리비다케의 생일은 1912년 7월 11일이 될 것이다.
  4. ^ a b c d e Naxos – Sergiu Celibidache (바이오그래피) Sergiu Celibidache.2012년 8월 31일 취득.
  5. ^ a b c d EMI 클래식Sergiu Celibidache(1912~1996년):전기.2012년 8월 31일 취득.
  6. ^ a b 전기
  7. ^ a b Lang, Klaus (2015). Celibidache şi Furtwängler : marele conflict postbelic de la Filarmonica din Berlin. București: Humanitas. pp. 16, 23. ISBN 978-973-50-4878-5. OCLC 967947126.
  8. ^ a b Celibidache, Serge Ioan (2001), Sergiu Celibidache's garden, Facets Video, ISBN 1-56580-282-9, OCLC 50094469
  9. ^ 리처드 데이비스, 에일린 조이스: 초상화
  10. ^ "Konrad von Abel". Musikproduktion Höfli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December 2013. Retrieved 14 November 2013.
  11. ^ 부자르테, 모니크"솔로 트롬본을 위한 남자가 필요해: 애비 코넌트의 이야기." IAWM 저널.(International Women For Music, 1996년 2월), 8-11.여기서 온라인으로 입수 가능 2012년 3월 29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2012년 10월 20일 회수).
  12. ^ 개요, 코넌트 vsLH München, AGM Aktz: 2 Ca 7022/82, 1983년 2월 3일.
  13. ^ a b "Abbie Conant in the Munich Philharmonic". www.osborne-conant.org. Retrieved 30 September 2020.
  14. ^ 최종 판단, 코넌트 vs.LH München, AGM Aktz: 2 Ca. 7022/82, 1984년 4월 12일
  15. ^ 최종 판단, 코넌트 vs.LH 뮌헨 아크츠.Ca 2 7022/82, 1984년 4월 12일
  16. ^ James R. Oestreich (15 March 1998). "The Reticent High Priest of Munich".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1 August 2007.
  17. ^ John Rockwell (28 February 1984). "Debut of Sergiu Celibidach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7 October 2007.
  18. ^ Will Crutchfield (27 April 1989). "Sergiu Celibidache Conducts An Unhurried Bruckner 4th".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1 August 2007.
  19. ^ John Rockwell (29 August 1993). "When Mystic Meets Mystic".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1 August 2007.
  20. ^ "Conductor Sergiu Celibidache Biography". iClass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19. Retrieved 17 August 2007.
  21. ^ 란데샤프트슈타트 뮌헨 디렉토리움입니다에렌뷔르제흐트란데쇼프슈타트 뮌헨(Munich 지방 수도의 명예 시민)은 온라인에 게재되어 있습니다(2012년 9월 1일 회수).

추가 정보

  • Celibidache, Serge (2001). Celibidache!. Academy Chicago Publishers. ISBN 0-89733-504-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