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아나 –미국관계
Guyana–가이아나 | 미국 |
---|
가이아나와 미국 사이에 양국 관계가 수립되었습니다.[1]
역사
20세기
1970년대에 미국은 가이아나의 정책에 반대했고, 미국은 경제 원조를 중단했고, 세계 은행이 가이아나에 대출하는 것을 막았으며, 과야나 에세키바 영토 분쟁에서 베네수엘라 편을 들었습니다.[2]
가이아나에 대한 미국의 정책은 강력하고 지속 가능한 민주적 제도, 법률 및 정치적 관행을 개발하고, 경제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며, 안정과 안보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행정부의 마지막 몇 년 동안, 호이트 대통령은 그의 나라를 진정한 정치적 비동맹으로 나아가기 위한 결정의 일환으로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했습니다. 인권을 존중하고 1992년 선거에 국제 참관단을 초청하며 선거법을 개혁하려는 호이트의 노력으로 관계도 개선되었습니다. 미국도 투자와 성장을 자극한 호이트 정부의 경제 개혁과 노력을 환영했습니다. 1992년 민주 선거와 가이아나의 건전한 경제 정책과 인권 존중에 대한 재확인은 미국과 가이아나의 관계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연이은 PPP 정부 하에서 미국과 가이아나는 지속적으로 관계를 개선했습니다. 체디 자간 대통령은 민주주의에 전념했고, 더 많은 자유 시장 정책을 채택했으며, 가이아나의 환경을 위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했습니다. 자그레도 대통령은 그 길을 계속 가고 있고, 미국은 현 정부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1세기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의 에이즈 확산을 막기 위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002년 미국 대사관에 사무실을 열었습니다. 2003년 1월, 가이아나 협동공화국은 부시 대통령의 에이즈 구호를 위한 긴급계획에 포함된 서반구의 단 두 나라 중 하나로 선정되었습니다. CDC는 미국 국제개발처(USAID)와 협력하여 질병에 감염되고 영향을 받는 사람들을 위해 5년 동안 수백만 달러의 교육,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이아나 협동공화국은 밀레니엄 챌린지 어카운트 개발 프로그램의 문턱 국가였습니다.
미군 의료 및 공병대는 가이아나에서 계속 훈련을 실시하고 우물을 파며 학교와 진료소를 짓고 있습니다.
2020년 9월, 이르판 알리 대통령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의 공동성명에서 양국이 위기에 처한 베네수엘라와 가이아나의 분쟁지역 국경 근처에서 마약 단속을 목표로 하는 공동 해상 순찰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3] 이번 합의는 미국의 석유 메이저인 엑손 모빌사가 헤스사와의 컨소시엄의 일환으로 가이아나의 대규모 해상 스타브록 블록에서 원유 생산량을 늘리면서 이루어졌는데, 이 블록의 상당 부분은 베네수엘라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해역입니다.[3] 폼페이오 장관과 알리는 "더 큰 보안, 당신의 국경 공간을 이해하는 능력, 당신의 배타적 경제수역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 그것들은 모두 가이아나에 주권을 주는 것들입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4]
가이아나 내부의 정치적 행동주의
가이아나의[5][6] 시민 운동을 따라 미국 영토가 되려고 하거나 푸에르토리코와 비슷한 영연방에 들어가려고 하는, 미국과 가이아나 사이의 더 깊은 유대 관계를 옹호하는 적극적인 정당이 있습니다. 심지어 가능한 국가 지위도 궁극적인 목표로 공식화되었습니다. 미국으로의 가이아나 이민과 사회적,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여러 요인 중 하나로 꼽으며, 공식적인 인터넷 존재가 확립되어 몇 년 동안 운영되어 현재 가이아나 주에 관한 이민 및 기타 사실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7][8][9]
미국 대사관 관계자들
미국 대사관의 주요 관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사: 니콜 D. 테리어트
- 임무/책임자 부국장 중간: 애드리엔 갈라네크
- 관리 책임자: 제임스 그라운즈
- 정치/경제수장: D. 제임스 비요크먼
- 공보관: 아만다 콜드웰
- 영사과장: 나지마 라직
- 지역 보안 담당자: 윌리엄 누우
- HHS/CDC 국가 책임자: 라찰 알발락
- 군 연락사무소장: LCDR. 마이클 에이. 하얀색
- 평화봉사단 국가 감독: 린다 아보가스트
- USAID 국가 책임자: 크리스토퍼 쿠싱
공관
가이아나 주재 미국 대사관은 조지타운에 위치해 있습니다.
참고 항목
- 남미 국가 연합
- 아메리카 자유무역지역
- 제3국경구상
- 카리브 공동체
- 카리브해 유역 이니셔티브(CBI)
- 카리브해 유역 무역 제휴법
- 서반구 여행 계획
- 미국의 대외 관계
- 가이아나의 대외 관계
- 존스타운
- 레오 라이언
참고문헌
- ^ 재클린 A. McLeod, "게일계 미국인" Thomas Riggs 편집, 다문화 미국의 게일 백과사전, (제3판, vol. 2, Gale, 2014), pp. 293-303. 온라인
- ^ Taylor, Moe (2019). "Every Citizen a Soldier: The Guyana People's Militia, 1976–1985". Journal of Global South Studies. University of Florida. 36 (2): 279–311. doi:10.1353/gss.2019.0044.
Washington never sought to remove Forbes Burnham from power, despite frequent vexations with his policies. ... However, because of its displeasure with numerous Guyanese policies during the decade, the United States applied pressure in various ways: it suspended economic and food aid, it blocked World Bank loans, and it appeared to side with Venezuela in the ongoing territorial dispute. The October 1976 bombing of Cubana Airlines flight 455, in which eleven Guyanese, five North Koreans and fifty-seven Cubans were killed, was widely seen as retaliation for Guyana and Cuba's coordinated involvement in Angola.
- ^ a b 이르면 월요일부터 가이아나-미국 합동 해상, 항공순찰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2020년 9월 18일. 스타브룩 뉴스. 2020년 9월 19일 검색.
- ^ 미국, 가이아나, 베네수엘라 인근 해상 합동 순찰 개시 2020년 9월 18일. 마린링크. 2020년 9월 19일 검색.
- ^ https://icdn. 오늘/ calling용 guy용 일본어용 diaspora용 lobbying용 closer용 우리용 guyana-ties/
- ^ https://www.guyanausa.org/activities/
- ^ "GuyanaUSA". Guyanausa.org. Retrieved 14 October 2017.
- ^ "Guyana to become a U.S territory – David Granger hints – News Daily TV". Newsdaily-tv.com. Retrieved 14 October 2017.
- ^ "Guyana to become a U.S territory – David Granger hints – States TV". states-tv.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February 2017. Retrieved 14 January 2022.
더보기
- 라무르, 카를로 미국 기업 인수: 가이아나와 수리남의 산업적 출현과 알코아의 확장 1914-1921 (Brill, 1983).
- 맥레오드, 재클린 A. "게일계 미국인" 토마스 릭스 편집, 다문화 미국의 게일 백과사전, (3판, vol. 2, Gale, 2014), pp. 293–303. 온라인.
- 로즈, 유클리드 A. 현대 카리브해의 의존과 사회주의: 가이아나, 자메이카, 그레나다의 초강대국 개입, 1970-1985 (Lexington Books, 2002).
이 기사는 다음과 같은 퍼블릭 도메인 자료를 포함합니다.
외부 링크
- 가이아나의 역사 - 미국의 관계
- 미국 국무부 – 가이아나 협동공화국
- 주미대사관